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의 교육적 인간상 진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홍은숙 ( Eun Sook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 핵심이 되는 교육적 인간상 진술과 관련된 여러 가지 근본적인 문제들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보다 나은 국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에서 교육적 인간상이 어떻게 변천해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인간상 진술에 관련된 여러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이 글에서 고찰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적 인간상 설정의 기초가 되는 홍익인간의 교육 이념이 절대적인 것인지를 검토하였다. 둘째, 교육적인간상의 변화 범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셋째, 교육 이념과 교육적 인간상의 괴리 문제를 분석하고, 홍익인간 개념의 현대적 재해석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학교 급별 교육 목적 및 교육 목표와 교육적 인간상 사이의 이상한 관계를 분석하고, 학교 급별 교육 목표 제시를 위한 교육적 인간상의 역할을 살펴 보았다. 다섯째, 교육적 인간상이 교육 현장에서 실효성을 가지도록 진술하는 방식은 무엇인가를 고찰하였다.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인간상의 내용을 제시하기보다는, 그것에 내재된 문제를 분석하고 앞으로 어떤 연구가 필요한지를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로서, 홍익인간의 교육 이념에 대한 검토 및 그것의 재해석에 관한 연구, 교육적 인간상과 관련된 교육 이념, 교육 목적, 학교 급별 교육 목적 및 교육 목표, 그리고 핵심역량 등의 복잡한 개념들의 관계를 어떻게 정립할지에 대한 연구, 교육적 인간상이 실효성을 가지기 위한 진술 방안에 대한 연구, 그리고 새로 도입된 핵심역량의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In order to improve the national curriculum of South Korea,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various issues that are embedded in formulating the visions of an educated pers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First, I explain the changes of visions for an educated person in the national curriculum,including the 2015 revision of the curriculum; I then discuss several questions in turn. First, I discuss the nature of the ideal education of Hong-ik-in-gan that is proclaimed in the Basic Education Act, and whether this ideal is absolute or not. Second, I deal with the issues related with the change of vision for an educated person. Third, I analyze the gap between the education ideal and the visions of an educated person. Fourth, I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different school levels, the educational goals of different level schools, and the visions of an educated person. Fifth, I explore the most effective way to formulate the visions of an educated person in order to influence the practice of education. This study puts the focus on analyzing problems, thus providing research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영아교사의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과 민감성 수준 및 민감성인식의 관계

        홍은숙 ( Eun Sook Hong ),부성숙 ( Sung Sook Pu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과 상호작용 속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민감성 수준 및 교사의 민감성 인식 간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영아-교사 간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영아전담 어린이집 6곳의 영아담당교사 30명과 영아 174명을 대상으로 관찰 및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분석, χ²검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 모두 긍정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의 개인적 특성 변인에 따라 상호작용 양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 교사의 민감성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반면 부정적인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은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자신이 민감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금지 및 지시하기의 언어를 적게 사용하였고, 영아들과 신체접촉의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민감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부정적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s``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sensitivity level, and sensitivity aware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omposed of 30 infant teachers and 174 infants belonging to 6 nurse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videotapes of their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and questionnaires of the teachers`` sensitivity aware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and correlation analyse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infant teachers showed more positive and less negative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second, the infant teacher had a higher sensitivity level and sensitivity awareness when they were more positive and less negative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s.

      • KCI등재
      • KCI등재

        『오이디푸스 왕』에 나타난 연결성과 팬데믹: 역병 플롯과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홍은숙(Hong, Eun-sook)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硏究 Vol.- No.95

        이 글은 ‘하나의 연결망으로서의 제국’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제국의 현상 혹은 제국의 징후로서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에 나타난 역병의 플롯과 내러티브를 분석한다. 아테네 역병은 비극작가들의 예술 언어에도 변화를 가져왔고, 이로써 예술의 치료적 효과가 강조되었다. 역병 절정기에 디오니소스 극장은 ‘질병 상상계’의 우세를 보였고, 그 중에서도 『오이디푸스 왕』은 역병에 대한 광범위한 설정과 상세 사항으로 구성되고 전개된다. 『오이디푸스 왕』의 플롯과 내러티브는 1) 제국의 욕망과 오이디푸스의 욕망, 2) 스핑크스의 질문과 자기 반성적 성찰, 3) 토템과 타부의 내러티브, 4) 비난의 메커니즘과 희생양의 측면에서 전개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비극의 효용성을 연민과 공포를 통한 카타르시스(정화, 치료)라고 하였듯이, 『오이디푸스 왕』에 나타난 역병의 치료는 더러움을 찾아 제거하는 정화에 있다. 이때의 정화는 공중보건적 정화가 아니라 정치적 정화이다. 테베 시민들은 오염 덩어리를 공동체 밖으로 몰아내는 책무를 정치 리더십 오이디푸스에게 맡긴다. 지중해 패권을 장악한 아테네는 제국의 교류와 번영으로 자신감이 충만했고, 전쟁에 대한 승리의 확신감과 자신감이 넘치는 자제할 줄 모르는 제국이었다. 하지만, 제국의 연결성으로 인해 역병은 공동체의 제반 관계의 와해를 가져왔다. 제국의 욕망은 젊고, 나르시스적 자기 확신과 자만심에 찬 오이디푸스에게 투사된다. 공동체의 오염은 오이디푸스의 친부살해와 근친상간의 타부에서 비롯된다. 오이디푸스는 희생양으로 지목되고, 비난의 메커니즘에 따라 공동체에서 추방된다. 오이디푸스는 ‘이것은 무엇인가’ ‘그는 누구인가?’ ‘나는 누구인가?’라는 여러 단계의 텍스트 해석학을 거치면서 자기 반성적 성찰에 이른다. 『오이디푸스 왕』에 나타난 역병은 사회질병 혹은 제국의 질병 인식에서부터 사회 구조와 특성에 대한 이해 너머 사회의 취약성을 드러내는 기표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plot and narratives of Sophocles’ Oedipus the king as the phenomenon of empi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empire as a network and connectivity. The plague of Athens during the Peloponnesian War affected the language of Greek tragedians. The Theatre of Dionysus represented ‘the disease imaginary’ and Oedipus the King is developed with the setting and details of the plague. The plot and narratives of Oedipus the King follows the four steps; 1) crossing between the desire of Empire and the desire of Oedipus 2) ‘Riddle of the Sphinx’ and self-reflection 3) the narratives of taboo and totem 4) the defense mechanism and scapegoat. As Aristotle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Greek Tragedy is katharsis through pity and fear, the remedy in Oedipus the King is also katharsis, not biological but sociopolitical katharsis. The desire of the Athenian Empire is projected on young, narcissistic Oedipus who has too much pride and hubris. Oedipus reaches a state of true self-reflection going through the textual hermeneutics; what is it? → who is he → who am I?

      • KCI등재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은숙(Eun-Sook Hong),이화숙(Hwa-So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활동 경험(동기, 지속성, 만족도, 내용)을 독립변수로 진로의식 성숙도(결정성, 관여성, 독립성, 성향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각 하위요인에 대한 평균차이와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부산시내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 조사가 이루어졌다. 519사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이중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경험이 있는 376명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활동과 진로의식 성숙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는 결과는, 첫째, 자원봉사활동 경험은 청소년의 진로의식 성숙도에 영향을 미쳤다. 즉,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에 비해 진로에 대한 관심과 관여 수준이 더 높으며, 진로 및 직업에 대한 가치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활동 경험은 진로의식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원봉사활동 동기가 이기적인 경우,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원봉사활동을 많이 할수록 진로의식성숙도가 높았다. In this study, volunteer experience(motive, durability, satisfaction, content) was set up as an independent variable, career maturity degree(determinacy, involvement, independence, tendency) was set up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average difference and effect of the sub factors for each of them were reviewed.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with 519 students at the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Busan. With 376 students having volunteer experiences among them, an analysis was done to find out the effect of volunteer experience on career matu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ther having volunteer experience or not affected the career maturity among youths. That is the group with volunteer experience had higher level of interest, involvement and value in career and jobs than the group without them. Second, it showed that volunteer experience affected career maturity among youths. Specifically, career maturity was higher as their motive for volunteer activities was selfish, their satisfaction for volunteer activities was higher and they had more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후보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 논의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

        홍은숙 ( Eun Sook H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6

        제7차 교육과정에서 도덕과는 바람직한 삶을 위한 도덕규범과 가치문제와 더불어, 인성교육, 민 주시민 교육, 통일교육, 국가안보교육 등을 핵심영역으로 규정하며 이러한 사회과학적 문제들에 대해 ``학제적 접근``을 한다. 이에 대해 도덕과 교육의 성격에 대한 정체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과 교육의 정체성에 관련된 쟁점들을 해결하는 데에 교육학 특히 교육철학의 논의가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교육철학이 도덕과 교육과 어떻게 밀접하게 관련되는지를 보여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Ⅱ장에서는 도덕과 교육의 ``학제적 접근``을 고찰하며, 도덕과 교육과 교육학의 관련성을 살펴본다. 제Ⅲ장에서는 후기 허스트의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이라는 새로운 교육의 개념에 비추어 도덕과 교육의 성격을 어떻게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제Ⅳ장에서는 도덕과 보다는 각과 교육에서 가르칠 수밖에 없는 가치 영역으로서 ``인륜적 가치``에 대해 논의한다. 제Ⅴ장에서는 도덕과 교육에서 정치교육이나 민주시민교육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를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논의한다. The 7th Korean moral education curriculum claims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n the sense of combining several different disciplines. But it could distort moral education in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dentity problem of moral education in school, clarifying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chapter 2, the concept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s discussed. The core of moral education is not the combination of various social sciences, but ``moral virtues and norms``.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can be clarified by the help of the theory of education, especially by the help of theory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chapter 3,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is reinterpreted in light of the new concept of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practices``, suggested by the latter Hirst. The latter Hirst argues that moral education is essentially education in the conduct of a rationally fulfilling life by initiation into an ever developing web of social practices. In the chapter 4, we examine ``the ethical areas`` of moral education, in contrast with the narrow moral areas. Moral educa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narrow moral goods, but also the wider ethical goods. In the chapter 5, we discuss the problem whether the area of political education need to be included in moral education or not. I argue that politic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or moral education, discussing what kinds of virtues and values need to be taught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미국희곡에서의 리얼리즘과 초현실주의 : 유진 오닐과 샘 셰퍼드를 중심으로

        홍은숙(Eun-sook Hong) 한국영미어문학회 2005 영미어문학 Vol.- No.75

        The coexistence of realism and surrealism is a decisive dramatic technique common in Eugene O'Neill and Sam Shepard. Although O'Neill is considered as a traditional dramatist and Shepard as an avant-garde dramatist, it is hard to establish both playwrights' genuineness through these standardized concepts. This thesis studies The Iceman Cometh and Buried Child in terms of realism and surrealism which seem to be opposite styles. In The Iceman Cometh of O'Neill and Buried Child of Shepard, the identities of 'Iceman' and 'Buried Child' are discussed. Although these two characters are absent in the realm of naturalistic realism, they are important characters to create dramatic conflicts and affect the self-discovery of the real characters. American drama of psychological realism, ordinary language and action comes to surpass its limits by introducing other drama styles. As realism changes, it accepts surrealistic devices. And surrealism is charged with psychological realism. The new realism of O'Neill and Shepard is not old fashioned realism but puts together imagination, recognition of life-force and unconsciousness, illogicalness, and non-action. O'Neill and Shepard need to overcome the limits of realism in order to explain uncertainties which put individuals in confusion. Although they began to write in different ages, O'Neill and Shepard sought variety and genuineness in American drama, and established the tradition of 'the coexistence of realism and surrealism'.

      • KCI등재

        실천전통 교육관을 위한 내러티브적 인식론의 활용방안 연구

        홍은숙 ( Eun Sook 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9 No.-

        주지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으로서, 1990년대 이후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을 주장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즉, `실천전통 교육관`) 제시되고 있다. 그렇다면 교육에서 실천전통에 초점을 맞추어 가르친다는 것은 어떻게 한다는 뜻인가? 본 연구는 실천전통 교육관을 교육 실제에 적용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최근 교육 과정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내러티브적 인식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제2장에서는 `듣는 교육`으로서의 실천전통 교육관에 나타난 내러티브석 특성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MacIntyre의 덕의 3단계 개념, 즉 `실천전통`, `인간의 삶의 서사적 총체성`, 그리고 사회의 `전통`에 기초한 실천전통 교육관을 살펴보고, 여기에 나타난 내러티브석 특성을 설명한다. 제3장에서는 최근에 교육과정 연구에서 활발히 논의되는 내러티브석 인식론의 의미와 교육적 필요성을 설명한다. 제4장에서는 내러티브석 인식의 특징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실천전통의 교육관을 통해 교육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In 1990s a new paradigm of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practices (I will call it `practices-based education`) was suggest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intellectual education. What does it mean to shift the educational focus from teaching propositions to teaching their background practices? How can we practice this new paradigm of education in schooling? In order to figure out some ways to realize the concept of `practices-based education`, I explore the narrative ways of knowing, which is widely discussed in cuniculum, as one method to realize the new paradigm of education. In chapter 2, I explai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practices-based education. MacIntyre`s three stages of virtue, namely practices, the unity of a human life, and a tradition imply the narrative ways of knowing. Practices provide a narrative setting for meaning. The unity of a human life means the unity of a narrative embodied in a single life. And we are all bearers of a tradition, which is taught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tradition. In chapter 3, I show why the narrative ways of knowing is needed and important in education, especially in our postmodem society. In chapter 4, I explain som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ways of knowing, exploring some methods for applying the narrative ways of knowing to practices-based education.

      • KCI등재

        새로운 신화기술로서의 수정주의 웨스턴

        홍은숙(Eun-Sook Hong) 한국영미어문학회 2014 영미어문학 Vol.- No.113

        This study searches for how the American public myth became the narrative of the western and why the genre mutated into sub-genres such as the revisionist western, after reviewing the literary process that the frontier myth became the public myth of America. The revisionist western reflects social backgrounds that the frontier myth didn't play the role of the American public myth, which led to the crisis of American identities. All the characters in The Wild Bunch experience their own violence in their own places. Showing a wide range of violence, the mythography of the revisionist western discards the liberal progressive ideology of the frontier myth and suggests a new alternative narrative. While the mythography in the early western justifies the aggressive expansion under the cloak of civilization, that of the revisionist western questions whether the connotation and denotation of violence can be justified. Alternative narratives in the revisionist western can be applied to reflect the terror-epoch of the post 9/11 social imaginary.

      • KCI등재

        실천전통 교육관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교육의 목적에 관한 연구

        홍은숙 ( Eun Sook Hong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7 No.-

        교육에서 교육의 목적은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로서, 교육철학의 영역에서 추상적으로 논의되기도 하고, 교육과정의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교육목표 설정 및 진술과 관련하여 논의되기도 한다. 교육의 목적 개념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서 수업목표를 제시하거나 예비교사의 학습지도안 작성을 지도할 때는 많은 비판을 받는 행동주의 목표 진술 방식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목적에 관한 다양한 철학적, 이론적 논의들을 어떻게 교육현장에서의 수업목표 제시 및 진술에 적용할 수 있는가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에 새롭게 제시된 실천전통 교육관이 교육과정 설계 과정에서 교육목적의 이해 및 수업목표진술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현재 교육목적 개념과 수업목표 진술의 문제점, 특히 행동주의 목표 모형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실천전통 교육관의 특징 및 교육목적관을 설명하고, 이에 따른 수업목표 진술 방안을 제시한다. The aims of education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education. This topic has been discussed not only in the field of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abstract level, but also in the field of curriculum in the more concrete level, dealing with how to describe instructional objectives for the class. Although there are many important discussions on the topic of the aims of education in the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level, they are not applied to the concrete field of education, which is still governed by the problematic model of behavioral objectives. Thus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issue how to apply the abstract theory to the practice, to the concrete field of education. Among many discussions about the aims of education, this paper puts the focus on the conception of aims of education in the new `practices-bas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consists in exploring how to understand the aims of education and describe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in light of the concept of education as initiation into practices. In chapter 2, I analyse the concept of aims of education, and criticize the model of behavioral objectives, revealing what are the problems we have to solve in stating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In chapter 3, I briefly explain the view of practices-based education, showing its conception of the aims of education. Then I suggest some ways to state instructional objectives. I emphasize to connect parts of knowledge to its background practice from which they come from, and to understand the goods internal to the practice. I also emphasize that each knowledge should be described in the way to be connected to one`s whole narrative 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