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건의궤로 살펴본 벽(壁)의 명칭에 관한 고찰- 종묘 정전·영녕전의 갑벽(甲壁)을 중심으로

        홍은기,곽이라,한욱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4

        본 연구는 조선시대 건축 공사 기록인 영건의궤에서 조선 후기 건물에 구성되었던 벽의 명칭과 유형을 살펴보고, 종묘 정전과 영녕전에 사용된 벽에 대해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벽의 명칭은 성격에 따라 방향·위치, 형상·기능, 재료, 복합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벽 앞에 성격을 의미하는 단어가 합쳐진 합성어로 사용되었다. 둘째, 벽의 유형 중 재료와 관련된 일 부 벽은 사용 시기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18세기 이후 토벽의 사용은 줄고 목벽(판벽), 지벽의 사용이 많은 것 으로 확인된다. 셋째, 종묘 정전과 영녕전의 벽은 흙벽과 화방벽이 사용되었으며, 고주열 중인방 상부는 흙벽으로, 외 부는 화방벽으로 구성되었다. 화방벽은 종묘 정전의 경우 기둥까지를 포함한 일체화된 모습으로 설치된 반면, 영녕전 의 경우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만 설치되었다. 넷째, 갑벽은 의궤 내 사용된 용례들과 현재 건물의 비교를 통해 ‘종묘 내 건축물 구성 시 사용된 중인방 상부에 설치한 벽’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익숙한 까닭에 연구가 미비했던 벽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에 사용되었던 벽의 명칭들과 용례를 기록과 실제 건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 갑벽의 정의를 밝히기 위해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mes and types of walls construc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YeonggeonUigwe, a record of construction works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name of walls constructed in the main hall and the Yeongnyeongjeon Hall of Jongmyo Shrin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ame of the wall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including direction, location, shape, function, material, and complexity, and was used as a compound word in front of the wall. Second, some of the wall types related to the material were found to have differences in the timing of the types of walls. Since the 18th century, the use of earthen walls has been reduced, and the use of wooden walls and paper walls are often used. Third, the walls of the Jongmyo Shrine were composed of a mud wall and a fireproof wall. A fireproof wall was installed in the main hall, including a pillar, while the Yeongnyeongjeon Hall was installed only between the pillar and the pillar . Fourth, the Gap Wall can be defined as the "wall constructed at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in Jongmyo."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a wall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examining the names and examples of walls us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walls that lacked research in familiarity.

      • KCI등재

        조선 후기 왕릉 정자각 관리에 대한 문헌적 고찰 - 『각릉수리등록(各陵修理謄錄, 1675~1713년)』의 정자각 훼손기록을 중심으로

        홍은기,황종국,장헌덕 한국건축역사학회 2023 건축역사연구 Vol.32 No.2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on the management of the pavilion of the royal tomb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Gakneung Suri Deungnok(Records relating to the repair of royal tombs)”. This study analyzed the royal tomb management system, organized the types of damage identified in the building, and examined how the damage status was recorded by type. In the above, the records related to the 1675∼1713 repair of three JeongJaGak(Geonwonneung, Sungneung, and Mokneung), which are registered as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ar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management system, damage status, and expression wor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oyal tomb pavilion was regularly inspected by Observator(觀察使) in spring and autumn, and Surunggwan(守陵官) every 5th, and Servant(守僕) regularly inspected every day and night, and also inspected and reported emergency cases of natural disasters or unexpected damage. Second, the damage status of each building was continuously observed and reported for the continuous maintenance of the buildings in the royal tomb. A total of 75 records of damage to the three royal tombs' pavilion were found to have been most frequently inspected, including 19 cases (25.3%), 14 cases (18.7%), 23 cases (30.7%) of the roof, and 19 cases (25.3%) of the roof. Third, the expression of the damage status is confirmed in various ways, such as separation, separation, burst, damage, excitation, moisture, leakage, and exfoliation. Among them, the main damage records were confirmed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base from the peeling, the furniture, cracks, leaks, leaks in the roof, and the collapse of the roof was able to check the damage records. 본 연구는 기록이 확인되는 가장 이른 시기의 등록을 중심으로 왕릉 정자각의 공사를 위해 이뤄지는 수리체계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 건물에서 확인되는 훼손유형을 정리해 유형별로 어떤 방식으로 훼손현황을 기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가지정문화재로 등록되어있는 건원릉, 숭릉, 목릉 3곳의 정자각의 17세기 수리와 관련된 기록을 살펴본 바를 관리체계, 훼손현황, 표현 단어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7세기 왕릉 정자각은 봄과 가을에는 관찰사가, 매 5일에는 수릉관이 매일 밤낮으로는 수복이 정기적으로 봉심하였고 자연재해나 예상치 못한 훼손이 발견된 긴급상황인 경우에는 바로 점검하여 보고하는 체계를 갖추었다. 상시 또는 비상시 모두 왕릉에서 조정으로 보고한 후 임금께 보고되는 관리체꼐를 따랐으며, 그 외 사안이 큰 건에 대해서는 종1품이 직접 임금께 보고드리기도 하였다. 둘째, 왕릉의 건축물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각 건물별 훼손현황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보고하였다. 왕릉 정자각 세 곳의 훼손 기록은 위치별로 기단부는 19건(25.3%), 가구부는 14건(18.7%), 지붕부 23건(30.7%), 의장 19건(25.3%) 등 총 75건으로 전체적으로는 지붕부의 훼손이 가장 빈번하게 점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훼손현황에 대한 표현은 이격, 이탈, 터짐, 파손, 들뜸, 습기, 누수, 박락 등 다양하게 확인된다. 그중 기단부는 박락과 이격, 가구부는 균열, 누수, 지붕부는 누수와 양상도회의 박락, 의장은 단청의 희미함과 벽체의 박락 등으로 주요 피해기록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는 조선후기 목조건축물의 훼손을 어떻게 조사하고 기록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 KCI등재

        중국기업의 CSR 활동 및 직장인들의 인식변화 연구

        홍은기 한국비교경제학회 2022 비교경제연구 Vol.29 No.2

        This study studied the developmen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China and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hinese employees ab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Development Index>, which has been announced since 2009 by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and through empirical studies conducted in 2009 and 2021, we investigated any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mong office work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responsibility development index of Chinese companies increased from 15.2 in 2009 to 36.1 in 2021, and the development index of state-owned compan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ivate companies and foreign-invested companies. Second, workers’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improved a lot from 3.65 in 2009 to 3.91 in 2021. It can be said that over the past 10 years, the social responsibility development index of Chinese companies has risen and employees’ awareness of social responsibility has improved 본 연구는 중국 CSR 발전과 중국 직장인들의 CSR에 대한 인식변화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사회과학원에서 2009년부터 발표하고 있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발전지수’를 분석하였고, 2009년과 2021년에 각각 실시한 실증연구를 통해 직장인들의 CSR 에 대해 어떠한 인식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CSR 발전지수는 2009년의 15.2에서 2021년 36.1로 증가하였고, 국유기업의 발전지수는 민영기업, 외자기업보다 상당히 높았다. 둘째, 직장인들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은 2009년의 3.65에서 2021년 3.91로 많이 향상되었다. 이는 지난 10여 년 동안 중국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발전지수의 상승과 직장인들의 CSR 대한 인식이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몽골 초이진 라마 사원의 배치 변화과정 고찰

        홍은기,에르데네족트 투멘데르거 한국몽골학회 2020 몽골학 Vol.0 No.61

        The choijin lama Temple in Mongolia is a major Rama Buddhism temple designated as a state-designated cultural asset in Mongolia. It was built in 1903 but was burnt down by fire and rebuilt from 1904 to 1908 the following year and has been maintained to this day. Since it is a Mongolian architectural and cultural heritage representative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mong existing cultural heritage, Keeping a record of its value is thought to be a necessary process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layout of the buildings in the temple from the time the temple was built to the present day after the reconstruction. Based on related research data, documents, photographs, etc., Compared to the current buildings, the process of the change in the layout of the temples was analyzed.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mple can be divided into four areas, including outer area, intermediate area, main temple area, and the yadam temple area, depending on the space divided by buildings and walls. Second, the time-to-date layout changes of buildings are divided into four periods: at the time of construction, from the beginning to 1938, from 1938 to 1960 and from 1960 to the present. Third, depending on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the timing system has four time-specific characteristics: glory days, period of decline, period of stability, and period of revival. 몽골 초이진 라마 사원은 몽골 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주요 불교 사원이다. 1903년 건립되었으나 화재로 전소(全燒)되고 이듬해인 1904년부터 1908년까지 재건되어 현재까지 이른다. 현존하는 문화유산 중 20세기를 대표하는 몽골 건축문화유산이기 때문에 그 가치를 기록해 두는 것은 향후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몽골 초이진 라마 사원을 대상으로 건립당시부터 재건 이후 현재까지 사원 내 건물의 가람배치 변화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관련 연구자료, 문서, 사진 등 기록자료를 중심으로 현재의 건물과 비교하며 사원의 배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원은 건물과 담장으로 구획된 공간에 따라 크게 외부공간, 중간권역, 주불전권역, 본존전권역 등 네 개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건물의 시기별 배치변화는 사회상 등에 따라 초창, 초창부터 1938년, 1938년 이후부터 1960년, 1960년부터 현재 등 4개 시기로 구분된다. 셋째, 시기구분은 사회적‧정치적 상황에 따라 전성기, 쇠퇴기, 정체기, 부흥기 등 4개의 시기별 성격을 갖는다.

      • KCI등재
      • KCI등재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벽체 수리 기록과시기별 시공기술 고찰

        홍은기 국립문화재연구원 202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istorical wall repair details through analysis of repair data andadministrative documents of the Paradise Conservation of Gangjin Muwisa Temple.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project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between the materials and construction technology used inthe building’s walls. The data for repair work conducted in 1935, 1956, and 1982~3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of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data for the wall construction conducted in 1935 during the dismantling repair showed that the interiorstructure of the wall was found to follow that of the original, but the first, second, and final layers used differentmaterials. The composition material of the wall consisted of clay, lime and sand, the second layer used sand andplaster, and the last layer used plaster and seaweed paste. Second, the structure of the wall interior, which was found during the 1956 repairs, consisted of wood wovenhorizontally and vert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is had been installed diagonally using a rope. Third, the 1982~3 repair work confirmed that the wall’s interior construction conformed to the original method. The lime-sand wall was formed by mixing slacked lime, sand, soil, fodder, and seaweed grass. Fourth, when the various repairs are considered as a whole, it is clear that the interior structure of the wall wasmade more than 1900 years ago, and the material used in the wall changed in 1935. Fifth, the materials used for each repair differed, but each project had a common view of cultural heritage repairprinciples in sections that stated the significance of each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