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淵 詩經說에 대한 湛軒의 評價와 그 意味-湛軒 洪大容의 「詩傳辨疑」를 중심으로-

        홍유빈(Hong You bin) 대동한문학회 2019 大東漢文學 Vol.58 No.-

        본고는 노론 낙론계에 속하는 삼연 김창흡의 시경설에 대해 같은 계열의 후학인 담헌 홍대용이 평한 「시전변의」를 대상으로, 담헌이 삼연의 시경설을 평가한 특징과 의미를 서술한 논문이다. 결과적으로 볼 때 삼연의 시경설에는 부분적이긴 하지만 탈주자적인 면모가 엿보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담헌의 경우 개별 시편의 이해나 시경학 총론의 입장에서 삼연의 설을 일부 수용하지만 상당수의 시편의 경우 주자의 시경설 안에서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각자의 성격적인 측면에서 삼연의 경우 학술이나 사고방식 면에서 보다 개방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음에 비해, 상대적이긴 하지만 담헌은 보다 온건하고 보수적인 측면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세부적으로는 담헌이 평한 부분은 총 서른네 편인데, 이 중에서 타당하다고 본 것은 열 한 편이고 일부만 타당하다고 본 것이 열 편이며, 삼연의 설이 잘못되었다고 본 것이 열세 편이다. 이를 볼 때 삼십 퍼센트 정도는 삼연의 설이 옳다고 보았으나, 나머지 칠십 퍼센트 정도에는 보완과 수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담헌의 비평은 기본적으로 주자와 삼연 사이에서 나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보다 타당한 견해를 선택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고 총평할 수 있다. 다만 담헌이 삼연의설에 부분 부정하거나 전면 부정을 한 경우 주자의 설을 따르는 경향이 많다는 것인데, 이런 경우에는 삼연보다는 주자의 설을 옹호하는 입장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focused on Hong Daeyong(洪大容, 1731~1783; penname: Dam-heon)’s 詩傳辨疑 which Hong Daeyong who belonged to Nakschool of Noron evaluated Kim Chang-Hup(金昌翕, 1653~1722; penname: Samyeon)’ s study of the Book of Odes(Shih-ching, one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and meaning about Sam-yeon’s study of the Book of Odes. As a result, there was partially new aspect from Chu Hsi(1130~1200) in Sam-yeon’s study of the Book of Odes. However, in case of Hong Daeyong, he had a tendency to translate within the view of Chu Hsi in terms of Micro and Macro aspect. Then, although Kim Chang-Hup had more open minded attitude in terms of academic tradition and thought patterns, Hong Daeyong seemed to have more modest and conservative. In detail, Hong Daeyong evaluated all 34 works, however, he viewed reasonable as 11 works, partial reasonable as 10, and not correct as 13 works. It can be seen 30 percents as reasonable, but 70 percents as needed of supplementation and correction. With given results, Hong Daeyong had a balance between Chu Hsi and Kim Chang-Hup, and he chose more reasonable view. However, Hong Daeyong had a tendency to follow Chu Hsi’s point of view about the study of the Book of Odes, when Hong Daeyong tried to partial deny or total deny of Kim Chang-Hup’s opinions. In the comparison with the study about the Book of Odes, Hong Daeyong’s point of view about the Book of Odes was more lean on Chu Hsi’s opinion rather than Kim Chang-Hup’s.

      • KCI등재

        대학교 한자(漢字)·한문(漢文) 교육에서의 영역본(英譯本) 경서(經書) 활용 방안-제임스 레게(James Legge)의 ‘사서(四書) 영역본(英譯本)’을 중심으로-

        홍유빈 ( Hong You-bin )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6 No.-

        본고에서는 대학교 漢字·漢文 교육에서의 英譯本 經書를 활용하는 방안을 논하였다. 그리고 제임스 레게(James Legge)의 四書 영역본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고려대의 경우 일부 수업에서 대학교 漢字·漢文 교육에서 英譯本 經書를 꾸준히 활용한 바 있는데, 앞으로도 이를 활용한 수업이 지속적으로 개설될 것으로 예상해 본다. 한편 제임스 레게(James Legge)의 四書 영역본과 관련된 국내에서의 연구는 이동철을 필두로 하며 여러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들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레게譯 사서 영역본의 장점은 상세한 주석, 중요한 주해서를 활용, 여러 학파의 관점을 최대한 인용, 엄밀한 연구와 고증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점이 반대의 관점에서는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데, 즉 ‘지나치게 학구적 분위기가 농후해 일반 독자들이 수용하기 어렵다고 여겼다’는 견해가 그것이다. 따라서 레게역 사서 영역본의 활용에 있어 이러한 장점과 단점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이러한 특징을 가진 제임스 레게의 四書 영역본 경서를 대학 교육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살펴보면, 첫번째, 레게譯 四書 英譯本 전체를 이용한 커리큘럼 수립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그 실제적인 방안으로는 초학자가 한문을 익히기에 용이한 『大學』과 『中庸』은 1학년 1-2학기에, 2학년 및 상위 학년에서는 『論語』와 『孟子』를 학습하는 것을 제시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두번째, 經書 원문과 영어 번역문 비교를 통한 漢文-英文 비교 학습을 들 수 있다. 레게의 四書 영역본의 체제는 본문 상단에는 한문으로 된 경전 구절이 있고, 아래에 이에 대한 레게의 영어 번역이 그리고 맨 아래에는 작은 글씨의 주석이 있다. 이러한 편집 형식은 漢文-英語 對照 형식으로 학습자가 한문과 영어를 동시에 익히기에 좋은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식을 감안한 학습 방법을 생각해 본다면, 우선 교수자는 한문 원문을 설명하고 그것에 해당하는 영어 번역문을 살펴보고 그것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때로는 이러한 설명 과정을 직접 학습자가 발표하도록 유도하여 문장의 어순과 주요 단어가 어떻게 번역되었는지를 찾는 방식으로도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 經書 원문과 영어 번역문 비교를 통한 영단어 학습능력 향상을 들 수 있다. 이 부분은 앞서 제임스 레게 譯 영역본의 단점으로 지적된 사항과 관계가 있는데, 레게의 번역문은 학구적인 경향이 강해서 독자들이 수용하기 어렵다는 평가를 받은 바대로 현학적이면서도 어려운 라틴어계 단어를 다수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특징을 반대로 생각해보면 본서를 통해서 오히려 난해한 단어들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배우는 학습자 역시 원문의 한자의 의미와 번역된 영단어의 의미를 서로 비교해 봄으로써 비교적 고급 독해 문장에 사용되는 라틴어계 영단어를 익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제임스 레게의 四書 영역본은 대학교 한자·한문 교육의 학습 자료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며 학습에 있어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This paper discussed about the utilization of English translated 經書(Chinese classics) i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in College. And the research target was James Legge’s 四書(four books) English translated version. In Korea University, some professors use English translated 經書 i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in College education. Therefore, the classes using English translated 經書 will be opened for the students continually.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about James Legge’s 四書 English translated version was conducted by Lee Dong Chul and other researchers. In summary of the previous research, the strong points of James Legge’s 四書 English translated version were the detailed 注釋, the utilization of the important 注解書, the maximized reference from various scholar parties, the detailed research and exploration. However, these merits will be considered as the weak point, such as ‘too scholastic to be accepted by normal readers.’ Therefore, this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use of James Legge’s 四書 English translated version.The methods for utilization o f James L egge’s 四書 English translated version in College education, the first will be the curriculum composition of James Legge’s 四書 English translated version. In practical ways, 大學 and 中庸 which is suitable for the beginner will be used for the freshmen and 論語 and 孟子 will be used for the sophomore and the above. The second will be the comparison between the original 經書 and English translated version. In James Legge’s version, there were Chinese characters in the above and the English translated version in the lower part, and little characters of 注釋 in the bottom. This kind of format, which is Chinese and English comparisons, is good for the students to learn the Chinese and the English at the same time. In considering of this kind of learning style, the professors are needed to explain about the original Chinese version and the examine the English translated version with mentioning of the common and the difference of two versions. And if this will be done through the students’ activities, the students would have learned how the structure will be translated. The last will be the enhancement of English Vocabulary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original 經書 and English version. This is related to the weak point of James Legge’s version which used latin vocabularies. On the other hand, this will be the strong point that the students will learn the difficult words through the Chinese version and English version easily. In addition, the students can compare between the original Chinese version and English translated version. In this point, James Legge’s English version will have the value as a good learning method in teaching the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in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황응두(黃應斗) 저(著) 『漢·日·鮮 時文新讀本』의 특징과 의미 - 실용 어문 학습서로서의 관점에서

        홍유빈(Hong, You-bi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한국문학과 예술 Vol.36 No.-

        본 논문은 1929년에 편찬된 황응두(黃應斗) 편저(編著) 『漢‧日‧鮮時文新讀本』을 저본으로 하여 그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고 오늘날의 한자(漢字) ‧한문(漢文) 교육에 시사하는 의미를 논의해 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본고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漢‧日‧鮮時文新讀本』은 일제 식민지 시대에 활발하게 출판된 독본류(讀本類) 저서 중 하나인데, 당시 정규학교에서 수업 받을 기회를 갖지 못했던 형편이 어려운 집안의 자제들 및 부녀자들을 대상으로 편찬된 저서이다. 본서가 발간된 1929년(昭和4년)은 1919년에 있었던 3‧1운동 이후 일제의 통치 전략이 기존의 헌병경찰 통치에서 문화 정치로 완화되던 시기였다. 이에 교육의 경우에도 한국인의 교육 수준을 일본의 그것과 동일하게 한다는 구호를 내세워 경성(京城)에 대학을 설치하는 등 변화를 보였지만, 초‧중‧고 및 대학교의 실제 학생의 취학률은 매우 저조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당시 취학을 하지 못한 사람들 중에서도 교육 및 학습에 대한 욕구는 상당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독본류의 출판이 이를 증명한다. 대구 근교 지역의 말단 관리였던 황응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 남다른 관심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본서의 구성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1) 한글과 관계된 부분, (2) 한‧일 대역문 그리고 (3) 『통학 경편』의 내용이 포함된 한자 설명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편집을 통해 이 책의 저작의도가 ‘한국어’와 ‘일본어’ 그리고 ‘한자’의 의미와 용례 전반을 익히게 하기 위함임을 알 수 있다. 더하여 흥미로운 점은 책의 뒷부분에 ‘제3장 한문구조’라고 해서 ‘自’‧‘此’‧‘斯’ 등의 어조사 혹은 허사(虛詞)에 대한 설명도 수록되어 있다는 것과 책의 맨 끝에 ‘修身’이라는 제목의 3페이지 분량의 토가 달린 한문문장이 실려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볼 때 황응두는 본서를 통해 사람들로 하여금 ‘순한글’과 ‘일문(日文)’ 그리고 기본적인 ‘한자’에서 ‘순한문문장’까지 다양한 문체의 읽을거리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본서의 특징은 한마디로 ‘실용성’이라는 말로 대표할 수 있으며, 이는 독립정신을 고취하기 위해 지어졌던 그 이전 시기의 독본류나 국문 쓰기 양식의 표준적 지침을 마련하고자 했던 최남선의 『時文讀本』과도 차별되는 부분이라 하겠다. 특히 본서에서는 한자와 한문을 당시 조선에 통용되던 어문(語文)의 한 부분으로 포섭해서 보고 있는데, 이는 ‘한자‧한문 교육’과 ‘국어 교육’이 분리되어 개별로 실시되는 오늘날의 어문정책에도 시사하는 점이 있다고 여겨지기에 주의를 끄는 바가 있다. This study aimed for examining of 『漢‧日‧鮮時文新讀本』 that was written by 黃應斗in 1929 and discussing of the meaning in terms of today’s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The focus of this study is 『時文新讀本』 which was published in the times of Japanese colony and was used for people and women who did not have a chance to study in the regular schools due to several reasons. The year of 1929, this book 『時文新讀本』 was published, was the time of transition from police-oriented governance to culture-oriented governance after 3.1 movement in 1919. And in the educational section, Japanese government had a catch phrase that the educational level of Korean should be same as Japanese and Japanese government built the universities in Kyungsung. However, the real enrollment rate for th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s, the middle schools, the high schools and the universities. Among the uneducated people, it assumed that there were high desire to study and it was proven from the publications of a sort of 讀本 for the civilians. 黃應斗who was the lower administrator in near Daegu, was interested in the education for the civilians. This book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 in terms of construct. (1) The related about 한글, (2) The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3) The Chinese Characters descriptions which 『通學徑編』 were included. Through this edition, the purpose of this book was known to educate the meaning and practice of Korean, Japanese, and Chinese characters. Furthermore, the interesting part was that ‘the 3rd chapter which was the construct of Chinese Literature included ‘自’‧‘此’‧‘斯’ particles and expletives were explained’ in the end of the book. In addition, there were 3 pages of explanations about Chinese Characters under the chapter of ‘修身’ at the end of the book. Through this construct of the books, 黃應斗seemed to educate people to be able to read various kinds of books such as ‘순한글’, ‘日文’ and ‘basic Chinese Characters’ and ‘순한문 文章original Chinese Literature sentence.’ The characters of this book was represented of ‘practicality’ and this was differ from the previous ‘讀本’ and 崔南善’s 〈時文讀本〉 which was written for the standard for Korean writing. Especially, this book considered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Literature as the commonly used language, this can imply to our language education policy which separates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 Literature and the Korean education.

      • 茶山 · 舫山 詩經說 계승 양상에 대한 예비적 검토

        홍유빈(Hong, You-bin)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7 동아한학연구 Vol.- No.12

        Yoon Jeong-kee (尹廷琦)’s Sigyeonggangui-Sokjip (詩經講義續集) succeeded Sigyeonggangui (詩經講義) and Sigyeonggangui -Boyu (詩經講義補遺), the catechetical texts between Jeong Yakyong (丁若鏞) and King Jeongjo on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Odes. In his book, Yoon, who was a son of Jeong’s daughter, examines his grandfather’s interpretation and sometimes advances his own argument. By comparing the three books, especially on the aspects of Yoon’s approval of his predecessor, we can see that even though Jeong clearly explains difficult points of the Book of Odes to the King in Sigyeonggangui and reinforces his argument in Boyu, Yoon still found room for corroboration and tried to perfect it in Sokjip. For example, this thesis shows how Yoon strengthened and proved the meaning and context of ‘麟之趾’ and ‘草蟲’ which Jeong failed to explain completely to sharp questions raised by Jeongjo. As a conclusion, we should take an overall view of Yoon and Jeong’s understanding of the ancient poetry in the consecutive flow of question-and-answer between the king and Jeong, Jeong’s supplementary commentary in Boyu and Yoon’s further research on the subject in Sokjip. That’s why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scholars is necessary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ir theory.

      • KCI등재

        추금(秋琴) 강위(姜瑋)의 경학(經學)과 시경관(詩經觀) -추사계열과 다산계열 사이의 교류를 배경으로-

        홍유빈 ( Hong You-bin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9

        본 논문은 조선 말기의 시인이자 학자였던 추금 강위의 경학과 시경관의 특징을 살펴본 논문이다. 당대를 대표하는 시인이며 개화에 적극적으로 동참했던 인물인 만큼 강위에 대한 연구는 그의 문학론에 대한 논의 및 개화사상에 대한 탐구 위주로 진행되어왔다. 다만 그의 학문적 뿌리는 經學이었음에도 그의 경학관의 특징에 대한 본격적인 논문은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추금 강위의 삶과 학문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고, 그것에 더하여 그가 작성한 글들을 선별하여 그 글 속에 보이는 추금이 가진 경학관의 특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 언급된 대로 추금은 스승이었던 기원 민노행과 추사 김정희의 영향아래에서 청대 고증학의 세례를 받았는데, 그의 여타 글들을 살펴본 바 청대 고증학 가운데에서도 ‘微言大義’를 강조하는 금문경학파적인 경향이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그의 학파적 줄기는 스승인 추사 김정희를 주축으로 하는 이른바 추사학파 계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소론에 해당하는 서용보나 남인에 해당하는 이청과의 학술적 담론을 하였다는 점에서, 당파나 학파에 얽매이지 않은 개방적인 학풍을 가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가 살았던 19세기의 경우 ‘實學’이나 ‘北學’이라는 기치 아래당파나 학파를 초월한 이른바 京華士族의 시대였던 만큼, 畿湖 남인을 중심으로 한 다산학계 인물들과 京華 노론을 중심으로 하는 추사학계 인물들은 문학 및 학술적으로 활발한 교류를 하였고 강위 역시 이러한 인물 중의 한 명 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목되는 것은 ≪詩經≫의 시편들을 ‘諫書’, 즉 ‘풍자를 통해 임금을 깨우치게 하기 위한 시들’이라고 보는 강위의 견해인데, 자료를 통해 고찰한 바 이러한 견해는 스승인 민노행과 김정희에게 학습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詩經≫의 시편들을 교화의 시로 보았던 주희의 시경학을 기본으로 삼았던 조선조 시경학에 있어, ≪詩經≫의 시편들을 간서로 보는 견해는 소수의 설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소수의 설은 성호 이익에서 다산 정약용으로 이어지는 북인계 기호 남인학파의 학파적 전승 안에서 계승되어 왔는데, 노론계인 추금 강위가 이러한 설을 제시하면서 그 연원이 자신의 스승인 민노행과 김정희에서 비롯되었다고 밝히는 점은 흥미로운 대목이라 할 수 있다. ≪詩經≫을 간서로 보는 기원과 추사의 시경관이 다산의 시경관에서 유래한 것인지의 여부는 자료의 한계상 그 규명이 어렵다. 다만 ≪詩經≫의 시편들을 간서로 보는 茶山의 견해가 다산 혼자만의 외로운 주장이 아니었음을 입증한다는 점에서, ‘杞園ㆍ秋史ㆍ秋琴’의 ‘詩經諫書說’은 그 소중한 증거가 된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ukum Kang-wee’s 經學 and 詩經觀. The studies about Kang-wee who represented of the poet at the time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enlightenment were mainly focused on his literary criticism and the investigation of enlightenment ideology. Although the root of academy for Kang-wee was 經學, there were few research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 經學觀.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d Chukum Kang-wee’s life and academic works, furthermore, this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 經學觀 through his selected works. As the previous research mentioned, Chukum was baptized from bibliographical studies of Chinese classics in Chung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Kiwon Minnohang and Chusa Kimjeonghee. As a result of examining his studies, his academic works were influenced of 今文經學派 that emphasized of “微言大義” among bibliographical studies of Chinese classics in Chung Dynasty. On the other hand, his academic line belonged to Chusa 學派 that Chusa Kimjeonghee led. However, as he discussed with 徐龍輔 who beonged to 少論, 李□ who belonged to 南人 in academic matters, he had open mind 學風 regardless of his 黨派 or 學派. As 19 century that Kang-wee lived had the motto of ‘實學’ and ‘北學’ regardless of 黨派 of 學派, there were active interactions with Dasan 學團 and Chusa 學派. Kang-wee was one of them. What we focus on the flow, Kang-wee’s opinion that he considered 詩篇 of 詩經 as “諫書,” which made the King enlightened by satire. His opinion came from his teachers 閔魯行 and 金正喜 and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previous literature. As 詩經學 in Chosun dynasty was based on 朱熹‘s 詩經學 that considered 詩篇 of 詩經 as the poets of 敎化, the opinion considered 詩篇 of 詩經 as 諫書 were considered as the minority. And this minor opinion were followed from 星湖 李瀷 to 茶山 丁若鏞 that 北人系 畿湖南 人學派’s transmission. What the interesting point was that Chukum Kang-wee who belonged to 老論系 insisted his academic root came from his teacher 閔魯行 and 金正喜. It was not easy to examine whether the the root of the consideration 詩經 as 諫書 and 秋史‘s 詩經觀 came from 茶山 丁若鏞 or not due to limited existing materials. Yet, 茶山’s opinion that considered 詩經 as 諫書 was not only his claim was confirmed, 杞園 and 秋史 and 秋琴’s 詩經諫書說(詩經 considered as 諫書) was the valuable evidence.

      • KCI등재

        가탁시로 바라본 「관저」편의 재구 ―삼가시의 노시설을 중심으로―

        홍유빈 ( Hong You-bin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3

        본 논문은 『詩經』의 첫 편인 「關雎」편을 魯詩說을 중심으로 재구성을 시도한 논문이다. 두루 알려진 바와 같이 前漢 三家詩 중 하나인 魯詩說은 『詩經』에 대한 초기 해설인 三家詩 중 하나이다. 三家詩는 「國⾵」의 여러 시편들을 임금을 풍자하거나 권계한 시라고 보는 반면, 三家詩 이후에 유행한 ⽑詩說에서는 「周南」과 「召南」을 后妃를 찬양한 시들로 본다는 차이점이 있다. 본고에서 다룬 「관저」편의 경우에도, 삼가시에서는 이를 임금의 게으름을 풍자하기 위해 지은 시라고 보는 반면, 모시에서는 后妃의 德을 찬양한 찬미시로 보고 있다. 특히 「관저」에 대한 노시설 중에서 「誚⾭⾐賦」의 설에는 시편의 작자[畢公]와 시편이 지어진 배경과 이유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다만 이 자료에는 이 시를 周 王朝의 현명한 재상이었던 周公을 언급하는데, 문제는 이 시와 周公과의 관계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誚⾭⾐賦」의 설에서 ‘周公’과 ‘窈窕’가 서로 대구가 되는 것에 착안하여, 시편에 등장하는 ‘窈窕淑⼥’라는 구절이 周公을 假託한 것일 가능성을 제기해 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볼 경우 「관저」편은 ‘주강왕의 게으름을 보고 옛 道를 깊이 생각하고 周公이 있었으면 하고 바랐던 畢公의 마음을 그린 시’로 해석된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이러한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三家詩 및 中國 明·淸과 朝鮮後期 일부 학자들이 『시경』「국풍」 및 「관저」편을 가탁시로 이해한 사례들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검토를 통해 「관저」를 가탁시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가탁시로 바라본 「관저」시를 재구한 뒤, 주희와 심대윤 그리고 노시설로 재구된 번역을 비교함으로써 각자의 해석상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재구된 내용을 통해 「관저」가 이제는 세상에 없는 周公을 周康王의 곁에 두어 쇠미해지는 나라를 다시 일으켰으면 하고 바라는 시인의 마음[忠情]이, 그리고 이렇게 康王의 게으름을 깨우치는 방식[諷諭]이 드러난 시로 독해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해석은 「國⾵」을 諫⾔ 혹은 諷諫의 시로 보았던 魯詩說의 시각과, 군주의 잘못된 마음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했던 孟⼦의 의식과도 통하는 바가 있다. 이에 더하여 “孔⼦가 그것을 크게 여겨 『시경』의 첫 편에 놓았다.”는 「誚⾭⾐賦」의 설을 재음미해 본다면, 공자가 크게 여긴 것은 시편 안에 있는 ‘현숙한 숙녀’나 ‘숙녀로 가탁된 현인’이라기보다는, 임금을 위해 간언을 한 ‘賢⼈의 행위’와 ‘諷諫의 정신’에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Guanjeo” (關雎) which was the first poem in The Book of Odes (詩經) with the explanation of No-si (魯詩說). As it is known, The explanation of No-si (魯詩說) was one of the Samgasi (三家詩) in Han dynasty. Samgasi (三家詩) viewed the poems of “Gukpung” (國⾵) as satire or advice to King, however, the explanation of mo-si (⽑詩說), which was appeared after Samgasi (三家詩), considered “Junam” (周南) and “Sonam” (召南) as praise of Queen. That is the difference. In “Guanjeo” (關雎) which this study has mainly discussed, Samgasi (三家詩) viewed “Guanjeo” (關雎) as the satire for King’s laziness, but mo-si (⽑詩) viewed it as the praise for Queen’s virtue. Especially, the author (畢公), background, and the reason of “Guanjeo” (關雎) was the most specifically written in “fù ridiculing ‘fù on the maid servant’” (誚⾭⾐賦) from the explanation of No-si (魯詩說). Although it was mentioned about Ju Gong (周公) who was the wise minister in Zhou (周) dynasty in this material, there was the problem in no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poem and Ju Gong (周公). Therefore, there is a possiblity that ‘Yojo sungnyeo’ (窈窕淑⼥) in poem might be Ju Gong (周公) because ‘Ju Gong’ (周公) can be compable to ‘Yojo’ (窈窕) in “fù ridiculing ‘fù on the maid servant’” (誚⾭⾐賦) in this study. And “Guanjeo” (關雎) might be the poem for Pilgong (畢公)’s heart to wish Jukang King to deliberate the moral and have Ju Gong (周公) after he saw Jukang King’s laziness. And there is a suggestion that “Guanjeo” (關雎) as borrow meaning (假託) in this study after examining of Samgasi (三家詩) in Ming and Qing (明淸) dynasty in China and some scholar viewed The Book of Odes (詩經) “Gukpung” (國⾵) and “Guanjeo” (關雎) as borrow meaning (假託) in late Joseon (朝鮮) dynasty. And on the basis of the dicussion, there is a reconstruction of “Guanjeo” (關雎) as borrow meaning (假託), after comparing “Guanjeo” (關雎) from the translation of Zhu Xi (朱熹), Sim Daeyun (沈⼤允), and the explanation of mo-si (⽑詩說). There were difference from each interpretation. The heart of the poet was from [loyal, 忠情] to reraise the country which was declinng; he wished Ju Gong (周公), who was deceased, be aside to Jukang King (周康王) and advise Jukang King (周康王)’s laziness [allegory, 諷諭]. And this translation might be coincided with the perspective of the explanation of No-si (魯詩說), viewed “Gukpung” (國⾵) as exhortation (諫⾔) or exhortation by innuendo (諷諫) and Mencius (孟⼦) who wanted to correct King’s wrong heart. Furthermore, when we pondered “fù ridiculing ‘fù on the maid servant’” (誚⾭⾐賦) ‘Confucius (孔⼦) valued it highly and put the first chapter of The Book of Odes (詩經). [孔⽒⼤之, 列冠篇⾸.]’, Confucius (孔⼦) valued highly as sage (賢⼈)’s behavior and spirit of ‘exhortation by innuendo’ (諷諫) for King rather than ‘beautiful woman’ or ‘wise man borrowed as beautiful woman’. And it is coincided with Confucius (孔⼦) and Mencius (孟⼦)’s life try to persuade Kings from many nations for the implemantion of the rule of right (王道政治).

      • KCI등재

        노인의 우울과 노인연령인식 간에 사회참여활동이 미치는 영향

        홍유빈(Yu-Bin Hong)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5 No.2

        Objective : We aim to explore the impact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ge perception in the elderly. Methods :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20 Survey on the Status of the Elderly, and a total of 10,097 people responded to the survey by sampling the survey districts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s age,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depression score, and the control variable was social particip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was a continuous variable and the control variable was a categorical variable, an interaction term was entered into the regression equation for analysis. Results :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3, 10093)=1308.39,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approximately 28% (adjusted R²=0.28). When the interaction term was adde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0.5%, and the increase in explanatory pow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2,10094)=1914.99, p<.001). In additio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lowers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s age. The more depressed one i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s age, bu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lowering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s age (b=-0.14). Conclusion :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lowering depression and age awareness among the elderly and strengthening the positive social self of the elder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need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olicies and programs that encourage and support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 old age, and support positive age perception among older people at the personal and social level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and to change the age standards for the elderly. 연구목적 노인의 우울과 노인연령인식 간에 사회참여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조사구와 가구수를 표본추출 하여 조사에 응답한 대상자는 총 10,097명이었다. 종속변수는 노인연령인식이며, 독립변수는 우울점수, 조절변수는 사회참여 여부로 설정하였다. 통계분석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본 연구의 독립변수가 연속형 변수, 조절변수가 범주형 변수임을 고려하여 회귀식에 상호작용항(interaction term)을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고(F(3, 10093)=1308.39, p<.001), 모형의 설명력은 약 28%로 나타났다(수정 R²=0.28). 상호작용항을 추가한 경우 설명력이 0.5% 증가하였는데, 설명력의 증가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F(2, 10094)=1914.99, p<.001). 또한, 사회활동 참여 효과가 노인연령인식을 낮춰주며, 우울할수록 노인연령인식은 높아지지만 사회활동참여가 노인연령인식을 낮추는 데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b=-0.14). 결론 사회활동 참여는 노인의 우울과 노인연령인식을 낮추며 노인들의 긍정적인 사회적 자아를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년기에 사회활동 참여를 장려하고 지원하는 정책과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 노인들의 긍정적인 연령 인식을 지원해야 한다. 이 같은 결과는 고령층을 위한 사회활동 참여 사업의 중요성 강조 및 노인연령 기준 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다산학 전승 연구’에 대한 회고와 전망

        홍유빈(Hong, you-bi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9 다산과현대 Vol.12 No.-

        본고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다산학 전승 연구’에 대한 성과를 검토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전망하고자 작성되었다. ‘다산학 전승 연구’의 모체(母體)는 역시 ‘다산학(茶山學)’이라 하겠다. 주지하다시피 ‘다산학’연구는 근‧현대의 실학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선학들에 의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가 심화 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다산의 학문적 업적의 조력자였던 그의 제자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산학 전승 연구에 대한 총론적인 연구 성과의 경우, 다산학단 구성원을 그 시기와 특징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다산학단의 전모(全貌)를 파악하는데 용이한 밑그림을 그려주었다. 그리고 이어지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이러한 시야 속에서 현재 다산학단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의 대강을 살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정리를 마치면서 관찰되는 것은 다산학(茶山學)이 다산학단에 의해 줄기가 가지로 뻗어 나가듯이 계승 ‧ 발전되는 것과 같이, 이에 대한 연구 역시 다산학에 대한 연구에서 다산학단에 대한 연구로 지속적으로 연장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편 다산학단 연구 전반에 대한 향후 방향의 차원에서의 제언으로는 그 이전에 ‘다산학(茶山學) 연구’로 해왔던 연구 및 자료정리 순서를 참조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산학단 연구의 추동력이 더해진다면 다산학(茶山學)의 연장(延長)으로서의 다산학단(茶山學團)의 특징적 면모가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이와 관련된 다양한 대중서도 함께 출간된다면 다산학단에 대한 관심을 대중들과도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utcome of “Dasan transmission studies” and prospect of the future directions for it. The beginning of “Dasan transmission studies” was also “Dasan studies.” As we all know, the research of “Dasan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y various scholars as the part of Realism research in modern times and today. However, in the process of intensify the studies, there had been more interest by Dasan’s disciples who had been helpers of Dasan. In the case of the general outcome in “Dasan transmission studies”, the classification by the times and characteristics of Dasan school members was helpful for drawing rough sketch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whole story. And we could scan the present Dasan studies by the continued following studies with given perspective. What we observe in the end of organization is Dasan studies have been continued from Dasan studies to Dasan school studies as Dasan studies have been transmitted and continued by Dasan school. On the other hand, the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Dasan School studies is to refer to study of the Dasan studies research and material sequence. And if the impetus of the present Dasan school studies has been added to the given resources, it would show more characteristic features of Dasan school studies as the continuation of Dasan studies. And if the public books have been published, it would be so meaningful to share the interest about Dasan School studies with the public.

      • KCI등재

        『詩經』 風論 再考

        홍유빈(You-Bin H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3 동양한문학연구 Vol.64 No.-

        본고는 『詩經』 篇章의 명칭 중 하나인 ‘風’에 대한 기존의 논쟁을 검토해 보고, 그러한 논쟁의 원인과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 논문이다. 주지하다시피 「毛詩大序」에서 ‘風’을 ‘風化’와 ‘諷刺’로 나눈 이래, 『詩經』 「國風」의 風에 대한 논쟁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다만 「大序」의 風論에 대해 鄭玄과 孔穎達이 설명한 내용을 종합해 본 바, 「大序」에서 언급한 ‘風化’ 역시 ‘諷刺’에 속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詩經』 편장의 명칭인 「國風」의 風에 대해서는 다른 개념이 요구된다. 「國風」의 風의 의미를 알기 위해 먼저 ‘風ㆍ雅ㆍ頌’의 구분 문제를 짚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크게 ① 정사적 구분(내용 기준), ② 체제적 구분(수사법 기준), ③ 음율적 구분(연주스타일 및 음계)으로 구분하였다. 다만 이 중에서 첫 번째와 두 번째 기준은 시편의 내용이나 수사적 방식이 風ㆍ雅ㆍ頌의 작품들 사이 서로 넘나듦이 있다는 점에서 분류의 기준이 되기에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해 세 번째인 ‘음율적 구분’은 이러한 모순으로부터 자유로우며, 「關雎」 및 「雅」ㆍ「頌」을 음악으로 인식했던 공자의 태도와도 일치되는 면이 있다. 아울러 양계초를 포함한 근대 중국의 학자들 역시 ‘음율로서의 風’을 지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國風」의 風을 ‘반주가 없는 노래’인 ‘徒歌’로 보는 이러한 설은 음악적 성격을 강조했다는 의의는 있지만, ‘그것이 왜 편장의 기준이 되는가?’에 대해서는 미진한 부분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방산 윤정기의 견해가 주목되는데, 그는 「國風」의 風을 기후의 온화함과 사나움의 차이와 그에 따른 음률의 차이로 보아, ‘音律 혹은 樂名의 개념으로서의 風’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그는 『詩經』 편장인 ‘風ㆍ雅ㆍ頌’의 ‘風’은 음악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장르적’인 개념(【樣式】)으로, 周禮 에서 언급된 ‘風ㆍ賦ㆍ比ㆍ興ㆍ雅ㆍ頌’[六詩]에서의 ‘風(=諷)’은 ‘수사적’인 개념(〖詩體〗)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구분을 통해 詩經 편장인 「國風」의 風이 ‘음악 양식으로서의 風(style)’이며, 수사적 기법인 ‘六詩’에서 말한 ‘풍자의 의미로서의 諷(satire)’과는 다름을 선명하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風(⇒樣式)’과 ‘諷(⇒詩體)’을 구분해서 보는 ‘二元’ 혹은 ‘二分’적인 이해는 시경 국풍의 風論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서의 대안이 된다고 판단된다. This paper reviews the existing debate on '風', one of the names of '『詩經』 篇章' and suggests the cause of such controversy and alternatives. As is well known, since the division of “風” into “風序” and “刺諷” in “毛風風”, the debate over the 風 of 『詩經』 「國風」 has continued. However, after synthesizing the contents explained by 鄭玄 and 孔穎達 about the theory of 風論 in 「大序」, it was confirmed that ‘風化’ was mentioned in 「大序」 also belonged to ‘諷刺’. Therefore, a different concept is required for the name of the chapter about the 風 in 「國風」 of 『詩經』. In order to know the meaning of “風” in 「國風」, the problem of classification of ‘風ㆍ雅ㆍ頌’ was first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it was largely divided into political classification (based on content), systematic classification (based on investigation method), and phonetic classification (performance style and scale). However, the first and second criteria among these are problematic because they are classification criteria in that the content or rhetorical methods of the psalms cross each other between the works of 風, 雅 and 頌. In contrast, the third “phonological classification” is free from this contradiction, and it is also consistent with Confucius' attitude, which recognized “雎關” and 「雅」ㆍ「頌」 as music. However, this theory, which sees the 風 of “「國風」” as “Song without accompaniment,”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musical character, but there are insufficient parts about “why is it the standard of the chapter?“ In this regard, the view of Bangsan Yoon Jeong-ki is noteworthy, and he derived “風 as a concept of 音律 or 樂名” by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ldness and ferocity of the climate and the resulting sound. In addition, he divided into ‘風’(【樣式】) of ‘風ㆍ雅ㆍ頌’ which is “genre” concepts based o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風=諷’(〖修辭〗) of ‘風ㆍ賦ㆍ比ㆍ興ㆍ雅ㆍ頌’[六詩] which is mentioned in 『周禮』. Through this distinction, it can be seen that 風 of 「國風」 is “style as a musical style”, is clearly different from 諷(satire) as a satire meaning. In this perspective, I think that the '二元' or '二分' understanding, which distinguishes ‘風(⇒樣式)’ and ‘諷(⇒詩體)’ is an alternative solution to ending the debate over the 風論 of 『詩經』「國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