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의 가능성

        홍옥진 ( Ok Jean H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1

        동시대 미술의 표현 내용과 형식은 나날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관람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작품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부응하기 위해 미학의 영역에서는 미술에 대한 미적 경험을 재고할 필요성이 제기되고있다. 근대 미학에서 현대 미학에 이르기까지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미적 경험 이론들은 대부분 주관의 심리에 주목한다. 이러한 이론들이 지닌 문제는 주관의 내적 능력을 강조하고 주관을 대상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주관주의에 치우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미적 경험의 근원인 지각을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메를로-퐁티의 지각에 대한 현상학은 지각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현상으로 돌아가 우리의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지각 경험에 주목하도록 한다. 지각적 차원에서 주관은 외적 자극에 인과적으로 반응하는 존재 혹은 내적 세계에 고립된 존재가 아니라 몸을 통해 직접적이고 실제적인 방식으로 세계에 참여하는 존재이다. 따라서 미적 경험의 주관도 육화된 의식으로 세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존재로 간주되고, 미적 대상은 지각하는 주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대상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새로운 지각 개념을 토대로 할 때 미술 작품에 대한 우리의 경험은 새로운 시각에서 조망될 수 있을 것이다. Contemporary art demands theories which understand and explain its variety of expressions. One of the urgent tasks assigned to aesthetics might be rethinking aesthetic experience. One of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theories of aesthetic experience is a tendency to (1) limit aesthetic experience to mental faculties or states, and (2) disentangle the subject from the object. The mental or the psychic is a kind of attitude that a subject assumes in order to have aesthetic experience. While theories of aesthetic experience propose with different terms, their widely shared grounds are such mental powers, rational capacities and internal reflection. Accordingly, most of accounts that deals aesthetic experience consider aesthetic object as existing autonomously separate from experiencing subject. Perhaps we might have alternative view if we dig into the source of aesthetic experience focusing on perception. If we take up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then it opens the possibility of new way of our approach to the issues on aesthetic experience. Merleau-Ponty argues that we should suspend our objective thought and ``return to phenomena.`` The perceiving subject is not a being, isolated in the inner world, causally reacts to external stimulation but involves in the world in direct and practical manner. Thus the subject of aesthetic experience should be considered as anembodied consciousness that underlies pure consciousness, and aesthetic object cannot be viewed separate from the perceiving subject, nor can experiencing subject be considered in isolation from perception and action.

      • KCI등재

        「세잔의 회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홍옥진(Ok-Jean Hong) 현대미술학회 2014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8 No.2

        메를로-퐁티의 「세잔의 회의」는 『지각의 현상학』에서 전개한 철학적 주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논문은 「세잔의 회의」에서 세잔의 회화에 관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기술을 분석하기 위해 세잔의 지각에 대한 ‘회의’와 현상학적 환원, 세잔의 회화적 표현에 대한 ‘회의’와 메를로-퐁티의 지각에 관한 이론, 그리고 세잔과 메를로-퐁티에게 있어서 애매성이라는 주제로 『지각의 현상학』과 연계하여 고찰한다. 세잔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관심은 세잔의 현상학적인 태도에 있다. 세잔은 화가로서 생애 내내 실재를 재발견하고, 그것을 회화적 언어로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그 과정에서 세잔이 겪게 되는 어려움은 얼핏 세잔의 특이한 성격에 따른 회의, 화가로서의 직업에 대한 회의 혹은 세계를 모방하기 위한 기법에 대한 회의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때, 세잔의 ‘회의’는 감각 경험을 포기하지 않으면서 실재에 도달하려는 목표에서 기인하는 것이고, 그것은 지각의 ‘현상’에 도달하려는 방법적 절차이면서 동시에 지각된 현상을 회화로 표현하는 데에 필연적으로 갖게 되는 회의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세잔의 회의 과정에는 감각과 지성과 같은 대립적인 양상이 극복되는 애매성을 보여준다. 이처럼 「세잔의 회의」를 『지각의 현상학』과 연계하여 지각, 표현, 애매성 개념으로 접근할 때 세잔의 회화 세계가 지닌 현상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사유는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Merleau-Ponty"s “Cezanne"s Doubt” has close relation with his philosophical themes developed in Phenomenology of Perception. Thus “Cezanne"s Doubt” shows Merleau-Ponty"s ideas on phenomenology as well as on art. This essay attempts to analyze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on Cezanne"s painting under three themes; 1) Cezanne"s ‘Doubt’ and phenomenological reduction, 2) Cezanne"s pictorial expression and Merleau-Ponty"s theory on perception. (3) ambiguity in both Cezenne and Merleau-Ponty. Merleau-Ponty suggests that an artist"s life cannot completely determine the meaning of his work of art. Thus we should understand that the source of Cezanne"s doubt consists not in his peculiar personality nor nervous weakness but his artistic purpose. Cezanne, throughout his life, attempted to reveal our primordial contact with the world. This is why he underwent numerous difficulties for a still life, a portrait and a landscape. He wanted to rediscover genuine reality and covert what he perceived into pictorial language. His way of expression, that is, achieving reality without abandoning sense experience resulted in distorted shape, perspective and color.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can be a way to understand Cezanne"s expression in depth. According to Merleau-Ponty the object is not some independent reality but rather a correlative of our body. Our bodily being is the basis of the properties of the object we perceive. We can understand the implicit phenomenological meanings in Cezanne"s paining through Merleau-Ponty"s philosophy on perception and bod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