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퇴소를 앞둔 청소년의심리적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홍예영,김유숙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adolescents who are about to Discharge from Foster care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e data collected from face-to-face interviews with six research participants for 7~8 sessions over a year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n order to explore the specific experiences that will be experienced before discharg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were analyzed and described by theme and presented by using ‘Inter-cas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derived from 4 themes, 11 subcategories, and 39 semantic units. The contents included ‘Discontent about the facility and expectations for life after discharge’, ‘Anxiety about life after discharge and awareness of reality’, ‘Looking back on my life and my life in the foster care institutions’, ‘Preparing to leave foster care institutions and planning a new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adolescents who are about to leave the foster care institutions are affected by the special environment and have psychological experie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in consideration of their special psychological state during the discharge process, and the necessity of administrative preparation in the counseling field was discussed. 본 연구는 퇴소를 앞둔 청소년들이 퇴소 전까지 어떠한 심리적 경험을 하는지 이해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6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1년 동안 7~8회기에 걸쳐 면대면 면담을 하여 수집된 자료를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퇴소를 앞두고 겪게 되는 특정 경험들을 각각의 사례로 탐색하기 위해 퇴소 과정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경험들을 분석하여 주제별로 기술하고 사례 간 분석을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주제, 11개의 하위 범주, 39개의 의미 단위로 도출되었다. 그 내용으로는 ‘시설에 대한 불만과 퇴소 후 삶에 대한 기대’, ‘퇴소 후 삶에 대한 불안과 현실에 대한 자각’, ‘시설에서의 삶과 나의 삶 되돌아보기’, ‘퇴소를 준비하며 새로운 삶 계획하기’이다. 연구결과, 아동양육시설 퇴소를 앞둔 청소년들은 특수한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심리적 경험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퇴소 과정에서 이들의 특수한 심리 상태를 고려한 개입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상담 현장에서의 행정적 마련에 대해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심리전공 대학생의 대인 외상 경험과 상담자로서의 성장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홍예영,장은진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에서는 상담심리전공 대학생들의 관계 외상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이 겪은 외상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 통한 상담자로서의 성장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외상의 경험과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설문을 실시 하고 최종 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면대면 면담을 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상 및 이후의 성장 경험은 38개의 의미단위, 15개의 하위범주, 5개의 범주로 범주화 되었고, 그 내용으로는 ‘고통의 시간들’, ‘복잡한 감정을 홀로 감당하는 삶’, ‘이해받고 이해하는 경험’, ‘변화를 향한 시도와 새로운 의미’, ‘상담자로서의 성장에 대한 걱정과 기대’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을 경험한 상담심리 전공 학생들의 개입 방안에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와 교육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interpersonal trauma among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trauma they experienced, and analyzed the process of their growth as counselors. To that end, we conducted a survey on interpersonal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interviewed final six students in a face-to-face interview,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method of qualitative case study. As a result, the trauma and subsequent growth experience have been categorized into 38 semantic units, 15 subcategories and 5 categories, including 'Times of pain', 'A life of dealing with complex emotions alone', ‘An experience of understanding and being understood', 'Attempts to change and new meanings' and 'Worries and expectations of growth as a counsel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information and educational materials needed for the intervention of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who have experienced trauma.

      • KCI등재

        청소년 공감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홍예영,김유숙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8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Adolescent Empathy Scale.’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proceeds in two different stages. At Study 1, we systematically review theoretical and empirical literature regarding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in order to suggest conceptual components of adolescents’ empathy and develop 41 measurement items. The results of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 that empathy of adolescents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cognitive’, ‘affective’, and ‘expressive’ dimensions, which reduce this to a 17-item scale. In the succeeding stud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are conducted (Study 2). The results of such analyses confirmed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and verified the concurrent validity. After considering all results, the academic significanc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for the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공감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청소년 공감의 구성 개념을 설정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총 41문항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신뢰도 검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청소년 공감 척도는 총 3요인(인지적․정서적․표현적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17문항이다. 연구 2에서는 연구1에서 개발된 청소년 공감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2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청소년 공감 척도 요인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대인관계반응지수 및 도움행동척도의 하위요인과의 상관을 통해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문적인 시사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심리 전공 학부생의 봉사활동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홍예영(Ye-Young Hong),배성훈(Seong-Hoon Bae) 한국발달지원학회 2020 발달지원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봉사활동을 통하여 상담심리 전공 학부생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심리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고, 자발적으로 신청하고 선정된 5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면담을 실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ke(1995)가 제안한 질적 사례 연구의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범주, 16개의 하위 범주, 58개의 의미 단위로 범주화되었다. 범주 내용으로는 ‘새로운 활동의 시작, 자원봉사’, ‘조금씩 삶에 스며드는 봉사활동’, ‘성장하는 나’, ‘봉사를 통한 진로 탐색’, ‘능동적인 봉사인으로 거듭나기’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의미 있는 봉사활동을 통해 변화하고 성장하며 진로를 검증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상담심리 전공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봉사활동의 교과 개발, 봉사활동을 활용한 상담 및 집단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와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For this purpose, face-to-face interviews was conducted with 5 selected students in counseling psycholog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 of the qualitative case study proposed by Stake(199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ategorized into 5 categories, 16 subcategories, and 58 semantic units. The categories include ‘Start a new activity, volunteer!’, ‘Volunteer that gradually permeate life’, ‘Growing’, ‘Career search through Volunteer’, ‘Being an active volunteer’.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they had experiences that changed and grew through meaningful volunteer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basic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volunteer activities, counseling through using volunteer activities, and group programs for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psychology.

      • KCI등재

        예술인의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조주성,홍예영,장은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예술인의 심리상담에서 나타난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어떤 심리적 경험을 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심리적 지원을 위한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9명 의 예술인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ke(1995)의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43개의 의미단위, 이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인 16개의 하위범주와 최상위 개념인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5개 주제내용으로는 ‘심리상담의 동기, 상담의 기회와 기대, 예 술인들의 특성, 심리 상담을 통한 긍정적 경험, 상담에 대한 한계와 아쉬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 해 예술인들의 심리 상담에 대한 동기와 기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예술인을 상담하기에 앞서 그들의 직업 및 심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들은 상담을 통해서 긍정 적인 경험을 하였다고 보고하였으나 언어 상담의 한계와 상담 시간 및 회기에 대한 아쉬움 등을 이야기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심리상담 장면에서 발생하는 예술인 내담자들의 심리적 경험을 살펴보았다는 점 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비예술인과는 다른 예술인들의 특성에 적합한 심리상담 프로그램 개 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예술인들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여 창조적인 역량을 충분히 발휘 할 수 있도록 심리상담 서비스의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심리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 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심리상담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예술인들을 면담함으로써 예술인들의 심 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심리상담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탐색하여, 이들의 건강한 심리적 지 원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가능하다면 심리상담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예술인들에게 특화된 근거기반 심리상담 프로그램을 만드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tist counselees, to examine psychological experiences they had in the process, and to explore enhanced methods of providing psychological support. To that end, nine artis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of Stake (1995), with 43 semantic units, 16 subcategories, and five top-level concepts (the motivation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opportunity of and expectation from counsel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s, positive experiences through counseling, and the limitations and regret of counseling). Through this study, we looked at the artists' motives for and expectations from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confirmed the need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ir profession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fore consulting them. In addition, they reported positive experiences throughout the counseling and also talked about the limitations of language counseling, time of counseling, and disappointment from the session.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artist counselees’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psychological counseling have been examined. In addition, we confirmed the need to develop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able to prepare a support system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specialized for artists so that they can fully demonstrate their creative capabilities. Also,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s.

      • KCI등재

        쥐 해마 HT22 세포에서 글루타메이트 유도 산화 스트레스에 대한 Salacca wallichiana 추출물의 신경 보호 효과

        변지훈,홍예영,이중회,Thet Thet Mar Win,Su Su Hlaing,한송이,김재훈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23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6 No.-

        Glutamate is an excitatory neurotransmitter distributed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mammals. However, high concentrations of glutamate are known to cause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and stroke by causing nerve cell death.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subtropical natural products were analyzed. Among 11 subtropical plant extracts mainly tested, Sallacca wallichiana extract (SE) showed the greates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n, we confirmed through WST-1 assay that SE protected HT22 cells against glutamate-induced cell death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protective effects of SE against glutamate-induced apoptosis in HT22 cells were also confirmed by flow cytometry analysis using Annexin V/PI double staining. We also confirmed using H2DCF-DA single staining that SE inhibits glutamate-induc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And we were confirmed through that SE inhibited glutamateinduced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Consequently, our results propose that SE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s to prevent neurodegenerative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