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원전 500-100년경 중국에서의 5행성에 대한 이해

        홍영희 충북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ncient Asian Han dynasty, the astronomers newly paid attention to the planet apparent motions on the sky. We investigated the planet records in Shih Chi(BC104-BC91) and Huai Nan Tzu(around 139BC). Their understanding of planet motion and cosmological view have been compared with the contemporary Greek ones. We investigated the reason why the ancient chinese did not pursue any geometric modelling for the planet system, in spite of their accurate astronomical observations that is more advanced than the Western. We simulated the planets' apparent motion on a sky seen from Luoyang during BC500-BC100 and found out the location of the inferior and superior planets and their period. We investigated why they paid attention to the planet brightness change and why they assumed the color change. 동양에서는 한대에 들어서 새롭게 행성의 운행에 주목하였다. 우리는 기원전 2세기인 139 BC경에 쓰여진 회남자(淮南子) 천문훈(天文訓)과 기원전 104년-기원전 91년 전한 때 쓰인 사기(史記) 천관서(天官書)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동시대의 그리스의 5행성 운동과 어떻게 다른 우주관을 갖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동양, 중국에서는 그리스보다 관측이 정밀했음에도 불구하고, 행성의 운동에 대해 서양의 원과 같은 기하학적 모델은 추구하지 않고 수치적인 것에 머무르게 된 원인에 대해 고찰하였다. 우리는 Starry Night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BC500-BC100년경 행성과 외행성이 낙양에서 어떠한 방향에 어떠한 별자리에 있는지를 조사하고, 내행성과 외행성의 주기, 출현 방향, 운동과 색과 밝기의 변화에 대해 어떠한 해석을 하는지 연구하였다.

      • 뫼비우스 Kinder Math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능력 발달에 미치는 효과

        홍영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뫼비우스 Kinder Math 프로그램’을 유아들에게 적용함으로써 ‘뫼비우스 Kinder Math 프로그램’의 수학적 효과를 검증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뫼비우스 Kinder Math 프로그램’이 만 3세 유아의 수학 능력 발달(사물의 규칙성, 수개념, 기하,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가? 2. ‘뫼비우스 Kinder Math 프로그램’이 만 4세 유아의 수학 능력 발달(사물의 규칙성, 수개념, 기하,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가? 3. ‘뫼비우스 Kinder Math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수학 능력 발달(사물의 규칙성, 수개념, 기하,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인 실험집단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소재한 W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세, 만 4세, 만 5세의 유아 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대전광역시 서구와 대덕구에 소재한 M, P어린이집 및 D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세, 만 4세, 만 5세의 유아 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유아의 수학능력 발달 측정을 위해서 최혜진(2003)이 개발한 ‘수학능력검사’를 사용하였다. ‘뫼비우스 Kinder Math 프로그램’은 실험을 실시하기 전에 프로그램 개발자, 유아교육전문가와 협의하여 교사들의 사전교육이 이루어졌다. 사전 교육을 받은 담임교사는 활동할 뫼비우스 교구와 연계된 사전활동을 한 후 뫼비우스 교구의 활동방법을 유아들에게 소개해주고, 유아들이 ‘뫼비우스 Kinder Math프로그램’에 잘 참여할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하였으며, 유아들간의 소그룹활동을 통해 교구를 활용했다. 그리고 워크쉬트로 개인 활동을 마무리 했다. ‘뫼비우스 Kinder Math프로그램’에서 활동한 뫼비우스 교구는 교실에 투입되어 자유선택 활동시간에 활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실험기간 동안 비교집단 유아들은 자유선택 활동에 수 활동 교구를 보강하여 평상시와 같은 유치원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뫼비우스 Kinder Math 프로그램’이 만 3세, 4세, 5세 유아의 수학 능력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통계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차·2차·3차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변량 분석하여 두 집단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뫼비우스 Kinder Math 프로그램’이 만 3세, 4세, 5세 유아의 사물의 규칙성, 수 개념, 기하, 측정 능력 발달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 결과 2차 검사에서는 만 3세의 경우 사물의 규칙성, 수 개념, 기하 능력 발달에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측정 능력 발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4세의 경우에는 사물의 규칙성, 측정 능력 발달에서는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수 개념, 기하 능력 발달에서는 두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5세의 경우에는 사물의 규칙성, 수 개념, 기하, 측정의 모든 능력 발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차 검사에서는 만 3세의 경우 사물의 규칙성, 수 개념, 기하, 측정 능력 발달에 모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차 검사 : 세 영역, 3차 검사 : 네 영역). 그리고 만 4세의 경우에는 사물의 규칙성, 수개념, 측정 능력 발달에서는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기하 능력 발달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차 검사 : 두 영역, 3차 검사 : 세 영역). 만 5세의 경우에는 사물의 규칙성, 수 개념, 기하, 측정의 모든 능력 발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차 검사 : 네 영역, 3차 검사 : 네 영역). 이는 ‘뫼비우스 Kinder Math 프로그램’이 만 3세, 4세, 5세 유아의 수학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발달단계에 적합하며 다양한 경험을 접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상업용 교구의 개발과 유아교육 현장에서 ‘뫼비우스 Kinder Math 프로그램’의 활용도를 높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applied the 'Moebius Kinder Math Program' to young children to verify the mathematical effect of Moebius Kinder Math materials and to improve Moebius Kinder Math tools. To achieve these purposes, we assumed as below, 1. What do the Moebius Kinder Math Program effect a rule of matters to young children of 3-, 4-, and 5-years old? 2. What do the Moebius Kinder Math Program effect a numerical concept to young children of 3-, 4-, and 5-years old? 3. What do the Moebius Kinder Math Program effect a geometrical ability to young children of 3-, 4-, and 5-years old? 4. What do the Moebius Kinder Math Program effect a measurement ability to young children of 3-, 4-, and 5-years old? An experimental group is about 77 young children of 3-, 4-, and 5-years old at W kindergarten in Yuseong-Gu, Daejeon, Korea. And a controlled group is about 84 young children of 3-, 4-, and 5-years old at M and P kindergarten in Yuseong-Gu, Daejeon, Korea. Also, the experimental tool is the mathematical ability test method by Hea Jin Choi (2003) Before this test, we have had a pre-education to a teachers in W, M, and P kindergarten by Moebius Kinder Math developer and young children education specialist. The first of all, the pre-educated teachers have played the Moebius Kinder Math related activity with young children. The second, the teachers have introduced the practical use of Moebius Kinder Math Program to young children and they supported young children for effective activity of Kinder Math Program. The third, young children have got the small group by Moebius Kinder Math. Finally, we have concluded the experimental course with a worksheet. With above sentence, the Moebius Kinder Math Program tools have had at the free-selection period in the regular kindergarten program. An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controlled group has had another mathematical activity at the free-selection period in the regular kindergarten program.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 we analyzed the effect of Moebius Kinder Math tool as the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of 3, 4, and 5-old years young children by a deviation analysis of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with the before/after experimental result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From these first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3-years old, we have found that the rule of matters, mathematical concept, and geometrical ability have improved, but the measurement ability have not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led group.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4-years old, we have found that the rule of matters and measurement ability have improved but the mathematical concept and geometrical ability have not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led group. And also,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5-years old, we have found that the rule of matters, mathematical concept, geometrical concept, and measurement concept have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led group. Therefore, the Mobius kinder Math tool is the positive effect of the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of 3-, 4-, and 5-years old young children. From these second res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3-years old, we have found that the rule of matters, mathematical concept, measurement ability and geometrical ability have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led group. And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4-years old, we have found that the rule of matters and measurement ability have improved but geometrical ability have not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led group. And also,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5-years old, we have found that the rule of matters, mathematical concept, geometrical concept, and measurement concept have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led group. Therefore, the Mobius kinder Math tool is the positive effect of the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of 3-, 4-, and 5-years old young children. Consequently,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help to develop a commercialized mathematical tool with a growth of young children and increase of the use of the Moebius Kinder Math tool in the young children education field.

      • 한국과 중국 시각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 과정 비교 연구

        홍영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48년에 재정된 ‘세계 인권 선언“에는 ’교육을 인간의 기본적 권리‘로 규정되어 있다. 교육을 인간이 보다 윤택하고 평화로운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기본적 권리하고 할 수 있으며. 인간사회에서 성, 계층, 등에 상관없이 사회적ㆍ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게 하는 강력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한국교육개발원, 2005). 우리나라 헌법 제10조에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 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가진다.󰡓 라고 규정되어 있다. 장애인 역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가치 있는 생활은 물론이고 일생을 행복한 삶을 누리면서 보람된 일을 추구하며 살고자 하며 그 권리를 포기해서도 안 된다. 또한 사회를 위해 기여하는 삶을 살기위해서는 사회 참여에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장애인이 자신의 잠재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직업을 갖는 것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생산적인 활동에 참여하여 개인의 잠재능력을 계발하고 실현할 수 있는 자신의 진로를 추구해 나간다는 것은 장애인에게 가장 중요한 교육의 덕목으로 요구되고 있다. 장애아를 현장에서 어떻게 교육 시키느냐도 중요하지만, 그 교육이 직업 문제에까지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게, 연관되게 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더 중요한 문제이기도 하다. 특수학교의 교육 체제에서는 사회체제의 전환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고 생존 수단과 가치 창출의 도구로서 중요한 것이 직업이며, 장애학생의 사회로의 전환에 있어 직업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특수학교 교육과정은 아주 중요하다고 보겠다. 특히, 시각장애인교육은 처음 시작부터 직업교육에 강조점을 두었다. Valentin Hauy는 1784년에 최초로 세워진 파리맹학교의 교과과정을 쓰기ㆍ수학ㆍ지리ㆍ음악ㆍ수공 등으로 편성하였다. 미국 안과의사인 Howe는 1832년에 미국 보스턴에 첫 번째 맹학교인 퍼킨스맹학교를 설립했는데 그 교육과정은 수공예에 큰 비중을 두었고 맹학교의 목표는 시각장애 학생을 지역사회의 경제생활에 공헌하는 일원으로 훈련시키도록 설정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임안수, 2008).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의 직업에 관한 기록은 고려 원종(1259~1274) 시대의 기록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이 최초 직업은 맹승 백량이 점복업을 하여 경제적 자립을 하였다. 1898년에 최초로 세워진 근대 교육 기관인 평양맹학교(박원희, 1994) 교과과정으로 성경ㆍ지리ㆍ음악ㆍ산수 등을 가르쳤으며 실기과목으로 편물. 마사지 등을 실시하여 직업교육을 중요하게 보았다. 이것은 실기과목에 포함된 마사지는 우리나라의 이료 교육의 첫 시작이 되었다. 1913년에 설립된 관립 특수교육기관인 조선총독부 제생원이나 8.15 해방 후 정부가 수립된 이래 지금까지 시각장애인의 직업교육의 중요성 때문에 안마술, 침술, 구술 등의 이료 교육을 한번도 중단하지 않고 시행해 왔다(김기창, 2004). 그러나 시대적 배경에 따라 교육과정의 존재방식이 달라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그 시대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들의 요구나 바램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각각 나라의 맞는 실정에 적합한 교육의 개혁을 추구하면서도, 교육과정은 어느 한 지역, 어느 한 계층의 요구만으로 결정되지 않고, 교육의 대상이 되는 모든 이들의 요구와 희망을 반영해야 하므로, 이전과는 한 나라의 요구만으로는 결정될 수 없다. 현대사회는 지구촌이라고 하듯이 정보와 통신의 발달로 다른 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교육과정도 특정 집단의 요구만이 아니라, 인류 전체가 보편적으로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알아야만 올바른 방향으로 바꿔 나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서울 맹학교 직업교육 과정과 한국과 문화가 비슷한 중국의 북경맹학교 직업교육 과정을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미래 양국 시각장애인들의 보다 합리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 남녀 고등학생의 수행평가 선호성 연구

        홍영희 동아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99학년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처음 확대실시 되고 있는 수행평가에 대한 선호정도가 학생 성별, 학업성취 수준별, 내향성·외향성 성격,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교육 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수행평가가 성공적 질적 평가 방법으로 정착되기 위한 수정·보완 시 기초자료가 됨은 물론, 실제 교수·학습 과정에 있어 학생특성 및 각 변인을 고려하여, 수업에 적용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고등학생의 수행평가에 대한 선호정도는 학생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고등학생의 수행평가에 대한 선호정도는 학업성취수준 상위· 하위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고등학생의 수행평가에 대한 선호정도는 학생의 내향성·외향성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고등학생의 수행평가에 대한 선호정도는 부모의 양육태도 수용상· 수용하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5. 고등학생의 수행평가에 대한 선호정도는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시에 소재하는 일반계 남녀 공학 S고등학교 1학년 남학생 4 학급, 여학생 4학급 총 346명을 대상으로,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수행평가 선호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처리는 SPSS/PC+ 통계프로그램을 통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수행평가 선호 정도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다. 이는 현행 수행평가 내용 및 방식의 특징상 보다 섬세하고, 학업 성취수 준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높은 여학생이 수행평가를 더 선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수행평가 실시계획단계에서 교사는 학생 성별을 고려하 여, 특히 남녀공학인 경우, 남·녀학생 모두에게 학습동기가 부여될 수 있는 적절한 주제 및 방법을 선택함이 요구된다. 둘째, 고등학생의 수행평가에 대한 선호 정도는 학업성취 수준 상위 및 하위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수행평가에 대한 선호성은 학업성취 수준별에 따라서는 동일하다. 셋째, 고등학생의 수행평가에 대한 선호 정도는 외향성 학생집단이 내향성집단보다 더 높다. 이는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외향성 집단이 다양 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시도되는 수행평가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수행평가 실시계획단계에서 교사는 외향성을 지닌 학생들에게 는 계속적인 동기부여가 되면서, 내향성을 지닌 학생들에게는 과제나 학 습활동 자체에 낙오됨이 없도록 개인과제 위주보다는 모둠학습 중심의 평 가를 진행하는 등 평가방법 선택에 신중함이 요구된다. 넷째, 고등학생의 수행평가에 대한 선호 정도는 부모양육태도 수용상 집단이 수용하 집단보다 더 높다. 이는 허용적, 자율적, 수용적 분위기에서 다양성을 존중받으며 자라온 학생일수록 수행평가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학교-가정간에 연계교육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교와 학부모 상호간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고등학생의 수행평가에 대한 선호는 부모 교육수준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수행평가에 대한 선호성은 부모들의 양육태도에 따라서는 동일하게 지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at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is firstly applied to freshmen in high-school in 1999 has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of students, the degree of academic achievement, introvertive and extrovertive character, parenting, and educational background of parents, and is not only for performance assessment to be able to be basic data but also to apply to real teaching-learning process after considering the character of students and each varieties.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o g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performance assessment to high-school students will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sex of students. (2)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performance assessment of high-school students will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low academic achievement. (3)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performance assessment of high-school students will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rovertive students and extroversive ones. (4)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performance assessment of high-school students will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ceptance-high and acceptance-low in parenting. (5) The degree of preference for performance assessment of high-school students will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par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6 students of first-year students composed of 4 classes of male students and 4 classes of female ones. In addition, measuring instruments were used as a scale for preference of performance assessment I made, scale for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of students, scale for parent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collected data processing were applied to t-test through SPSS/PC+ program. The conclusions got in this study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1) Female students in the degree of preference of performance assessment to high-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that. (2) The degree of preference on performance assessment to high-school students doesn'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igh groups and low groups. (3) The extroversive students in the degree of preference on performance assessment to high-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the introversive students in that. It seems that the extroversive groups who are active and positive prefer to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is tried as various and new methods. (4) The acceptance-high group in the degree of preference on performance assessment of high-school students are higher than the acceptance-low group in that. It seems that students who have grown in conditions for variation to be respected in the environments of admission, self-control, and receptance prefer performance assessment. (5) The degree of preference in performance assessment to high-school students in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parents doesn'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 집단보상구조에 따른 협동학습이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영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rts of Korea's art education in high school are to help the student cultivate their creativity through their experiences and develop aesthetic attitudes with a focus on the student themselves. The reality, however, depicts a failure for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to meet those goals due to lack of lesson hours and interest in the class on the part of the students. Thus this study set out to consider the educational meanings of visual design classes in high school by reviewing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rt education, to conduct a survey to understand the problems and current state of instruction for visual design in the art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and to explore some improvement plans. For those goals in mind, the investigator proceeded as follows: Chapter II promoted a theoretical understanding by examining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visual design and the significance and goals of visual design education. Chapter III divided the domain of visual design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into posters, characters, computer graphics, illustrations, and package design and analyzed the concerned parts in the textbooks. As a result, a problem was identified that the contents about visual design were difficult to accommodate both practice and lesson only with the textbooks. And future directions in visual design contents of the textbooks were explored. Chapter IV presented survey results among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an academic high school and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visual design classes. There were several problems and difficulties came to the surface through the survey; the innate nature of art class didn't allow for enough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to do diverse learning activities as the hours allocated to art class were considerably limited; the poor provision of art tools and equipments interfered with the smooth progress of visual design classes; and the school atmosphere oriented towards college entrance exams deteriorated the morale of the art teachers and caused the students to show less and less interest and concern with art classes. Since most of the art teachers majored in painting in college, there was a potential risk of imbalance in design study. For those reasons, the art teachers didn't have the students engage in practice across many different areas of design and were forced to restrict their lessons within theories, which in turn hardly further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extbooks used in an academic high school from Chapter III and the survey finding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from Chapter IV, I looked into the current state and environment of education provided by an academic high school and chose characters among the various components of visual design for the great interest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them and their applicability to the given educational environment in Chapter V. I let the students draw characters with diverse facial expressions and induced them to do some creative expressions. As a result, the students, who once thought that character practice was simply hard and limited to the textbook, realized that they could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the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of characters. Most of all, their perception that visual design was difficult was changed. Placing a focus on ideas about the given theme, they tried to reflect what they intended to express as clearly as possible. Ultimately, they were able to shed off a burden for realistic expressions, express their intentions actively as long as they came up with creative ideas about a theme, and have their confidence in visual design classes boosted. Essential to encouraging high school students to take more interest in visual design classes and increasing study efficiency are improving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reorganizing the lesson contents in a way that they can appeal to the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It's also needed to identify a range of materials to help with their visual design study, allow them to discover the principles of composition for themselves, and inspire them to apply the principles to study for the sake of creative visual design classes. And finally there should be ongoing researches on the subject so that more proper lesson designs can be developed for the art subject. 협동학습은 학습능력이 다른 학생들이 동일한 학습목표를 향하여 소집단내에서 함께 활동하는 수업방법으로, 최근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 협동학습에서 교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집단보상이 강조되고 있는데, 외적으로 제시되는 보상이 인간의 내재적 동기를 저해하며 궁극적으로 학습활동에 방해가 된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학업성취에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복합보상을 구상하여, 복합보상이 집단경쟁 집단보상에 비해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구체적 문제는 다음과 같다. 1-1 협동학습의 집단경쟁 상황에서 ㅁ집단보상과 개별보상을 함께 제공한 집단이 집단보상만 제공한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가? 1-2 협동학습에서 복합보상이 선행학습 수준이 다른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1 협동학습의 집단경쟁 상황에서 집단보상과 개별보상을 함께 제공한 집단이 집단보상만 제공한 집단에 비해 학습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2-2 협동학습에서 복합보상이 선행학습 수준이 다른 학습자의 학습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처치는 실험집단에는 집단경쟁 집단보상+개별보상, 비교집단에는 집단경쟁 집단보상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학업성취도 검사와 과학적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 처리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의 집단경쟁 상황에서 집단보상과 개별보상을 함께 제공한 집단이 집단보상만 제공한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복합보상은 선행학습 수준 상위집단과 중위집단의 학업성취에 효과가 있었으나 하위집단에게는 효과가 없었다. 셋째, 협동학습의 집단경쟁 상황에서 집단보상과 개별보상을 함께 제공한 집단이 집단보상만 제공한 집단에 비해 학습태도에 미치는 차이는 없었으며, 복합보상은 모든 선행학습 수준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면, 복합보상을 제공할 때 개별보상은 경쟁보상구조보다는 개별보상구조로 제공하고 집단보상은 집단경쟁보상구조로 한다면 보상에 내재된 인지적 측면의 긍정적 효과가 동기적 측면의 부정적 효과를 충분히 상쇄할 수 있어, 학습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학업성취에는 큰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 신문활용수업(NIE)을 통한 경제교육 효과연구 : 고2 기업문화단원을 중심으로

        홍영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economy has experienced drastic changes in recent years. Still, economy textbooks used in schools deal in elementary and fundamental economic theories and thus fail to reflect all these changes. Newspapers can be considered the most ideal textbooks, which help solve these problems facing our current economic education, as they offer new and diverse economic information on a daily basis. NIE can be a desirable approach to effective economic education if it is used properly. NIE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mid 1990s and has been applied to a variety of curriculum including Korean language, science and mathematics, but it has not been widely utilized in high school economy classes and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research work on the approach. Against the backdrop, it is necessary to explore ways to utilize newspapers for economy classes in high school and analyze the effects that NIE has on economic education as a whole. This study aims to suggest various NIE methods that can be used for high school economy class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that NIE-based economic education has on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First, an extensive review has been done on previous researches and studies on economic education and NIE,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ing the concept, objectives and necessity of NIE has been examined. Second, for empirical research, an economy class in which an NIE-based teaching model is applied, was conducted, using 'Ⅷ. National Economy and Rational Choices', a unit of the social science textbook used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in senior high school, or 10th grade students in the 7th education program. Students created a text material based on which they will carry out activities, by gathering news and information from papers relating to the class objectives and NIE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text material, the syllabus was drawn up. Third, the study was conducted on tenth grade students in college-bound high schools located in Bundang-gu Sungnam City, where the author is currently teaching. Of the total 14 classes, 4 classes were chosen randoml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of two classes who will be taught by NIE-based teaching method, and the other group who will study in a conventional wa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7 times. Forth,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NIE on economic education, students were evaluated for their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attitude. The academic performance evaluation consists of 20 questions on areas of knowledge, function, values and attitude. The learning attitude test has 19 questions on subcategories including general learning attitude, concentration level, learning skills application, and voluntary learning. To analyze the test results, the t verification of SPSS 10.0 was used, with a 95% confidence level.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academic performance test on the relevant economy lectures, the NIE-applied group achieved a higher average on economy-related knowledge, functions, values and attitude,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group who was taught in a conventional way.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learning attitude test showed similar results. The NIE group gained higher scores than their peers in all areas including general learning attitude, concentration level, learning skills application and voluntary learning.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found that though one cannot say a particular teaching method for economic education is absolutely superior to the others, NIE-based class is more effective than the textbook-oriented conventional teaching method in terms of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and forming positive learning attitud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for economic education, schools should encourage teachers to abandon their dependency on textbooks and adopt the NIE teaching method.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needs to be changed to allow more research work be done and to facilitate information exchange to develop NIE teaching materials .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일본과 미국의 우수한 기업경영과 우량기업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건전하고 우수한 기업문화가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킬 것이라는 사고가 널리 지지를 받게 되면서 기업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사회의 일반적인 가치관과 산업 환경, 기업의 역사, 창업자나 최고 경영자 집단의 가치관이 특정 기업의 문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있으며, 건강한 문화가 기업유효성의 결정요인이라는 가정은 나름대로 충분한 논리적 타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문화 유형에 관련된 준거의 틀을 제시한 Haller의 이론을 이용하여 기업문화 유형과 그 특성을 알아보고, 기업문화 유형과 기업 유효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또한 기업문화 유형과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매일 매일 새롭고 다양한 경제 정보를 담은 신문은 기업문화에 관한 교육을 행함에 있어 가장 손쉽고도 이상적인 교육 자료이며, NIE(신문활용교육)의 활용으로 기업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여기서 기업문화 교육에 신문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NIE의 경제 및 기업문화교육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행하는 기업문화 수업에 전통적인 수업방식과 NIE를 적용한 수업방식의 비교 및 NIE를 이용한 수업방식의 다양한 활용법을 제시하고, 일반적인 경제 교육의 특징과 기업문화 교육에서의 NIE의 활용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검증 과정의 일환으로 먼저, 기업문화교육에 있어서 NIE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경제교육 관한 일반적인 개념 에 관하여 돌아보고 기업문화의 특징과 유형, 그리고 NIE의 개념과 목적, 교육적 효과 그리고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경험적 연구를 위해 신문 활용 교육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2학년 <경제>교과 중 ‘Ⅲ. 경제 주체의 합리적 선택’ 부분을 중심으로 NIE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경제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학습목표 및 NIE 활동 프로그램과 관련된 신문자료를 수집하여 학생들이 활용할 학습지를 제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지도안을 고안하였다. 세 번째로,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경험적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가 근무하는 서울시 중구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학년 전체 12개 학급 중에서 연구자 임의로 4개 학급을 추출하여 NIE 수업을 적용할 실험집단과 전통적 수업을 적용할 비교집단으로 각각 2개 학급을 선정하여 3차에 걸쳐 실험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문화교육에 있어서 NIE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학업성취도 검사 및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지식, 기능, 가치·태도 영역으로 평가문항을 작성하여 15개 문항으로 평가지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학습태도 검사를 위하여 학습에 대한 일반적 태도, 기업문화 수업에 대한 주의집중 태도, 학습기술 적용 태도, 자율학습 태도 등의 하위 영역에 대하여 19문항으로 학습태도 검사지를 작성하였다. 위의 검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2.0 프로그램의 t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95%의 신뢰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기업문화단원에 대한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방식과 NIE를 활용한 방식으로 기업문화 수업을 받은 집단의 비교에서 NIE를 활용한 수업방식이 기업문화 관련 지식, 기능, 가치 영역에서 평균이 비교 집단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업문화 수업에 대한 학습태도 검사 결과에 있어서는 NIE 수업을 적용한 집단이 비교집단(전통적 방식학습적용집단)에 비해 학습에 대한 일반적 태도나 기업문화 수업에 대한 주의집중 태도, 학습 기술적용 태도, 자율학습 태도 등의 영역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NIE를 활용한 수업이 교과서 중심의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효과적이지 못했다. 이는 이러한 교육이 학생들의 내신 성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이러한 결과가 나온 듯하다. 그러나 학습태도 형성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볼 때 NIE 수업 자료의 연구 및 정보 교류를 위한 제도적 여건 마련과 NIE에 대한 교육당국과 신문사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가 이루어지고 교사들이 보다 많은 준비와 자질을 갖추어 진다면 NIE의 자료활용을 통한 기업문화 교육의 활성화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