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法)`과 `혈(血)`의 모순적 이중주 ― 식민지시기 `사생아` 제도의 실천, 그리고 균열들

        홍양희 ( Hong Yang Hee ) 역사문제연구소 2014 역사문제연구 Vol.18 No.1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es and operations of `sasaenga`/`sasaengja`(illegitimate child) system made by the dual principle of `monogamous marriage` and `paternal line` for the construction of family in Colonial Korea. In particular,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ontradiction and inconsistency inherent in family law and the cracks and dissonance of legal principle inventing `sasaenga`. There are affiliation proceedings and paternity suits based on disagreement between `legal blood` and `biological blood`. These lawsuits exposed both sides of obsession to and the rupture of “paternal blood” of colonial Korean. Futhermore, the lawsuits over `paternal line` are attributed to outrageous and gender-specific family law in which wives and daughters are disinherited when the male heads of the family died. Ultimately, this paper provides the critical examination of family law which produces `abnormalities` and heterogeneous `others` that were marginalized.

      • KCI등재

        식민지 사법관료의 가족 "관습"인식과 젠더 질서

        홍양희 ( Yang Hee Hong ),양현아 ( Hyun Ah Yang ) 한국사회사학회 2008 사회와 역사 Vol.0 No.79

        본고는 식민지 사법관료들의 관습인식을 통해 젠더질서가 법으로 제도화되는 과정을 구명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나는 식민지 사법관료들이 조선의 관습을 조사하고 인식하는데 작용한 지식체계를, 다른 하나는 관습인식을 통해 식민지시기 가족법이라 할 수 있는 호주권이 법제화되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전자에서는 식민지 사법관료의 근대법적 사고와 유교적 지식에 젠더질서가 깔렸으며, 그것이 조선의 관행을 조사하고 수집하며 분류하는데 작용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후자에서는 사법관료가 조사한 관습이 호주권의 법제화 과정에 동원되는 방식을 규명하였다. 그럼으로써 식민지시기를 통해 젠더 질서가 재구성되었다는 점을 삭각 드러낼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식민지시기 가족과 관련된 조선의 관행들은 법적 네트워크에 재배치되었다. 물론 조선시대에도 가부장권이 존재하는 사회였다. 그러나 그것이 문화적 규범에 의한 것이었다면, 식민지시기의 가장권, 즉 호주권은 법을 통해 전국적이고 장기적으로 제도화되었다. 동시에 이 같은 가장권은 한국인에게 익숙한 유교적 용어로 개념화되었다. 더욱이 유교의 젠더 질서의 법적 강제를 완충시키고, 자연스럽게 ‘전통’으로 자리잡는데 작용한 촉매의 역할을 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관습조사와 호주권의 법제화는 식민지시기, 식민지 이후 한국 사회가 가족관계를 중심으로 여성과 남성이라는 젠더 범주에 의해 이원화된 사회로 전환되게 하는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This article argues that understanding social customs of Chosun dynasty made the Japanese colonial state to legitimate the gender relation. I studied this issue in two points, one is edifice of knowledge which helped the Japanese colonial state understand and investigate the customs of Chosun. This issue demonstrates that modern juridical thought and Confucian knowledge of the Japanese colonial state are based on the gender relation, and it was a huge factor in investigating, collecting, and classifying the practices of Chosun. The other point is legislation of a head of a family(hoju), the pith of the Family law in the colonial era. In this point, I will show that the family practices were exploited to legislate a head of a family(hoju), in so doing, gender relation was reconstructed during the colonial era in modern Korea. The family practices of Chosun were realigned in the newly-formed legal network. While it is true that Chosun dynasty was a patriarchal society, it was forced by a cultural standard. However, the patriarchal system, a head of a family(hoju) was legally institutionalized in national and protracted level. Moreover, the patriarchal power was conceptualized by Confucian term, which helped mollify popular aversion about legal enforcement of gender relation and its settlement as ‘tradition.’ In conclusion, during the colonial era and even after then, investigation of custom and legislation of hojukwon had played a decisive role in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ety toward the society divided by gender.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본부살해(本夫殺害)” 사건과 재현의 정치학

        홍양희(Hong, Yang-Hee) 한국사학회 2011 史學硏究 Vol.- No.102

        이 논문은 식민지시기 남편 살해라는 범죄가 조선 “특유”의 여성 범죄로 만들어지는 방식과 거기에 내재된 식민지 정치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일본인 관료 및 의사, 조선인 언론 및 지식인들에 의해 남편을 살해한 여성이 어떻게 재현되었으며, 거기에 내재된 함의가 무엇이었는지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부살해” 사건에 대한 담론은 식민지에서 모더니티가 작동하는 방식을 드러낸다. 주지하듯이 ‘조혼’은 식민지 이전부터 문명개화론자들에 의해 가장 많은 비판을 받은 없애야할 ‘폐습’이었다. 그렇지만 조혼과 남편살해 사건은 별개의 것으로 존재하였지, 상호 직접적 관련을 가지는 원인과 결과로 인식되지는 않았다. 당시 조혼이 가진 폐해를 부각시키는 방식은 주로 국가와 민족의 장래, 부국강병과 관련하여 논의가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식민지에서 모더니티는 문명화 기준에 맞지 않는 습속을 끊임없이 ‘악습’으로 재생산하였다. 그로 인해 식민지는 문명화되지 않은 ‘야만’으로 대상화 되었다. 이런 점에서 남편살해 사건을 통한 ‘조혼’의 ‘악습화’는 식민지 ‘모더니티’의 작동 방식을 아주 잘 보여주는 하나의 케이스였다. 식민지에서 그것은 전율할 범죄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연결되면서 더욱 노골화되었다. 여기에서 나이어린 여성들에 의해 벌어진 남편 살해 사건은 ‘조혼’이 가진 조선 풍습의 악랄성을 부각시키기에 적절한 재료가 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식민주의자들은 미개한 지역을 문명화시킨다는 사명으로, 고통받는 조선 여성들의 구원자로, 식민 통치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반면 식민지 지식인들은 자국의 독립 혹은 발전이 문명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는 사고를 내면화하게 된다. ‘보편적이고 절대적이며 가치중립적인 것’으로 보이는 기준에 의해 그것이 가진 식민지 정치성은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결국 “본부살해”라는 흉악한 여성범죄의 원인이 조혼이었기 보다는, ‘남편 살해’라는 범죄가 ‘조혼’을 ‘악습’으로 재구성하는데 중요한 담론적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조선의 낙후성, 그것의 처절성을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낼 수 있는 소재가 남편살해 사건이었고, 이를 통해 문명화/모더니티의 논리가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본부살해”는 ‘조혼’이라는 ‘식민지적 전통’을 끊임없이 재구성하고 있는 하나의 담론적 상징물이었다. In colonial Korea, husband killing had been made into a crime "unique" to the colonial Korean society. Those women who killed their husbands were depicted as a victim of the evil marriage custom and Sobu(tender girl wives) on the one hand, and Dokbu, erotic femme fatal, on the other hand. These seemingly contradicting image were not separate and distinct. They rather constituted the two sides of the same coin. Discourses such as “a young wife who committed atrocious crimes”, and “atrocious crimes done by tender girl wives” magnified to the full point "barbarity" and "tragic nature" stemmed from the Korean unique practice of early marriage. This develop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way in which the modern understanding of marriage and family was produced and consumed by the enlightened intellectuals of Korea. In this regard, the efforts to enlighten the Korean practice of marriage represented an attempt to construct “modernity" in colonial Korea. The tendency to make “early marriage” into a devil practice was a case in point to demonstrate the mechanism in which the “modernity” was put into action. That also reflects the process in which the discourse and reality of the colonial modernity transformed customs and practices not suitable for western civilization as "evil practices." With such efforts, colonies were made into an object of "barbarity". After all, it wasn"t that the early marriage in the colonial Korea caused the cruel crime of husband killing. But that the crime of husband murder made the early marriage into an evil practice. The husband killing was a symbol of the discourse /which made the early marriage evil. The early marriage was not much of the cause of the spouse killing as its effect. It is also a good case to show how the gaze of modernity disciplined every day life of the people in colonial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누구/무엇을 위한 ‘친권(親權)’인가

        홍양희(Hong, Yang-Hee) 한국여성학회 2017 한국여성학 Vol.33 No.1

        이 논문은 식민지 조선에서 ‘친권’이 법제화 되어 실천되는 양상을 고찰하고, 그것이 식민지 조선에서 수행한 가족 정치학을 논하였다. 통감부 시절 관습으로 발명된 ‘친권’은 1921년 「조선민사령」 제11조가 개정됨으로써, 관습법에서 일본 민법의 직접 적용으로 전환되었다. 당시 ‘친권’ 법제가 가진 특성은 첫째, 젠더 차별적이었다. 친권의 일차적 주체는 ‘아버지’로, 그것은 사실상 ‘부권(父權)’이자 ‘가부장권’이었기 때문이다. 둘째, 아버지 부재 시에 주어지는 어머니의 친권에는 ‘친권의 경제학’이 작동되었다. 특히 미성년 호주인 경우, 그것은 거의 재산 관리권으로 치환되었기 때문이다. 셋째, 친권 법제는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를 통제하였다. 친권은 어머니의 섹슈얼리티에 상당히 민감하여, 친권자인 여성/과부가 재혼하거나 다른 남성을 만날 경우에는 친권 상실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친권법의 이러한 특징들은 사실상 근대 일본이 기반하고 있는 ‘가(家)’제도를 유지, 계승시키기 위한 것들이었다. 아버지의 친권은 ‘호주권(戶主權)’으로 쉽게 전화될 수 있는 강력한 가부장권이었던 반면, 어머니의 그것은 호주의 재산, 그리하여 가의 재산을 해체시키는 원심력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의심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부계혈통으로 이어지는 ‘가’의 유지 및 계승에 가장 핵심적인 ‘호주’, 그리고 그의 재산, 즉 ‘가산(家産)’을 지키기 위해 여성의 친권은 늘 감시의 대상이 되었다. 재산행위는 항상 친족회의 동의하에서만 이루어져야만 했고, 과부의 섹슈얼리티는 통제되어야만 했다. 여성이 타가(他家)의 남성과 정분이 나거나 재혼를 하는 것은 ‘가’를 위험에 빠뜨릴 것으로 문제시되었기 때문이다. ‘친권’은 근대 일본이 작동하는 가족 정치학 그 자체였고, 이것은 일본 제국의 판도 안에서 존재하던 식민지 조선에 ‘관습’의 이름으로 발명되어 거의 그대로 이전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legislation and practices of “parental authority” and discusses family politics in colonial Korea. Since the amendment of Article 11 of the “Decree on Chosŏn Civil Cases” on November 14, 1921, “parental authority” was of direct application of Japanese Civil Law. The first characteristic of “parental authority” was discriminative on gender because the primary subject was the “father.” Second, in the absence of the father, parental authority of the mother was operated by the “economics” instead of her minor son, the rights of mother as the person with paternal authority were restricted to managing the properties. Third, the parental authority system controlled women’s “sexuality” at that time. The system was sensitive to the sexuality of a mother in cases where she was conferred parental authority, their remarriage or a close relationship with man led to loss of parental authority. These parental authority law resulted from to maintain and succeed the “house” system.

      • KCI등재

        식민지 초기 교육 담론과 ‘동화주의’

        홍양희(Hong, Yang-Hee)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0 No.-

        이 논문은 병합 초기 식민지 교육담론 분석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가 식민지 조선에서 실시한 동화주의 정책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특히 동화주의의 부정으로 비춰지는 차별적인 교육의 표상이기도 한 ‘점진주의’와 ‘유교주의’교육 방침에 대한 담론 분석을 통해 이들 교육방침이 동화주의 정책에서 가지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결국 병합 초기 교육담론을 분석하건대, 교육방침으로서 ‘점진주의’와 ‘유교주의’는 일본 제국이 동화정책 하에서 구사한 ‘차이’의 정치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치는 세 가지 측면을 내포하였다. 첫째, 조선인의 특수성을 어느 정도 인정하고, 그리고 인정하는 듯한 포즈를 취함으로써 조선통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발을 무마하고, 둘째, 문화의 지역적 차이를 문명적 차이, 즉 차별로 전환시켜 지배 피지배라는 위계적 관계를 관철시킬 수 있었다. 서구적 근대성, 국민국가론에 기반한 문명화 담론은 비문명적이고 후진적인 조선인을 만들어 식민 지배의 합리화/정당화를 도모하였다. 셋째, 그 과정에서 조선인에게 일본어 교육과 보통 및 실업 교육을 함으로써 일본 국민으로 통합하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시간’을 확보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식민지시기 정책으로서 ‘동화’를 하나의 완결적 형태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맥락적’으로 이해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paper trie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n the assimilation policy that Japanese empire pursued in colonial Korea by analyzing it’s educational policy. In the meantime, gradual progressivism and Confucianism as an educational plan have been considered school segregation, and non-assimilation policy. However this paper examines how these plans are involved in the assimilation policy. After analyzing the discourse of educational policy in early colonialism, this paper concludes that gradual progressivism and Confucianism as an educational policy were the politics of ‘difference’ operating in boundary of ‘assimilation’. This politics of difference covered three aspects. First, it relieved strong resistance of Chosun partially assuring the culture of Chosun. Second, Japan transformed the cultural difference to the hierarchy between empire Japan and colonial Korea. In addition, the dicourse of modernity and Western civilization based on the theory of nation state to rationalize this discriminational education. Third, in this course, Japan tried to secure ‘the time’to integrate Chosun people into the Japanese empire. Eventually, this paper proposes that we understand the ‘assimilation policy’not as completed form but as a policy‘in context’.

      • KCI등재후보

        植民地時期 戶籍制度와 家族制度의 變容

        홍양희(Hong Yang-Hee) 한국사학회 2005 史學硏究 Vol.- No.79

        이 연구의 목적은 식민지 조선인을 일본 제국의 인적 자원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만든 핵심 장치가 바로 가족제도였다는 점을 호적제도에 초점을 맞추어 밝히는데 있다. 호적제도는 친족ㆍ상속법과 더불어 ‘가’제도를 법제화하는 양대 장치중의 하나였을 뿐만 아니라, 전자는 후자를 위한 토대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전반부에서는 조선총독부가 조선에 호적제도를 이식하는 과정과 그것에 담긴 가족의 조직원리를 살펴보았다. 호적제도 이식으로 모든 조선인이 가족을 단위로 하는 법적 관리시스템, 즉 행정 및 사법의 영역으로 귀속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자는 것이다. 이어 후반부에서는 호적제도를 통해 조선총독부가 조선에 창출하려고 한 가족제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br/> 본 연구는 이상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론에 도달하였다. 우선 호적제도는 불분명한 가족의 범위를 확정하는 동시에 가의 단위화를 통해 가족이라는 관념을 만들어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개인은 호주와 그의 가족으로 구성된 법적 가족제도에 소속되어야만 국가의 구성원, 즉 국민이 될 수 있으며,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각 개인은 가에 소속되어야 하는 바, 그 유일한 방법이 바로 호적에 등재되는 것이었다. 그리고 호적은 행정과 사법의 기초자료로서 국가는 이를 통해 전체 인민을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호적제도에는 일본식 가제도의 원리가 내포되어 있었다. 호적제도가 일본식 가족제도 이식의 수단이었으며, 가족제도는 인민을 국민으로 만들기 위한 국민제조기의 역할을 했다고 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br/> 호주를 중심으로 한 가족제도의 특징은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호적제도에 의해 모든 가는 국가 앞에서 균등하다는 것을 법적으로 보장받았다. 특히 호주제도는 조선의 종법에 기반한 가족제도를 해체하는 기제가 될 수 있었다. 즉 강력한 법적 권한이 부여된 호주라는 개념이 종가의 우월한 지위를 희석시킬 수 있었다. 왜냐하면 호주에게 가족 구성원에 대한 지배권을 보장했다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다른 가의 어떤 호주로부터 결코 침범당할 수 없는 배타적 지위를 가진다는 의미와 다름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가도 다른 가에 대해서 우월함을 내세울 수 없었으며, 이는 가들 상호간에는 균등한 존재임을 뜻했다.<br/> 호주 가족제도는 남성들 간의 평등을 달성하는 것이기도 했다. 호주는 각 가의 대표성을 법적으로 보장받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일가일적의 원칙에 따라 결혼한 남성들은 분가하는 순간 누구나 호주가 될 수 있었다. 호주제도가 남성 평등을 지향했다고 주장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따라서 호주제도를 전근대적 성격으로만 해석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그것의 불평등성은 가족 내에 국한되는 것이었으며, 호주제도의 일차 관심은 불평등했던 가간의 관계를 평등한 관계로 전환하자는 데 있었다. 이렇게 본다면, 법 앞에 평등하다는 근대법의 정신을 가와 남성들에게만 구현하는 장치였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는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이 제도화되는 과정이기도 했다.<br/> 호주 중심의 가족제도에 담긴 또 다른 함의는 정신적 존재로서의 가였다. 가의 혈통적 연속성을 매우 중시했기 때문이다. 가의 혈통을 이어주는 매개체가 바로 호주였다. 가의 연속성은 전호주와 현재의 호주, 그리고 미래의 호주로 계속적으로 이어지는 단선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이었다. 호주제도에는 호주상속을 통한 가계계승의 원리가 내포되어 있기때문이다. 그리하여 한편으로는 호주승계를 통하여 부계계승제도를 굳건히 실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호주를 중심으로 하는 소규모 핵가족으로 끊임없이 분열한다는 논리를 내재하고 있었다. 이를테면 직계가족의 원리가 관통하는 핵가족을 양산하는 것이 바로 호주 가족제도였던 것이다. 요컨대 호주 가족제도는 종법적 가족제도가 가지고 있는 대가족주의적인 요소들을 제거하고 호주와 그의 가족만을 ‘가족’으로 제도화하는 소가족주의적인 성격을 가진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ansformation of family by family register(hojeok) policy which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Choseon had done in colonial Korea. Directly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eon set a goal that the Korean must be converted to the Japanese people in order to change a rebellious Korean into a voluntary helper for Imperial Japanese expansion policy. It is needed for this purpose to replace Korean traditional family system by the Japanese own. In order words, The Japanese family system should be demand to plant into their colony. It is as follow:the system of a family register(hojeok).<br/> The system of a family register(hojeok) was included Japanese family principals. This family system was an agent tha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Choseon transplants their principals of state organ and it's operation. For this work, it takes the family as the basic units of state, and then it is composed of paterfamilias called hoju and his members. This type of family is made on the model of the principles of Japanese family system.<br/> The features of this family system can be epitomized two. For one thing all of families have an equality each other;for another it was taken the small-family system that is composed of hoju and his members as the unit of society. The former is planned to demolish the distinction of classes, that is, the yangban caste system. The latter is designed to dismantle a large family system on the basis of the clan code(jongbeob).<br/> The new family system which was made on the model of Japanese family system possess a double-faced characteristics. The one hand, it treats all families without discrimination. In other words, all families are equal before the system of a family register(hojeok). The other hand, it treats the members in the family with discrimination in according to sexual distintion. So to speak, un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re created before the system of a family register(hojeok).

      • KCI등재

        “애비 없는” 자식, 그 ‘낙인’의 정치학

        홍양희(Hong, Yang-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아시아여성연구 Vol.52 No.1

        제국 일본이 식민지 조선에 가족법을 제도화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등장한 ‘사생아’는 “일부일처 법률혼”을 위반한 관계의 산물이자, 동시에 “아버지가 없는” 아이에게만 붙여지는 법률적 신분이었다. ‘사생아’라는 호칭은 그들 존재에 대한 단순한 언어적 표현이기 보다는, 국가가 그어 놓은 선을 넘은 자들에게 가해진 사회적 ‘낙인’이자 존재론적 ‘형벌’과도 같았다. 여기에는 근대 일본이 구사한 가족 정치학, 나아가 국가 정치학이 내재되어 있었다. 더욱이 사생아 문제는 근대 가족법이 구사한 젠더 정치의 면모를 유감없이 드러낸다. 아버지의 ‘핏줄’만이 ‘정상성’을 획득함으로써, 그로부터 배제된 존재는 비정상적이고 불온한 존재가 된다. 사생아를 낳은 여성 또한 “불건전”한 섹슈얼러티를 발산하는 여성으로 아이덴티파이 되어, 사생아의 존재는 그를 낳은 어머니에게는 가슴에 새겨진 “주홍글씨”와도 같았다. 국가가 공인하지 않는 관계, 그 선을 넘은 자들에게 가해지는 형벌은 아이와 그의 어머니만의 몫이었다. 이러한 ‘사생아’라는 주변화 되고 이질적인 타자를 구성하는 일본의 가족법은 식민지 조선에 거의 그대로 이전되었다. 제국 일본의 식민지 정치학이 작동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식민지 법제화라는 일련의 과정에서 법률혼과 남계혈통에 의한 ‘가족’ 구성의 원리는 한국인의 중요한 삶의 원칙이 되었다.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자기 핏줄”, “자기 자식”에 대한 강한 집착과 동거나 미혼모의 아이들을 바라보는 부정적 시선은 여전하여, 한국에 “고아수출국”이라는 오명을 붙여주었다. 국내 입양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이라고 내놓은 2007년 ‘해외입양쿼터제’는 오히려 해외에 입양되는 아동들이 양부모 품에 안길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늘리는 또 다른 ‘악행’이 되어버렸다. 이것이 “동거”나 “미혼모”에 의해 탄생한 아이들, 나아가 한국 가족법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인식론에 기반한 사유와 실천을 촉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Sasaenga, who emerged out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amily law in colonial Chos?n led by imperial Japan, was the product of relationships in violation of statutory marriage based on huband-wife monogamy, and the legal status attributed to “fatherless” children. At the same time, the word sasaenga was more than a linguistic expression; it was a social “stigma” and ontological “punishment” for those who had crossed the boundaries designated by the state. Modern Japan’s family politics as well as state politics were at play behind the sasaenga stigma. The problem of sasaenga reveals certain aspects of gender politics connected to the modern family law, for being or not being sasaenga was determined by the existence of the father. Attaining normalcy relied on being entered into the father’s family and using the father’s surname; those who could not do so became “abnormal” and “improper” beings despite having a mother. The mothers of sasaenga were also defined as women of “inappropriate” relationships and “indecent” sexuality. The existence of sasaenga was like a “scarlett letter” written on the mother’s chest. Japan’s family law, which created the marginalized other of sasaenga, was transplanted onto colonial Chos?n in an almost unchanged state. The colonial politics of imperial Japan were at work here. Throughout this series of events, statutory marriage and paternal lineage as the principles of family construction became the mainstay of Korean life. This led to the widespread idea that “non-statutory marriage is immoral,” solidifying the absolutism of statutory marriage and simultaneously reinforcing or universalizing the rule of paternal lineage. Lineage was particularly relevant to Korea’s nation-building much as it was to the formation of Meiji Japan. The belief in Korea’s pure-bloodedness was a crucial part of the ideology behind Korean nationalism. The fixation on one’s own blood and one’s own child is still prevalent in the lives of contemporary Korean people, manifest in the negative view of children born from cohabitation or single mothers, the high number of abandonment of children by single mothers as well the overseas adoption of these children. These are more than enough reasons to urge for thoughts and practices of a postcolonial empistemology on children born from cohabitation and single mothers as well as Korean family law itself.

      • KCI등재

        오프라인을 통한 요가운동 참여자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온라인 요가운동 참여자의 신체구성 및 혈액조성에 관한 비교

        홍양희 ( Yang Hee Hong ),김서현 ( Seo Hyun Kim ),박효정 ( Hyo Jung Park ),정은영 ( Eun Young Jung ),장은재 ( Un Jae Chang ) 한국미용학회 2012 한국미용학회지 Vol.18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body composition, body circumference and blood composition on middle-aged women in case visited yoga studio directly (on-line yoga exercise) and in case using the yoga application of smartphone (off-line yoga exercise) for 8 weeks. First, the studio yoga group (S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decrease from the body weight (p<0.05), body mass index (BMI) (p<0.05), fat mass (p<0.001), percent body fat (p<0.001), whereas smartphone yoga group (SM group) didn`t show a significantly difference. And S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ce in body mass index (BMI) (p<0.05), fat mass (p<0.001) and percent body fat (p<0.001) than SM group. Next, the body circumference of S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decrease in upper arm (p<0.01), in forearm (p<0.01), in waist (p<0.001), in hip (p<0.001), in upper thigh (p<0.01), whereas SM group showed a some decreasing tendency in the value but had no significantly decrease statistically. And between ST group and SM group, S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ce in upper arm (p<0.01), waist (p<0.001), hip (p<0.001) and upper thigh (p<0.05) than SM group. In view of this research, it is judged that directly off-line yoga exercise is more effective in decreasing body composition and circumference than on-line yoga exercise using smartphone. It may be fairly thought that if the diverse programs of yoga applications are developed, the yoga applications using smartphone will be helpful in decreasing body composition and body circumference irrespective of time and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