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 실태 및 지원방안

        홍승아(Seungah Hong),이영미(Youngmi L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9 아시아여성연구 Vol.4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양육지원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동기 자녀를 양육중인 여성장애인 35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녀양육의 현황과 자녀양육지원 서비스 욕구,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양육만족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장애인들은 자녀양육에 있어 경제적 비용 때문에 가장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현재 지원되고 있는 공공 양육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률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장애인들이 경제적 비용과 육아정보와 관련된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지만, 부모로서 자녀 양육시 느끼는 만족감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장애인 자녀의 방과후 교실 우선이용권, 학습지원 서비스 활성화, 자녀들에 대한 멘토링 서비스 등의 여성장애인의 자녀양육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arenting experienc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and examine the needs of them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6 disabled mothers rear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ccording to this research, parenting experienc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offered relief and achievement to them. However, due to lack of systematic support, women with disabilities have many difficulties in rearing of children. Especially, most of them have trouble financial difficulties. Although service system to help their household affairs and parenting exist, this study reveals that their recognition and use of those systems are still low. Based on these findings, these research has made some recommendations to support disabled mothers' parenting.

      • KCI등재

        남성 육아휴직과 기업의 조직문화

        홍승아(Hong, Seung Ah)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8 젠더와 문화 Vol.11 No.1

        이 글은 남성의 육아휴직 이용경험에 대한 질적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남성 육아휴직 이용에 있어서 조직문화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성의 육아휴직 이용경험은 휴가신청에서부터 상사의 적극적인 만류와 생계부양자로서의 책임에 대한 질책 등으로 어려움이 있었고, 복직후 업무배치, 승진 등에서의 조직 내 불리한 경험이 있었으며, 이러한 경험은 조직 내에서 육아휴직 이용자에 대한 불이익을 암묵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 활성화를 위해서 직장내 가부장적 조직문화와 상사의 태도변화, 사내규정 제도화와 조직문화의 변화 등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past and present experiences of fathers undertaking Parental Leave, based on qualitative data obtained from a number of subjects. I investigated how the culture of workplace supports or discourages fathers from taking advantage of their rights, by examining how parental leave usages are affected by the organization. The supervisors are important agents who discourage fathers to use parental leave. and the organizational experiences are not favorable in matters such as job posting and promotion. Finally, in order to promote the use of parental leave for men, this paper proposes changes in the patriarch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attitude of superiors, along wit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l regulations, and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 KCI등재후보

        열성경련의 지속시간과 경련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연구

        홍승아(Seung Ah Hong),김성훈(Sung Hoon Kim),이상락(Sang Lak Lee),김준식(Joon Sik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1

        목적:근래에는 열성경련과 저나트륨혈증의 연관성에 관한 많은 연구와 성인에서 오래 지속되는 비열성경련에서 말초혈액의 백혈구가 증가되는 것이 보고되어, 열성경련에서 경련 지속시간 및 경련횟수와 말초혈액의 백혈구 증가증 및 저나트륨혈증의 연관성을 연구함으로써 말초혈액의 백혈수 증가와 저나트륨혈증이 복합열성경련을 예측 인자가 될 수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9년 4월부터 2001년 3월까지 열성경련으로 동산의료원 소아과에 입원하였던 223명을 대상으로 경련 지속시간 15분 미만과 15분 이상군, 하루 1회의 경련과 2회 이상의 경련을 가진 군, 초발경련과 누적 경련 횟수가 2회 이상이었던 군으로 나누어 내원 당시의 체온, 말초혈액 백혈구수, 혈소판수, 혈청 나트륨과 뇌척수액 소견을 t-test,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1)전체 대상 환아 263명 중 남아가 137명(61%), 여아가 86명(39%)을 차지했으며, 계절적 분포는 겨울에 83명(37.2%)으로 다른 계절보다 많았다. 2)경련 지속시간을 15분과 30분을 기준으로 나누어 혈청 나트륨치와 말초혈액의 백혈구수치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하루동안 열성경련이 1회 발생군과 2회이상 발생군 그리고 단독 발생군과 다발 발생군을 비교했을 때 혈청 나트륨치와 말초혈액의 백혈구수치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열성경련의 초발연령을 생후 9개월을 기준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떄 뇌척수액의 단백은 9개월 미만군은 76.3 mmg/dL이고 9개월이상군은 28 mmg/dL로 9개월 미만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되었다(P<0.003). 5)경련 형태를 전신성인 경우와 국소성인 경우, 그리고 단순 열성경련군과 복합 열성경련군을 비교 했을 때 혈청 나트륨치와 말초혈액 백혈구수치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성인의 장기간의 발작이 말초 백혈구 수의 증가와 연관이 된다는 보고와는 달리, 경련 지속시간에 따른 말초 백혈구 수뿐만 아니라 혈청 나트륨의 변화도 관찰할 수 없었으며, 말초혈액 백혈구 수와 혈청 나트륨이 복합열성경련을 예측하는 인자가 될 수 없었고, 말초 백혈구 수는 열성경련의 원인질환을 밝히는데에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We studied the correlation of duration and frequency of febrile convulsion with peripheral leukocytosis and hyponatremia and identified whether peripheral leukocytosis and hyponatremia to be prognostic factors. METHODS: Two hundred sixty three children who admitted to Pediatric Department of Dongsan Medical Center for febrile convulsion from April, 1999 to March, 2001 were studied. We grouped patient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onvulsion, daily frequency and total frequency. Body temperature on admission, leukocytes count, platelet count, serum Na level and CSF findings were analysed among the groups. RESULTS: Febrile convulsions occurred more ofthe in males(61%) than females(31%) and most frequently occured in winter(37.2%).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serum sodium concentration and peripheral WBC count among groups according to seizure duration.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seizure frequency. The protein concentrations of CSF were high in children who developed seizures before 9 months of age(P<0.003).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groups according to seizure types. CONCLUSION: When we compared each group,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We concluded that peripheral leukocytosis and serum Na level are not predicting factors but they are helpful to find etiology of fever.

      • KCI등재

        외국인의 요청 표현에 대한 내·외국인의 인식 비교 연구

        홍승아(Sung Ah Hong) 한국어학회 2015 한국어학 Vol.66 No.-

        Recent research on request speech act of Korean have focused merely on the request strategy rather than the expressions itself or reactions toward the request. This study, however, has investigated how Korean native speakers (KNS) and non-native speakers of Korean (NNS) think of NNS`` requesting expressions. It focuses on the differences between KNS and NNS depending on six variables; types of request, social status, intimacy, official/private context, experience of residence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NNS expected that KNS reactions will be more negative and request will be less accepted if the request is related to the speaker, NNS’ rights or the speaker is a tourist who does not reside in Korea. But, in intimate relationship, NNS expected that KNS reactions will be more positive than KNS’ actual response. Overall, NNS showed careful attitude, expecting KNS’ reaction to be more negative than the reality, and tried to prevent making any mistakes. However, they seemed to overestimate the power of intimacy or certain polite grammar expressions and to show misunderstanding in Korean culture.

      • KCI등재

        가족 관점에서 본 북한이탈여성의 정착과제 -자녀양육을 중심으로

        홍승아 ( Seung Ah Hong ) 평화문제연구소 2013 統一問題硏究 Vol.25 No.2

        최근 가족을 동반한 북한이탈주민이 증가하면서 이들이 남한사회에서 가족으로서 안정적인 정착을 하는 문제는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가족으로서의 정착의 과제는 남한사회의 문화와 경제적 적응의 어려움 위에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로서의 역할과 책임의 어려움이 가중되기 때문에 남한사회의 정착 과정은 훨씬 더 힘들 수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의 가족생활, 부부관계, 자녀양육의 경험을 통하여 가족생활의 정착과제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여성은 탈북 과정에서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 등 가족 안정성이 위협받고 있으며, 부부 간의 역할과 책임에 있어서의 갈등 등으로 부부관계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자녀양육 및 교육의 문제에서도 환경의 변화와 문화적 차이에 따른 혼란과 부적응, 부모-자녀관계에서의 세대 간 .문화적 갈등 문제 등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북한이탈주민지원정책은 지금까지의 경제적 지원을 중심으로 한 정착에서 가족생활 측면에서의 정착과제가 보다 강화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family life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in South Korea throughout the process of getting settled, giving birth to children and caring for them. Considering the double burden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ho have to settle in a new society and still have to perform the role of parents, the settlement tasks for them would be more difficult than men and the policy should be different from men’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ir marriage life lies on very unstable situations with role conflicts, marriage crisis, marital breakups, etc. Secondly, North Korean defectors care more about parent-child relationship rather than their husband-wife relationship but they have no means to perform their parental role and responsibility to their children. It’s mainly due to the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conten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North Korea’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I propose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First, family support programs should be incorporated as part of the education programs offered at Hana Center and local support center in order to enable North Korean defectors to manage stable family life. At the same time, family life support and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in collaboration with relevant local institutions which have experts and skills.

      • KCI등재

        원자적으로 균일한 평판 위에서 움직이는 물 액적에 대한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홍승도(Seung Do Hong),하만영(Man Yeong Ha) 대한기계학회 2009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3 No.8

        The variation in the shape of water droplet moving on atomistically smooth solid surface in the presence of a constant body force is simulated us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We investigated how the advancing and receding contact angle of the moving water droplet changes on a solid surface having various characteristic energies. From the MD simulation results, we obtained the density profile defined as the number of water molecules at a given position. Then, assuming the water droplet periphery to be a circle, we calculated the contact angles by using a nonlinear fitting of the half-density contour line. The present simulation clearly shows the different profile of the advancing and receding contact angle for these three different interaction potential between the water droplet and the solid surface.

      • 새 정부 여성정책 비전과 정책과제

        홍승아(Seung Ah Hong),문미경(Mee kyung Moon),장미혜(Mi Hye Chang),박선영(Seon Young Park),이미정(Mi Jeong Lee),김경희(Kyung Hee Kim),전기택(Ki Taek Jeon),김동식(Dong sik Kim),김수진(Su Jin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7 No.-

        Gender and family policy issues are gaining renewed importance these days due to the recent social and economic changes, resulting shifts in the family. They have also broadened, as new issues and tasks have emerged. It is thus necessary to assess and revisit the gender/family policy environment general to identify the policy orientation, agenda and specific tasks for the new government. The status of women in Korea remains low despite the unrelenting increase in women s social participation in the past two decades. Korea ranked 116th in the World Economic Forum s 2016 Gender Gap Index(GGI), continuing its slide from 97th in 2007 to 107th in 2011. Moreover, the gender pay gap stood at 37% as of 2014, more than double the OECD average of 15%. Coupled with the persistent rise in female irregular workers, they illustrate the worsening polarization and job insecurity in the labor market for women. Rise in violence and crimes against women and gender inequality in policy making are also important factors keeping down women s social participation and Korea s rank in the Gender Gap Index. Dramatic changes are taking place inside the family as well. Persistent trends of low birthrate and population ageing, growing female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increasing numbers of late marriage or non-marriage are causing gaps in family caregiving, resistance to the traditional forms of family or family life, and rising needs to accept new family culture. Increase in dual-income nuclear families keeps calling for more social support for family caregiving, in response to which the caregiving roles and responsibilities should be reshaped among the government, family and community. Diversification in the family structure is spawning new types of familial relations and memberships, raising the need to open up to new family structures and cultures. It is important to eliminate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different family types and memberships, and to spread a more inclusive concept of family that respects and embraces diversity. There are now beginnings of an alternative discourse on the family (which today is centered on nuclear family), and family values are also rapidly changing, necessitating modifications and broadening of the existing family policy. There is also the challenge of increasing women s participation and represent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al, public and private. In politic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adopt female quota in the candidacy for National Assembly and local councils, but female representation still has room for improvement. Women s participation in public service has made headways through recruitment targeting (women s quota in public posts, gender-equal recruitment, etc.) but it, too, needs to be further improved. It is against this backdrop that this study offers the gender policy vision and tasks for the new government in 11 areas: labor, family, work-family balance, caregiving, women s representation, gender mainstreaming, safety, gender violence, health, law and peace and unification. 1.Achieve gender equality in the labor market by reducing gender pay gap 2.Implement active family policy as a response to changes in the family 3. Support gender-equal work-family balance 4.Strengthen caregiving support through government-family-community linkage 5. Mainstream gender to achieve gender equality in public policy 6. Secure effectiveness in female representation 7. Enhance gender-specific safety competency by life cycle 8. Eliminate gender violence loopholes 9. Strengthen assurance of women s rights to health 10. Strengthen gender-equal policy making through legislation 11. Pursue gender-sensitive unification policy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최근의 경제·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가족의 변화로 인하여 여성·가족정책과 이슈들은 더욱 중요해졌으며, 동시에 새로운 이슈와 과제들이 대두됨으로써 여성정책과 이슈들은 더욱 확대되었음. 이에 여성과 가족을 둘러싼 정책환경을 진단하고 전반적인 재검토를 통하여 새 정부 수립과 함께 추진해야 할 여성정책의 정책방향과 주요 정책의제를 발굴하고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 ○ 지난 20여년간 여성의 사회참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으나 한국사회 여성의 지위는 여전히 낮음.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한 최근의 성격차지수(Gender Gap Index)는 116위(2016년)로 2007년 97위, 2011년 107위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음(World Economic Forum. http://www3.weforum.org/ docs/GGGR2015. 2017. 7.20 검색) ○ 또한 2014년 기준 성별 임금격차는 37%로 OECD 평균 15%의 두배 이상임. 여성비정규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등 노동시장 양극화와 고용불안정은 더욱 심화되고 있음 ○ 여성에 대한 폭력, 범죄의 증가,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성불평등의 문제 역시 여성의 사회적 참여와 성격차지수를 낮추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음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노동, 가족, 일·가정양립, 돌봄, 성주류화, 여성대표성, 안전, 젠더폭력, 건강, 법, 평화·통일 등 11개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새 정부의 여성정책의 비전과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함 ○ 본 연구는 위 11개 영역의 원내 전문가의 협업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영역별 외부전문가를 초빙하여 자문회의를 거쳐 최종 원고를 완성하였음. 각 전문가의 원고는 기존 연구의 관련부분을 활용하여 작성하였음을 밝혀둠 2. 여성과 가족을 둘러싼 정책환경의 변화 가. 여성노동의 변화와 전망 □ 2000년 이후 여성 고용률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주요 선진국에 비해 여성 노동시장 현황은 여전히 저조함 ○ 여성고용 확대와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해소를 통해 국가 경쟁력 강화와 저출산·고령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적극적인 방안 필요 ○ 2015년 현재 우리나라 여성 고용률은 OECD 35개 회원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고 29위에 머물고 있음 □ 맞벌이가족의 증가로 일가정양립 지원수요는 더욱 증가 ○ 성평등 일가정양립으로의 전환 -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이용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그러나 성별 육아휴직 이용자 수는 여전히 여성에게 크게 편중되어 있음(남성 비율 8.5%, 2016) 나. 가족의 변화와 전망 □ 가족규모의 축소, 가족형태의 다양화 증가 ○ 핵가족은 전체 가구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 비율은 감소하고 있으며, 동시에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족, 이혼 및 재혼가족, 1인가구, 비혼·동거가족 등 다양한 가족형태가 증가하고 있음 - 이러한 변화를 기반으로 통계청의 2035년 인구전망에 의하면 부부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은 20.3%로 감소, 1인가구와 부부가구가 각각 34.3%, 22.7%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통계청, 2012) □ 가족형성의 지연과 안정적인 가족생활 유지의 어려움 ○ 교육, 취업 등으로 초혼연령이 상승하고 있으며, 만혼화 경향, 혼인율의 저하가 나타나고 있음. 동시에 취업, 주거, 가족부담은 가족형성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이에 가족관점에서의 저출산대응정책이 필요 다. 젠더폭력의 증가와 대응방안 □ 새로운 형태의 젠더폭력 증가 양상과 적극적 대응방안 강화 필요 ○ 여성폭력 및 젠더폭력을 규제하는 법률이 제정된 이후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졌고, 피해자 보호와 가해자 처벌을 강화하는 관련법과 제도가 제정되어 확산됨 - 성폭력,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관련법 제정이후 피해자 지원을 위한 정부예산이 투입·확대되면서 피해자 지원서비스는 지난 20여년간 꾸준히 개선되었음 ○ 2004년 성매매특별법 도입 이후 “성매매 피해자” 개념이 등장하고, 이들을 지원하고 보호하는 제도와 서비스가 도입됨. 성매매 예방 및 탈성매매를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음 ○ 최근의 여성혐오, 새로운 형태의 젠더폭력 양상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 대응방안 강화 필요 라. 성평등수준 변화와 전망 □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성평등 수준 제고 필요 ○ 여성가족부의 2016년 한국의 성평등보고서 에 의하면, 보건분야가 95.4로 성평등 수준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교육·직업훈련 분야, 문화·정보 분야, 복지분야, 경제활동 분야, 가족분야 순임. 성평등 수준이 가장 낮은 분야는 의사결정 분야, 다음은 안전분야임 - 2015년 분야별 성평등 수준을 2011년과 비교하면, 성평등 수준이 가장 많이 개선된 분야는 가족분야로 10.4p가 증가함. 그 다음은 의사결정, 보건, 복지, 문화·정보, 경제활동, 교육·직업훈련 순으로 개선되었으며 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