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년대 후반 장편소설(掌篇小設)의 출현과 새로운 형식 실험

        홍성식 ( Hong Sung-si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5

        이 글에서는 주목하는 것은 1920년대 후반기에 잡지와 신문 등에 특집으로 기획된 장편소설(掌篇小說)이다. 한국 근대문학에서 최초로 장편소설(掌篇小說)에 문단적 관심을 보였고, 명칭의 문제와 그 형식과 조건에 대한 초기 인식도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당시 KAPF가 장편소설(掌篇小說)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고 또 많은 프로문학 작가들이 형식 실험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 대상작품은 1927년 『조선문단』 11월에 발표된 2편과 1928년 『조선지광』 3·4월호에서 소개된 9편, 1929년 3월 1일부터 30일까지 <조선일보>에서 연재된 17편의 소설들이다. 그리고 이를 둘러싼 시평들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근대 장편소설(掌篇小說)에 대한 인식과 새로운 형식 실험의 성과와 한계를 드러내게 될 것이다. 그런데 당시 장편소설(掌篇小說)과 콩트 혹은 일혈소설이라는 묶음제목으로 기획 혹은 연재된 작품들은 그야말로 시험적인 수준에 머물고 말았다. 『조선문단』과 『조선지광』의 작품들에서는 특기할 만한 것이 없었다. 다만, <조선일보>이 연재작품 중에는 박영희나 이태준, 유완희 등의 작품에서는 수준이 한층 성숙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1927년 제1차 방향전환 이후 목적의식적인 계급문학을 구현하기 위해 장편소설(掌篇小說)을 부르조아예술이란 발생론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활용의 측면에서 수용하고자 했던 KAPF의 시도는 대체로 성공적이지 못했다. 관심 표명의 강도와 의도에 비해 실제 창작한 작품 수준이 그를 따라잡지 못했던 것이다. 이태준의 장편소설(掌篇小說)에 대한 인식도 그렇지만, 시평에 참여한 김홍희, 박영희, 한설야 등 프로문학 측에서도 당시 장편소설(掌篇小說)이 짧다는 특성 이외의 양식적 특수성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지 못했다. 그건 장편소설(掌篇小說) 시험에 참여한 작가들도 마찬가지였다. 현재 장편소설(掌篇小說)을 창작한 작가의 수나 작품의 양 그리고 출현한 기간에 비하면 장편소설(掌篇小說)에 대한 연구는 무척 소외되어 있다. 단적으로 아직까지 단편소설보다 짧은 이러한 소설류를 무엇으로 불러야 할지에 대한 논의조차 진지하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글은 한국 장편소설(掌篇小說)의 초기 흐름을 추적하려는 일환이며, 장(場)을 달리하면 최근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과잉 생산되고 있는 초단편소설류과의 연관성을 가늠할 단초를 제공하기도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a palm fiction designed in magazines and newspapers in the late 1920s. Because, it showed a literature group interest in a palm fict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its early recognition of naming problems, forms and conditions was also revealed.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KAPF is critically accepting the palm fiction and many writers are participating. Works were 2 works in the 『Joseonmundan』(1927.11), 9 works in 『Joseonjigwang』(1928.3·4), and 17 works in < Chosunilbo >(3.1-30, 1929). And analyzed the perception about Korean modern palm fiction and the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of the new formal experiment. However, the works planned or serialized with palm fiction and conte or Ilhyeol fiction were experimental levels. There was nothing worth mentioning in the works of 『Joseonmundan』 and 『Joseonjigwang』. However, the works of Park Young-hee, Lee Tae-joon and Yoo Wan-hee in the < Chosunilbo > series have matured. But the palm fiction acceptance of KAPF was largely unsuccessful. The level of work was insufficient for the size and intention of attention. Kim Hong-hee, Park Young-hee and Han Seol-ya also understood that palm fiction was only short. They did not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stylized peculiarities of palm fiction. The same is Lee Tae-joon's recognition about palm fiction. Currently, the number of palm fiction writers and the amount of works are large. And very long ago palm fiction appeared. But research is too scarce. It is not yet seriously discussed what to call a short-short story. Therefore, this article intends to trace the initial flow of palm fiction in Korea.

      • 안전한 액티브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홍성식,한인성,유황빈,Hong, Sung-Sik,Han, In-Sung,Ryou, Hwang-Bin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2 No.4

        기존의 수동적인 네트워크는 단순히 데이터의 저장과 전송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이와 달리 액티브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전송로상에서 전달중인 패킷에 대한 연산작업이 가능한 네트워크 패러다임이 1990년대 소개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네트워크 패킷에 대한 능동적인 처리가 가능하다는 특징은 보안에 관한 측면에서는 보다 많은 보안상의 위협가능성을 고려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능동적인 처리가 가능한 액티브 네트워크 환경의 취약점을 보안하고자 패킷 분리 방식을 이용한 안전한 액티브 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고자 하는 시스템은 액티브 노드의 관리와 서비스의 이용자에 대한 관리가 가능한 모델로 설계하며, 패킷의 암호화와 세션을 이용한 패킷 전송을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The existing passive networks have the only data-storing and transmission functions. On the other hand, the active network which can do operation jobs on the transmitting packets was introduced at 1990's. However, the advantages of activating processing are obviously more complex than traditional networks and raise considerable security issu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afer structure in Active Networks that is based on the discrete approach which resolves the weak point of the Active Network.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the node management and user management in the Active Networks, and improves the security of Packet transmission with packet cryptography and the session.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산복사나무 ( Prunus davidiana FR. ) 의 성열배와 (成熱胚) 유식물에 있어서 유관속계의 (幼管束系) 분화

        홍성식(Sung Sik Hong),이재두(Chai Doo Lee),소웅영(Woong Young Soh) 한국식물학회 1985 Journal of Plant Biology Vol.28 No.4

        To examine the differentiation and transition of vascular system in Prunus davidiana FR., the mature embryo and developing seedings were embedded in paraplast and treated by clearing method. In mature embryo, the procambium was connected with the epicotyl-hypocotyl-radicle axis and cotyledons, whereas protophloem and protoxylem were restricted primarily to the mid-vein and two lateral veins of the cotyledonary base. With the onset of germination, protophloem and protoxylem were differentiated both acropetally and basipetally from the cotyledonary base. The first and second leaf traces appeared in the cotyledonary node, and then differentiated bidirectionally toward the epicotyl and the root tip. The 3rd to 6th leaf traces were connected with the cotyledonary traces in hypocotyl. At the part of the root tip, the xylem was a diarch. As the first and second leaf traces were superimposed at the middle part of the root, the diarch xylem was changed to a tetrarch. As the cotyledonary traces were diverged below the root base, the tetrarch xylem was changed to an octarch. It was suggested that the vascular system of the epicotyl might be superimposed on that of the cotyledon-hypocotyl-root during the formation of the primary vascular system of Prunus davidiana.

      • KCI등재

        <자유주제> : 『괭이부리말 아이들』, 결손과 무관심의 공간에서 치유와 연대의 장소로의 전화

        홍성식 ( Sung Sik Ho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5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8

        인천은 급속한 근대화와 도시팽창의 과정에서 주인 없는 뜨내기 도시처럼 정체성의 혼돈과 정주의식의 부재에 시달려왔다. 특히, 만석동은 인천에서도 여러 가지 이유로 밀려난 사람들이 마지막으로 찾는 후미진 공간으로 존재해 왔다. 이 글은 만석동을 배경으로 한 김중미의 『괭이부리말 아이들』을 통해서 괭이부리마을의 토포필리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괭이부리마을이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이른바 창조적 파괴에 맞서 형성한 그 공간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 정체성을 살펴보는 과정에서『괭이부리말 아이들』을 둘러싸고 제기된 리얼리티의 결핍이라는 한계를 어느 정도 해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현실적인 상황에서는 도무지 이루어질 수 없을 것 같은 행복한 결말이 실은 괭이부리마을이라는 장소의 특수성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괭이부리말 아이들』에 나타난 토포필리아는 이푸투안의 인간주의 지리학에 의존하여 규명하였다. 괭이부리마을과 그 공간 속에서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의미 있는 공간을 공유의 공간과 단절의 공간과 기억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괭이부리마을 안의 이층마당과 동준·동수와 숙희·숙자, 영호의 방과 집 그리고 다락을 공유의 장소로, 교회를 단절의 공간으로 보았다. 또한 괭이부리마을 밖 기억의 장소가 괭이부리마을 사람들의 연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었다. 포구와 송현시장, 자유공원이 그러한 장소였다. 괭이부리마을은 더럽고 구질구질한 생활과 흔적들로 가득한 공간이지만,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과 그 들의 유대를 통해서 특수한 가치공간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하겠다. In this thesis studied the Topophilia appeared in『The children lived in Gweonguiburi town』. In the process of entrepreneurial city expansion projects is accelerating Gweonguiburi town became more alienated. But why Gweonguiburi town could retain its identity was due to sticky solidarity of the people. And that solidarity was because of space and memory for it Gweonguiburi town. This special placeness was formed Topophilia of Gweonguiburi town. Topophilia in『The children lived in Gweonguiburi town』depend on the Humanistic Geography of Yi-fu Tuan. Gweonguiburi town was investigated by the place of sharing and place of disconnection. In addition, Gweonguiburi town of outside place of memory is also examined.

      • KCI등재

        서발턴에 대한 진실한 기록, 1970년대 르포

        홍성식 ( Sung Sik Ho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2

        이 글에서는 1970년대 노동자, 농민, 도시빈민 등 당시 사회에서 소외된 지점에 놓여 있었던 서발턴의 삶을 기록한 르포를 연구하였다. 70년대 르포는 소설이 가닿지 못한 서발턴의 삶을 생생하게 재현하고 있다. 리얼리즘 소설이 서발턴의 삶과 생활에 대해 감상주의 혹은 소재주의의 한계를 노정할 때, 그를 대신해 서발턴을 주체 혹은 매개로 내세워 그들의 삶을 진실하게 기록한 것이다. 당대 르포는 서발턴이 직접글쓰기 주체로 나선 수기·일기와 함께 논픽션 글쓰기의 영역을 개척하여 기존의 문학장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문학 엘리트의 전유물이자 완강한 제도적인 틀에 갇혀 있었던 한국문학, 특히 서사텍스트가 신문과 잡지 등 담론매체의 형성에 힘입어 기존 문학질서를 뒤흔들었던 것이다. 이는 노동과 생산의 주체가 창작의 주체로 부상하여, 자기 계급에 대한 확신과 역사와 사회에 대한 주체적 역할에 대한 인식의 확대로도 전개되었다. 이 글에서 주목한 것은 전문작가가 보여주는 서발턴의 기록이다. 이것이 당시 지식인작가의 한계에서 배태된 민족문학의 위기를 대신할 한가능성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작가라는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면서 심층취재를 통해 당대 현실과 노동 속에 가로놓인 서발턴에 대해 지식인작가와는 다른 시각과 접근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즉 노동 모순의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대기업 공장노동자부터 그 모순으로부터 파생된 가정부, 심지어는 접대부의 삶까지 취재하여 그들의 생활을 여과없이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70년대 전문리포터의 르포는 개별적인 서발턴에 주목하기도 하면서 서발턴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어용노조나 비정규학교, 더 나아가 기존 언론매체에 의해 왜곡된 사건까지 파헤쳤다. 이와 같은 현장성과 다양성 때문에 리얼리즘문학보다 르포로 전해지는 서발턴의 삶의 이야기가 훨씬 큰 공감대를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s reportage of 1970s life of subaltern like laborer, peasants, urban lower class and so on. 70s reportage represented the life of subaltern lively. Instead of when the realism novel revealed the limit of sentimentalism or materialism about subaltern`s life, reportage recorded the vivid life of subaltern as a subject. The reportage of the day took charge of breaking the domain of nonfiction writing to extend literary-field. At that time, Korean literature was limited as a positions of literary elite and stubborn institutional structure. Especially, the form of discourses media like news and magazine helped narrative text to break the existing literary order. This made labor and production`s subject rose as a subject of creation and developed extension of recognition about conviction of own class and subjective role for history and society. This article focuses a record of subaltern written by professional writer. It is because this revealed a possibility of substitution made from national literature`s crisis which originated from elite writer`s boundary at that time. It represented from the life of enterprise laborer who is germane parties of labor contradiction to the life of housekeeper and also barmaid which deprived from the contradict. 70s professional reporter`s reportage observes individual subaltern. And it dug into the affair was strained by company dominated union which surround subaltern`s life or irregular school and existing media. Because of the practical field and the variety, subaltern`s life story was encouraged empathy by reportage than realism.

      • SCOPUSKCI등재

        은행나무의 성숙배 (成熟胚) 및 유 (幼) 식물에 있어서 유관속조직의 (維管束祖織) 분화

        홍성식(Sung Sik Hong),소웅영(Woong Young Soh) 한국식물학회 1983 Journal of Plant Biology Vol.26 No.4

        Mature embryo and developing seedings of Ginkgo biloba L. were embedded in a parablast and serially sectioned at 10㎛ to examine vascular differentiation and vascular transition. Procambium and protophloem formed a continuous system along the epicotylhypocotyl root axis and cotyledons in mature embryo, whereas protoxylem was differentiated discontinuously in the cotyledons and rarely in the upper hypocotyl. The tr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eaf primordia appeared almost at the same time oppositely to each other at the epicotyl and alternately with the cotyledon traces in the upper hypocotyl. The trace differentiated bidirectionally toward the epicotyl and root tips. The young root initially formed a diarch xylem. Then, as the tr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eaves were superimposed, the disrch xylem of the root was changed to triarch and tetrarch xylem, respectively. On the formation of primary vascular system of Ginkgo biloba, it is suggested that the primary phloem forms a continuous system throughout the seedling, whereas the primary xylem of the epicotyl is formed independently from that of the root-hypocotyl cotyledon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90년대 엽편소설 기획·출판의 활성화와 그 의미

        홍성식 ( Hong¸ Sung-si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9

        1990년대는 80년대를 지배했던 이념과 정치 중심의 거대담론이 해체되어 새로운 주조를 탐색하는 전형기(轉形期)적인 특성을 갖는다. 계급·민족·계몽 대신에 탈계급·탈민족·탈계몽이 자리하면서 거대담론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다양한 파장들이 생겨났다. 문학은 대중문화의 열풍 속에서 일상과 개인의 내면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고 자연, 생명, 여성, 다문화 문제 등으로 주제가 다양화되었다. 90년대 후반기에 접어들면서 서사양식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 중 하나가 엽편소설의 등장이다. 이 글에서는 대체로 1996년부터 『작가세계』와 『문학사상』에서 기획한 엽편소설 특집과 같은 시기에 최성각, 박상우, 김소진, 윤대녕, 성석제, 구효서, 이순원, 전은강, 전상국, 박덕규, 하창수 등 출판 붐을 이룬 엽편소설집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당시 수많은 작품이 발표되었음에도 여전히 연구의 사각지대에 놓인 엽편소설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동시에 1920년대 후반기 『조선문단』, 『조선지광』, 『조선일보』 등에서 제기된 장편소설(掌篇小說, 콩트)부터 최근 기하급수적으로 생산·소비되면서 팽창하고 있는 웹 기반의 통칭 초단편 소설까지 짧은 서사들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는 한 과정이기도 하다. 1990년대 안에서는 80년대 문학과는 다른 자리에 선 엽편소설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의미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물음은 ‘1990년대 후반기 엽편소설은 문학(소설)의 위기 타개라는 기대에 부응했는가’이다. 당시 본격문학의 자리에 올라서진 못한 부동적인 존재였음에도 엽편소설에 기대했던 것은 새로운 대안의 양식이 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이었다. 『작가세계』 특집에는 기성과 신인의 구분 없이 다양한 작가들이 등장했다. 소설가뿐만 아니라 시인들 역시 이 형식적인 실험에 참여했다. 소설과 시 혹은 소설과 수필의 경계에 서 있는 작품들도 보이지만 다양한 실험을 통해 문학에 대한 매우 새로움과 흥미를 소환하고자 하였다. 『문학사상』에서는 형식적인 실험에 흥행(대중성)까지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참여 작가와 주제가 『작가세계』보다 훨씬 다양하고 넓다. 그러나 엽편소설에 대한 양식적 이해가 부재한 가운데 이를 정립하려는 작가적 노력도 미미했다. 문학지의 기획 의도와 발표된 작품 양에 비해 주목할 만한 작품이 너무 적었다. 또 단행본으로 소개된 엽편소설집에서는 개별 작가의 개성과 경향성이 뚜렷이 드러났다. 사소한 삶 속에서 인생의 의미를 찾는 과정은 공통되나, 그 방향은 매우 다양했다. 성석제는 희화화의 방식을 통해 기존질서와 권위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찾았고, 김소진은 소소한 일상의 의미를 뒤돌아보는 과정에서 찾기도 했다. 세기말과 물신주의를 보다 직접적으로 풍자·비판한 최성각과 전은강, 인간사의 보다 근원적인 문제를 다룬 하창수와 이외수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작가 간은 물론 같은 작품집 안에서도 질적인 차이가 상당했다는 점과 각 작가들의 단편과 장편에 비교할 때 엽편소설의 문학성은 현저히 미치지 못한 점 등은 한번 되짚어봐야 할 문제다. The 1990s was a time when the metadiscourse centered on ideology and politics was dismantled and a new mainstream was explored. Instead of class, nation, enlightenment, post-class, post-nation, de-enlightenment took place and various trends emerged. Topics such as nature, life, women and multicultural issues have diversified. In the late 90s, the narrative style also changed significantly. This is the emergence of Yeobpyeon-Soseol.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special novels of 『Jaggasegye』 and 『Munhagsasang』 and many Collections of Yeobpyeon-Soseol. Various writers such as established and new appeared In 『Jaggasegye』. Not only novelists but also poets participated in formal experiments. There were also works that stood in the middle or between novels and poetry or novels and essays. They tried to bring newness and interest in literature through various experiments. 『Munhagsasang』 was designed from formal experiment to box office success(popularity). The writers and subjects are much wider and more diverse than in 『Jaggasegye』. However, there was a lack of stylistic understanding of the novel and the author's efforts to establish this were also weak. There were too few remarkable works for the amount of work. In the Collection of Yeobpyeon-Soseol, the artist's personality and tendency were clearly revealed. The process of finding the meaning of life in a trivial life was common, but the directions were very diverse. Seong Seok-je dismantled the existing order and authority through interest and fun, and Kim So-jin found it in the process of looking back on the meaning of small everyday lif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not only between writers but also within the same collection. Also, compared to the writers shorts and novels, Yeobpyeon-Soseol's literary quality was very po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