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 자와 죽은 자의 선물 교환과 믿음체계:인도네시아 남 술라웨시 (South Sulawesi) 섬의 따나 또라자 (Tana Toraja) 장례식의 사례

        홍석준,Hong. Seok-Jo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2

        이 글은 인도네시아 남 술라웨시(South Sulawesi)의 따나 또라자(Tana Toraja) 지역의 장례식을 대상으로 산자와 죽은 자의 선물 교환과 믿음체계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한 기술과 분석을 통해 산자와 죽은 자 사이의 거래의 경제적, 문화적 특징과 그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또라자의 장례식은 죽은 자를 위해 산 자들이 정성과 제물을 들이는 증여와 거래의 현장이다. 그리고 그러한 증여와 거래가 발생하는 이유는 공동체 내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결부되기 때문이다. 장례식에서 산 자들은 죽은 자를 애도하기 위해서만 물소나 돼지와 같은 제물을 선물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장래를 위한 투자이기도 하다. 장례식은 산 자와 죽은 자와의 증여와 거래를 매개로 하여, 죽은 자와 산 자, 그리고 산 자들 사이의 유대를 더욱 강화하고 돈독하게 하는, 소위 친목과 유대의 장인 것이다. 장례식에서 선물을 가져 온 사람들의 이름이 호명된다는 점에서, 이는 조문객들 로서는 생전에 죽은 자에게 입었던 은혜를 갚는 것이고, 훗날에 죽은 자의 후손 들에게 그에 대한 보답이나 답례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례식은 산 자와 죽은 자, 산 자들 사이의 증여와 거래가 이루어지는 문화 현장인 것이다. This study is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nterrelationships between gift exchange and belief system of the living and the dea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funerals in Tana Toraja, South Sulawesi, Indonesia. The funerals in Tana Toraja is a cultural field in gift exchange and transaction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gift exchange and transaction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social status of the dead and the living in Tana Toraja. The gift exchange and transaction in funerals of Tana Toraja is regarded as the investment for the living to the dead, as well as the belief system to mourn the dead by the living. The funerals in this region are the cultural fields to strengthen and reinforce the interrelationships and inter-solidarities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through the gift exchange and transaction of buffalos and pigs.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In this sense, the funerals of Tana Toraja in South Sulawesi, Indonesia can be recognized as the cultural fields for the gift exchange and belief system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Those fields are not a fixed entity, but a changing reality continuously.

      • 현대 한국에서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홍석준(Hong, Seok-joon)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인간 Vol.7 No.1·2

        오늘날 한국 사회는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라고 정의될 수 있는가? 이 질문은 현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는 다문화가정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다문화사회’ 또는 ‘다문화주의’, ‘다문화가정 또는 다문화가족’의 사회문화적 현상이라고 볼 수 있는 일이나 사건, 현상들을 일상생활의 수준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2018년 현재 한국은 200만 명 이상의 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이다. 그 결과 ‘다문화’ 또는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는 이제 한국인의 “일반적인 삶의 양식”의 일부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국제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2세, 국제이주노동자, 새터민 등의 증가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그들에 대한 복지의 확충 및 사회통합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거주하는 민족이나 종족 또는 인종이 다양해진 것이지 한국 사회의 포용성이나 문화적 다양성이 확대, 심화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주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것도 부인하기 힘든 엄연한 사실이다. 아울러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급속하게 진전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학계와 시민단체등에서 다문화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증대되고 있는 것 또한 부인하기 힘든 사실이다. 한국 사회의 단일민족 의식과 순혈주의, 불법체류자의 증가, 다문화가정에 대한 복지예산 증액, 국제결혼 가정의 이혼율 증가, 새터민과 다문화가정 2세들의 학교와 사회에서의 부적응, 외국인범죄의 증가 등이 이러한 다문화 또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우려를 자아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해결 방안과 학계 및 시민사회의 진지한 고민과 대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상이다. 이 글에서는 저간의 ‘다문화’ 담론들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역설적으로 문화공동체로서의 다문화 또는 다문화주의의 실체를 규명하는 단서를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문화의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다문화의 실체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것임에도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목적을 위해 다양한 담론이 조작, 변형되는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다양한 ‘다문화’ 담론들이 사실은 한국이라는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이득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다문화’ 담론들은 어떠한 역사적 배경 하에서 형성, 변화되어 왔으며, 그것이 갖는 문화적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를 현재적 맥락에서 고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긴요하고도 시급한 일이라는 전제하에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and reviews critically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Korea. In this paper, I consider the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in Korea currently progressing into multiculturalism discourses through some concrete exampl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ism. I will focus o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so-called anti-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Korea. In this paper, I attempt to review critically the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anti-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Korea. For this purpose, I will examine and review critically the diverse dimensions of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anti-multiculturalism”, and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al meanings of “multiculturalism” discourses in contemporary Korea. In this paper, I regard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multicultural society”, or “multicultural family” and so forth, as an important socio-cultural phenomena to underst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ulticulturalism” discourses or cultural politics of “multiculturalism” identity in contemporary Korea. It is designed that this attempt is a part of academic inquiry for establishing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nalysis new framework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multicultural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In conclusion, this attempt to examine the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multicultural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al meanings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identity in Korea, is to improv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damunwha gajeong, or damunwha gajok(multicultural family in Korean society)”and Korean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roduction and re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or “anti-multiculturalism” in contemporary Korea.

      • KCI등재

        진도의 바다 세계와 진도 문화의 해양문화관광 자원화 방안

        홍석준(Seok-Joon Ho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6 島嶼文化 Vol.28 No.-

        한반도 서남해 지역의 바다와 섬의 역사와 문화의 보고(寶庫)이자 산실이기도 한 진도는 예로부터 전남의 예향 전통을 계승한 지역으로도 유명한 곳이다. 진도는 육지세계와는 다른 역사와 문화를 보유해 왔다. 진도 나름대로의 고유하면서도 독특한 도서성(insularity)으로 인해 중앙정부의 집권체제에서 벗어나 바다와 섬만의 고유성과 진정성을 보전할 수 있었다. 다도해의 절경을 배경으로 유구한 시간의 흐름 속에서 형성, 변모해 온 진도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역사ㆍ문화적 자원과 민속문화는 21세기 새로이 세계로 향하는 신해양 실크로드의 문화중계자(culture hub)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것임에 틀림이 없다. 각종 해상문화자원의 활용과 레포츠의 응용, 건강과 진정한 의미에서의 웰빙(well-being)에 대한 관심, 세계화의 진전 등의 21세기 신해양시대의 변화는 진도와 진도 사람들의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며, 이는 관광의 활성화라는 주제에서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향후 진도의 사회와 문화는 과거의 문화적 흔적에서 연유한 세계와 단절되어 육지로부터 유배된 사람들이 집결하여 신세타령을 위한 음풍농월이나 중앙 회기로의 막연한 기대나 동경을 염원하는 소극적이고 비관적인 관점이 지배하던 과거의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21세기 신해양 시대를 주도하면서 전 세계의 해양세계의 가치와 원리를 재구축하는 해양문화의 전진기지이자 문화 발신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주체적 모습으로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선 진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며, 이에 대한 역사문화 관련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이를 콘텐츠화하고자 하는 인적 자원의 양성과 이에 대한 기술적, 물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진도의 역사와 문화를 해양문화관광을 위한 자원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도의 문화를 어떻게 관광자원화할 것이며, 이를 위한 효과적인 홍보 방안은 무엇인가를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진도의 역사와 문화가 갖는 역사적, 문화적 특징과 의미에 주목하여, 이를 바다관광 자원화하기 위한 실질적 방안과 연계하여 진도 문화의 콘텐츠화를 위해선 어떻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논의한다. Jindo, one of the islands which are located in the southwestern area of Korea Peninsula, is very famous for a precious cultural area of Korean traditional historic-cultural heritage, especially an island that has a lot of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nsularity,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image of separation or remoteness. However, Jindo should be born as one of the new place that has diverse insular and maritime cultural heritage and cultural contents can be created and utilized by the reinterpretations of Jindo's cultural heritage.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Jindo's historic-cultural heritage, and investigates the method of how Jindo's cultural resources can be produced, developed and utilized by the reinterpretations of Jindo culture, especially focused on those of 'separation of sea' phenomenon observed in Jindo island. In this paper, I suggest several ways of how historic-cultural heritage in Jindo should be developed and practiced by the reinterpretation or reconstruction of previous image of sea world in geneneral, and by that of Jindo island in particular.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의 해양세계와 ‘鄭和(Zheng He, Cheong Ho) 의 남해 대원정’ 의 문화적 의미

        홍석준(Hong Seok-Joon)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9 島嶼文化 Vol.0 No.34

        이 논문은 중국과 말레이시아 사이의 교역 및 외교관계의 역사적 배경에 대해 간략히 검토한 다음, 양국 간의 역사적, 문화적 상호작용에 관한 지역 자료와 정화에 관한 말레이시아 화인들의 문헌들을 검토함으로써 정화의 남해 대원정이 갖는 현재적 의미를, 현재 양국 간의 교역 및 외교관계가 갖는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정화의 남해 대원정이 현재 말레이시아 사회에서 갖는 문화적 의미에 대해 비판적인 성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어서 정화의 남해 대원정과 동남아시아의 해양세계,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항구도시였던 믈라까와의 관련성에 주목하면서, 말레이시아의 현재적 관점에서 정화와 믈라까의 관계에 대한 종래의 역사 기술과 해석에 대해 재고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믈라까의 항구도시로서의 의미를 정화의 남해 대원정과 동아시아 해양 세계의 맥락 속에서 고찰함으로써 정화의 남해 대원정이 갖는 현재적 의미를 말레이시아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파악하고, 이를 향후 중국과 말레이시아 사이의 문화교류의 활성화라는 차원에서 정화의 남해 대원정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rade and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Malaysia and China, thereafter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Zheng He(Cheng Ho)'s Voyage of South Sea in East Asian sea worl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trade and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Malaysia and China, through examining literatures and historical records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nteractions between Malaysia and China. In doing so, I intend to review critically on the cultural meanings of Zheng He( Cheng Ho)' s Voyage of South Sea in contemporary Malaysian socio-cultural context. Furthermore, I rethink the previous historiograhy and interpretation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Zheng He(Cheng Ho)'s Voyage of South Sea and Melaka(Malacca) city, which was the most famous international port city in Southeast Asia at that time, in term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elaka port city and Southeast Asian sea world, focusing on what the cultural meanings of Zheng He(Cheng Ho)'s voyage of South Sea to Melaka city are in contemporary Malaysia. Finally, I propose several interpretations on Zheng He(Cheng Ho)' s voyage of South Sea to build and rebuild the deplomatic interrelationship and socio-cultural exchange between Malaysia and China more productively for the future, under rapid changing circumstances in East Asia, including Malaysia and China.

      • KCI등재

        현대 말레이시아 이슬람부흥운동의 문화적 의미

        홍석준(Seok Joon Hong) 한국동남아학회 2001 동남아시아연구 Vol.11 No.1

        This paper intend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slamic Revivalism, Islamization and its cultural meanings in Contemporary Malaysia. It focuses on the chang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Malay Islam and society. It draws the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Islamization in Malay society and its change in the Islamic doctrines and principles, and reveals the cultural meanings of Islamic Revivalism in Contemporary Malaysia. The spread of Islamic Revivalism has been happened dramatically since the early 1970s, when the Islamic revival movement begins with the enormous change of the Malay society and culture. Islam has been a dominant feature of religious and everyday life in the Malays which have been influenced by the various and complex processes of Islamic Revivalism which was symbolized by the emergence of `dakwah(originally calling Islam in Malay) movement. The dakwah movement aimed to propagate Islamic principles and values to Malay muslims. It was in this context that Islamization has been accelerated in Malaysia with an increasing polit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Now it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cisive factors on the direction and scope of cultural changes in Malaysia. As I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slamization processes, in many cases, for example, the case of Islamic discourse on Malay Muslim women, Anwar episode, and Islamic discourse on political arena, the binary opposition or conflict between UMNO and PAS among the Malays have been intensified. Most Malays have split into two political factions in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the process of Islamization had contributed to the extension of the Islamic norms and principles. The different interpretation or understanding of Islamic principles and norms among the Malays has an impact on intensification of political opposition between them. Nowadays,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at the Malay Islam in Contemporary Malaysia should be in the near future. However, it seems that the process of Islamization in Malaysia is toward the intensification of the Islamic principles and values by the ulama and religious intellectuals, but the characteristics of Islam in Malaysia is changed by the political, economic, socio-cultural change of Malay society and Malays` attitude and value on Islam.

      • KCI등재

        지역연구(area studies)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인류학적 성찰 :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홍석준 ( Seok Joon H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6

        현대사회는 전지구적 문화(global culture)와 지역문화(local culture)가 공존하는, 복합적이면서도 다양한 문화적 현상이 지배하는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소위 ``지역연구``(area studies)에 대한 각별한 관심은 이러한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에 관심을 기울여 온 인류학에서 지역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실천의 역사는 다른 학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편이다. 인류학이 지역연구에 기여한 바는 지역에 대한 관심과 실천에 있어서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시켰다는 점일 것이다. 특히 특정 지역의 문화 전반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온 문화인류학자들은 초창기부터 부족, 종족, 국가 단위뿐만 아니라 문화라는 단위를 지역연구의 기준으로 사용할 것을 주창해 왔다. 그러나 지역연구가 활성화되고 발전함에 따라 부족이나 종족, 국가 단위의 분류는 지역연구의 대상과 영역을 사실상 협소화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문화의 개념에 기초한 구분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여기서는 지역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작으로, 지역연구와 문화인류학의 관계를 살펴본 후, ``호남 지역문화`` 연구를 사례로 기존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를 거쳐 향후 호남 지역연구를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나아가 문화인류학적 관점에서 지역연구로서의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이를 위해선 어떠한 이론적, 방법론적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호남 지역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재해석을 요하는 일로, 호남 지역문화 연구의 지평을 확장, 심화하기 위해선 지역문화를 다루는 다양한 학문 분야로부터의 다각적인 접근을 어떻게 통합 또는 융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토론의 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area studies critically. In doing so, I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rea studies and anthropology, estim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호남)``(including Jellanam-do and Jellabuk-do provinces which are located in Southwestern area of Korea Peninsula) area studies, and propose the orientations towards the development of ``honam`` area studies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I review some issues on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works to reflect and develop the ``honam`` area studies in Korea. And I think that this study is to (re)interpretate the outcomes of previous ``honam`` area studies, especially focused on ``honam`` culture and society, including cultures and societies of islanders` everyday of lives, urban history and culture of port cities, and maritime culture and history and folklore. Furthermore, I review how to integrate the various approaches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fields of ``honam`` area studies into a new academic area or an united knowledge system to provide the proper understanding of ``honam`` culture and society.

      • KCI등재

        무슬림 여성들의 가족 및 혼인에 대한 인식

        홍석준(Hong, Seok-Joon)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이 글은 무슬림 여성들의 가족 및 혼인에 대한 인식을 한국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실천적 함의라는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무슬림인 한국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사회에의 정착과 적응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한국에 국제결혼으로 이주한 무슬림 여성들의 결혼과 혼인에 대한 인식이 한국사회에 정착하여 적응하는 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주안점을 두고 이들의 대응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는 무슬림의 정체성 문제를 무슬림 여성결혼 이주자들의 한국사회에의 적응과 전략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러한 접근은 날로 늘어나는 무슬림 여성들의 한국 사회에서의 생활 경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이를 문화적 실천이라는 맥락에서 고찰함으로써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넘어 그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라는 문화적 실천의 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학술적 실험을 제공할 것이다. 나아가 국제결혼이민자들의 적응력을 높이는 실질적인 실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 무슬림 여성들의 정체성은 국제이주 과정에서 항상 변화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그들의 정체성이 한국 사회와 같은 낮선 곳에 이주하여 살아갈 때 경험하는 다양한 문화적 갈등과 대립을 넘어 정착 또는 적응하는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작업은 매우 유의미한 결론을 제공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무슬림 여성들이 이주가 급증하고 있는 현재의 한국 사회의 문화적 환경을 고려할 때, 이러한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이주한 무슬림 여성들의 사례 연구는 본격적인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에서 살아가는 무슬림 여성 이주자들의 성공적인 적응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학술적, 실천적 작업은 이슬람이라는 종교적 요소가 문화적 환경, 특히 혼인과 가족이라는 사회관계의 틀 내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 이해할 수 있는 준거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는 문화 간 접촉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현상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지역연구 나아가 결혼이민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환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Muslim women in contemporary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erceptions on family and marriage of Muslim migrants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with Korean males. In this paper, I investigat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uslim women’s identity from the development and use of adaptation and copying strategies of Muslim migrant women in rural area of Korea. For this purpose, I intend to develop and u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Muslim migrant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with Korean male in contemporary Korea. Basically, this paper is based upon the preliminary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adaptation model for Muslim women in Korea. In this sense,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a pilot study. In this study, I hope that this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will contribute to develop and use practical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successful and meaningful adaptation of these Muslim women to Korea. It is obvious that the Muslim women’s identity will change in the process of international migration. Muslim women in Korea are not exception. Their identities are (re)formed and transformed in the process of adaption and conflict in the everyday lives of Muslim women in Korea. Especially, as Muslim women, their perceptions of family and marriage are always changing in the new and different cultural situations in Korea, where not so many Muslim women live in. In this paper, I explor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Muslim women in contemporary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erceptions on family and marriage of Muslim migrants women in rural area of contemporary Korea. And I try to construc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 for Muslim women to adapt successfully to Korean cultural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동남아시아 문화연구의 특징과 전망

        홍석준(Hong, Seok-Joon) 한국문화연구학회 2013 문화연구 Vol.2 No.1

        이 글에서는 우선 영국에 기원을 둔 문화연구의 특징과 발전과정, 그리고 그 내용과 전술,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 그리고 말레이시아에서 문화연구가 출현하게 된 배경과 특징,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와 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의 상호 관계,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와 인류학적 연구와의 상호 관련성이라는 각각의 주제를 고찰한다. 문화연구 전체의 구도 속에서 동남아시아의 문화연구, 특히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에 대한 고찰은 문화연구의 역사적 기원이나 계보학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레이먼드 윌리엄스나 스튜어트 홀, 그리고 그 이후의 주요 문화연구자들이 문화연구를 둘러싸고 어떠한 상황에 직면해 ‘문화’와 관련된 연구 질문이나 문제를 제기하고, 어떠한 구체적인 기술과 분석을 수행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일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이는 문화연구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변증법적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과 필요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 글에서 영국 문화연구의 초기 역사와 활동 내용을 소개하고, 설명하는 데 상당한 분량을 할애한 것은 동남아시아, 특히 말레이시아에서는 ‘문화연구’라는 용어가 아직까지도 인문사회과학계를 포함한 학계일반에 널리 소개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의 특성이나 의미에 대한 해석과 주장을 둘러싸고 의견이 분분한 사정이 현재까지도 지배적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그 특징에 대한 설명에 이어서, 앞으로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 진단과 평가를 한 후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 것으로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에 대한 검토 작업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n this paper, I review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of British cultural studies, and the contents, methodological strategies and tactics of cultural studies, originated from British cultural studies. Then, I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the thema on the interactions between Malaysian cultural studies and postcolonialism, 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studies and anthropological studies in Malaysia as well. This has relation to explore the reason why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Malaysia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on-Western societies and postcolonial situa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the world of cultural studies,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especially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s an inseparable relations to the examination or review of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concept of culture in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as well as in British cultural studies. This work evokes the interest in the dialectical interactions between specialty and universality of cultural studies in general and that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n particular. For this purpose, I do explain the current situ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and suggest the future prospect of cultural studies in Malayisia. Then,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 do diagnose and estimate the problems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n conclusion, I propose how to develop and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more successfully and meaning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