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산업의 공간적 분포 연구 -서울시 음악산업 가치사슬을 중심으로-

        홍보영 ( Bo Yeong Hong ),김경민 ( Kyung Min Kim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5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8 No.3

        음악산업은 창의산업의 한 영역으로 간주되며 문화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 그 영향력이 크다. 또한 다른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하여 부가가치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음악산업은 창의적인 인력과 문화 소비인구가 집중되어 있는 도시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기에, 음악산업 전반에 대한 연구와 도시 공간 내의 입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서울시를 대상으로 음악산업 가치사슬 내 각 가치체계별 도시공간내 입지를 GIS와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음악산업은 기획, 제작, 유통, 판매, 그리고 음악공연업으로 가치 체계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음악산업 가치사슬은 도시 공간 내에서 클러스터링을 이루며 공간적 자기상관을 보이는데, 가치사슬별로 주요 집적지역은 다르나 강남, 구로, 마포, 종로 일대 지역에 집중적으로 위치한다 Music industry is considered as a creative industry, which tends to locate within a city. However, there is very few paper analysing spatial patterns of music industry in Korea.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music industry’s value chain and its location pattern; whether it is clustered or dispersed. In detail, music industry contains five sub-industry: planning, manufacturing, distribution, sales and performance. Locational pattern of each sub-industry is tested by GIS and hot spot analysis. There are several findings from this research. First, value chain of music industry make clusters and have a spatial autocorrelation.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music industry makes a hotspot area at Gangnam, Guro, Mapo and Jongro-Junggu.

      • 대시메트릭 매핑 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건축물별 주거인구밀도의 재현

        이석준,이상욱,홍보영,엄홍민,신휴석,김경민,Lee, Sukjoon,Lee, Sang Wook,Hong, Bo Yeong,Eom, Hongmin,Shin, Hyu-Seok,Kim, Kyung-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3

        도시 내 거주하는 인구의 분포는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데이터는 정보기밀성 등을 이유로 일정한 공간단위로 집계되어 제공된다. 때문에 제공되는 것과 다른 공간단위나, 더 세밀한 공간분석을 요하는 연구와 활용이 제한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인구분포 데이터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여,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한 인구데이터 제공단위보다 세밀한 인구분포를 현실적으로 재현하고자 대시매트릭 매핑 기법을 활용하였다. 대시메트릭 매핑은 주 데이터와 연관된 공간적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 데이터의 공간적 분포를 세밀하게 나타내는 지도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집계구별 인구센서스 자료를 주 데이터로, 건축물 대장을 보조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모든 인구가 주거용 건축물에 거주한다고 가정하여 주거용 건축물 단위에서 인구분포를 재현하였다. 주거용 건축물을 공간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바이너리기법이 활용되었으며. 이후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건물 용도와 층수를 고려한 가중치를 부여해 입체적인 거주인구밀도를 재현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 토지 및 용도구역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방법론보다 현실적용오차를 줄였다. 또한 주거가능 건축물의 주택유형과 층수가 반영된 3차원적 공간자료를 활용하여 주거용 건축물에 거주하는 인구를 추정하는 모델을 도출하여, 정확도가 높고 세밀화 된 인구분포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개별 건물 단위의 인구 데이터는 일정한 공간단위로 집계를 재가공한 것으로 정보기밀성의 문제가 없는 세밀한 단위의 인구분포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후 도시 내 재난재해 발생에 따른 영향 인구 파악과 같은, 지역인구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써 의미를 지닌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residential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Korea more precisely through the dasymetric mapping method. Dasymetric mapping can be defined as a mapping method to calculate details from truncated spatial distribution of main statistical data by using ancillary data which is spatial data related to the main data. In this research, there are two types of data used for dasymetric mapping: the population data (2010) based on a output area survey in Seoul as the main data and the building footprint data including register information as ancillary spatial data. Using the binary method, it extracts residential buildings as actual areas where residents do live in. After that, the regression method is used for calculating the weights on population density by considering the building types and their gross floor areas. Finally, it can be reproduced three-dimensional density of residential population and drew a detailed dasymetric map. As a result, this allows to extract a more realistic calculating model of population distribution and draw a more accurate map of population distribution in Seoul. Therefore, this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as a source which can be applied in various researches concerning regional population in the future.

      • 작업 활동에 참여하는 알코올 환자의 기질적 특성

        한덕현(Doung-Hyun Han),홍보영(Bo-Young Hong),김진영(Jin-Yeong Kim),기백석(Baik-Seok Kee),이영식(Young-Sik Lee),민경준(Kyung-Joon Min)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4 사회정신의학 Vol.9 No.2

        연구목적: 작업 활동을 통한 직업의 확보는 알코올 의존증 환자의 금주 상태를 유지하는 생물-정신-사회적 기반을 마련할 뿐 아니라 금주 환자 재활의 2단계로서 새로운 사회생활 기술과 목표를 설정하는 도구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입원한 알코올 환자에서 작업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한 환자군과 작업 활동에 전혀 참여하지 않은 환자군의 기질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알코올 의존 환자의 재활 치료 시 작업 활동을 적극 유도해 낼 수 있는 치료 대책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국립춘천병원 알코올 병동에 입원한 알코올 의존 환자를 대상으로,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작업군과 작업에 전혀 참여하지 않은 비 작업군, 과거 안정적 직업을 5년 이상 유지한 안정적 직업군과 그렇지 못한 불안정직업군으로 나누어 각각 인구학적 특성과 TCI를 비교하였다. 결과: 불안정적인 직업을 유지 했던 군에서 NS, RD1 항목의 점수가 높았고, 안정적 직업군에서는 HA1, HA3, RD3 항목의 점수가 높았다. 작업 활동에 참여한 군에서 작업에 참여하지 않은 군보다 HA4 하위 항목을 제외한 위험회피의 전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결론: 환자들을 작업 활동에 적극 참여시키기 위해서는 비교적 짧은 시간의 작업과 지지적인 치료진의 태도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 된다. 작업을 통한 직업 활동에 있어서는 자극 추구의 기질적 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