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9 개정 중학교 과학① 교과서에 포함된 STEAM 활동 형태와 내용 분석

        홍민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As mankind in the 21st century is living in complex social issues related on science technology, it is essential to educate STEAM that can develop the integrative ability which is not only knowledge of science technology but also creative problem solving, force a decision, humanistic and artistic knowledg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ontaining STEAM is applied to the science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and these have been used from 2013, in order from 7th gra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how STEAM is reflected in textbooks from 2013. In this study,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how many STEAM activities are contained in textbooks and reflect any activity types and contents. Subjects of analysis are selected from the five sorts of textbooks that are used mostly among the nine sorts of them, and textbooks including two or more STEAM components of STEAM activities stated on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are selected to conduct type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for each activities of STEAM. For type analysis, STEAM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10 types by using an "analysis framework of STEAM activity types". For content analysis, each STEAM activity is analyzed in the components of STEAM using the framework of classification of Yakman and in integration level using integration pattern on the basis of Fogarty’s five patter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ult of number of STEAM activities in textbooks shows that Visang textbook is most at 146, Kumsung textbook was small most 12 in all STEAM activities and that Visang textbook is most at 70, Kumsung textbook was small most 9 in STEAM activities included two or more components of STEAM. From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STEAM activities described in textbooks were not appropriate. Second, STEAM type of activities included textbooks and each section depends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ctivity. The analysis of STEAM activity types in each textbooks shows that Read(R) type is most frequency in Mirae-n, Chunjae, Kumsung textbook, Express(E) in Visang and Creative design(C) in Doosan. However, Discussion(D), Media making(M), Visit & Experiential activity(VE), Hands-on-activity(H) type is hardly observed. In comparison to the textbook by section, type of STEAM activities contains the least from any textbook in Ⅰ Section, and the most from the most of the textbooks in Ⅲ, Ⅳ section. Third,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STEAM shows that STEAM activities associated with two are most frequent and combination of Arts(A), Science(S) is the most. However, STEAM activities associated with four or five is hardly observed. Looking a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mponents of STEAM, there are a lot of activities with the materials associated with the real-life most. In particular, STEAM activities highlighted technology was contained that reflects the trends in science and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state-of-the-art technology. Further, STEAM activity highlighted engineering is contained Creative design(C) type. Fourth, the analysis based on Fogarty’s integration types of STEAM activities shows that threaded type is most frequent, followed by sequenced, webbed, shared, integrated type. The 'integrated model'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is least. Therefo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students' interest, cultivate problem-solving skills and interdisciplinary thinking, it must consist of STEAM activities suitable. In particular, if Discussion(D), Media making(M), Visit & Experiential activity(VE), Hands-on-activity(H) type not included in the textbook were offered with the Read(R) type that presented relatively many in the textbook, the structure of the various activities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is possible. Further, by using the materials of the various real-lives, STEAM activity enhances the students’ interest. Furthermore, by using the activity associated with other areas of science, it increases the convergence thinking of the student. Finally, When constructing the webbed type of STEAM activity that is easier to construct the class than the integrated type, it is possible to compose STEAM activity contained high integrate level and the various components of STEAM. 21세기 인류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복합적인 사회 문제 속에서 살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학 기술 분야의 지식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 의사결정 능력, 인문예술학적 소양 등이 통합된 능력을 기르는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 Mathematics) 교육이 필수적이다. STEAM을 포함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학교 과학 교과서는 2013년을 시점으로 하여 중학교 1학년부터 순차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2013년부터 적용된 중학교 교과서에 STEAM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과서에 STEAM 활동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으며, 어떠한 형태와 내용으로 반영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과학①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9종 중에 많이 사용되는 5종을 선정하였으며,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STEAM 활동 중 STEAM 구성요소 2개 이상 포함된 것을 분석대상으로 선별하여 형태 분석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형태 분석은 STEAM 활동을 STEAM 활동 형태 분석틀을 이용하여 10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내용 분석은 Yakman의 분류틀을 이용하여 STEAM 활동에 포함된 STEAM 구성요소를 분석하였고, Fogarty의 교과 간 통합유형 5가지를 이용하여 STEAM 구성요소들 간의 통합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내 포함된 STEAM 활동 개수를 파악해본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체 STEAM 활동은 비상 교과서가 146개로 가장 많았고, 금성 교과서가 12개로 가장 적었다. 그리고 STEAM 구성요소가 2개 이상 포함된 STEAM 활동은 비상 교과서가 70개로 가장 많고, 금성 교과서가 9개로 가장 적었다. 이를 통해 교과서에 제시된 STEAM 활동이 모두 적합한 STEAM 활동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서 별, 교과서 단원 별로 포함된 STEAM 활동 형태는 STEAM 활동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교과서 별로 미래엔, 천재, 금성 교과서는 읽어보기(R) 형태가, 비상 교과서는 표현하기(E), 두산 교과서는 창의적 설계하기(C)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토의/토론하기(D), 영상매체제작하기(M), 탐방 및 체험하기(VE), 변인 조작하기(H) 형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교과서 단원 별로 비교해 보면, 미래엔 교과서를 제외하면Ⅰ단원은 STEAM 활동 형태가 가장 적게 포함되어 있었고, 대부분 Ⅲ, Ⅳ단원에서 많은 STEAM 활동 형태를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 STEAM 구성요소는 모든 교과서에서 STEAM 구성요소 2개가 연계된 것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과학(S)과 예술(A)의 조합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STEAM 구성요소가 4개나 5개로 연계된 활동은 많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STEAM 구성요소에 포함된 내용을 보면, 대부분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이용한 활동이 많이 있었다. 특히, 기술이 강조된 STEAM 활동은 첨단 과학 기술이나 최신 과학 동향을 반영한 내용들이었다. 또한 공학이 강조된 STEAM 활동은 창의적 설계하기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다. 넷째, STEAM 활동의 Fogarty 통합유형은 연계형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은 병렬형, 거미줄형, 공유형, 통합형 순으로 나타났다. 통합 정도가 가장 높은 통합형은 가장 적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중학교 과학① 교과서의 STEAM 활동은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적절한 STEAM 활동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교과서에 포함되지 않은 STEAM 활동 형태로 토의/토론하기(D), 영상매체제작하기(M), 탐방 및 체험하기(VE), 변인 조작하기(H) 형태는 교과서에서 비교적 많이 이용하고 있는 읽어보기(R) 형태와 함께 제시하면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의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실생활 소재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높임과 동시에 과학과 다른 영역과의 연계가 이루어진 활동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를 높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통합형보다는 비교적 수업을 구성하기 쉬운 거미줄형으로 STEAM 활동을 구성한다면, 통합 정도도 높고 다양한 STEAM 구성요소도 포함한 활동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지적개방성과 성실성의 2x2요인과 창의성간의 관계

        홍민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성격의 5요인과 창의성이 어떠한 상관을 갖는지 살펴본 후, 성격의 5요인 중 창의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요인이 무엇인지, 또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갖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성격 5요인의 하위요인 중 창의성과 가장 관련된다고 알려진 지적개방성과 성실성에 대하여, 그 두 요인의 상하 조합에 따른 4집단의 창의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탐구한 연구문제는 첫째, 성격의 5요인과 성격 5요인의 하위요인은 창의성과 어떠한 상관을 보이는가, 둘째, 성격의 5요인 중 창의성에 대하여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지적개방성과 성실성의 상하 조합에 따른 4집단 중 어떤 집단의 창의성이 가장 높은가 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의 2개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 244명이었다. 이들에 대해 직업인성 검사와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전진),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의 5요인 중 외향성, 지적개방성, 성실성이 창의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외향성 요인 중 리더쉽, 활동성, 자극추구, 명랑이, 지적개방성 요인 중 상상, 심미, 감수성, 신기, 지성이 창의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친화성 요인 중에는 이타와 동정이, 성실성 요인 중에는 자기유능감, 성취지향, 자율, 신중이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격의 5요인 중 창의성에 대한 유의한 설명력을 지니는 요인은 지적개방성과 성실성이었으며, 지적개방성이 창의성을 8.1% 설명하는 데 더하여 성실성 요인을 결합시키자 3.6%가 증가하여 총 11.7%의 설명력을 갖게 되었다. 셋째, 지적개방성과 성실성 모두 높은 집단이 두 요인이 모두 낮은 집단보다 창의성이 더 높았으며, 지적개방성이 낮은 두 집단 중 성실성 요인이 높은 집단이 성실성 요인이 낮은 집단보다 창의성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res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2x2 factor of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and creativity. It also explores relations of personality Big Five and creativity. We were interested in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does personality Big Five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reativity? Second, which factors of Big Five account for creativity most? Third, which group out of 4 devided by 2x2 factor of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scores higher on creativity? The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244 adolescents(129 males and 115 females, mean age 15.7). They were 1st-yea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y completed the Big Five personality test based on NEO-PI-R, and the creativity test produced by Korean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forward) and ANOVA.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traversion(leadership, activity, excitement-seeking, positive emotions), openness(fantasy, aesthetics, feelings, actions, ideas) and conscientiousness(competence, achievement striving, self-disciplin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reativity. Second, only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creativity; the former accounted for 8.1% of the variance in creativity and the latter accounted for an additional 3.6%. Third, the group rated both of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higher, and the group rated their openness lower and their conscientiousness higher scored higher on creativity than the group rated both lower.

      • 악기 구음을 활용한 시나위 감상 지도 방안

        홍민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student experience of the creative improvisation of Sinawi and appreciation of the musical beauty of melodies –and there in also lie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Accordingl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inawi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using the oral sound of instruments is suggested. The study also seeks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potential for educational use of oral sound and Sinawi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 analysis of textbooks regarding Sinawi appreci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method of Sinawi appreciation teaching. Furthermore, after analyzing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oral sound and Sinawi, a method for teaching the appreciation of Sinawi and a learning method are proposed based on the 4 stages of ‘understanding, experience, communication, and creation’. In addition, the suggested teaching method is related to the ideas of singing and creation as put forwar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s not solely confined to sphere of appreci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hat in order to teach Korean music in a manner that is best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oral sound should be utilized. In particular, the natural and long established notion that has been conventionally applied to Korean music teaching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the ‘singing’ function of oral sound in the teaching appreciation of Sinawi is recommended. Learning spontaneous melodies in relation to Sinawi by experience through oral sound facilitates appreciation of Sinawi, which is an instrumental music. Regard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ince it focuses on a proactive and systematic appreciation method of Sinawi using the oral sound of instrument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learn various musical expressions of oral sound education and experience the creativity of the oral sound and improvisation of Sinawi through the association of different educational elements.

      • 생물학적 소야의 함양을 위한 BSCS 통합권고안을 통한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분석 : 고등학교 생명과학을 중심으로

        홍민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대한민국 현 교육과정은 여러 가지 사회ㆍ문화적 환경의 변화와 학문적 발달 등으로 교육계와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인 ‘학습 분량의 적정화’와 ‘생명과학Ⅰ의 과목성격인 생물학적 소양(생명과학에 대한 기초 소양)’에 맞게 개정 되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연구자는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Study(BSCS) 통합권고안(1995)을 바탕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의 하나인 ‘학습 분량의 적정화’에 있어서 개념의 삭제·이동으로 중요도가 낮은 내용, 지나치게 어려운 내용 그리고 중복된 개념의 감축으로 일정정도 학습 분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왔으나 과목별 개념수를 비교한 결과 생물학적 소양에 중요한 과목인 생명과학Ⅰ의 개념 증가로 학습 분량의 적정화라는 목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개정방향의 다른 하나인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은 필수 개념의 추가·이동으로 각 과목의 성격에 맞게 개정 된 것으로 보였으나 BSCS 통합권고안의 영역별, 과목별로 개념수를 비교한 결과 과목 성격에 맞게 개정되었다고 보기에는 미흡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 교육과정에서 ‘생물학적 소양’에 대한 명확한 입장 표명이 없는 실정에 BSCS 통합권고안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을 평가하였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이것은 명목적인 용여였던 생물학적 소양이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그러므로 생명과학 교육의 목표로 설정되어있는 생물학적 소양(생명과학에 대한 기초 소양)을 위해 교과서와 교수 자료 개발, 그리고 다음의 교육과정 개발에 구체적인 지침 및 권고안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as announced as the necessity of revising education process has been recognized in educational circles and schools because of all kinds of changes in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scientific development and so on. This study, in turn, wa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if the revision was made according to learning quantity rationalization which is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policy and the biological literacy(literacy for life science) which is the character of the subject, life science I.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s this, we analyze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based on 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study(BSCS) integrated recommendations for fostering biological literacy. As a result, in terms of learning quantity relevance which is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policy, the learning quantity decreased to some degree as contents unimportant, too difficult and duplicate decreased according to deletion and removal of concep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of concepts per subject, on the other hand, the purpose of learning quantity relevance was not reflected because concepts of life science I increased which is an important subject for biological literacy. Also, in terms of characters of subjects, it appeared that characters of subjects were revised according to addition and removal of essential concept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number of concepts per field and subject based on BSCS' Guide, on the other hand, it was insufficient to consider that it was revised fit for characters of subjects. In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o evaluate education curriculum by doing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BSCS's Guide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hen there is not a clear expression of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iological literacy' in Korean education process. Also, we hope this will be important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 curriculum with relation to the biological literacy which used to be in name only.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text books and teaching materials for fostering to the biological literacy(literacy for life science) and prepare specific guide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next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 포유류의 폐조직 미토콘드리아의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V-2 발현 연구

        홍민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Recently COX subunit IV isoform(COX IV-1 and COX IV-2)has been found in human lung(Hüttemann등, 2001). We examined the transcription of cytochrome c oxidase(COX) subunit IV isoforms in human lung cancer. First, we investigated the mitochondrial DNA deletion in human lung cancer. Common deletion was increased in cancer. We observed the altered expression of COX subunit IV isoform 1(COX IV-1) and isoform 2(COX IV-2). In situ hybridization experiment showed increased transcription of COX IV-2 in lung cancer cells. Second, we examined the expression level of COX IV-2 in iron overloaded rat tissues. In control group, COX IV-1 was expressed in all the tissues we examined, but COX IV-2 was also expressed in lung. In iron-treated group, COX IV-1 was not detected in brain. On the other hand, COX IV-2 was not found in iron-overloaded lung. Third, we examined the mitochondrial respiratory control ratio(RCR), the amount of free radical, and COX activity in iron-treated rat liver and lung. RCR of iron-treated liver and lung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lso, COX activity was lowered in iron-treated group than control group in both tissues. The production of free radica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iron-treated group. Mitochondrial DNA deletion level was higher in iron-treated group than in control group. Common deletion and 1,400 bp delet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iron-treated group. 최근에 COX subunit IV (COX IV-1와 COX IV-2)를 사람의 폐조직에서 발현을 확인하였다(Hüttemann등, 2001). 본 실험에서는 사람의 폐의 암조직에서 COX IV의 isoform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첫째, 사람의 폐암조직과 정상조직의 미토콘드리아 DNA 결실을 확인하여 보았다. 본 실험의 결과 종양 조직에서 common deletion이 더 증가하였다. 정상 조직보다 다양한 deletion product가 나타났다. 또한, COX IV-1과 COX IV-2가 정상조직과 암조직에서 비교하여 보니 암조직에서 COX IV-2가 증가하였다. 둘째, Total RNA를 추출하여 COX subunit IV isoform1과 isoform2의 transcript의 변화를 확인하여 보았다. 대조군의 경우, COX IV-1은 폐, 간, 뇌, 정소 조직에서 발현이 되는데 반해, COX IV-2의 경우에는 폐에서만 발현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분을 주사한 쥐에서 COX IV-1 은 뇌의 경우를 transcript가 나타나지 않았다. COX IV-2의 경우는 폐를 포함한 모든 조직에서 발현이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먼저 흰 쥐에 oxidative stress를 유발하기 위해 철 이온을 주사하여, 미토콘드리아의 호흡률(RCR)과 free radical 발생정도와 COX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조군과 비교하여 보면 간과 폐의 경우, 철 이온을 주사한 쥐에서는 RCR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OX 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철 이온을 주사한 쥐의 간과 폐에서 모두 활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ree radical 발생 정도를 측정한 결과 철분을 주사한 쥐에서 높아졌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결실을 비교한 결과, 철 이온을 주사한 쥐의 간과 폐의 경우 ‘common deletion’ 과, 1400bp가 증가하였다.

      • 우리나라 정부 및 민간주도형 푸드뱅크(Food Bank)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 모색

        홍민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우리나라 푸드뱅크 사업이 정착되기 위한 과도기적인 시점에서 효율적인 푸드뱅크 사업 수행을 위하여 정부주도형 푸드뱅크와 민간주도형 푸드뱅크의 실태를 조사하고, 운영자·기탁자·이용자 측면에서 현황을 파악하여 푸드뱅크 사업의 현행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정부주도형 푸드뱅크와 민간주도형 푸드뱅크 각각의 관점에서 푸드뱅크 사업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우리나라 푸드뱅크 사업의 전반적인 발전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푸드뱅크 사업의 실태와 운영현황 조사를 위하여 전국 지역별 분포에 따라 비례 층화 추출법에 의해 정부주도형 푸드뱅크(푸드뱅크 1377)와 민간주도형 푸드뱅크(먹거리나누기운동협의회)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120곳을 무작위 추출(random sampling)하고 각 운영자에 속한 기탁자 3명, 이용자 3명을 선정하여 총 운영자 120곳, 기탁자 360명, 이용자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회수된 설문지 운영자 85곳, 기탁자 171명, 이용자 205명의 응답을 분석하였고 푸드뱅크 운영관리 속성에 대해서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을 수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푸드뱅크 사업 활성화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SWOT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푸드뱅크 사업은 정부주도형 푸드뱅크와 민간주도형 푸드뱅크 사업으로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었으며, 식품위생 사고 발생에 대한 제도적 장치의 미비로 기탁자와 이용자에 대한 법적 보호가 이루어지지 않아 푸드뱅크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양적 성장에 주력하여 시설·설비·전담 인력이 부족한 상태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조직(organization), 재정(finance), 법적·제도적(legal), 안정성(safety), 인력자원(Human resource), 홍보활동을 통한 사회·문화적 합의(public relation), 정보망 구축(network), 이용자(user)의 8가지 측면에서 푸드뱅크 사업의 발전전략을 모색하였으며, 세부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자 측면에서 설문결과 푸드뱅크의 운영관리 속성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아 중점 관리되어야 할 운영관리 속성으로는 '운영비 지원', '푸드뱅크 전담인력 배치'로 파악되었다. 둘째, 인력관리 실태는 푸드뱅크 전담직원의 수는 정부주도형 푸드뱅크는 평균 0.29명, 민간주도형 푸드뱅크는 평균 0.30명, 겸직은 각각 평균 0.96명, 0.83명으로 겸직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 및 보유장비 현황은 기탁품 중 냉장필요량이 51.6%로 냉장 장치의 구축의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냉장·냉동장비(냉동탑차)의 보유율이 정부주도형 푸드뱅크는 45.0%, 민간주도형 푸드뱅크는 60%로 저조하였다. 넷째, 기탁관리에 대해서는 운영자가 직접 기탁처로 기탁품을 받으러 가는 형태가 96.3%로 가장 많았으며, 분배 기준은 '이용자의 특성 파악 후 필요한 물품을 선별적으로하는 분배' 63.8%, '국민기초수급 관리자 중심으로 분배' 53.8%로 사회 취약계층에게 주로 분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탁자의 유형은 정부주도형 푸드뱅크와 민간주도형 푸드뱅크 모두 제과·제빵업체가 각각 31.4%, 45.3%로 가장 많았다. 여섯째, 기탁품은 주로 '판매재고 상품'(57.6%)이었으며, 기탁빈도는 '매일기탁'이 정부주도형 푸드뱅크 27.1%, 민간주도형 푸드뱅크 22.6%로서 가장 많았다. 일곱째, 기탁 가능하지만 기탁하지 않는 식품이 있다는 응답이 28.7%였고, 기탁하지 않는 식품의 종류는 '유통기한이 촉박한 식품'(67.3%)이 가장 많았으며, 기탁 가능하지만 기탁하지 않는 이유는 '식품사고 시 법적 보호가 없기 때문' 54.5%, '식품사고 시 이미지 손상 우려' 52.3%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푸드뱅크 이용자는 국민기초생활수급자가 56.6%로 저소득 노인의 이용율이 높았으며, 지원 형태는 '조리된 음식이 집으로 배달'되는 방식이 민간주도형 푸드뱅크의 경우 42.7%로 가장 높았으며, '조리된 음식을 받아 가는' 형태는 정부주도형 푸드뱅크의 경우 26.8%로 조사되어 두 주체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1). 이용자들이 지원 받는 식품은 '조리된 음식'이 50.0%이며, 향후 바라는 식품도 '조리된 음식'이 51.1%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아홉째, 이용자들의 푸드뱅크 이용시 혜택으로는 '식비지출 감소'가 55.6%로 가장 컸으며, '배고픔 감소' 16.6%의 순이었다. 우리나라 푸드뱅크에 대한 현황 조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한국형 푸드뱅크로 정착시키기 위하여 각 주체에 대한 SWOT 분석으로 도출된 강점(Strengths), 약점(Weaknesses),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요인을 근거로 Mini-Maxi 전략, Maxi-Mini 전략, Maxi-Mini 전략, Mini-Mini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조직, 재정, 법적·제도적, 안정성, 인력자원, 홍보활동을 통한 사회·문화적 합의, 정보망 구축, 이용자의 8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푸드뱅크 사업의 발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 푸드뱅크는 정부주도형 푸드뱅크와 민간주도형 푸드뱅크 사업이 서로에게 위협요인이 아닌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동반자적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동시에 정부의 푸드뱅크 관련 법률 제정과 운영비 지원을 통한 제반적인 운영여건이 구비되면 푸드뱅크 사업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 examine the overall operating conditions of both government-dominant and non-governmental food bank programs and (b) provid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food bank program in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parties; operators, donators, and users. The random samples of 120 food bank operators were selected by proportionate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and from each food bank, 3 donators and 3 users were also selected. A total of 85 operators, 171 donators, and 205 us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Promoting strategies were developed through SWOT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operation management, 'assistance for operating funds' and 'deployment of experience staff' were placed at "Focus Here". 2. There was a great shortage of experienced staff with food bank-specific knowledge. The average number of the government-dominant and non-governmental food bank program employees was 0.29 and 0.30 respectively, while the ratio of employees with other jobs were 0.96 and 0.83 respectively. 3. Shortage of refrigeration facilities were an area that needs to be addressed. While 51.6% of donated food required cold storage, only 45% of government-dominant and 60% of non-governmental food bank programs had refrigeration facilities. 4. Most of food bank operators(96.3%) were required to visit the donators' locations to pick up the donated foods. And the foods were distributed to the people in need, specially to the livelihood protectee. 5. The largest donators to either government-dominant or non-governmental food bank programs were bakery and confectionery companies: 31.4% and 45.3% respectively. 6. The majority of donated foods were 'goods in stock'(57.6%), and frequency of donation were largely on a daily basis(27.1% for government-dominant and 22.6% for non-governmental). 7. Some of the donators(28.7%) who had more donatable food did not donate, and the reasons were closeness to expiration date of food(67.3%), lack of leg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food poisoning(54.5%), and poor public image of food related accidents(52.3%). 8. Food bank users were mostly livelihood protectee(56.6%). The survey also showed that non-governmental food banks delivered the food directly to the 42.7% of users, meanwhile the users of government-dominant ones went to the food bank to receive the foods. 9. Saving food expenses(55.6%) and overcoming hunger(16.6%) were found as the benefits of the users. A SWOT analysis was to develop promoting strategies in eight specific perspectives: organization, finance, legal, safety, human resource, public relations, network and user. In conclusion, better coordination between the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food bank programs were needed. Moreover, government's regulatory, financial and operational support to the food bank program were also in need.

      • 투덥(2DUB)앱 활용 초분절음소 중심 초등영어 발음 수업에 관한 실행 연구 : An Action Research on Elementary English Pronunciation Class centered on Suprasegmental Phonemes Using 2DUB Applications

        홍민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most effective shadowing learning method to improve elementary English pronunciation skills centered on suprasegmental phonemes by using 2DUB application. Therefore, an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the optimal learning method by varying shadowing learning types from the perspective of video provision, learning group, and learning activity paper, and the research problems set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providing videos in shadowing learning activities using 2DUB for elementary English suprasegmental phoneme pronunciation practice? Second, how is it effective to organize learners’ groups (individuals, pairs, and groups) in shadowing learning activities using 2DUB app for elementary English suprasegmental phoneme pronunciation practice? Third, What is the effective type of learning activity paper in shadowing learning activities using 2DUB app for elementary English suprasegmental phoneme pronunciation practice?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nine English classes using the 2DUB application for 27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0 males and 17 femal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surveys, activity papers, student interviews, teacher journals, and student journal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rom the perspective of shadowing learning by image provision or not, it was concluded that shadowing learning using images was effective. By using animation videos during shadowing learn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terest of learning, increase the concentration and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promote a natural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situations. However, by creating a shadowing learning environment that focuses on hearing by providing only voice sometimes, it can help learners focus entirely on pronunciation, including suprasegmental phonemes. From the perspective of shadowing learning by learning group, it was concluded that the learning group was a pair that could increas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and maximize positive cooperative interac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learners who prefer learning activities together, it is effective to select a pair of learners at a different level who can expect peer teaching effects between learners. However, in order to reduce negative interactions,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appropriately provide cooperative learning rules and learning materials. From the perspective of shadowing learning by type of learning activity paper, it was concluded that it was effective to provide a learning activity paper marked with stress and accent. It is effective to provide learning activity papers with enhanced visual input to suprasegmental phonemes so that learners can consciously pay attention to suprasegmental phonemes. However, as long as it is not a burden on learners, the conscious learning effect can be maximized by utilizing some of the stress and accent marking activities step by step.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three perspectives, shadowing learning using the 2DUB application suggests that first, shadowing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pronunciation ability of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learners,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measure gender and specific improvement levels. Second, shadowing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f lowering the affective filter, such as improving interest and confidence and reducing anxiety. However, short-term learning has limitations in lowering learners' learning anxiety with low levels of learning achievement, so in-depth research on the impact of shadowing learning activities on the affective domain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specify a plan to effectively utilize shadowing learning activities for distanc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shadowing learning methods in which learn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self-directed learning can continue to participate with interest on their own.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교육 현장에서 투덥(2DUB)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초분절음소 중심 초등영어 발음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섀도잉 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영상 제공, 학습 집단, 학습 활동지의 관점으로 섀도잉 학습 유형을 달리하여 최적의 학습 방안을 찾기 위한 실행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어 초분절 발음 연습을 위한 투덥 앱을 활용한 섀도잉 학습 활동에서 영상의 제공 유무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 영어 초분절 발음 연습을 위한 투덥 앱을 활용한 섀도잉 학습 활동에서 학습자들의 집단 구성(개인, 짝, 모둠)을 어떻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가? 셋째, 초등 영어 초분절 발음 연습을 위한 투덥 앱을 활용한 섀도잉 학습 활동에서 효과적인 학습 활동지 유형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7명(남 10명, 여 17명)을 대상으로 투덥(2DUB)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총 9차시에 걸쳐 영어 수업을 실행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설문 조사, 활동지, 학생 면담, 교사 일지, 학생 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상 제공 유무별 섀도잉 학습의 관점에서는 영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섀도잉 학습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섀도잉 학습 시 애니메이션 영상을 활용함으로써 학습의 흥미를 높여 학습자의 집중도와 참여도를 높이고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자연스러운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다만, 때때로 음성만 제공하여 청각에 집중한 섀도잉 학습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학습자가 온전히 초분절음소를 비롯한 발음에 집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학습 집단별 섀도잉 학습의 관점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의욕을 높이고 긍정적 협력적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학습 집단이 짝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함께 하는 학습 활동을 선호하는 초등학교 3학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자 간 또래 교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이질적인 수준의 학습자를 짝으로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만 부정적 상호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교사는 협동 학습 규칙, 학습 자료를 적절히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습 활동지 유형별 섀도잉 학습의 관점에서는 강세와 억양이 표기된 학습 활동지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학습자가 의식적으로 초분절음소에 주의를 기울인 채 학습할 수 있도록 초분절음소에 시각적 입력 강화가 된 학습 활동지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만, 학습자에게 학습 부담이 되지 않는 한에서 강세와 억양 표기 활동을 단계적으로 일부 활용함으로써 의식적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 가지 관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투덥(2DUB)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섀도잉 학습 실행 연구가 시사하는 바로는 첫째, 섀도잉 학습은 초등학교 3학년 학습자의 초분절음소 중심 발음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보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향상 정도 측정을 위해 성별, 성취 수준별 집단으로 세분화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섀도잉 학습은 흥미와 자신감을 향상하고 불안감을 감소하는 등 정의적 여과막을 낮추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그러나 단기간의 학습으로는 학습 성취 수준이 낮은 학습자의 학습 불안감을 낮추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섀도잉 학습 활동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섀도잉 학습 활동을 원격 학습 및 자기 주도적 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시킬 필요가 있다. 자기 주도적 학습이 익숙하지 않은 학습자가 스스로 흥미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섀도잉 학습 방법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에서 관찰된 왼쪽자리 효과

        홍민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 사회에서 발견된 특징 중 하나는 많은 기업들이 브랜드파워 구축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브랜드명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사실이다. 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신제품의 성공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기발한(fanciful)한 브랜드명을 통해 소비자들을 공략하려는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기발한 브랜드명의 분명한 원천은 알파뉴메릭 브랜드명 (alphanumeric brand name)이 될 수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제품을 확장할 때 또는 제품계열 안에서 특정 제품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브랜드명에 숫자들을 차례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다양한 이유로 인해 기업들의 알파뉴메릭 브랜드명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알파뉴메릭 브랜드명과 관련된 연구가 최근 들어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전히 알파뉴메릭 브랜드명과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는 국내외를 포함해 미흡하게 이루어져왔다. 효과적인 브랜드명은 치열한 마케팅 경쟁에서 우위확보를 가능케 하기 때문에 브랜드명중에서도 특히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가격인지(price cognition)의 대표적인 연구 중 하나인 왼쪽자리 효과(left-digit effect)의 영향력을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이러한 차이가 속성제시여부 및 제품에 대한 전문적 지시 보유여부에 따라 조절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두 실험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에서 왼쪽자리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증명되었다. 두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의 맨 왼쪽 자리 숫자가 다를 때, 더 높은 숫자를 포함한 브랜드명에 대한 최대지불용의액은 더 낮은 숫자를 포함한 브랜드명에 대한 최대지불용의액 보다 크지만 맨 왼쪽 자리 숫자가 같을 때 이러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두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의 왼쪽 자리 숫자가 다를 때, 더 높은 숫자를 포함한 브랜드명을 선택할 확률은 왼쪽 자리 숫자가 같을 때, 더 높은 숫자를 포함한 브랜드명을 선택할 확률 보다 크다는 것을 밝혀냈다. 둘째,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의 왼쪽자리효과는 속성제시 여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품관련 속성 정보가 제시되지 않을 경우,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의 왼쪽자리 효과는 나타났지만 속성 정보가 제시되는 경우, 왼쪽자리효과는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의 왼쪽자리 효과는 제품에 대한 전문적 지식보유 여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보유한 소비자들에게는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의 왼쪽자리 효과가 나타났지만 제품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소비자들에게서는 브랜드명의 왼쪽자리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격인지관련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된 왼쪽자리 효과가 전혀 다른 영역인 브랜드명에서도 관찰될 수 있는 효과라는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the higher, the better” 휴리스틱이 기능적(technical)제품뿐만 아니라 비기능적(nontechnical)제품에서도 관찰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의 입장에선 추가적인 이윤을 만들고 싶은 제품의 브랜드명을 왼쪽자리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만듦으로써 제품에 추가적인 이윤을 붙일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다만, 소비자에게 두 제품에 대한 속성을 자세히 제공하지 않을 경우 그리고 제품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없는 소비자들 대비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더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전략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 체육계열 여대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민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체육계열 여대생의 진로 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4년제 대학의 체육계열 학과에 재학 중인 여대생(총 39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WINDOW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체육계열 여대생의 진로 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 준비 행동은 학년, 운동선수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속계열(사범계열, 비사범계열)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모든 학년의 체육계열 여대생은 진로에 관심을 갖고, 자신의 진로 결정을 위해 흥미와 적성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준비 행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운동선수 경험은 진로 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그리고 진로 준비 행동에 있어 관련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체육계열의 비사범계 여대생은 사범계열 여대생보다 비교적 높은 진로 장벽을 지각하고 있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진로준비가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 체육계열 여대생의 진로 장벽은 진로 준비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진로 준비 행동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은 진로 장벽의 영향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Korea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emale college students(total 396 person)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do, Incheo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Depending on the grade, affiliation and athletic experience, a survey i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areer barri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readiness behavior are differen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rogram SPSS/WINDOWS 21.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readiness behavior for athletic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not dependent on grade. Female college students in all grades are interested in careers, and explore interests and aptitudes and make preparations for their career decisions. Also, athlete experience is not relevant on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readiness behavior. In addition, female college students in outside College of Education perceived a relatively high career barrier and had low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career preparation was not made relatively smoothly. Finally, career barriers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erea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In particular,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relatively greater than that of career barri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