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흥지역의 민족운동과 1894년 동학농민전쟁 - 『高興郡敎區歷史』를 중심으로

        홍동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8 南道文化硏究 Vol.0 No.35

        Up to now, although active regional case studies on the Donghak Peasant War have been performed, the War has not come into spotlight. It seems that the reason is not only that data were lacking but that studies by region have been performed focusing on major combats. Accordingly, the Donghak Peasant War in Goheung Region has been referred to as part of major combats regardless of its characteristics. Recently, however, as the data named 『The history of Goheung-gun Diocese』 was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review even the post-war trend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war with the process of developments in the war. This paper intended to review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oheung Donghak Peasant War focusing on 『the history of Goheung-gun Diocese』. As a result, som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ctivities of Donghak Peasant Army in Goheung Region are as follows: First, the connection of Donghak organizations in Goheung and Taein Regions could be identifie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solve the doubt of the backgrounds where Kim In-bae established Yeongho Dohoso and where Kim Gae-nam advanced to Left Jeolla-do. The Second is the meaning that Donghak believers in Goheung Region attend Geumgu ral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Geumgu rally in the process of an extension of Namjeop force in connection to the first. Namely, Geumgu Rally was held by a so-called ‘Namjeop(南接) Force’ that led Donghak Peasant War to unite Donghak organizations under individual influences in 1894 it could form a network between individual forces.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Goheung Donghak believers also could systematically participate in Mujanggipo(茂長起包) led by Namjeop Force in 1894. The third is the status and the role of Gheung Donghak Peasant Army during the 1894 Donghak Peasant War. army had considerable organizational power from the time of Mujanggipo, and based on this, they could play a leading role in entering Jeonju Castle. Likewise, even after being withdrawn from Jeonju Castle, they completely controlled the rural community society based on this organizational power and military capability, while they positively provided military support to the surrounding area Kim Gaenam not only extended his power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forming a network, but played a role in controlling the rear area staying in Namweon after the second uprising. The fourth is that the Donghak organization in Gheung Region rebuilt quickly Donghak Peasant War in 1894. Song Yeon-ho, etc. who participated in Donghak Peasant War was still alive, and the 1904 Gapjin Innovation Movement by them enabled the region to be rebuilt. Finally, with the background of re-establishing the religious influence of Cheondogyo, History of Goheung is being published. other dioceses, the names of the major persons were arranged and their participation in the 1894 Donghak Peasant War was mentioned within the diocese. Although this is not a sharp break from the view of ‘religion persecution(敎難),’ the meaning should naturally be different if we remind ourselves that many people were recklessly killed by Japanese soldiers in the areas of South Jeolla Province battle experience of Donghak Peasant War. Two years after History of Goheung was written, the fact that March 1st Movement was carried out under the leadership of Cheondogyo Organization including Song Yeon-ho, etc. in Goheung Region will not be irrelevant to this. 그동안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지역사례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흥 지역 동학농민전쟁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자료 부족과 함께 주요 전투를 중심으로 한 권역별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고흥지역 동학농민전쟁 은 그 지역적 특징과 상관없이 주요 전투의 일부로서만 언급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고흥군교구역사』라는 자료가 소개되면서 고흥 지역 동학농민전쟁의 전개과정과 함께 동학농민전쟁 참여자들의 이후 동향까지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고흥군교구역사』를 중심으로 고흥 동학농민전쟁의 지역적 특징을 살펴보 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흥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을 중심으로 몇 가지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우선 첫 번째는 고흥과 태인 지역 동학조직의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김개남이 전라좌도로 진출하게 된 배경과 함께 김인배의 영호도호소의 설치배경이 해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는 고흥지역 동학교도들의 금구집회 참여가 갖는 의미이다. 첫 번째와 연계하여 남접세력이 세력확장 과정에서 금구집회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즉, 금구집 회는 1894년 동학농민전쟁을 주도했던 소위 ‘남접’ 세력이 각자 영향하에 있던 동학조 직을 결집하기 위해서 개최되었으며, 이를 통해 각자 세력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1894년 남접세력이 주도했던 무장기포에 고흥동학교도들 또한 조직적 으로 참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는 1894년 동학농민전쟁 시기 고흥동학농민군의 위상과 역할이다. 고흥동학 농민군 무장기포 당시부터 상당한 조직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전주성 입 성에 선봉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다. 또한 전주성 철수 이후에도 이러한 조직력과 군사적 역량을 바탕으로 향촌사회를 완전히 통제하는 한편 적극적으로 주변 지역에 군사적 지원 을 했던 것이다. 특히 김개남이 세력을 확장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중심적 역할을 하였을 뿐 아니라 2차 봉기 이후 남원에 잔류하여 후방지역을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하였 다. 네 번째는 1894년 동학농민전쟁 이후 고흥지역 동학조직이 재빠르게 재건되고 있다 는 점이다. 동학농민전쟁에 참여했던 송연호 등이 생존해 있었으며 이들에 의해서 1904 년 갑진개화운동을 계기로 완전히 재건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천도교 교세 재건 및 확장을 배경으로 『고흥교구사』가 편찬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다른 교구사와는 달리 교구 내 주요 인물들의 이력을 정리하는 가운데 1894년 동학농민전쟁 참여를 언급하고 있었다. 이는 비록 ‘敎難’이라는 시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동학농민전쟁 당시 일본군과의 전투 경험과 함께 남도 지역에서 일본 군에 의해 자행되었던 학살을 상기한다면 그 의미가 다를 수밖에 없었다. 『고흥교구사』 가 집필된 뒤 2년 후에 고흥지역에서도 송연호 등 천도교 조직이 주도하여 3.1 만세운동 이 전개된 것도 이와 무관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크론병 환자의 수술후 합병증과 재발

        홍동현,유창식,김대동,정상훈,최평화,박인자,김희철,김진천 대한대장항문학회 2008 Annals of Coloproctolgy Vol.24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recurrence rates and to elucidate the risk factors in Crohn’s disease (C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undertaken for patients who had undergone bowel surgery at Asan Medical Center between October 1991 and June 2006. Symptomatic recurrence was defined as the presence of symptoms related to CD that was subsequently verified by radiologic or endoscopic finding. Surgical recurrence was defined as the need for repeated surgery for enteric CD. Results: There were 160 patients with a mean follow up of 34 months (108 men and 52 women; mean age: 29.7±10.9). The most common indication for surgery was a complication of CD, such as intra-abdominal abscess (31.9%), intestinal obstruction (21.9%), and internal fistula (19.4%). Another frequent indication was medical intractability (23.8%). The types of surgical procedures were ileocolic resection (50.0%), small bowel resection (25.0%), total/subtotal colectomy (17.5%), and others. The cumulative symptomatic recurrences were 15.9% and 36.4% at 2 and 5 years, and the cumulative surgical recurrence was 13.6% at 5 years. The cumulative surgical recurrence was higher for stricturing-type CD than for penetrating- type CD (P=0.049). No other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currence was found in our study. Twenty patients (12.5%) ha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intra-abdominal abscess, anastomosis leakage, obstruction, and wound infection. Conclusion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and recurrence rates were acceptable. For stricturing-type Crohn’s disease surgical recurrence is higher than penetrating type, but long-term follow up is needed to verify the risk factors for recurrence.

      • KCI등재

        3.1운동 전후 동학농민전쟁 인식의 변화와 확산

        홍동현 동학학회 2020 동학학보 Vol.0 No.55

        The studies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1894 are based on historical narratives called “Pioneering of the Modern People’s Liberation Movement” leading to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as a people-led anti-feudal and anti-imperialist reform movement. These narratives were formed around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and could be spread in conjunction with popular cul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onversion of intellectuals’ perceptions of the peasant war and the process of spreading such perceptions to the public, and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Donghak peasant war in the national movement process since 1919 along with the meaning of it. First of all, immediately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memory of the Donghak peasant war was summoned in earnest and began to be recognized again, which was due to the intellectuals’ expectations of the people’s capabilities demonstr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In addition,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Cheondogyo Youth Association actively summoned the Donghak Peasant War in the process of political empowerment of the Cheondogyo groups centered on them. To this end, ‘Gaebyeok’, a publication of the Cheondogyo Youth Association, actively summoned the memory of the Donghak Peasant War, and sought to secure their political status and legitimacy within the nationalist forces. In the process, the Donghak Peasant War was reinterpreted as a people’s movement, and could be sprea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popular cultures. In particular, with the spread of “待望論,” looking forward to the emergence of heroes since the mid-1920s, Jeon Bong-Joon could emerge as the leader of the people. Jeon Bong-Joon’s biography, which was published at the time, was commercialized based on such popularity, and Lim Sun-gyu, the greatest star of the time, also gained considerable popularity by performing the drama “Donghakdang”. However, the perception of the Donghak peasant war formed during this period was still limited, and did not escape the framework of civilization in the 1900s. Although evaluated as a people’s movement, the Donghak peasant war was led by the people who were converted (enlightened) by Donghak, and was a political reform movement developed by the guidance of the pioneers such as Jeon Bong-Joon and Choi Si Hyung. This recognition did not deviate greatly from the logic that civilization rehabilitationists in the 1900s attempted to embrace the Donghak Peasant War as part of the political reform movement for the civilization of Joseon. Therefore, ‘斥倭倡義’ that was raised during the Donghak Peasant War was still out of their view. Rather, “斥倭” is nothing but outdated anti-foreignism and was evaluated not only as the lack of 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but also as a cause of the failure of the Donghak Peasant War. However, this limitation of the perception seems to have acted as a factor in which various attempts of the Cheondogyo forces who tried to consolidate the national movement forces through the Donghak Peasant War were frustrated. 1894년 동학농민전쟁 연구는 민중 주도의 반봉건·반제국주의 변혁운동으로서 1919년 3.1운동으로까지 이어지는 ‘근대민족해방운동사의 선구’라는 운동사적 서사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서사는 1919년 3.1운동을 전후로 형성되었으며, 대중문화와 결합되어 확산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식의 전환과 확산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갖는 의미와 함께 1919년 이후 민족운동 과정에서 동학농민전쟁이 차지하는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선 3.1운동 직후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기억이 본격적으로 소환되어 재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3.1운동에서 보여준 민중적 역량에 대한 지식인들의 기대감 때문이었다. 또한 3.1운동 이후 천도교 청년회를 중심으로 한 천도교세력의 정치세력화 과정에서 이들은 동학농민전쟁을 적극적으로 소환하였다. 이를 위해 천도교청년회 기관지인 『개벽』은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기억을 적극적으로 소환하였으며, 민족주의 세력 내 자신들의 정치적 위상과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동학농민전쟁은 민중운동으로서 재해석되었으며, 다양한 대중문화와 결합되어 확산될 수 있었다. 특히 1920년대 중반 이후 영웅의 출현을 고대하는 ‘待望論’이 확산되는 가운데 전봉준은 민중의 지도자로 부각될 수 있었다. 당시 출간 되었던 전봉준위인전은 이러한 대중적 인기를 기반으로 상업성을 띄고 있었으며, 당대 최고 스타였던 임선규는 연극 「동학당」을 공연하여 상당한 인기를 끌기도 했다. 하지만 이시기 형성된 동학농민전쟁 인식은 여전히 제한적이었으며, 1900년대 문명론적 인식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비록 민중운동으로서 평가되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동학에 의해서 개조(계몽)된 민중이 주도한 것이었으며, 전봉준이나 최시형과 같은 선각자의 지도에 의해 전개된 정치개혁운동이었다. 이러한 인식은 1900년대 문명개화론자들이 조선의 문명화를 위한 정치개혁운동의 일부로 동학농민전쟁을 포섭하고자 했던 논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들의 시야에서는 동학농민전쟁 당시 제기되었던 ‘斥倭倡義’는 여전히 벗어나 있었다. 오히려 ‘척왜’는 시대에 뒤쳐진 배외주의에 불과한 것으로, 민중의 정치의식 부재로 평가받았뿐 아니라 동학농민전쟁의 실패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의 한계는 오히려 동학농민전쟁을 매개로 민족운동 세력을 결집하고자 했던 천도교 세력들의 다양한 시도들이 좌절되는 한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새로운 민중사’의 등장과 새로운 동학농민전쟁史 서술에 대한 모색

        홍동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4 南道文化硏究 Vol.0 No.27

        1894년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연구는 80년대 민중사학의 등장과 함께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동학농 민전쟁은 “봉건사회를 변혁하고 자본주의 열강의 침략을 물리치려 한 대규모의 반봉건·반침략투쟁이었다”는 평 가와 함께 1919년 3.1운동으로까지 이어지는 ‘근대민족해방운동사의 선구’로써 위치 지워졌다. 하지만 동학농민 전쟁에 대한 연구는 1994년 100주년을 기점으로 침체되어 왔으며, 이는 90년대 이후 역사적 설득력을 상실한 민 중사학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80년대 민중사학을 비판적으로 계승하고자 하는 ‘새로운 민중사’의 등장과 함께 동학농민전쟁 史에 대한 새로운 서술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그 가운데 엘리트로부터 전유되지 않은 민중의 자율성에 입 각한 연구들이 주목된다. 이들은 80년대 연구의 한계로 민족과 계급론적 도식, 그리고 진화론적 근대주의를 지 적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민중의 일상성에 착목하여 동학농민전쟁을 동학농민군의 정당한 경험 으로서 복권하고자 하였다. 조경달의 ‘士 의식’이나 배항섭의 ‘仁政 투쟁’은 근대적 논리를 배제하고 당시대의 논 리로 동학농민전쟁을 서술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서술은 민중을 현실사회로부터 격리하거나 또는 전근 대를 이상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즉, 민중은 결코 지배층의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존재로 오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동학농민군에 의해서 제기되거나 포착된 지배이념의 논리는 전복을 위한 ‘빌려온 언 어’로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국 동학농민전쟁史에 대한 새로운 서술은 동학농민전쟁에 참여했던 대다수 ‘민중’의 논리로서 그들의 경험을 어떻게 정당하게 재현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그런 점에서 그들의 다양한 행동양식을 통해 욕망을 드러내는 방식 도 한 가지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민중의 언어가 아닌 지배층의 언어를 전복적으로 읽음으로써 다시 민중의 언어로 읽어내는 방식 또한 필요할 것이다. As studies on the people’s history appeared in the1980s, active studies on the Donghak Peasant War in 1894 continued. As the result, the Donghak Peasant War was positioned as a pioneer in the ‘history of the current liberation of the people’, in which Donghak attempted to change the feudal society and resist against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while succeeding the spirit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However, the studies on the Donghak Peasant War have been in stagnation since 1994,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onghak Peasant War. Thi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oss of historical persuasive power by the study on the people’s history since the 1990s. Recently a new narration on the Donghak Peasant War history has been sought in various ways together with the appearance of a ‘new people’s history’, which critically succeeds the study on people’s history in the 1980s. Among these efforts, the studies based on the autonomy of the people, not exclusively possessed by elites, are getting attention. These studies point out that the studies in the 1980s had limitations such as the formula based on the people and class theory, or, modernism based on evolution theory. These studies tried to overcome limitations by attempting to reinstate the Donghak Peasant War as a righteous experience of the Donghak Peasant Army through paying attention to the daily affairs of the people. The ‘± awareness’ of Jo Gyeong-dal and the ‘benevolent politics (仁政) struggle’ of Bae Hang-seob tried to narrate the Donghak Peasant War by way of contemporary logic while excluding modern logic. However, there is a concern that this narration can isolate the people from the actual society or idealize the pre-modern period. In other words, the concern is that the people can be understood as beings who could never escape from the logic of the ruling cla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logic of the ruling-ideology raised or captured by the Donghak Peasant Army as a ‘borrowed language’ for an overturn. Consequently, a new narration on the Donghak Peasant War is the issue on how to righteously reproduce the experience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War, by way of the logic of the ‘people’. This could show the way by exposing the desire through various behavior patterns. Reading the Donghak Peasant War in the people’s language by reading the language of the ruling class would be also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