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 담론과 아동, 청소년: 미디어 이용 취약층에서 일탈의 프로슈머까지

        홍남희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7 No.-

        The rise of “children” as a modern concept has been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separating children and adults in a society where educ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are centered on “reading” and institution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However, the emergence of electronic media has bridged the gap in th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information,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Also, as part of the ‘self project’ aimed at self-achievement through nuclear familiarization and education, the use of media by children and adolescents is not only instrumental to achieving productive purposes but also a means of exploring ‘leisure career’ and sexuality during adolescence. This study summarizes the historical process of media literacy discussions in Korean media discourse through the analysis of ‘Big Kinds’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Media literacy emerged as a critical concept in deciphering visual culture, seeing that adolescents’ sexual deviance was caused by the stimulation of visual culture amidst the influence of video culture and the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in the 1990s. The upsurge of the Internet in the 2000s expanded the discussion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information choosing ability, and community ethics. The emergence of smartphones and social media environments in the 2010s enhanced the competence of “prosumers,” empowering them to create materials, not only pertaining to information consumption, but also the discussion of media literacy. Since 2017, the political world has actively responded to the prevalence of “fake news,” and as one solution, media literacy has become an important discourse in determining an individual’s ability to choose information. In addition, media literacy education with gender sensitivity has been proposed to cope with adolescents’ media-mediated sexual devi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ntextualize the discussion of media literacy by examining how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has been applied in relation to media-mediated sexual deviation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디지털 저널리즘 환경에서의 세대 인식 : 기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홍남희,이설희,김수아 한국지역언론학회 2023 언론과학연구 Vol.23 No.2

        It is vital to look at the field of media, which is the party that produces and distributes generational discourse, to explore the generational conflict issue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examined front-line journalists’ generational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m. It analyses the reasons for generational conflict inside and outside media organizations, as well as how current journalists perceive generations and generational conflicts in the digital environment. Journalists noted the reductionist labelling of generations and media preference for “conflict” as the reporting style that leads to generational conflict, and they critically addressed the use of generational discourse for political or commercial advantage. However, they felt it was challenging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generational conflict without structural change. Journalists said current journalism is directly related to digital technology, profit-driven policy, and readers clicking on ‘clickbait’ news under the ‘attention economy’. Generational conflicts resulting from the transition to digital technology were also a problem when media companies’ primary source of profit was still the sale of newspapers to old readers with expectations of extreme political bias. Intergenerational contact within the newsroom is necessary to decrease news about generational conflict, and solutions were suggested, such as ensuring diversity in the newsroom to avoid employing the concept of reductive generation. 한국 사회의 세대 갈등과 이를 중심으로 하는 세대 담론, 그리고 담론의 생산/재생산을 담당하는 언론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뉴스 생산 및 유통 현장에서의 세대 문제를 살필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일선 기자들의 세대 인식과 경험을 심층 면접을 통해 조사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 현직 기자들이 세대와 세대 갈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언론사 조직 내외적으로 세대 및 세대 갈등과 관련한 원인이 무엇이라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현장 기자들은 세대 갈등을 유발하는 보도 양식이 ‘갈등’을 선호하는 언론의 속성과 환원론적인 세대 명명을 통해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정치권이나 산업적 이득을 위해 세대 담론이 활용되는 양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다. 하지만 주목 경쟁 상황에 놓인 현재의 뉴스 소비 환경에서 언론사들이 이익을 위해 제목 편집을 하는 상황에서 세대 갈등 유발 방식의 보도가 개선되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보았으며, 독자들의 뉴스 소비 방식 변화 역시 필요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언론사 수익 구조가 여전히 종이신문 발행에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전환에서 발생하는 갈등 역시 문제였다. 세대 갈등 보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뉴스룸 내 세대 소통이 필요하고, 환원적 세대 개념을 활용하지 않으려면 뉴스룸의 구성에서 다양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대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진정성의 탐색과 문화 귀촌 - 귀촌 브이로그를 통해 본 청년의 삶-노동 에토스

        홍남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3 도시인문학연구 Vol.15 No.1

        This article shows that the return to the countryside of young people is a rejection of the standardized style of urban life and a desire to pursue the authenticity of self and life. Returning to the countryside is a declaration that changes their own condition with the ecological view. Returning to the countryside of youth is related to the change of urbanity and contemporary mediascape, and youths seeking alternative lives and labour are operating their own YouTube vlog channel. Returning to the countryside is a cultural mode linked with quitting jobs, leaving the urban area, opening their business and debt. Furthermore, it is a journey for seeking 'authenticity' and 'self-project' by materializing through vlogs. Seeking the authenticity and representation of the countryside are constructing the urban/rural(nature), daily life and self to stimulate as a utopian concept through the YouTube algorithm. It originates from the rejection of the company person, but it is developing the life-work ethos of new young workers through constant self-development and subordination to new labour. 이 글은 동시대 청년들의 귀촌 브이로그를 분석하면서 청년의 귀촌과 그것의 중계가 갖는 의미를 탐색한다. 청년의 귀촌은 당대 도시성과 매체성의 변화와 결부되는 사회적 현상으로 첫째, 도시적 삶과 신자유주의 ‘생존자 모델’에 대한 회의를 기반으로 진정한 나를 찾는 여정과 연관된다. 둘째, 청년의 귀촌은 진정한 삶의 의미와 도시적 삶의 대안을 찾고자 하는 문화 귀촌의 성격을 갖는다. 셋째, 청년의 귀촌은 퇴사, 탈도시, 창업, 노동, 빚 등을 포함해 결혼, 직업, 자아 및 세계관과 관련한 서사로 이어지는 자아 프로젝트를 브이로그를 통해 중계하면서 진정성을 연출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나에게 의미 있는 일, 진정한 나, 내가 좋아하는 일을 찾는 진정성 추구의 과정과 브이로그를 통한 귀촌의 재현은 도시/자연, 일상과 자기와의 관계를 새롭게 구성해 가며 유튜브 알고리즘을 통해 또래 청년들의 비슷한 욕망과 충동을 자극하는 유토피아적 재현의 순환으로 나타난다. 이는 회사 인간의 거부라는 차원에서 시작되지만 끊임없는 자기계발과 새로운 노동에의 종속 등으로 나타나 청년 노동자의 새로운 삶-노동 에토스를 발전시키고 있다.

      • KCI등재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

        홍남희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아주법학 Vol.9 No.3

        친자관계는 자연적인 혈연관계를 바탕으로 성립되기 때문에 법률상의 친자관계를 진실한 혈연관계에 부합시키는 것이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혼인과 가족제도의 원칙이다. 한편 사회적으로 이혼 및 재혼이 크게 증가하였고 의학적으로 영아사망률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법률적으로 여성의 재혼금지기간이 폐지되어 혼인 종료 후 3백일 이내에 출생한 자(子)가 ‘부(夫)의 친자일 개연성’은 상당히 감소하게 되었다. 그리고 최근의 DNA 검사 기술의 진보는 상당하여 저렴하게 신체에 대한 침습(侵襲)을 하지 않고서도 거의 100%의 확률로 생물학상의 친자관계를 판정할 수 있게 되었다. 혈연관계를 객관적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정립된 과학적인 방법이 존재함에도 그에 따른 결과를 무시한 채 현실과 달리 친생추정의 효력이 미치도록 하는 것은 가족법의 근본원리인 혈연진실주의를 지나치게 희생하는 것으로서 부당하다. 또한 이는 ‘친자관계의 신속한 확정’이라는 형식적 측면만을 부각한 채 ‘친자관계를 진실에 부합시키고자 하는 당사자의 의사’라는 실질적 측면을 도회시하는 결과만을 낳게 되는 것이다. 한편 법률상 친자관계가 진실한 혈연관계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에는 부(夫)와 자 사이에 정서적 유대감이 형성되거나 유지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친생추정의 법리가 가정의 평화나 자의 복리에 유용하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유전자 검사 등 과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부(夫)의 자가 아니라는 점이 객관적이고 명백하게 증명된 경우에는 친생추정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봄이 친생추정제도의 취지 및 사회현실에 비추어 타당할 것이다. Parent-child relationship comes into existence on the basis of natural blood relationship and therefore, conformity of parent-child relationship on law to true blood relationship is the principle of marriage and family institution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Socially, divorce and remarriage have much increased; medically, infant mortality rate has greatly decrease; and, legally, period of the prohibition of women's remarriage was abolished and so, probability that a child born within 300 days after marriage termination would be a biological child of husband is considerably reduced. And, recent DNA testing technology is much developed so that it becomes possible to judge a biological parent-child relationship at low cost with almost 100% probability without bodily invasion. Even though there is an established scientific method to easily and objectively check blood relationship, it is unreasonable to disregard the result but to make effect of presumption of paternity different from reality to be valid because it too much sacrifices verismo by blood,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Family Law. In addition, it highlights only formal aspect of 'prompt confirmation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t brings about the outcome to ignore actual aspect of “party's intention to conform parent-child relationship to truth”. Meantime, it is difficult for husband and the child to form or maintain emotional connectedness after they become to know that legal parent-child relationship does not comply with true blood relationship. Under such situation, the assertion that legal principle of paternity presumption is useful for domestic peace or child's welfare is unpersuasive. Therefore, considering intention of paternity presumption system and social reality, it is reasonable to believe that effect of paternity presumption is not valid if it is objectively and clearly proved that a child is not the child of husband by a scientific method such as genetic testing.

      • KCI등재

        디지털 플랫폼 시대 자동화 거버넌스와 ‘나쁜 말’의 규제

        홍남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3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40 No.1

        In this study, in a situation where digital platforms play a role in mediating our daily life and culture, content moderation is gradually changing to an automated governance system. In a digital platform ecosystem where User Generated Content (UGC) is the core, content moderation is defined as removing or prohibiting illegal or harmful content. As hate speech, terrorism, and sexism occur through digital platforms, and most countries impose the task of content moderation as a social responsibility of digital platforms. Under the needs of the state and society, digital platforms introduce AI to build an automated content moderation and governance system. In an automated governance system, offensive and bad words stored in datasets are automatically filtered out, and content moderation centred on aggressive “bad words” that are hostile and unpleasant is being established. This article criticizes that such automated governance is personalizing and judicializing various issues arising in the digital ecosystem, and eliminating the complex and diverse context of technology-human-culture by reducing specific vulgar language. Therefore, it is argued that content moderation needs to be reorganized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y-human-culture, considering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and sensitivity to discrimination. 이 연구는 디지털 플랫폼 중심의 동시대 매체 환경에서 인터넷 내용규제가 점차 자동화 거버넌스 체제로 구축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화 거버넌스가내용규제를 ‘무례함’ 혹은 ‘나쁜 말’의 규제로 환원시키고 있다고 보았다. 혐오표현, 테러리즘 정보, 성차별적 혐오표현 등이 디지털 플랫폼을 매개로 유통되는 환경에서 디지털 플랫폼의 사회적 책무로서 콘텐츠에 대한 관리 및 조정(moderation) 의무가 부상하고 있다. 국가와 사회의 요구에 따라 디지털 플랫폼은 AI를 도입해 자동화된 콘텐츠 관리 및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데, 이러한 자동화 거버넌스는 온라인에 유통되는 방대한 정보 양으로 인해 정보의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방식이자 사회적 문제의 기술적 해법 방식이며, 기존의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욕설, 표현의 강도를 규제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자동화 거버넌스는 AI를 통해 거버넌스를 기계화, 자동화하는 방식임과 동시에, 인간에 의해서 수행되더라도 욕설, 표현의 강도를 기준으로 기계적으로 수행되는 내용규제를 뜻한다. 이러한 자동화 거버넌스 과정에서 미묘한 차별 및 혐오표현이나 기술-인간이 매개된 다양한 괴롭힘 행위, 시각적인밈의 유통 등은 규제되지 않으며, 주로 데이터셋에 선(先) 저장된 공격적이고 저속한 표현, 욕설 등 ‘나쁜 말’의 규제가 정착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자동화 거버넌스가 오늘날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개인화, 사법화하고 있으며, ‘저속한 말’ 중심 규제로 환원되면서 기술-인간-문화가 결합한 디지털 환경의 맥락을 제거하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탐색하였다. 따라서 인터넷 내용규제가 사회적, 역사적 맥락, 차별에 대한 감수성을 고려하여 재편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