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 : 한국과 베트남의 산속 비교 연구

        호티투흐엉 ( Ho Thi Thu Hu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동양문화연구 Vol.21 No.-

        이 논문은 한국과 베트남의 산속 문화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한국과베트남은 지리적으로 같은 동아시아지역에 위치해 있고 역사적으로 유교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산속은 인간의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가장 중요한 출생 의례 중의 하나이다. 한국과 베트남의 산속은 사회적으로 남아를 선하는 가부장제 제도가 뚜렷이 반영되고 있었다. 때문에 한국과 베트남의 전통 사회에서 산속이 가지고 있는 양국의 민족성, 사회구조 등을 좀더 자세히 탐구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과 베트남의 산속이 가지고 있는 민족적 특질, 민족성, 사회구조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기자속(祈子俗)’, ‘산전속(産前俗)’, ‘산후속(産後俗)’, ‘육아속(育兒俗)’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기자속은 아들을 낳기 위해 효과가 있는 의례나 행동을 말하고, 산전속은 산모가 잉태해서 출산할 때까지의 임신기간 동안 지켜야 하는습속들이다. 산후속은 출산시와 출산후에 산모 및 신생아를 위해 지켜야할 습속이다. 육아속은 아이가 출생한 후 아이의 양육과 관련된 여러 가지 행사를 말한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양국 산속을 비교 고찰하며 양국의 산속에 내포되어 있는 사상이 현재의 정신문화뿐만 아니라 실생활 문화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양국의 산속에 나타난 남아선호사상, 신성수, 주술-종교적 이름 짓기, 아들의 사징, 아이의 행사 등의 공통점과 여러 특성의 차이에서 그 근원을 찾아 볼 수 있다. 기자속은 선행으로 아들을 얻으려고 하는 순수한 마음은 동일하지만 여기에 나타난신앙으로 보아서는 한국에서는 실질적으로 부처, 삼신에게 선행을 베푼데 비해서 베트남에서는 조상에게 선행을 베풀었다. 산전속은 양국에서 자연적, 공간적 금기를 두어 자연과 공간이 정상적이지 못할 때를 피했는데 한국의 산전속에서 샤머니즘인 요소가 나타나는 반면에 베트남의 산전속이 없었다. 산후속은 한국에서 아들과 딸의 상징을 구별하고 고추, 숯, 청솔가지를 표시법으로 사용하는데 베트남에서 아들과 딸을 구별하지 않고 파인애플이나 숯덩이로 표시했다는 점이 있다. 육아속은 양국에서 아이를 위해 여러 행사를 중심으로 하는데 행사를 치를 때 각국의 특별한 예물이 다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그 비교 결과를 통해 양국의 산속에 내포되어 있는 남아선호사상과 가족 공동체 인식, 아이의 출생 기쁨 표시, 통합의례, 민족의식 등의 문화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This thesis does research on the comparison between childbearing customs in South Korea and Vietnam. Both South Korea and Vietnam are in Asia and greatly affected by Confucianism for a very long time. Childbearing custom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rituals in human life from being born to passing away. In South Korea and Vietnam, childbearing customs are clearly reflecting patriarchy, which appreciates the giving birth to a boy. Therefore, this research can help us understand more about ethnicity, social structure in traditional societies in both countries through childbearing customs. This research firstly learns about ethnic features, ethnicity, social structure... which are reflected in childbearing custom in South Korea and Vietnam. This thesis categorizes and researches in the order from the custom of praying for bearing a boy, before the childbearing, after the childbearing and during child raising process. The custom of praying for bearing a boy is any ritual oractions that can help bear a boy. The custom before the childbearing is any custom that pregnant women have to keep until the childbearing moment. The custom after the childbearing is any custom that the mother and the child have to keep during the childbearing moment and later. The custom during child raising process includes special occasions related to raising a child after his/her birthday.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about the comparison of childbearing customs in both countrie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nception included in these can affect not only temporary cultural and spiritual life but also daily cultural life. There are such several similarities as the mindset of giving birth to boys, mystery of religious naming, object symbols for the boy, special occasions... and the roots of differences in many characteristics... Regarding customs of praying for bearing a boy, both countries reflects the similarity in the pure heart with good actions for boybearing, but from a religious perspective, Korean people celebrate and do good things towards the Budda as well as Trikaya, while Vietnamese ones do towards their ancestors. In terms of the custom before the childbearing, two countries share natural and dimensional prohibitions, which means people stay away from bad natural or dimensional places .Moreover, the factor of shamanism model of primitive religion exists in the custom before the childbearing in South Korea, but not in Vietnam. With regards to the custom after the childbearing, there is a distinction in symbols of girls and boys with chilies, coal or cheongsolgaji in South Korea, whilst Vietnam witnesses few sexual distinctions, which are commonly symbolized by pineapples or coal. In the custom during child raising process, there are several special occasions for children in both countries, but with different typical offerings in each. In this research, its result reveals the cultural meaning, including the mindset of giving birth to boys, community awareness in the family, happiness expression of childbearing, general rituals, ethnicity... in the childbearing custom in both South Korea and Vietnam.

      • KCI등재

        한국과 베트남의 <농부가> 비교 분석

        호티투흐엉(Ho, Thi Thu Hu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3

        1992년 한국과 베트남 수교가 이루어진 이래 양국 간의 문화 교류가 빈번해졌다.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된 베트남 내 한국문화와 한류의 특성, 그리고 문화교류를 위한 베트남한국문화원의 노력은 문화 교류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한국과 베트남 양국은 지리적으로 근접함으로써 오래전부터 빈번하게 교류해 왔다. 같은 한자 문화권에 속했던 한국과 베트남에서 전승된 많은 공통적인 농업생활이있다. 이러한 농업생활 속에 농민들이 농업생산, 정신생활을 위해 즐겨 부르는 <농부가>가 다 있다. 한국의 <농부가>에 따라면 경쟁적 심리가 드러나기보다는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공동체의 구성원 모두가 부지런해야 온전한 수확을 기대할 수 있다는 심리가깔려 있고 농부의 근면성실, 농사의 때를 놓치지 말 것, 좋은 날씨 등 세 가지를풍년을 위한 중요한 요건으로 인식했다는 점을 반복적으로 제시하면서 강조했다. 또한, 조선후기 향촌사회라는 사회문화적 공간과 결부되어 농촌의 실생활을 자기체험하며 여기에 서민은 대다수 농민들로서 그들은 봉건체제가 그 동안 누적된 모순 속에서도 전래해 오는 중농정책에 순응하여 나라의 기본산업인 농업생산에 힘쓰면서 한편 생활의 안정을 추구해 온 가사작품들이 대부분이었다. 베트남의 <농부가>는 봉건시기의 향촌사회를 거치고 농촌현실을 반영하고 농사의 때에 풍년을 위한 중요한 자연변화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도 있다. 그것은 부농의 유유자적한 농촌 일상이나 몰락한 향촌사족의 생활이며 봉건체제에 의해 국토를 강점당한 농촌 현실을 반영하며 양반 지배층의 토지 확대 점령과 함께 농민은소작인이 되어 곤궁한 생활이 계속됨에 따라 지방에서는 평등 계급을 요구하는 내용도 담겨 있다. 또한, 베트남의 <농부가>에도 봉건 사회제도적 생활방식을 유지하려는 여성상과 봉건적 억압으로부터 여성의 지위와 여성 자신의 본질적 가치를확립하고자 하는 의지를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양국의 이러한 <농부가>의 원문을 제시하고 그것의 애국적 내용과 함께 문학사적 의미를 모색하며 이를 통해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으로 밀접해지는 양국에 대해 문화적, 역사적 이해에 기여를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그 전에 양국의 생활했던 농업 기본법, 즉 양국의 농업생산하기 위한 정신생활을 담긴 농부가의 연구와 비교를 통하여 국가 간의 이해의 정도를 높여 양국의 우호에 기여를 하고 이후에 있을 농업생활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본고의 목적도 있다고 하겠다.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Vietnam, which were indirectly affected by Chinese cul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came into various forms in the 20th century. Diplomatic relations have been frequently stablished 1992. From back 90s, Korea culture center in Vietnam had a great impact on cultural exchanges. In particular, both Korea and Vietnam have been interacting with each other a long time ago due to their geographical proximity. Therefore, farmers like singing when they work in the field. The most distinguishing feature of <farmer s song> are those that the painful reality shows of people and their will to overcome it. This is common in the Korean poetry of farmers who sang peasant life or rural life. Among Korean Poetry, the passages of rural life are common. It is familiar to Korean farmers expressing intention for agriculture life which come with the acceptance of poverty and rural life style. According to the <farmer s songs> in Korea, there is an important believe in the member s diligence and good weather for full harvesting rather than a competitive bearing.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is associated with the socio-cultural space experiences of rural areas. Here, most of the peasants are adapting to the middle-aged that was introduced during the accumulated contradiction. Most of the workers were pursuing a stable life while trying impact for agricultural production. Vietnamese farmers shared this feeling with Korean farmers. Both are aware of the effect of farming on rural realities as a consequence of feudal times. The effect of farming, during feudal times, on rural realities is as a causer of natural changes in the good harvesting. This is a reflection of the reality of rural areas, which have been dominated by the feudal system, as well as the occupation land and poverty by the ruling class. These <farmer s songs> contains the call for an equal class. The Vietnamese characters of these songs are not excellent heroes, but good and ordinary women that were found during the feudal period. We can see the willingness of women to stablish their value themselves from the feudal oppression that maintains this institutional wa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context of these <farmer s songs> in both countries. It also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contribution through their cultural and economic relations. Since Korea and Vietnam tent to see Western culture as superior, their traditions are gradually disappearing. Through these songs, this research looks forward to emphasize the friendship between Korea and Vietnam.

      • KCI등재후보

        한국과 베트남의 세시민요 비교- 4대 명절을 중심으로-

        호티투흐엉(Ho, Thi Thu Hu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6

        세시풍속은 해마다 일정한 시기가 되면 관습적으로 반복하여 행하는 특수한 생활 활동을 가리킨다. 세시풍속은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를 통하여 한 민족의 전통문화와 풍습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특히 세시풍속에 나타나는 세시민요를 살펴보면 옛날 사람들의 생활풍속과 조상숭배를 계승한 현대의 민족성을 더 쉽고 정확하게 알아볼 수 있다. 세시민요는 기본적으로 세시풍속을 노래하는 민요를 일컫는다. 양국의 세시민요를 보면 각각 민족 고유의 풍속을 표현하는 민요를 가지고 있으면서 공통적인 요소들이 많았다. 설날, 정월 대보름, 단오, 추석의 4대 명절은 같은 한자 문화권에 속했던 한국,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권에서 전승된 명절들이다. 이들 풍습과 민요는 중국에서 전해진 것이라고 하지만 이를 단순히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그것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재창조하거나 주체화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남북분단과 베트남의 공산주의 간의 문화단절로 인하여 문화의 격리 현상이 깊어지어 왔고 이로 인해 변용이 이루어져 왔다. 한국과 베트남의 대표적인 4대 명절인 설날, 정월대보름, 단오절, 추석의 세시민요는 서로 비슷한 것처럼 보이지만 내적으로는 같은 세시라도 전혀 다른 내용을 노래하고 있다. 그리고 본고의 비교결과로 한국의 세시민요는 농경과 관련한 정보가 거의 없고 세시풍속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으며 일상생활의 경우를 노래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반면에 베트남의 4대 명절의 세시민요를 보면 원래의 농경에 관련된 노래가 여전히 전승되고 있으며, 농경 관련 내용을 담으면서 동시에 일상생활의 일들을 노래하며 그들의 정서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양국의 4대 명절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의의를 정리해 보았다. 또한,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가 점점 깊어가는 지금 양국 국민들의 전통적 정서를 담고 있는 세시풍속과 세시민요에 대한 이해는 문화와 정신생활에 대한 이해와 교류의 폭을 넓혀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Seasonal customs are celebrated annually at certain time. At that time, many specific activities which are repeated every year will take place. Seanonal tradition was not formed during a short time. In constrast, the traditional culture of every ethnicity was created over a long period. Especially, if we look at the folk songs appeared in seasonal customs, we could learn more about today s ethnicity which inherited from ancestor worship and customs activities of the ancients. Seasonal folk songs are those which can be sung at the seasonal festivals. Based on the folk songs of each country, we can see that they represent the local customs and there are many common. New Year, the fifteenth day of the Lunar New Year, Dano, Chuseok are holidays that were inherited from Asia area such as Korea, China, Vietnam, which belonged to the same Han Chinese culture. Although these customs and folk songs originated in China, Korea and Vietnam were not only simply accepted but also selectively recreated and re-created. Due to ending of the Culture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s well as Socialist republicanism, resulting the culturall differences become further wide. As a result it leads to major change. Seasonal custom folksongs taken place in New Year, the fifteenth day of the Lunar New Year, Dano, Chuseok have the same name, but their contents are completely differ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Korean Seasonal custom folksongs hardly contain information related to farm works. Therefore, studying the songs in the daily activities also faced many difficulties. In constrast, according to the Seasonal custom Folksongs of four big Vietnamese holidays, the songs are related to farm work and their contents related to farm work and daily activities, which show the close relationship of Vietnamese. At the end of this study, we offerred cultural meanings which appear from big four ceremonies of the 2 countries. In addition, currently,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Vietnam are developing more. Therefore, I think that the understanding about seasonal tradition and folk music might contribute to further expand the relationship as well as learning about cultural aspect between the two countries.

      • KCI등재후보

        한국과 베트남의 전쟁영웅과 애국정신- 한국의 이순신과 베트남의 陳興道를 중심으로-

        호티투흐엉(Ho, Thi Thu Hu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3

        이 논문은 한국과 베트남의 역사에서 외적을 물리친 전쟁영웅이었던 한국의 이순신(李舜臣)과 베트남의 진국준(陳興道)가 남긴 애국정신을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중국을 비롯한 이들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과거제도를 통해 관리를 선발하였다. 그리고 문학 창작이 하나의 문화적 전통으로 자리를 잡았고, 관리로 출세하고자 하는 사람은 뛰어난 문학적 창작 능력을 구비해야 했다. 이들 동아시아의 군사지도자들이 문학 작품을 지을 수 있었던 것은 전통적인 유교교육을 받았던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들 한국과 베트남에서 동아시아 전쟁영웅의 문학작품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한국의 이순신은 『난중일기 (亂中日記)』와『이충무공전서 ( 李忠武公全書 )』가 남아있는데, 여기에 다양한 문학 작품이 담겨 있었다. 이순신의 문학작품은 조선의 장수이자 한 인간으로서 겪어야 하는 모든 것을 기록하였고, 그의 영웅적 면모와 함께 웅혼하고 장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더욱이 이순신의 기록은 개인적 전장 체험뿐만 아니라 전쟁전의 상황과 임진왜란 당시의 전황을 알 수 있는 객관적 사료의 가치도 있다. 이순신의 문학작품은 전쟁생활에서의 기록, 그리고 충효의 이념적이며 투쟁적인 혁명 내용을 자세히 표현하고 있다. 베트남의 진국준은 한국의 이순신과 다르게, 병법서나 격문인『유제비장격문 (諭諸裨將檄文)』, 『병서요략 (兵書要略)』,『만겁종비전서 (萬劫宗秘傳書)』를 남겼다. 이들 진국준의 작품은 몽골전쟁 당시의 전황을 알 수 있는 자료들이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병법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며 애국주의 문학의 공리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의 이순신과 베트남의 진국준은 둘 다 지략이 뛰어난 인물이어서 초반에는 불운했지만 후에는 장군으로서 중용되었다. 이들은 문학 작품에 애국정신을 잘 표현하고 있었는데 양식으로서의 문예적 경향은 대조적이다. 이순신의 문학 장르는 시 장르를 바탕으로 인간성의 성숙과 함께 충효가 우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충무공은 효를 근간으로 어머님에 대한 걱정과 사랑, 역사적 현장에서의 국왕에 대한 감복, 백성과 군사들에 대한 사랑과 연민을 담았다. 더 나아가 충무공은 어지러운 현실에서 안분지족하는 삶의 과정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반면에 진국준의 문예 장르는 격문을 중심으로 군사과학에 관한 작품을 창작하였다. 그리고 자신에게 주어진 임무 수행과 병법을 습득하는 과정을 형상화하였다. This essay studies the patriotism of literary achievements left by Lee Sun Shin of Korea and Tran Quoc Tuan of Vietnam, the great historic heroes in the history of foreign invasion fight of the two countries. In history of Eastern Countries including China, these figures were appointed to become Mandarins through the system of competition - examinations. These figures held their positions in traditional literary composition and they came from officialdom. Therefore, they had the virtue and ability to compose outstanding literary works. The compositions by military leaders in Eastern countries also come from their experience of traditional Confucian education. The study on literary achievements of the Eastern Asian war heroes, in this case of Korea and Vietnam, can be concluded as follows: General Lee Sun Shin of Korea has lsft two great literary works: Nanchungilki and Leechungmukongjeonseo, which contain abundance of contents. LeeSunShin, through Literary works, recorded every things in the role of a general and an experienced man. His works also showed the image of a stately general as well as the look of a hero. Moreover, the works by Lee Sun Shin have not only expressed his personal experience at battle but they also have the value of objective materials, which can tell readers the situation at battle and the circumstances of Korea under Japanese domination. Lee Sun Shin s literary works also contain the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ity, telling the life in warfare, and clearly showing the contents of revolutionary struggle. The typical literary works left by Tran Quoc Tuan - Vietnam are Yujebijangkyeokmun, Byeongseoyoryak, Mankeopjongbijeonseo. The literary works by Tran Quoc Tuan are objective materials that can tell us the then war situation against Mongols. Most of the works by Tran Quoc Tuan showed the reader the look of a war-artist, emphasizing the justice in literature of patriotism. Korean Lee Sun Shin and Vietnamese Tran Quoc Tuan are all outstanding figures in wisdom and courage. They at first met bad luck. After that, they were appointed to hold important post and became generals. Their literary works, however, have opposite trends. Lee Sun Shin s literary works show that original literature honors filiality at the adulthood of human. The filiality was shown through love and consolation from mothers. They show the satisfactory life and admiration on the throne, the pity and compassion to war soldiers, the pity and compassion to the people in that historic age. On the contrary, the literary works by Tran Quoc Tuan mention military science on the basis of learning knowledge from Chinese war art books and his personal experience. Tran Hung Dao s literary and military works have abundant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