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자인·기술융합의 D.I.O(do it ourselves)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협업중심 모형 연구

        현혜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융합교육과 스마트교육은 지식기반인 현대사회에서 각광받고 있는 교육의 새로운 흐름이다. ICT의 발전은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이나 무크(MOOC)와 같은 교육시스템을 가능하게 만들었으며, 학문 간의 융합을 통한 창의적인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환경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교육을 접하고 있다. 융합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이 다루어져 있으며, 융합교육의 다양한 사례와 정책 등이 정리되어 있다. 그러나 수학과 과학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융합형교육의 특성 상 디자인 분야에 대한 융합교육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은 상황이다. 디자인교육은 대학에서 전공과목으로만 전문적으로 교육이 진행될 뿐, 청소년들을 위한 디자인 교육은 미술교과의 한 단원으로만 다뤄지는 실정이어서 디자인교육이 중요하게 다뤄지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디자인 강국인 영국이 이미 초등학교 때부터 디자인과 기술을 정규과목으로 지정하여 교육이 행해지고 있는 사례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양의 교육이다. 요즘의 교육 트렌드가 창의성이나 융합교육을 지향 하더라도 아직까지는 사교육과 입시위주의 우리나라 교육방향을 바꾸기란 쉽지 않다. 국내에서 디자인교육이 영국과 같이 정규과목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생각보다 더 많은 시간이 필요 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우선, 디자인을 청소년들에게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방법으로 코딩교육이나 메이커 교육과 같은 형태의 디자인과 기술을 융합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대상을 선정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 봄으로써 교육의 효과와 흥미도를 검증하였으며, 적정한 운영 시간 및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 교육은 특히 함께 모여서 아이디어를 내어 협업·제작해 볼 수 있는 환경을 중점으로 하고 있는데, 이를 D.I.O(Do It Ourselves)형 교육이란 개념으로 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디자인·기술 융합교육의 교육운영형태인 D.I.O(Do It Oulselves)는 기존에 혼자서 스스로 만든다는 의미의 ‘D.I.Y’에서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 내는 협업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D.I.O형 교육은 디자인과 전자공학의 기초이론과 실습교육을 통해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기초학습’의 단계를 거쳐, 팀을 구성하여 아이디어를 내고 토론의 과정을 거쳐 프로토타입을 제작 하는‘협업학습'을 한 뒤, 완성된 프로토타입을 시연 및 발표하여 평가를 받는 ’평가'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D.I.O형 교육프로그램을 2차년도에 걸쳐 기획, 시뮬레이션 해본 후 교육운영의 결과를 바탕으로 협업 중심의 'CLE(Collaborative Learning and Education)'교육모형을 설계하였으며, 학습자 역량 및 작품결과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CLE모형 기준과 융합교육의 세부요소를 바탕으로 항목을 설정하였다. 본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얻게 되는 이점에 대해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들의 생각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됨으로써 창의적인 작품을 구안해 낼 수 있다. 둘째, 디자인과 기술의 이론 및 실습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두 분야에 대한 융합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습득한 지식을 활용 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주어진 문제해결 과정에서 팀원들과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진행되어 가는 상황을 경험하면서 서로에 대한 배려와 소통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넷째, 프로토타입을 완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아이디어가 직접 만들어졌다는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학생들은 디자인의 요소가 단순히 심미적 기능만이 아닌 고려해야 될 부분이 많으며, 어떻게 활용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깨달게 된다. 이에 따라 디자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디자인 분야의 중요성과 활용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그러나 D.I.O형 교육을 운영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물적, 인적 인프라와 운영의 조건 상 현실적으로 정규교육 형태로서 편성, 보급되기는 힘든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학교 정규교과와의 연계성을 갖고 학내 교사가 충분히 지도할 수 있도록 매뉴얼 화되고 교사 연수 등의 교사교육 프로그램들도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교육이 꾸준히 운영되기 위해서는 대학과 국가기관(과학관이나 박물관, 교육센터 등)과 같은 인정된 기관의 프로그램으로 소속되어 본 교육에 대한 인지도와 정당성을 체계화 하고, 교육의 질 향상과 시대적 변화의 흐름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다양한 인력풀 구축을 할 수 있는 연구 집단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장기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사교육 형태가 아닌 공교육의 형태로 운영됨으로써 학생들의 교육비 부담을 덜고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에서 융합형 교육은 여러 방면에서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정규교과의 도입은 쉽지 않다. 특히 학교 내에서 교과목으로 다루는 범위가 미미한 디자인 분야는 중요성조차 인지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어서 융합형 교육으로서의 연구자체가 제일 미약한 과목이다. 청소년들

      • 렘브란트(Rembrandt)의 자화상 연구

        현혜정 제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의 창조적 행위는 인간이 자기 자신의 본질을 깨닫고자 하는 본성에 의해 끝없이 계속되고, 회화의 여러 장르 중 자화상을 통해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자화상이란 보통 사실적 또는 인상적으로 자기 자신의 모습을 그리는 것으로 르네상스 초기인 15세기경부터 나타났는데, 개성적 자각이 강해진 르네상스 이후에 많이 그려졌다. 자화상을 많이 그린 위대한 화가로 알려져 있는 렘브란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는 17세기 네덜란드의 중요한 인물 중에 한사람으로 손꼽히고 있다. 그러한 이유는 예술가의 작품을 통하여 자신의 견해가 구체화 되고, 얼굴 속에 나타난 예술 작품은 그것을 향수하는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기 때문이다. 렘브란트의 자화상을 살펴보면 삶의 모습과 체험은 예술로 표현되고, 그 예술은 다시 삶을 조명하는 역할을 한다. 그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빛의 효과를 최대한 활용하여, 색채 및 명암의 대조를 강조하는 회화적 효과를 얻는 것으로 보아 그는 자화상을 통해 인간 내면의 정신성을 나타내려 하였다. 렘브란트의 여러 작품들 중 시기별로 그려진 자화상과 초상화들의 회화적 효과를 보면 색이나 모양이 빛을 통해 강조되어 있고, 명암을 통해 뚜렷이 드러나는 심리적 표현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화려한 붓놀림, 풍부한 색채, 하늘에서 쏟아지는 듯한 빛과 어두움, 강렬한 힘과 내면을 꿰뚫는 통찰력, 종교적 권능을 감지하게 하는 탁월한 빛의 처리, 이러한 기법은 렘브란트가 살아온 시기별 삶이 기법에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렘브란트의 자화상에 대하여 참고 문헌 및 선행 자료를 바탕으로 시기별로 나누어 각각의 시대에 나타난 주요 작품들을 이해하고 다른 작가의 예술 작품과도 비교 해 봄으로써 남다른 독창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하였다. 4단계의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크게 초기와 후기로 나누어 그 특징을 구분지어 보았다. 초기에는 극적인 명암의 대조법을 사용하였고, 박력 있는 묘사를 했으며 수많은 인물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초기의 전체적인 작품들로 보았을 때 인물들의 행동은 육체적인 행동 표현들이 많았으며, 활기가 넘치고 한편으로는 멜로드라마 같은 느낌을 주며 화면은 고도의 기교를 사용해 매끈하게 표현하고 있다. 반면에 후기에는 금빛과 갈색 톤으로 미묘한 명암법을 사용했고, 정적이고 사색적인 분위기가 묘사 되었으며 한 가지 주제로 단순화 시켜 그림을 그렸다. 인물들은 심리적인 반응을 위주로 표현되어 조용하고 엄숙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초기의 매끈한 표현과는 달리 명료하면서 두터운 필치로 화면이 채워져 있다. 자화상을 볼 때 우리는 단순히 그 작가의 실제모습이 어떻게 생겼는가를 알고 싶어 하는 일반적인 호기심으로 다가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렘브란트 자신은 그의 자화상을 그려내면서 작가 내면의 모습을 진지하게 탐구하고 바라보는 것을 중요시하고 있다. 결국 항상 들여다보고 쳐다보게 되는 본인의 얼굴에 주목하면서 그가 비범한 투시력과 명암에 대한 최고의 지성과 빛, 그리고 어둠을 자유자제로 나타내는 독창성을 지닌 화가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회화사에서 렘브란트만큼 심적 불안과 고뇌를 지니고 인간과 세계, 화가와 신, 순간의 언어와 영원의 표현 사이의 관계를 파헤친 화가를 보기 어렵듯이 그가 미술사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볼 수 있다. As a creative act, art endlessly continues by the human nature to find out himself. It is distinguished in self-portrait among the various genres of painting. It is called self-portrait to paint a picture of himself by the realistic or impressive ways. It appeared in 15th century - the early years of the Renaissance - and was made a lot after Renaissance when many people can develop their own personality. 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is famous as a great Dutch master who has lot of self-portrait. An artist incorporate his thought in his works and the people who enjoy the works can enrich their lives. In this context Rembrandt is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people in the Netherlands of 17th century. His self-portraits express his life and experiences and then light up his life. He makes the best use of light to emphasize the color and the contrast between light and shade. It's the feature throughout his works. And judging by this, he wants to express interior human spirit with his self-portraits. The portraits and self-portraits of him clearly express psychological descriptions through the light and shade. His periods of life effect his techniques such as splendid touch, plentiful color, light and darkness pouring from the sky, power, keen insight and excellent light handling which has the feeling of religious competence. This dissertation seeks to investigate and analyze originality of Rembrandt's self-portraits based on the literature cited and preceding data. I will divide his work life into some periods and compare the masterpieces of each period with the other artists'. I divide it into 4 segment and roughly into 2 periods. In early period he used dramatic contrast between light and shade and strong description and had multiple subjects in his paintings. He displayed lots of physical actions in his works. They was energetic having a melodramatic feelings. The canvas was smooth with high technics. However, in the later period he used delicate shading with golden gleam and brown tone. He describe silence and speculative mood in his painting and simplify the subjects. The characters in the paintings were expressed mentality-centered so the works had a quiet and solemn atmosphere. As opposed to the early period the canvas was filled with clear and thick touches. When we see a self-portrait, usually we are just curious how he was look. But Rembrandt values serious introspection while he is painting himself. He focused on his face and became a intellectual master who could see through and freely control light and shade. It's hard to find another artist who has anxiety and distress like Rembrandt in the history of art. He was a seeker who stud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nkind and the world, artist and God, momentary words and everlasting expression. So he can have a great influence over the history of art.

      • 학령기 아동의 공감능력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현혜정 대구가톨릭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school-age children’s empathy abilit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803 5th and the 6th grade children in the Daegu and Gyeongbuk.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school-age children’s empathy ability, parental empathy perceived by children, emotional clarity, and affective well-being.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the SPSS 26.0 and AMOS 26.0.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used to model fit.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empathy perceived by children, emotional clarity, and affective well-being were found to directly affect children's cognitive empathy ability and affective empathy ability. Second, parental empathy perceived by children and emotional clarity were found to directly affect children’s affective well-being. Third, parental empathy perceived by children were found to directly affect children's emotional clarity.

      • 학령기 아동의 긍정적 갈등해결전략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현혜정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of school-age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836 of 5th and 6th grade children residing in Yeongcheon-Si, Gyeongsan-Si and Daegu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children's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integration and compromising strategies, obliging strategies), empath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arent-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sed using AMOS 20.0.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used to model fit.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mpath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arent-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were found to affect children's integration and compromising strategies directly. Children's empath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perceived by children were found to affect children's obliging strategies directly. but children's parent-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were not found to affect children's obliging strategies directly. Second, children's parent-adolescent open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were found to affect children's empath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directly. Third, children's empathy perceived by children were found to affect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directly.

      • 첨단 디지털 환경변화에 따른 과학전시 전문인력 양성 방안 연구

        현혜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첨단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뉴미디어의 등장은 전시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멀티미디어 기술을 바탕으로 대중문화가 급속하게 발전하면서 사회문화 전 분야에 걸쳐 엔터테인먼트적 요소가 강화되었고 첨단디지털기술은 모든 산업분야에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와 문화, 예술, 전시공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오감체험형 4D 디지털시네마, 증강현실 게임, 맞춤형 스마트 모바일, 인터렉티브 3DTV 등 새로운 매체 간에 융합기술이 더해지면서 최근 전시공간에서는 보는 즐거움과 실제 경험의 의미가 가중된 생생한 체험서비스를 사람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의 과학전시관은 차별화 된 질적 경험을 주는 곳이 되어야 하고, 다양한 장르간의 결합으로 생겨나는 새로운 가치와 문화를 체험․공유 할 수 있는 곳이 되어야 한다. 이처럼 과학전시관이 첨단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면서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그에 따른 전문인력의 역할도 끊임없이 변화해야 한다. 과학전시관에서 필요로 하는 과학전시 전문인력의 역할은 전시경영․서비스분야, 전시기획분야, 전시콘텐츠분야, 전시디자인분야, 전시관리 및 운영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인 부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들과 협업하여 융합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변화에 맞춰 과학전시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과학전시관을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문인력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 전시분야는 과학전시와 관련된 분야를 직접 전공한 인력이 희박한 상태다. 국내에 과학전시 관련학과가 없음은 물론, 과학기술 자료의 수집․처리․보존․전시물개발․전시기법에 관계되는 강의가 국내 각 대학에 개설 된 경우가 적고 특히 과학전시 분야의 기획, 디자인, 관리, 유지관리, 이벤트개발, 기술융합 개발 등을 가르치는 교육 시설은 전무한 실정이다. 전시분야의 교육을 받고 있는 인력들의 경우 박물관의 학예사, 교육담당자, 유물 보존처리사, 교육담당자, 전시디자이너 등 박물관 관련 인력과 컨벤션, 무역전시 등의 산업전시를 위해 교육 및 양성되고 있는 인력들이 대부분이다. 과학전시전문인력은 과학전시관이 단순히 과학기술을 전시만을 해놓는 공간이 아니라 새로운 문화공간과 과학기술의 발전을 연구․개발하는 공간으로써 활용되어 질 수 있도록 첨단과학기술의 변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체계적인 전시기획 및 디자인, 관람객을 위한 서비스, 유지 관리 및 기술개발 등에 대한 교육을 받은 인력들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이 기획, 디자인, 기술 및 운영관리 차원의 체계적인 교육을 받고 각 분야의 전시전문인력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좀 더 전문적인 정규학위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정규학위과정을 통해 양성되는 인력뿐만 아니라 비정규(단기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현재 과학전시관에서 일하고 있는 인력들이 재교육 차원에서 변화하는 첨단과학기술의 흐름을 이해하고 현재 일하고 있는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역량강화를 할 수 있도록 기관 및 학교와의 연계를 통한 교육프로그램도 구축되어야 한다. 공모전을 통한 전시분야의 인력들에 대한 역량 발휘기회 및 인센티브 부여와 전문자격제도를 통해 실전형 전문 인력이라는 인식을 부여함은 물론 전시관련 인력의 자질을 높여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의 전시인력 확보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첨단과학기술 발전의 흐름을 반영하여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전문 콘텐츠개발센터를 두어 전시전문인력들이 연구개발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이처럼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및 제도적인 지원을 통해 양성된 인력들이 배출 된 후에 그들의 역량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채용의 범위를 확대하고 원활한 인력공급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채용방안을 통해 전문인력의 활용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취업연계의 역할을 도모하여야 한다. 과학전시관은 과학기술콘텐츠를 전시하는 공간일 뿐 아니라 관람객들의 체험과 참여를 통하여 과학에 대한 흥미유발 및 과학적 사고를 증진시키고, 과학문화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또한 학교 밖 과학교육의 수요가 확대되고 과학컨텐츠에 대한 수요도 증가함에 따라 컨텐츠 개발과 확산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곳이다. 해외 선진과학전시관의 경우 과학전시관이 관람객들의 주요 방문장소가 되면서 국가활성화를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하나, 아직까지 국내 과학전시관은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과학전시관이 되기에는 미흡하다. 과학전시는 융합기술시대에 접어든 오늘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 시키는 산업으로써 과학전시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기획하며 설계하고 디자인해 줄 수 있는 과학전시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Today, new media solution with the advanced technology brought many changes in exhibition environment. Based on advanced muti-media technology, popular culture has been rapidly developed in all sociocultural area, which is strengthened with entertainment elements. New digital technology affects in all industries and leads to changes of paradigm in culture, art, and exhibition field. Five-sense experimental 4D digital cinema, augmented reality game, customized smart mobile, interactive 3DTV, etc., these new media convergence provide public to have a fun and real experimental service. Science exhibit Museum should be a place where public can experience new values and cultures that are accompanied by a convergence in various fields. Also, the role of specialist should be keep changing with the changes of science exhibit Museum with the evolving technology. The specialist in science exhibit Museum should be capable to fulfill their tasks in exhibition management, service, exhibition planning, contents, design, and operation with the coordination among many fields. Therefore, the specialists who are able to understand and operate the whole science exhibition should be required. In reality, there are very little specialists who are major in the field of science exhibition in Korea. It is because there is no well organized education systems that provide planning, design, management, event planning etc., and there are very little classes to teach the techniques collecting data, process, preservation. People who are in the boundary of such education systems are curator, educator, exhibition designer, an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museum, convention, or trade convention. Science exhibition specialists should understand the changes of fast developed technologies and be able to perform their tasks well to operate exhibit Musuem not only a place to exhibit but also a place to develop a culture and a science. Furthermore, the specialists should be educated in exhibition planning, design, service, and operation. As to the education, systematic courses and degrees are needed for the better operation of science exhibition. Also, short-term education program through an educational institution is necessary to re-educate and refresh specialists who are in the related field to learn new technology and to build up their capability. An open exhibition and professional contents development center will help people who are in the field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show their ability and will motivate them to share values. This, in turn, will lead them to be more professional and will help large and small & medium companies to find a proper manpower in this field. Most important factor is that those who are well educated and trained should have more opportunities to work in the field. The government should find the ways to help them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be hired in the field. In conclusion, science exhibit museum is not only a place to exhibit science technology contents, but also a place to participate and experience science. Also science exhibit museum is a place to research and develop science contents. From the case of advanced science exhibit museum abroad, we need to learn how to make public to visit more often and enjoy the place. In the days of convergence technology, science exhibition should train and educate science exhibition specialists who can efficiently operate, plan, develop, and design to create added value.

      •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무 시멘트 경량 기포 콘크리트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현혜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를 전량 대체한 고로슬래그 미분말 사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 제작을 위하여 알칼리 자극제 및 공기연행제, 알루미늄 분말을 사용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로 제시하고자 고로슬래그 미분말 무 시멘트 콘크리트를 제작하여 물리·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체 성형수준의 실험결과 알칼리 자극제량이 늘어날수록 경화속도가 빨라져 실험체의 성형이 어려워지며 물바인더비가 증가할수록 실험체 성형이 수월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2) 물바인더비가 높아질수록 단위용적질량은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 단위용적질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알칼리 자극제의 혼입량 증감에 따라 단위용적질량에 영향은 아주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난다고 판단된다. 공기연행제량의 증가함에 따라 단위용적이 감소하며 발포제가 증가하면 기포가 더 많이 발포가 되면서 이에 단위용적질량이 낮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발포제량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단위용적질량과 밀접한 관계로 판단된다. (3) 공극량이 물바인더비에 연관성 있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알칼리 자극제가 증가할수록 경화 속도가 빨라져 발생된 소포를 유지를 하여 알칼리 자극제가 증가함에 따라 공극량도 증가하며 알칼리 자극제는 공극량 증가에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공기연행제가 발생되는 기포를 연행시켜 연행제가 증가함에 따라 공극량이 증가하여 공기연행제가 공극량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압축강도는 물바인더비 감소에 따라 메트릭스 강도의 향상에 기안하며 알칼리 자극제 혼입량의 일부 사용량에서는 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기연행제가 증가함에 따라 재령별 압축강도는 낮아져 공기연행제가 실험체의 압축강도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알루미늄 분말 혼입량이 기포발생량의 증가 및 진존공극량의 증가에 기인하여 알루미늄 분말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여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개발을 위해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영향인자와 알칼리 자극제의 추가 사용에 대한 연구가 보다 적극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manufacture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using blast furnace slag micro-powder which replaces all the volumes of cements, this study utilized alkali activators, AE Agent (Air Entraining Agent), aluminum powder to test the influences of them o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and offer preliminary data necessary to make the most of them. And this research study manufactured cementless concrete using blast furnace slag micro-powder to analyze its physical and dynamical features. This analyt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test specimen shaping shows that the more alkali activators increase, the faster the hardening velocity is, and this puts the brake on test specimen shaping. It is considered that the more water binding rates increase, the easier the test specimen shaping becomes. (2) Given the fact that the higher water binding rates are, the more mass of unit volume decreases inversely, it is considered that water has something close to do with the mass of unit volume. It is anticipated that the mass of unit volume is determined to a very little extent by the using volume of alkali activators. The more AE Agent increases, the more unit volume decreases. The increase of forming agent leads to greater bubble and a lower mass of unit volume. For this reason, it is judged that the volume of forming ag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mass of unit volume of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3) It is found that volumes of voids either rise in proportion to the rates of water binding or do not decline. The more alkali activators increase, the faster the hardening velocity gets, which keeps small volumes of bubble to a moderate level. The more alkali activators increase, the volumes of voids rise. Given this fact, it is considered that alkali activators are in association with the increase of the volumes of voids. Allowing that AE Agent entrains bubble and the more AE Agent increases, the more volume of voids rises, it is anticipated that AE Agent has the influence on the increase of volumes of voids. (4) Compressive strength makes a contribution to the increase of matrix strength. It is considered that some dosages of alkali activators lead to the increase of its strength. The more AE Agent increases, the lower comprehensive strength of material age is. Given this fact, it is judged that AE Agent influences the low comprehensive strength of test specimen. Considering the using volume of aluminum powder derives from the increase of bubble and the volumes of voids, it is judged that the increase of the using volumes of aluminum powder influences the lower compressive strength. In conclusion, it is deemed that, in order to develop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with the use of blast furnace slag, a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about factor affecting blast furnace slag powder and additional use of alkali activators, using the results as preliminary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