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패스트푸드와 가공식품의 엽산 함량

        지현정(Ji Hyun Jung),김승기(Kim Seungki),연미영(Yon Miyong),현태선(Hyun Taisun)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4

        본 연구에서는 식품 중의 엽산을 추출하기 위한 trienzyme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α-amylase와 folate conjugase 를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 (CI)과 기존의 방법대로 protease, α-amylase, folate conjugase 세가지 효소를 각각 처리하는 방법 (SI)을 비교해 보았으며, 개선된 방법을 이용하여 패스트푸드와 가공식품에 들어있는 엽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1) 12종 88개 식품에 대하여 엽산을 추출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 (SI)과 두가지 효소를 동시에 처리하는 CI 방법으로 엽산 함량을 비교한 결과 식품의 종류에 따라 두 방법간에 -6.5%에서 34.0%까지의 차이를 보였다. 식품의 종류별로 paired t-test를 한 결과 9종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볼 수 없었으며, 3종에서는 CI 방법이 SI 방법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효소 처리시간이 단축됨으로 인해 엽산의 손실이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실험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CI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2) CI 방법으로 식품 중의 엽산을 추출하고 미생물학적 방법으로 엽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햄버거의 100 g당 평균 엽산 함량은 29.0 ㎍, 치즈버거 35.6 ㎍, 불고기버거 34.4 ㎍, 새우버거 33.5 ㎍, 치킨버거 29.3 ㎍, 휘시버거 31.7 ㎍이었다. 비스킷의 엽산 함량은 28.1 ㎍, 감자튀김은 49.1 ㎍이었고, 피자 29.7 ㎍, 샌드위치 31.6 ㎍, 삼각김밥 24.3 ㎍으로 나타났으며, 이 값을 1회 분량으로 환산하면 버거종류는 43.1~62.0 ㎍, 감자튀김 53.3 ㎍, 피자 28.4 ㎍, 샌드위치 47.4 ㎍, 삼각김밥 25.7 ㎍이었다. 3) 가공식품 26종의 엽산함량을 측정한 결과 100 g 당엽산 함량이 가장 높은 식품은 캔옥수수로 89.5 ㎍이었고 다음으로는 냉동만두가 80.8 ㎍이었다. 그 외의 가공식품으로 소시지는 19.6 ㎍, 비엔나소시지 11.7 ㎍, 햄 11.5 ㎍, 튀긴어묵 10.7 ㎍ 등으로 측정되어 가공식품의 엽산 함량은 대체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음료의 엽산 함량은 100 g당 1.0~5.2 ㎍으로 매우 낮았다. 4) 본 연구에서 분석한 패스트푸드와 가공식품, 소스, 음료 등 32종의 엽산 함량을 기존의 식품영양가표와 비교하였을 때 식품영양가표의 엽산값은 분석값과 비슷한 경우도 있었으나 0.04~140배 까지 차이가 매우 큰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식품 중의 엽산 함량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엽산 섭취량을 파악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어린이, 청소년, 젊은 성인층에서 섭취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패스트푸드와 새롭게 개발되는 가공식품의 엽산 함량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A trienzyme extraction method (use of α-amylase, protease and folate conjugase) for food folate assay has been used to release folate from the food matrix. In order to reduce the incubation time with three enzymes, folate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two incubation protocols; separate incubation (SI, incubated with α-amylase and conjugase separately for 2 hours after protease treatment) and combined incubation (CI, incubated with α-amylase and conjugase together for 2 hours after protease treatment) using 88 food items from 12 kinds of fast foods and processed foods. We found that folate values by CI were comparable to or higher than those by SI, indicating that CI might be a better extraction procedure to shorten the entire incubation time. We measured folate contents in 49 fast foods and 26 processed foods by microbiological assay after CI. Mean folate contents of one serving of various burgers ranged from 43.1 to 62.0 ㎍. One serving of French fries, pizza, sandwich and triangled kimbab contained a mean of 53.3, 28.4, 47.4, and 25.7 ㎍ of folate, respectively. Folate contents of non-alcoholic beverages were very low, ranging from 1.0 to 5.2 ㎍/100 g. Some of our values were comparable to the values in the folate database published in Korean Nutrition Society, however, some of the published values were 140 times higher than the measured values in this study. Folate values measured by the more recent modifications here can be used to update Korean folate database to accurately estimate dietary folate intake

      • KCI등재후보

        월드카페와 브레인라이팅을 활용한 영양교육이 초등학생의 채소 섭취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태양(Kim, Taeyang),현태선(Hyun, Taisun)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20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using world cafe and brain writing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vegetable intak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trition education was implemented for sixth-graders in elementary school (45 children in the education group, 50 in the control group). Self-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vegetable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A personal activity sheet and a group activity sheet for nutrition education were developed. A personal activity sheet included vegetable bingo (one-line bingo), vegetable intake assessment, and a pledge to increase vegetable intake (1-min paper). A group activity sheet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 of world cafe and brain writing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e nutrition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as nine steps based on the concept of world cafe and brain writing, was implemented with the education group.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children in the education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vegetable intake compared with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 nutrition education using world cafe and brain writing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various nutrition education topics.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 진단을 위한 식습관평가표 개발

        연미영(Yon Miyong),현태선(Hyun Taisun) 韓國營養學會 200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1 No.5

        초등학교 4~6학년 어린이 142명 (남 80명, 여 62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에너지를 과잉으로 섭취할 위험이 있는 어린이를 선별할 수 있는 간단한 식습관평가표를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이 있는 어린이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과잉섭취의 위험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하므로 에너지 섭취량, 지방 섭취량, 에너지필요추정량에 대한 에너지 섭취량 비율 (%EER)의 세가지 지표를 임의로 선정하였고, 식습관 각 문항의 응답 보기에서 가장 좋은 식습관에 대하여 0점, 가장 좋지 않은 식습관에 대하여 2점을 부여하고, 이 두가지 식습관 사이에 중간 정도의 보기가 있는 경우 1점을 부여하였다. 부여된 점수로 계산한 각 문항의 식습관 점수와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 평가지표와의 Pearson 상관계수를 계산한 결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식습관 문항은 식사 중 TV 시청 여부, 식사속도, 식사량, 과식횟수, 외식횟수, 간식횟수, 라면과 패스트푸드 섭취 횟수에 관한 7개 문항으로 나타나 이들을 평가표에 포함시킬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항 중에서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을 더 잘 가려낼 수 있는 문항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하여 선정된 문항과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 평가지표와의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에 따라 세가지 지표 모두와 유의수준이 0.1 미만인 식사량에 관한 문항의 배점을 1점으로 낮추었다. 진단기준 점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EER ≥ 125%를 에너지 과잉섭취군, %EER < 125%를 비과잉섭취군으로 분류하고, 두 집단의 식습관평가표 점수 분포를 살펴본 후, 임의의 진단기준 점수에 대한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를 구한 결과 5점을 진단기준 점수로 결정하였다. 본 조사대상자를 식습관평가표로 진단하여 5점 이상을 위험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13.4%가 위험군으로 분류되었고, 이들의 영양소 섭취량을 비위험군과 비교한 결과 위험군의 에너지 섭취량 평균은 2,156 kcal, 비위험군은 1,708 kcal로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에도 유의적 차이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에너지 섭취량으로 보정해 주어 INQ로 계산한 결과 모든 영양소에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 진단을 위한 식습관평가표는 에너지 과잉을 잘 나타내 준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7문항의 식습관평가표는 복잡한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지 않고도 에너지 과잉섭취의 위험이 있는 어린이를 선별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되며, 초등학생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영양판정이나 영양교육을 실시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중소도시, 군 지역 어린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이용하여 에너지 과잉섭취 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식습관평가표를 개발하였으므로 대도시를 포함한 다양한 지역의 어린이에게 활용하여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개인의 식습관을 평가하여 진단하는 것은 영양교육이나 영양사업을 계획하고 실시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해야 하는 단계로 이를 위한 간단하고 효율적인 평가도구가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앞으로 다양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영양적 위험을 평가하고 진단할 수 있는 식습관평가표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high risk of energy overintake. Dietary habits, food intake, anthropometric data were collected from 142 children (80 boys and 62 girls) in the 4th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Energy intake, fat intake, and percentage of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were used as indices to detect the risk of energy overintake of the childre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etween dietary habit scores and energy overintake indices in order to select questions included in the checklist. TV watching during the meal, meal speed, meal amount, overintake frequency, eatingout frequency, snack frequency, frequency of eating Ramyun or fast food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nergy overintake indice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give each item a different weight by prediction strength. To determine the cut-off point of the test scor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s were calculated. The 7-item checklist with test results from 0 to 13 points was developed, and those with equal or higher than 5 points were diagnosed as a risk group of energy overintake. Among our subjects 13.4% was diagnosed as the risk group. Mean energy intake of the subjects in the risk group and the normal group were 2,650 kcal and 1,640 kcal,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of the other nutrients except eating fiber between the risk group and the normal group. This checklist will provide a useful screening tool to identify children at high risk of energy overintake. (Korean J Nutr 2008; 41(5): 414 ~ 427)

      • KCI등재

        초등학생의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 진단을 위한 간이 식습관평가표 개발

        연미영(Yon Miyong),현태선(Hyun Taisun)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1

        초등학교 4~6학년 어린이 142명 (남 80명, 여 62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여 미량영양소 섭취부족의 위험이 있는 어린이를 선별할 수 있는 간단한 식습관평가표를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지표는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칼슘, 철분, 아연의 여섯가지 영양소에 대하여 권장섭취량에 대한 섭취 백분율과 평균 적정섭취비율 (MAR), 이들 여섯가지 영양소 중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한 영양소의 개수를 임의로 선정하였다. 식습관의 각 문항에 대한 점수를 구하기 위하여 응답 보기에서 가장 좋은 식습관에 대하여 0점, 가장 좋지 않은 식습관에 대하여 2점을 부여하고, 이 두가지 식습관 사이에 중간 정도의 보기가 있는 경우 1점을 부여하였다. 부여된 점수로 계산한 각 문항의 식습관 점수와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지표와의 Pearson 상관계수를 계산한 결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낸 식습관 문항은 세끼 식사 여부, 아침식사 시간의 여유, 저녁식사의 규칙성, 식욕, 그리고 김치, 우유, 과일, 콩의 섭취 빈도에 관한 8개 문항으로 나타나 이들을 평가표에 포함시킬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이 8개 문항에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MAR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유의수준이 0.05 미만인 4개 문항의 배점을 1점으로 낮추었다. 식습관평가표의 영양부족위험 진단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MAR < 0.75를 미량영양소 섭취부족군, MAR ≥ 0.75를 적정군으로 하여 총점 분포를 살펴본 후 각 총점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를 평가하였고 이 결과에 따라 식습관평가표의 총점이 3점 이하 일 때 저위험군, 4~5점일때 중간위험군, 6점 이상일 때 고위험군으로 결정하였다. 식습관평가표의 진단기준에 따라 본 조사대상자를 세 집단으로 분류하고 영양소섭취를 비교한 결과 에너지와 단백질은 세 집단간 대상자 분포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11개의 미량영양소 중에서는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엽산, 칼슘, 인, 철, 아연 등 9개 영양소에서 평균 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한 대상자의 비율이 고위험군이 가장 높았으며, 중간위험군, 저위험군의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비타민 C의 경우 중간위험군과 고위험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저위험군은 유의적으로 낮았고, 비타민 B?의 경우 세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8문항의 식습관평가표는 복잡한 식이섭취조사를 실시하지 않고도 초등학생의 미량영양소 섭취부족 위험을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초등학생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영양판정이나 영양교육을 실시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지역의 학생을 대상으로 활용하여 타당성 검토를 거치면 영양사업과 영양교육의 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eating habit checklist for screeni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Eating habits, food intake, and anthropometric data were collected from 142 children (80 boys and 62 girls) in the 4<SUP>th</SUP> to 6<SUP>th</SUP>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Percentage of Recommended Intakes (RI) and Mean Adequacy Ratio (MAR) of six micronutrients; vitamin A, riboflavin, vitamin C, calcium, iron, zinc, and the number of nutrients the children consumed below EAR among the six nutrients were used as indices to detect the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etween eating habit scores and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indices in order to select questions included in the checklist. Meal frequency, enough time for breakfast, regularity of dinner, appetite, eating frequencies of Kimchi, milk, fruits and bean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dices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give each item a different weight by prediction strength. To determine the cut-off point of the test scor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s were calculated. The 8-item checklist with test results from 0 to 12 points was developed, and those with equal or higher than 6 points were diagnosed as high-risk group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and those with 4 or 5 points were diagnosed as moderate-risk group. Among our subjects 14.1% was diagnosed as high-risk group, and 30.3% as moderate-risk group. The proportions of the subjects who consumed below EAR of all micronutrients but vitamin C were highest in the high-risk group,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s of the subjects with intake below EAR of all micronutrients except vitamin B6 among the three groups. This checklist will provide a useful screening tool to identify children at risk of inadequate micro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2009; 42(1): 38 ~ 47)

      • 일본 식생활교육정책(食育政策)의 현황 분석

        임연정(Lim, YunJung),현태선(Hyun, Taisun)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7 생활과학연구논총 Vol.21 No.2

        The Basic Law on Food Education (Shokuiku) was enacted in Japan in 2005. The Basic Law defines “Food Education” as acquisition of knowledge about food and nutrition as well as the ability to make appropriate food choices based on experiences related to food, in order to practice a healthy diet. The law stipulates that food education be encouraged through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Basic Plan for promoting food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of enactment of Basic Law on Food Education, and analyzes the first (2006–2010), the second (2011–2015), and the third (2016–2020) Basic Plans for promoting food education.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homepages of the concerned government offices, such as the Cabinet Office’s Food Safety Commiss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the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 Basic Plan had four elements: fundamental policies, objectives, comprehensive measures for promoting food education, and other requirements for comprehensive and consistent implementation of the plan. The Basic Law on Food Education stipulates the responsibilities and duties of the nation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educators, farmers and fishermen, food-related business groups, and the Japanese public. The most important factors are the consistency and effectiveness of the policies in the Basic Plans. In order to promote dietary education as a national movement,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and local public organizations to set a common goal and cooperate to achieve it. The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es of people can be improved by practicing healthy eating habits through steadily effective dietary education policies. Our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for dietary education policy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