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영아반 교사의 직무만족, 행복감이 교사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

        현정희(Hyun, Jeong-Hee),김정은(Kim, Jung-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 민감성에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행복감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영아전담 전문교육과정에 참여한 보육교사 중 영아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326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영아반 교사의 직무만족도, 행복감과 민감성의 관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반 교사의 직무만족도, 행복감이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직무 만족과 행복감이 교사 민감성과 민감성의 하위요인인 적절성, 정확성, 융통성, 일관성, 즉시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영아반 교사의 민감성에 있어서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행복감의 질적 향상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y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on infant teacher sensi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6 infant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and toddler education in Gyeonggi province. The sensitivity scale for the infant teachers developed by Min Gwang-mi(2014) was used on measuring infant teachers’ sensitivity, the job satisfaction evaluation tool developed by Park Mi-na(2013) fo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s, and the tool developed by Choi Yoon-jung(2010) for teacher happines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with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Second,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on sensitivity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that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eachers’ sensitivity and sub-factors, such as the adequacy, accuracy, flexibility, consistency, and immediacy. This suggests that improvement of quality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 KCI등재

        복합 기후리스크의 변혁적 관리 필요성 분석을 위한 자연기반 적응의 효과 평가

        현정희 ( Jung Hee Hyun ) 한국보험학회 2023 保險學會誌 Vol.135 No.-

        기후변화의 가속화로 극심한 기상 현상의 심각성과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치명적인 피해 및 경제적 손실이 회복 불가능한 수준으로 커지고 있다. 기후변화 적응의 중요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실행되는 대응 조치와 정책 수는 부족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간극의 원인은 과학적 복잡성과 미래 예측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높은 위험의 의사결정 문제에 기인하다. 본 논문은 적응경로를 모델링하는 의사결정 지원 도구를 적용하여, 서울 지역의 복합 기후리스크에 대한 적응의 장기적 효과를 평가하였다. 2020년부터 2100년까지의 예측된 기후영향을 고려하여, 도시 열섬 및 홍수 위험을 줄이는 기존 적응옵션과 자연기반의 적응옵션을 적응경로로 나열하고 최소화된 영향과 비용에 따라 최적화하였다. 적응경로의 파레토 포트폴리오를 통해 나타나는 적응(리스크 저감)의 한계에 따라, 재정적 보호 및 대응과 같은 변혁적 조치가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하향식 적응 모델링을 통한 리스크 레이어링(risk-layering) 개념과 통합하여, 현재 시점의 지출과 미래를 위한 투자를 어느 정도, 어느 시점에 할 것인가에 대한 변혁적인 리스크 관리 방법과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With the severity and frequency of extreme weather events increasing due to the acceleration of climate change, damages incurred as fatal and economic losses are becoming irrecoverable.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here remains a large gap in the number and scale of implemented actions and policie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such a slow uptake is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cience and uncertainty of future projections thus a high-risk decision- making problem. This paper applies a decision-making support tool that models adaptation pathways to evaluate the long-term effects of adaptation in reducing the impact of multi-hazard risks for the case of Seoul, South Korea. Conventional and nature-based urban heat and flood risk reducing adaptation options are sequenced as pathways against projected climate impacts from 2020 to 2100 and optimized according to minimized impact and cost. According to the pareto portfolio of adaptation pathways, the hard limits of adaptation (risk-reduction) will identify the degree to which transformative measures such as fiscal protection and response is needed. By integrating bottom-up adaptation modeling with the concept of risk-layering,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method and framework to guide the question of how much and in what proportion to spend now vs. invest for the future to drive transformational risk management.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 개념에 관한 연구

        현정희(Hyun Jeong-Hee),김정원(Kim Jungw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어릴 적 놀이경험과 현재 가지고 있는 놀이의 개념에 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12명이었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는 자신들이 어렸을 때 실외놀이를 많이 하였고, 동적인 놀이에 참여하였으며, 놀이시간이 학습보다 많이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놀이시간도 충분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또한 전자매체를 활용한 놀잇감이 적었던 것으로 기억하였다. 그리고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신의 어릴 적 놀이를 재미있고 자유로운 것으로 기억하고 있었으며, 유아들의 현재 놀이에 대해서는 자연에서 놀이하기보다는 인공물을 많이 가지고 놀고, 놀이매체는 다양해졌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놀이를 유아의 흥미와 욕구에 따른 자발적인 활동, 자발적인 동기에서 출발한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유아발달에 있어 모든 발달의 기초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를 위한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가치를 인정하고 중요하게 여기는 유아교사 전직교육과정에서 고려할만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lay memor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play concepts. The results of surveying 11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ttended colleges in Seoul and Kyungki-Do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membered their outdoor play experience more than indoor play experience, and active play more than quiet play. They also remembered to play than to study, to have plenty of play time, to have plenty of play materials(toys), to have more self-made play materials than bought, and to have toys which have clear gender role. At the same time, they remembered not to have electronic toys to play with. A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membered to have played in groups rather than individually, and to have played leader roles in a group. Second, looking into the play concept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y thought they mostly played role play. For group plays, the teachers also thought role play were most frequently played, followed by team plays, and outdoor play. They remembered that they played freely and had fun. They view that children nowadays play more with artificial toys rather than natural materials, have variety of play materials, and prefer indoor play to outdoor play.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icked activity, fun, and life as synonym words of play, and picked oppression, work, and studying as antonym words of play. They view the children play as a voluntary form of curiosity, human instinct, and needs. they also think that outdoor play and role play are good for the children's whole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문대학 보육학과의 현장교육 관련 교과 운영실태: 경기도를 중심으로

        현정희 ( Jeong Hee Hyun ),김연수 ( Yeon Soo K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4 열린부모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보육학과의 현장교육 관련 교과 운영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20개 전문대학의 보육학과를 대상으로 각 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장교육과 관련하여 보육실습, 교육봉사, 사회봉사, 전공실무 등의 교과를 운영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대학이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필수 교과목인 보육실습으로 현장교육을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육실습 이외의 교과목은 강의 시수 배정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장교육 교과목 운영시 기관 선정은 학생들이 주로 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대학이 현장교육 관련 교과목의 운영을 위한 기관과의 산학 협력 체결을 의무화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전문대학 보육학과는 현장교육 관련 교과목에 대해 매우 필요하고 교육적 효과도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기관의 교육 수준 관리와 행정 업무 과다에 대한 어려움 등으로 현장교육 관련 교과목의 확대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교육 교과목이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관과의 연계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 보육교사가 졸업 후 어린이집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현장교육이 필요하지만 예비 보육교사를 양성하는 일을 주로 담당하는 전문대학 보육학과에서는 보육실습 이외의 현장교육 관련 교과목의 개설과 운영은 미비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예비 보육교사를 양성하는데 있어 현장교육의 확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ield practicum-related subject`s status of colleges` departments of child educar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urriculum of twenty colleges` departments of child educare located in Gyeonggi-do was analyzed and surveye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subjects such as child educare practice, education service, social service, major practice are being operated with reference to the field practicum while it appeared that most of the colleges replaced the field practicum with child educare practice which is the required subject for a professional certificate· Other subjects besides child educare practice were not assigned properly as regular lectures and in operating the field practicum subjects, students chose the practice institutes by themselves·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contracts to operate the field practicum-related subjects besides child educare practice were seen dissatisfactory· Even though the investigated colleges` departments of child educare recognize that the field practicum-related subjects are very necessary and their educational effect is high, the departments have difficulty in enlarging the field practicum-related subjects because of the trouble with arranging the institutes· They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nnection with the institutes to operate the field practicum subjects properly· This result shows that the field practicum is needed for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to meet the capability which child educare centers require after they graduat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filed practicum-related subjects besides child educare practice are established and operated incompletely in colleges` departments of child educare which are mostly in charge of training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This suggests that the field practicum needs to be expanded in training pre-service child educare teachers·

      • KCI등재

        유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의미중심 접근법과균형적 언어접근법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현정희(Jeong Hee Hyun),이지현(Jee Hyun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6

        본 연구는 유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의미중심 접근법과 균형적 언어접근법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3년 1월 16일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박사학위 논문 및 등재지 논문 가운데 의미중심 접근법과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토대로 유아의 읽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한 언어교육 프로그램 관련 논문 21편을 대상으로 총 35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의미중심 접근법과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토대로 구성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64로 중간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살펴본 연구들은 의미중심 접근법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살펴본 연구들 보다 유아의 읽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 보다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미중심 접근법과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토대로 구성한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읽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유아의 읽기능력을 향상시킴에 있어 의미중심 접근법 보다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토대로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rough meta-analysis, this study investigates, synthetically and systematically, the effect of a meaning-centered approach and a balanced language approach on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 In doing so, 35 samples of effect size are produced from 21 papers related to a language art programs intended to enhance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 through a meaning-centered approach and a balanced language approach. The study, finds that the effect size on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 is .64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language art program based on the meaning-centered approach and the balanced language approach; the effect size is moderate. As far as enhancing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 the studies that design the programs based on the balanced language approach and examine the effects are more effective than those based on the meaning-centered approach. It can thus be seen that a language art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a meaning-centered approach and balanced language approach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nhancement of young children``s reading ability. In this case, the blanced language approach proves to be more effective at organizing and conducting a language art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rather than does the meaning-centered approach.

      • KCI등재후보

        몽골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한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아동권리인식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현정희 ( Jeong Hee Hyun ),정채옥 ( Chae Ok Ch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한국 국적의 국제 NGO인 G기관의 몽골지부에서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한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아동권리인식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녀를 양육하는 몽골 어머니 83명을 실험집단(37명)과 비교집단(46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8회기에 걸쳐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교육을 실시한 몽골 어머니들의 아동권리인식이 실시하지 않은 몽골 어머니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교육을 실시한 몽골 어머니들의 양육태도 중 자율적 태도가 부모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어머니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 거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는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G기관 몽골지부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한 부모교육이 몽골 어머니들로 하여금 아동의 권리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양육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준다. 이는 부모들에게 아동권리인식을 증진시키고 양육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부모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current study has been perform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parent education provided for mothers in Mongolia by G NGO,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NGO headquartered in South Korea.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the education program has impacted the parents specifically in terms of their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the changes in their child-rearing attitude. Total of 83 mothers in Mongolia were in included in the study, 37 of which represente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8 sessions of parent education, while the rest (46) compose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in the mothers who received the education. Also, the “autonomy granting” child-rearing attitude has increased, while “rejecting” and “controlling” attitudes have been reduced to the levels that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study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on children’s rights provided by GNI’s Mongolian office had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the way children are rai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a strong rationale for continued and expande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in children’s rights to achieve enhanced level of children’s rights awareness, and to drive positive changes in ways in which children are raised.

      • KCI등재후보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현정희 ( Jeong Hee Hyun ),서정숙 ( Jeong Sook Hyu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0 No.2

        그림책은 유아기에 처음 접하는 책으로 이후 책 읽기 경험의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문학교육을 위한 대표적인 형태이다.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는 그림책을 사이에 두고 유아와 경험을 공유하는 과정으로 유아의 성장에 여러모로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그림책 읽어 주기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188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유아교사는 유아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지만, 그림책을 유아에게 실제로 읽어주는 횟수가 부족하며, 그림책을 정기적으로 읽어주는 것이나 개별 유아의 상황을 고려한 그림책 선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고, 그림책을 읽어주는 방법, 읽어주는 동안 하는 상호작용의 방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다소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교사를 위한 그림책 관련 연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앞으로 더욱 심층적인 유아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앞으로 그림책 관련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s the first books that young children encounter, picturebooks serve as underlying reading experiences afterwards and constitute a representative form of literature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picturebook-reading helps the growth of young children in various ways because it is an experience-sharing proces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young children. However, there is no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picturebook-reading to young children and thus, 188 early children teachers are surveyed on their perception. The survey showed that most of the surveyed teachers are positive to picturebook-reading. However, the actual number of their picturebook-reading activities was not sufficient and they did not fully realize the importance of periodic picturebook-reading or picturebook selection tailored to children` individual needs. The survey also showed that they somewhat lack picturebook-reading techniques and methods for good interaction with children during the read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need for educa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on picturebooks is suggested and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e picturebook-reading is recommende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offers fundamental materials for developing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on picturebooks because the teachers` perception on picturebook-reading should be reflected in the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