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문화산업과 문화융합디자인 순환구조 연구

        현은정 ( Hyun Eun-jeong ),권기제 ( Kwon Ki-j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7 No.-

        경상북도는 창조경제의 핵심동력을 문화콘텐츠로 강조하며, 강·산·해와 한(韓) 문화가 어우러진 문화관광지대 실현을 목적으로 `3대문화권 사업`을 추진하였다. 잠재적 역사문화자원과 친환경 생태자원을 바탕으로 지역 문화산업의 르네상스 시대를 열고자하는 측면에서 문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영남대학교의 문화융합디자인 생태계 조성사업은 현재 진행 중인 3대문화권사업의 방향성을 되짚어보고, 시설물 건축에 집중된 사업 구조를 보완할 수 있는 문화산업의 생태구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경상북도 문화산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 문화산업과 융합디자인의 순환구조에 대해 분석하고, 유·무형의 역사문화자원이 21세기 창조경제시대의 패러다임에 맞는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으로 재창조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지역 문화산업이 자생적 발전방향을 갖추기 위해 마련되어야 할 산업 생태환경 구축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교육, 산업, 경제의 상호교류에 의한 시너지효과를 점진적으로 극대화하는 선순환구조를 완성함으로써 `문화융합디자인 교육특성화를 통한 창의적 문화융합 인재 양성`, `문화융합디자인 산업생태계 육성을 기반으로 지역 문화융합 디자인 르네상스`, `독창적 문화융합 디자인 생태계 조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 효과를 창출하였다. Gyeongsangbuk-do has emphasized its cultural contents as its focal momentum for creative economy and prosecuted its `Three Great Cultural Sphere Project` to realize its cultural tour zone melting rivers, mountains, the sun and Korean culture together. Based on its potential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and eco-friendly resources, it has prosecuted cultural projects with the goal of opening the door to renaissance era of local cultural industries. At this juncture of time, Yongnam University`s Culturally Convergent Design Ecology Composition Project has reviewed directionality of the currently on-going Three Great Cultural Sphere Project,` and tried to maximize effects of Gyeongsangbuk-do`s cultural industry by conducting researches on ecological structures of the cultural industry able to supplement its project structure so far centered on building facilities. This thesis analyzes the cycling structure of the local cultural industry and convergence design, and presents the directionality of building industrial ecology environment that should be prepared for local cultural industries to have their voluntary direction on their own in a pursuit after plans to recreate visible/invisible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into high value-producing cultural industry fit for the paradigm of the 21st century`s creative economy era. Conclusively, in that this study has completed a virtuous circulation of synergy effects by means of mutual exchange of education, industry and economy, it has produced a positive effect on creating jobs via composing `local cultural convergence design renaissance` and `creative cultural convergence design ecology composition` on the basis of `bringing up creative culturally convergent talent` and `culturally convergent design industrial ecology` via `cultural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specialization

      • KCI등재

        재난 정보디자인의 매체별 시각요소 분석 -인쇄, 컴퓨터, 모바일 매체를 중심으로-

        현은정 ( Eun-jeong Hyun ),임경호 ( Kyung-ho L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1 No.-

        연구배경 본 연구는 재난 정보를 위험사회에서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수단으로 인식함에 따라 재난 정보의 효과적인 정보 시각화를 위해 재난 정보디자인의 매체별 시각요소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대국민 재난 정보 서비스를 토대로 인쇄 매체의 매뉴얼, 컴퓨터 매체의 웹 사이트, 모바일 매체의 어플리케이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정보 시각화의 필수요건인 자크 베르텡의 그래픽 요소와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요소가 갖는 주요 시각요소를 색채, 형태, 크기, 위치와 방향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조형원리에 근거한 정보디자인의 시각적 효과를 분석기준으로 국내·외 재난 정보디자인의 매체별 시각요소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재난 정보디자인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재난 정보디자인은 정보의 양은 많으나 정보의 위계나 구분을 나타내는 시각요소 간의 차이가 작고, 여백은 부족하고 불규칙하였다. 그리고 색채의 사용량은 많았으며 텍스트의 가독성은 뛰어나지만, 자간과 행간, 글자의 크기와 무게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재난 정보는 정보전달자 중심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정보습득에 대한 실효성이 낮고, 매체별 통일성이 없는 정보디자인으로 사용성에 혼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효과적인 재난 정보디자인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정보설계와 시각요소 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조화롭게 구성해야 하며, 정보의 위계 및 구분을 명확히 하여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또한, 구상적 이미지와 최소한의 텍스트를 사용하여 공간의 효율성과 정보전달력을 높여야 하며, 재난 정보디자인의 통합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여 효과적인 재난 정보전달체계를 형성해야 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isual factors of disaster information design demonstrated by mass media since disaster information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to live a safe life in current society. Methods manuals, websites of computer media, mobile applications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In addition, graphic factors proposed by Jacques Bertin, the essential factor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visual factors of typographic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into colors, forms, size, location and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standards of information design by moudling principles. In this way, visual factors of disaster information design in domestic·overseas medi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opos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disaster information design in Korea. Result disaster information design in Korea has excessive amount of information less difference in visual factors indicating hierarchy and classification of the information and irregular and insufficient margin. Furthermore, the usage of colors was excessive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font size and weight was insufficient while text readability was superior. As such, it has been found that disaster information in Korea was created focusing on the information communicator thus the users cannot receive the information properly and the information causes confusion to the users due to information design lacking unity. Conclusion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s and create effective disaster information design, the design should consider linkage between information design and visual factors while clarifying information hierarchy and classification to maximize visual effects. Also, concrete image and minimum texts should be used to improve space efficiency and information delivery. In this sense, integrative guidelines regarding disaster inform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form a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ystem.

      • KCI등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수감각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분석

        김지연 ( Ji Youn Kim ),현은정 ( Eun Jeong Hyun ),김성경 ( Seong Kyeong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5 수학교육논문집 Vol.29 No.1

        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의 수감각 발달을 강조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초등학생에 국한된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감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수감각 지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수감각을 활용하는 방법과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분류하고, 검사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들이 초등학생들에 비해 수감각 검사 점수가 높았으며, 문제해결 방법 중 수감각을 활용하는 비율도 높았다. 또한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수감각과 알고리즘을 모두 활용하였으나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은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리고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은 초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상대적으로 수감각을 더많이 활용하였으나,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끼리는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수감각 구성 요소별로 수감각을 활용하는 비율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athematics education emphasizes on nurturing number sense, but researches on this have been scarce, and most of them has been confined to elementary level students. This thesis, therefore, tried to analyze how elementary students solve mathematics sense problems in order to give some insight into how to teach number sense. For this, this thesis categorized into two ways of using number sense and algorithm as problem solving, and analyzed students` responses using test sheets. Accordingly,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on the number sense test and higher rates of using number sense than elementary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showing higher achievement used both number sense and algorithm, but those of lower achievement were more likely to use only algorithm. Plus, among students showing higher achievement, middle school students used more number sense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there was not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ose showing lower achievement. Lastly, It was shown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rate using number sense according to the number sense components.

      • KCI등재

        지역 기반의 문화융합디자인 교육과정 연구

        권기제 ( Kwon Ki-je ),현은정 ( Hyun Eun-jeo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7 No.-

        21세기 창조경제시대는 상상력과 창의력이 개인의 능력에서 나아가 국가 경제발전을 위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과 고용인력 창출의 핵심 가치로 인식된다. 따라서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는 융합교육의 필요성이 대두함에 따라 다학문적 접근을 통한 디자인 교육이 중요해졌다. 이종산업과 이종학문 간 융합의 움직임이 커지면서 창의적 융합디자인 교육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긍정적 측면으로 대학은 학제적 교과과정을 개편하여 융합디자인 교육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융합인재 양성의 목표가 모두 획일적으로 글로벌 인재를 개발하는 데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디자인 중심적 융합교육으로 다학문 간의 융합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그래서 지역의 중소기업들은 지식서비스 기반의 디자인을 창출해줄 융합인재가 부족하여, 사업영역의 전환이 힘든 현실에 처해있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 기존의 융합교육에 특수성을 반영하고자 영남대학교 문화융합디자인생태계조성사업단은 지역 전통과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문화융합 교육체계를 개발하여, 글로벌과 로컬 영역을 넘나들 수 있는 융합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이는 지역 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창출 및 지역 사회 발전을 도모하여, 지역 간의 균형을 이루는데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지역적 특성에 맞는 창의적 문화융합디자인 교육의 필요성과 체계를 연구하고, 지역의 문화융합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디자인 교육모델을 제시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The 21st century creative economy era sees not only personal ability but also creativity and imagination as the focal value for high value-producing industry that brings in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employment. Accordingly, as the need for convergence education able to develop creativity surfaces, design education through multi-disciplinary approach becomes vital. As the need for convergence of heterogeneous industries and disciplines increases,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is effective in bringing up the talent able to respond to the new paradigm. Due to increase in convergence education of design from this positive perspective, universities carry out convergence education of design by revamping their academic curricula. However, their goal of bringing up the convergent talent lopsidedly focuses on developing global talent only and their design-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hardly carry out convergence education consolidating multi disciplines. For this reason, local small businesses face difficulty changing their business fields due to shortage of the convergent talent who will produce design based on knowledge service. To overcome this limit and reflect specialty in the existing convergence education, the Design Ecology Composition Corps of Yongnam University has tried to bring up the convergent talent able to globally and locally brush abound by developing a culturally convergent education system that can build establish local traditions and identity. This is effective in creating high values for local industries, exploring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and securing balance among localitie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present a designal education model able to bring up local convergence talent by studying the necessity and system of culturally creative local convergence talent.

      • KCI등재

        전기경련치료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조사

        은정(Eun-Jeong Joo),김희철(Hee Cheol Kim),정성훈(Seong Hoon Jeong),박승(Seung Hyun Park),이남영(Nam Young Lee),최영숙(Young Sook Choi),김용식(Yong Sik Kim),정인원(In Won Chung)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1 신경정신의학 Vol.60 No.2

        전기경련치료에 대한 환자의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고자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많은 환자들이 전기경련치료에 대한 만족도 및 부작용, 태도, 경험 등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응답자 중에서 반수 이상이 전기경련치료 동안에 기억장애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경련치료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확인하지는 못하였으나 전기경련치료 동안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부작용들과 기억장애에 대한 예방, 조기 발견과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 대상자 수의 확대와 다양한 변인들을 탐색함으로써 전기경련치료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예측 요인들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who had undergone electroconvulsive therapy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ocial misunderstanding about electroconvulsive therap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and make a decision of effective treatment.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atisfaction, adverse effects, attitudes, and experiences toward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patients at 2 to 4 weeks after finishing an acute course of electroconvulsive therapy in three psychiatric hospitals. Results There were 85 respondents (38 males), whose average age was 42.0±13.6 years and average illness duration was 12.8±8.9 years. Fifty-two patients (61.2%), 19 (22.4%), 8 (9.4%), and 6 (7.1%) were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major depressive disorder, bipolar disorder, and other mental disorders, respectively. The average session number for acute electroconvulsive therapy was 12.6±6.0 sessions, and 61 patients (71.8%) had received maintenance electroconvulsive therapy. Among the respondents, 60.0% report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lectroconvulsive therapy. Satisfaction was similar according to sex, age, diagnosis, electrode placement, and use of anesthetic agents. Forty-three (53.8%) patients experienced memory impairment during acute electroconvulsive therap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s who received electroconvulsive therap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treatment and that memory impairment should be detected early and managed promptly. Follow-up studies with a large number of subjects and variables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toward electroconvulsive therapy.

      • KCI등재

        노년기 정신장애의 전기경련치료

        은정,김희철,강웅구,이남영,박승,김정민,김용식,정인원,Joo, Eun-Jeong,Kim, Hee Cheol,Kang, Ung Gu,Lee, Nam Young,Park, Seung Hyun,Kim, Jung Min,Kim, Yong Sik,Chung, In Wo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20 생물정신의학 Vol.27 No.2

        Electroconvulsive therapy (ECT) is indicated for various mental disorders (e.g., major depressive disorder,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and th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elderly patients. Furthermore, ECT is a useful first-line treatment in emergency and crisis situations such as suicide risk, violent behavior, catatonia, and food refusal, which are more frequent in elderly patients. ECT is also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the motor symptoms of neurological disorders, such as Parkinson's disease and Huntington's disease. Due to the high risk of various physical diseases, the comorbid physical conditions of elderly patients should be individually controlled to optimize ECT treatment. Compared to young adults, in elderly patients the seizure threshold is higher, the seizure duration is shorter, and the anesthetic dose is lower. On the contrary, the response rate in the elderly is both faster and higher. Considering potential cognitive decline and the prevention of further deterioration of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in the absence of significant comorbidities, twice weekly sessions and right unilateral electrode placement with a lower seizure threshold and less cognitive effect are preferred to bilateral electrode placement, which has a high risk of adverse cognitive effects. After an acute course of ECT, continuation and maintenance of ECT, combined with prescription of therapeutic drugs, may prevent possible relapse or recurrence of mental disorders. In conclusion, ECT can be used to treat mental disorders in elderly adults, with safety and effectiveness comparable to that in young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