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웃도어용 라미네이팅 가공 직물의 반복세척에 의한 세척성 및 기능성 연구

        현수정 ( Su Jung Hyun ),이정숙 ( Jeong Sook Lee ) 한국의류학회 2017 한국의류학회지 Vol.4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tergency and functionality of laminating finished fabrics for outdoor wear based on repeated washing. Laminating finished fabrics were selected as the main fabrics for outdoor wear and used as test fabrics. The effects of outdoor exclusive detergent and normal neutral detergent were examined according to washing time, temperature, rpm and detergent concentration based on the use of a Terg-O-Tometer. Re-soiling of the test fabrics was measured by Florio-Mersereau. Permeability, water repellency, water resistance and absorbency were estimated to measure improvements and effects in regards to outdoor exclusive detergent in optimal washing conditions. The detergent effect of outdoor exclusive detergent was superior compared to normal neutral detergent. Re-soiling was lower with exclusive outdoor detergent than with normal neutral detergent. The measurement of functionality for laminating finished fabrics before and after washing indicated that functionality was decreased with repeated washing.

      • KCI등재

        아파트 소재 연극의 무장소성 재현과 비판적 현실인식 - <철가방추적작전>, <녹천에는 똥이 많다>, <포스트 아파트>, <테이크 미 아파트>를 중심으로

        현수정 ( Hyun Su Jung ) 한국연극학회 2020 한국연극학 Vol.1 No.76

        이 논문에서는 2019년에 초연된 연극 <철가방추적작전>, <녹천에는 똥이 많다>, <포스트 아파트>, <테이크 미 아파트>를 대상으로, 아파트의 ‘무장소성(placelessness)’이 재현되고 ‘반(反)공간(contre-espace)’을 통해 현실인식이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무장소성이란 장소로서의 고유하고 진정성 있는 정체성이 결여된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는 작품들에서 인물들이 주거지인 아파트에 장소애를 느끼지 못하는 상황으로 표현된다. 극중 반공간은 이러한 무장소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이질적인 공간으로서 기존의 주류 공간에 대해 이의제기하고 전복하는 헤테로토피아(hétérotopies)의 성격을 지닌다. <철가방추적작전>과 <녹천에는 똥이 많다>는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내러티브 중심의 연극으로서, <포스트 아파트>와 <테이크 미 아파트>는 수행적인 퍼포먼스로서 함께 분석했다. 전자에 대해서는 주거계층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장소성을 잃어버린 아파트의 모습, 주류 사회의 동일자적 욕망이 개인의 욕망을 억압하는 상황, 반공간이 만들어내는 결정적인 갈등과 현실인식에 주목했다. 그리고 후자에 대해서는 다매체적인 공연을 통해 파편적으로 제시되는 아파트의 무장소적 특징들, 반공간으로서의 공연장이 지닌 전복성, 그리고 관객들이 의미생산자로서 능동적으로 참여하며 현실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작품들은 아파트가 무장소화되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한국 사회의 분열적 욕망을 드러내고, 원작의 각색과 무대형상화로 동시대를 반영하며 미학적인 완성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익숙하지만 낯선 반공간으로의 초대를 통해 현실을 재구성하고 더 나은 사회의 비전을 떠올리게 한다는 점에서 전복적인 의미를 지닌다. This paper analyzes the depiction of apartments described in Tracking Down the Steel Container, Nokcheon Has Fields of Shit, Post APT, and Take Me Apart (Apartment) (these premiered in 2019). It examines these performances illustrating apartments as placelessness and the perception showed through counter-spaces. Placelessness is the characteristic space that does not have ‘place attachment (topophilia),’ which is an emotional bond between person and place. Counter-space is heterotopia(hétérotopies), which is heterogeneous and subversive, against mainstream society.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racking Down the Steel Container and Nokcheon Has Fields of Shit that are based on novels (plot-centered), and Post APT and Take Me Apart(Apartment) that utilized multimedia (had no plot). The first two performances depict the main characters who are not feeling a ‘sense of place’ due to the influence of residential stratification. Then, they describe the situations in which individual desires are suppressed because of social desire(stereotype) for apartments. What is noteworthy is the counter-space that reveals the desires and truths that have been repressed and neglected. In the last two performances, the functions of the stages have deconstructed reality and intentionally created a counter-spatial atmosphere, and short dances, songs, plays, and videos that take place there make the audience think about the placelessness of apartments. At this time, it is crucial for the audience to actively experience and understand the performances. All four performances talk about the historical contexts of Korean society through personal memories of the characters(or actors). Furthermore, they lead the audience to rethink the apartment-centered residential culture.

      • KCI등재후보

        한국 뮤지컬에서의 드라마투르그 역할에 관한 소고

        현수정 ( Su Jung Hyun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39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dramaturg`s roles in contemporary Korean musical theatre and discusses their effective ways of participation in musical productions. Korean musical theatre has been continually flourishing. The total number of musical productions in 2012 were 162 including 124 musicals solely created by Koreans. Yet, it is rather difficult to find well-structured work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seems that dramaturgs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structure of musicals and quality of productions. But the local producers in Korea hardly think that the dramaturgs are essential in musical theatre. This is due to the preconception that dramaturgs involve in text only and rare chances to find the right persons, who are expert in both music and drama, for the position. And dramaturgy has not yet become an approved theatre producing method among many musical practitioner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possibility of dramaturgs` participation in Korean musical theatre with several case studies: one Korean musical, Laundry, two licensed musicals, Songs for a New World and Into the Woods, and two experimental Korean music theatres, Sa-chun-ga and Echo. They are all small, creative and non-profitable productions in which dramaturgs support directors and creators in various ways. The dramaturg was a collaborator with creators in Laudry, a mediator between production members in Songs for a New World, a researcher and an analyst in Into the Woods. Also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more creative dramaturgical methods in Sa-chun-ga and Echo, experimental Korean music theatres. On the other hand, dramaturgy in these musicals should have focused on scores(music/lyrics) more. Like a book, a score delivers circumstances, atmospheres, characters, and emotions in musical theatre, but in different ways. It is very important to integrate book and score for completeness. Comparing to play, musical theatre needs more cooperations between different fields and the balance between those fields(especially among book, music, lyrics) will bring out better production. Musical theatre is becoming more popular in Korea, and it is a place to learn about international culture and humanities. To develop performing arts culture in Korea, it is important to provide the audience with valuable arts and entertainment. Musical theatre has its voice in Korea, the roles of the dramaturgs in Korean musical theatre is thus very important. 이 논문은 한국 뮤지컬 작품들이 지닌 드라마 구조의 취약성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으며, 한국 뮤지컬에 드라마투르그가 참여하여 생산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향성을 고찰해 보는 데 그 목적을 둔다. 한국 뮤지컬은 지속적으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지난해인 2012년에 공연된작품 수는 162편이고 창작뮤지컬만 124편에 이른다. 그러나 이중 대본의 완결성을 보이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드라마투르그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줄 수 있는 대안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 뮤지컬의 드라마투르그에 대한 ``니즈``는 많지 않다. 드라마투르그가 연극 텍스트에만 관여한다는 인식 때문이기도 하고, 대본과 음악을 아우를 수 있는 사람을 찾는 것이 힘들기때문이기도 하다. 뮤지컬 드라마투르그의 방법론이 정리되지 않았다는 점도큰 이유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몇 가지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 뮤지컬 제작 과정에실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드라마투르그 역할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주요분석 대상은 창작뮤지컬 < 빨래 >, 라이선스뮤지컬 < Songs for a New World >와 < 숲속으로 >이다. 아울러 좀 더 확장된 형태의 음악극인 < 사천가 >와 < 에코 >를 통해 장르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드라마투르기 작업의 가능성에 대해 단편적으로나마 타진해 보았다. 이 작품들은 모두 창작자 중심의 소규모 프로덕션이나 대학 프로덕션에서 개발한 것들이다. 이러한 프로덕션들은실험적이고 창의적인 작품들을 시도하며 비영리 극단의 역할을 수행하곤 했다. 또한 그 과정에서 드라마투르그를 참여시키기도 했는데, 이는 창작진 구성과공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드라마투르그의 역할 수행이 이루어진좋은 예가 되어주고 있다. 한편, 이 작품들의 뮤지컬 드라마투르기 과정에서 스코어에 대한 비중을 좀더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뮤지컬 드라마투르그 역할의 특수성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뮤지컬은 음악과 드라마가 결합된 장르이기 때문에, 뮤지컬에서는 같은 분량의 연극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사를 통해 드라마를 전개시킬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든다. 스코어는 상황, 캐릭터, 정서를 드러낸다는점에서 대사의 기능을 하지만, 청각적인 요소와 함축적인 언어로 표현하는 만큼 빠르고 논리적인 정보 전달은 어렵다. 그렇다고 뮤지컬에서 음악이 서사를약화시키는 핑계가 되어서는 안 된다. 뮤지컬 드라마투르기는 음악으로 인해 드라마 구조가 약화될 수 있는 여지를 최소화하는 작업이다. 혹은 오히려 음악을 통해 총체성을 부각시키는 작업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대본 · 음악 · 가사를 비롯한 요소들 간의 긴밀한 통합성이다. 뮤지컬 제작에는 연극보다 더 많은 분야들의 협업이 이루어지며, 이분야들 간의 균형이 완성도를 좌우한다. 그런가 하면 뮤지컬은 열린 가능성을 지닌 장르기도 하다. 대본 · 음악 · 가사가 뮤지컬 드라마를 구성하지만, 그 형식이 고정되어 있지는 않다. 본문에서다룬 < 사천가 >와 < 에코 >는 뮤지컬의 외연을 확장한 예다. 이 작품들처럼 실험적인 음악극에서는 드라마투르그의 쓰임새가 더욱 높다. 드라마투르그는 작품이 다루는 소재에 대해 고증하고 내용과 형식의 부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조를 잡아주는 안전장치이다. 그리고 동시대 관객과 소통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시선으로 조언해줄 수 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국내 뮤지컬 관객층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대중을 위해 재미와 함께 예술성과 완성도를 갖춘 작품을 제공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공연예술 문화의 발달에있어서 중요한 일이다. 뮤지컬은 이제 폭넓은 계층의 관객들에게 다양한 이슈를 제공하고 세계문화와 인문학을 익힐 수 있게 하는 창이 되어주고 있다. 뮤지컬의 사회적인 효과가 커질수록 드라마투르그의 역할 역시 점점 더 그 중요도가 커질 것이다.

      • KCI등재

        뮤지컬에 등장하는 문제적 어머니들의 억압과 전복 ― <베르나르다 알바>, <넥스트 투 노멀>, <형제는 용감했다>를 중심으로

        현수정 ( Hyun Su Jung ) 한국연극학회 2018 한국연극학 Vol.1 No.67

        이 글에서는 뮤지컬 <베르나르다 알바>, <넥스트 투 노멀>, <형제는 용감했다>에 등장하는 문제적 어머니들의 심리적 억압과 그 억압의 귀환이 뮤지컬의 환상성을 통해 드러나는 양상을 살펴보고, 어머니 캐릭터들이 결과적으로 작품들 속에서 수행하는 전복적 기능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즘의 일부 개념들을 활용했으며, 노래와 춤이라는 뮤지컬의 중요한 요소들과 함께 주요 공간적 배경인 집의 장소성에도 주목했다. 이 뮤지컬들에는 부조리한 사회의 가치를 내면화하다가 집안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어머니들이 등장한다. 베르나르다는 20세기초 스페인 안달루시아의 보수적 문화 속에서, 다이애나는 동시대 미국의 가족주의 속에서, 순례는 20세기 후반의 안동지역 유교가부장 문화 속에서 억압을 겪는다. 이들은 각각 강박적인 가부장제의 대리인으로서, 망상증과 우울증 환자로서, 치매 환자로서 가족들에게 갈등을 불러일으킨다. 나라와 시대는 다르지만 세 명의 억압은 모두 남근로고스적인 상징계 사회의 구조 속에서 이루어지고, 그 억압된 것의 귀환이 비체 캐릭터들을 통해 표현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유령 같은 환각인 게이브, 치매에 걸린 예언자적 할머니인 호세파, 순례의 영혼(처녀귀신)인 오로라가 바로 그러한 캐릭터들이다. 이때 치매 언어, 정신질환자의 언어, 시적언어 등 기호계적 양식이 상징계의 언어에서 누락된 억압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러한 기호계적 양식은 뮤지컬의 환상성 안에서 집시 음악과 플라멩코, 록음악과 불협화음, 패스티시 등으로도 표현된다. 결국 문제적 어머니들이 억압으로 인해 발생시키는 갈등은 그들을 둘러싼 사회 환경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이러한 갈등은 인물들이 집의 경계를 넘어가도록 만든다. 이는 현실에서는 죽음이나 가출과 같은 모습일지라도 억압적인 남근로고스 사회를 능동적으로 벗어나는 전복적인 행위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 the repression as well as the return of the repressed of mothers who cause conflicts in their families are revealed through the fantastic nature of musical theatre in Bernarda Alba, Next to Normal, and Brothers Were Brave and to analyze the subversive roles that the mothers make in the musicals. This paper adopts some concepts of psychoanalytic feminism and focuses on the place, a house, the main spatial background of the musicals along with songs and dances,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genre. In the musicals, there are mothers who cause problems in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social values of the absurd society: Bernarda in the conservative (misogynist) Andalusia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Diana in the contemporary American familism, and Sunrye in the patriarchal Confucian society of Andong in the late 20<sup>th</sup> century. As representatives of their obsessive patriarchal systems, each of them causes conflicts in the family as a delusional, a melancholic, or a dementia patient, Their nationalities and the living periods are different, but their repressions are all derived from the structure of the phallogocentric symbolic society. The returns of the repressed also all turn up with the abject characters―an imaginary son Gabe who died 17 years ago, a prophetic grandmother Josefa who suffers from dementia, and Orora, a Sunrye’s ghost. The semiotic of the languages of a dementia patient and a psycho as well as the poetic language of musicals reveals the repression omitted in the symbolic. Gypsy music, flamenco, rock music, dissonance, and pastiches also express the repressions and their returns in the works. The conflicts caused by problematic mothers eventually make characters perceive their social environment critically and the conflicts go beyond the wall of each house. Although shown in a form of death or a runaway from home, they can be interpreted as subversive acts that voluntarily escape from the repressive phallogocentric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