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철학에서의 형이상학적 사유방식의 전개 고찰-왕필(王弼)과 현장(玄裝), 기(基)의 논의를 중심으로-

        허인섭(Hur In-Sub) 한국동양철학회 2003 동양철학 Vol.20 No.-

        This essay aims at disclosing the metaphysical characteristics of some Chinese philosophical traditions. Since around 1970's, the modern philosophers who major in Chinese thought have raised question s about the previous perspectives on Chinese philosophy, which have been mainly maintained by the 1st generation of modem Chinese philosophers. They pointed out that their perspectives are too much oriented by western philosophical thinking. Hence they tried to find a unique Chinese or Asian way of thinking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a western one. Aesthetic Order, as a unique Chinese way of thinking which is suggested by Professor Hall and Ames in their work, Thinking Through Confucius, is one of the bold approaches to disclose it. Besides their work, we can find many efforts to find such a unique Chinese characteristics. Professor Dong-Hwan Park's idea of 'R*' is also worth of noticing to make its characteristic clearer. However, some scholars seemed to accept too hastily those concepts as one to explain all characteristics of Chinese philosophy exclusively. This essay tries to find the cause how the first generation of modem Chinese philosophers like Fung Yu-Lan could see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same to the western one from Chinese philosophical tradition. In short, this essay tries to show that metaphysica I way of thinking is also working in Chinese philosophical tradition. Wang-pi or Chinese Fa-hsiang school's works are typical example s to show such way of thinking. Their philosophical concepts like 本無, 三性, 如來 etc show a certain characteristics of metaphysical, substantial way of thinking or are reasoned by a simple reduction. This fact means that the first generation's perspective does not totally fail to explain the Chines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following generation's idea cannot explain all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hilosophy without an exception. This essay suggests that we need to develop a more balanced an d general perspective to explain re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philosophy.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o find such a perspective w ould help to compare East and West philosophy in a proper way.

      • KCI등재

        위진남북조 시대 현학자들의 불교 이해방식 특성 고찰

        허인섭(Hur In-Sub)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1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5

        This paper aims at disclosing the characteristics of some scholars’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Wei-jin era. Especially, this paper took notice of some scholars (玄學家 xuanxuejia) who did not belong to Buddhist priests. The reason to analyze these scholars’ statements is that they show a transformed Chinese Buddhist idea more obviously in comparison to the ideas of the professional Buddhist priests of later period. This transformation was caused by their traditional way of thinking, that is, Taoist way of thinking. However,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at there has been two types of Taoist ways of thinking, that is, the pre-Qin Taoist and the Neo-Taoist way of thinking. Because the Neo-Taoism gave a great influence directly on the formation of early Chinese Buddhist ide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is that the latter regarded the Tao as an ultimate something that brings forth everything in this world, while the former would not localize the Tao as an simple substance. Among Neo-Taoists in this period, Wang-pi understood the Tao as an fundamental nothingness (本無). It is really problematic that this kind of understanding is apt to lose the philosophical insight of the pre-Qin Taoist regarding the Tao as a paradoxical oneness or dynamic(chaotic) undivided One. Some Neo-Taoists in 3-4 AD. who had not enough knowledge about Buddhism had to understand it through their traditional Taoist perspective. The problem is that their way of understanding of Buddhism was mainly based on Wang-pi’s Neo-Taoism (玄學 xuanxue) aforementioned. This paper examined the text Hongmingji (弘明集) in order to find the Chinese people’s way of understanding of Buddhism when they began to understand it theoretically. Through analyzing the statements related to the concepts of ‘mysterious mental activities or soul (神)’, ‘metempsychosis (輪廻)’, ‘emptiness (空)’, ‘nirvana (涅槃)’, we could find the fact that they transformed those concepts into traditional Taoist or Neo-Taoist sense of concepts. That is, they created the concept of ‘shen (神)’ as an imperishable mind having no material form. They also understood the Indian Buddhist concept of ‘sa s ra (輪廻)’ based on the theory of dependent arising (緣起說) as the concept established by a simple cause and effect theory. The concept of nya (空) was understood as an absolute or ultimate nothingness which is similar to Wang-pi’s fundamental nothingness (本無). And the concept of ‘nirvana (涅槃)’ was also understood as the status of a tranquil or unmoved mind that was passively and negatively defined.

      • KCI등재

        일반논문 : 초기 중국불교 법신론(法身論)에 나타나는 실체론적 사유경향의 원인 고찰

        허인섭 ( In Sub Hur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0 No.-

        중국불교의 법신론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초기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초기 중국불교 형성기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국가는 중앙아시아의 쿠샨제국이었다. 쿠샨제국은 유목민이었던 아리안 민족이 중심이 되어 세워진 국가로 그들이 발전시킨 불교에는 그들 본래의 종교였던 조로아스터교의 특성이 크게 반영되어 있다. 조로아스터교는 마후라 마즈다를 절대선신으로 믿는 유일신적 종교이다. 현세의 질곡으로부터 인간을 구원하는 구제신적 성격이 강한 조로아스터교는 불교의 교조 붓다를 유사한 구제신적 성격을 지닌 미륵불혹은 아미타불과 같은 존재로 이해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절대신적 요소를 지닌 미륵불과 아미타불에 대한 광범위한 대중적 믿음은 법신론과 같은 불교이론 정립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글이 절대신 개념은 어떻게 성립되는 가에 대한 뇌과학적, 종교철학적, 불교철학적 이해방식을 요약한 까닭은 절대신적인 붓다에 대한 믿음의 특성을 보다 더 분석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와 같은 요약을 통해 개념적으로 정위된 신(神)이 실체적으로 닫힌 존재로 이해될 때 생기는 문제가 초기 중국불교의 법신론에도 재현되고 있음을 혜원의『대승대의장(大乘大義章)』을 중심으로 분석해보았다. 특히 같은 시대의 많은 불교학자들이 형이상학적 위진현학의 사고방식으로 불교를 이해하듯이, 혜원은 무형적인 순수기 개념을 원용하여 법신 개념을 중국적인 실체론의 틀에 의해 이해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properly the characteristics of theory of dharmakaya in early Chinese Buddhism,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which the Buddhism was transmitted in earlier time in China. The Buddhism in the Kushan empire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formation of early Chinese Buddhist Society. Kushan empire had been built by the Central Asia Aryan who were originally nomadic people. Their main religion was Zoroastrianism and it gave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entral Asian Buddhism. The Zoroastrianism is a kind of monotheistic religion which people believe Ahura Mazda as one absolute God having the goodwill. Ahura Mazda is a salvational god who saves people from the distress of this world. The salvational characteristics of this God is thought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form the concepts of Maitreya and Amitabha Buddha in Central Asia. The strong belief in these Buddhist gods and the commercial success of the Kushan empire through the international trade of silk road enhanced to build giant Buddha statues in their territory. The popular belief in Maitreya and Amitabha Buddha as an absolute being is thought to be an important factor to develop the theory of Buddhadkaya or Dharmakaya. The reason that this paper summarize the explanations of brain science, mordern philosophy of religion, and modern Buddhist philosophy regarding the concept of god is that those explanation is necessary to understand more analytically the concept of an absolute Buddha. The concept of an absolute god is thought to be formed by the process of "Agenticity" in extreme in terms of brain scientist like Shermer, to be formed by the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the overwhelming power of nature surrounding us in terms of philosopher like van Peursen, and to be formed even in Buddhist theories by the permeation of the Vedic concept of absolute god into Buddhism in terms of Buddhist philosopher like Kalupahana. This paper analysed the text『Dachengdayizhang 大乘大義章』of Huiyuan(慧遠), one of the representative Chinese Buddhist monks in Wei-Jin(魏晉) period of China. The arguments of dharmakaya based on the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Buddha are frequently shown in this text. This tells us that the phenomena which are occurred when the god is understood as a closed being are also appeared in the early Chinese Buddhist dharmakaya theory. In addition, this text shows that Huiyuan(慧遠) understood the substantiality of dharmakaya by the concept of an immaterial pure Chi(純粹氣) as most of Buddhist scholars in Wei-Jin period utilizing the metaphysics of Xuanxue(玄學).

      • KCI등재

        초기 중국불교의 성격 이해를 위한 쿠샨제국 시대 전후 중앙아시아의 종교적 상황과 불교 특성 고찰

        허인섭(Hur, In-sub)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이 글은 미륵과 아미타 신앙과 같은 타력신앙과 신멸불멸론(신멸불멸론)과 같은 불교 담론이 왜 초기 중국불교에 출현하는가를 추적해 보는 글이다. 타력신앙과 영혼불멸설은 근본불교의 교리와는 다른 비불교적인 관념으로 이러한 형태의 불교가 중국불교 초기에 나타난 까닭은 중국에 처음 전해진 불교가 인도가 아닌 중앙아시아 불교이기 때문이다. 중국에 본격적으로 불교를 전하게 되는 시기의 중앙아시아의 중심 국가는 쿠샨제국인데, 쿠샨제국은 아리안 유목민족이 중심이 된 국가로 그 이전의 중앙아시아의 문화 즉 페르시아, 그리스, 인도의 문화를 융합 계승한 국가이다. 초기 중국불교 담론과 관련된 쿠샨제국에서의 불교 변형은 2가지 측면에서 추적해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아리안 민족의 원초적 종교 감성에 뿌리를 둔 조로아스터교의 대중종교적 성격과 신학적 성격이다. 첫째 조로아스터교의 대중 종교적 특징은 선악 이원론에 바탕을 둔 절대 선신 아후라 마즈다의 신봉이다. 이러한 그들의 절대신 신봉 전통은 부처를 미륵과 아미타와 같은 절대적 존재로 이해하고 신봉토록 하는 중앙아시아적인 불교의 변형을 초래한다. 그리고 이러한 불교적 절대자 개념은 쿠샨제국 시대에 중국인들에게 적극적으로 소개된 것으로 보이며, 그러한 존재에 대한 믿음은 중국인은 물론 동북아시아 사람들에게도 전파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둘째, 아리안 민족이 지닌 샤만적 영(靈)관념은 조로아스터교의 불멸의 영과 같은 신학적 관념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불멸의 영(靈)관념은 인도 서북지역의 설일체유부와 경량부 불교에서 뿌드가라 논쟁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진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따라서 초기 중국불교에 나타나는 신불멸론은 이러한 실체개념에 가까운 영(靈)개념을 지닌 중앙아시아의 불교이론의 영향의 결과라 볼 수 있다. 초기 중국에 전달된 쿠샨제국 시대의 불교는 이후 중국인들의 불교 담론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에서의 불성론, 불신론 등의 불교이론 전재는 이러한 초기 중국불교의 담론 형성 과정과 연관해서 이해될 때 비로소 적절한 설명이 이루어 질 것이다. This essay aims at disclosing why the Buddhism, which believes in salvation by faith in Maitreya and Amitabha, spread widely in China and Chinese intellectuals interested in the immortality of the human soul in the early period of Chinese Buddhism. The belief in salvation by faith in an absolute god and the immortality of soul are non-Buddhistic ideas that cannot be found in early Buddhism in India. This tells us that the Buddhism transmitted in China in early days was a Buddhism greatly transformed. In terms of the history of Buddhism, the very transformed Buddhism was a central Asian Buddhism in the period of the Kushan Empire. This is the reason that we should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Kushan Empire in order to understand how Buddhism was transformed before its transmission in China. It should be noticed concerning to this subject that the Kushan Empire was ethnically an Aryan state rooted in the nomadic Yuezhi culture. However, they succeeded and fused the cultures of the states that previously existed before their conquering. Those are the cultures of Persia, Greek and India. The ca use of the transformation of Buddhism in the Kushan Empire period can be traced back to a Proto-Aryan Zoroastrianism. This trace might be accomplished by two ways of approaching method that is, an approaching by way of its popular religious characteristics and another by way of its theoretical characteristics. First, the most distinct religious characteristic of Zoroastrianism is the strong belief in Ahura Mazda, who is the absolute God, to realize his goodness in the universe and to defeat the evil god like Ahirman in the end. This belief might give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idea of Buddhist absolute god like Maitreya and Amitabha. This kind of central Asian Buddhist god was introduced to the Chinese people in the early days of Chinese Buddhism and the belief in this Buddhist god have still exists in China and Northeast Asia. Second, the shamanistic idea of soul shown in Aryan tradition is believed to have developed into a theoretical concept of an immortal soul like Amesha Spentas in Zoroastrianism.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concept of immortal soul prevalent in Central Asia Aryan culture stimulated the Sarvāstivāda and the Sautrāntika to focus on the concept of pudgala as an internal subjective being that is temporal or eternal. Therefore, the theory of immortality of the human soul discussed actively among early Chinese Buddhists can be regarded as an religious phenomena that was greatly influenced by Central Asian Buddhism in the Kushan Empire period. The Kushan Buddhism that had religious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is supposed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hinese Buddhist discourse. This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m in Kushan Empire period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want to analyze and understand properly the various Chinese Buddhist theories like the theory of Buddha-dhātu or of Buddha-kāya, etc.

      • KCI등재
      • KCI등재

        공(空) 개념의 현대적 해석의 문제점 고찰

        허인섭(Hur, In-Sub)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이 논문은 공(空) 개념에 대한 현대적 해석의 다양성 기원과 문제점 분석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글에서 공 개념의 현대적 해석이란 서구 종교와 철학의 관심 하에서 이루어진 새로운 불교 이해방식을 따라 나타난 공 개념 설명을 의미한다. 이 논문이 행하는 분석은 크게 5가지 준거(準據)에 의지하고 있는데, 첫째에서 셋째까지는 턱(Andrew P. Tuck)이 정리한 서구의 공 개념 이해의 3가지 수용방식, 즉 관념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해석과 20세기 전반기 논리실증주의자들의 관점을 적용한 해석, 그리고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관점을 활용한 해석이다. 필자는 여기에 중국의 도가적 관점이 적용된 공 개념 해석과 깔루빠하나(David J. Kalupahana)의 공 개념 이해방식에 대한 필자의 해석을 더하여 5가지로 설정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준거들에 의지하여 위와 같은 서구의 불교학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20세기 중후반 동양권 학자들의 공 개념 설명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앞서 진행되어 왔던 서구의 3가지 공 개념 해석방식과 도가적 공 개념 해석방식의 영향이 지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들은 낭만적 관념주의자들의 공 개념 해석방식이 역사적으로 많은 비판을 받았음을 이미 알고 있었고 또한 그들 나름대로 문제점을 지적 비판하지만 결국 그들의 공 개념 설명방식이 관념주의자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못함을 이 분석으로 알 수 있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점 발생이 불교의 연기적 세계관에 대한 미진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연기적 세계관이 지니고 있는 철학적 특성 이해를 위해 보다 거시적인 새로운 관점 도입의 필요성과 그것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This paper aims at disclosing why modern Buddhist scholars show their diverse interpretations of the concept of ‘śūnya’. In this paper,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śūnya’ means a new explanation about‘śūnya’ by modern European religious and philosophical concern. The analysis of their explanation is performed by utilizing five criteria in general. Among these five criteria, the former three sorts are the interpretations influenced by Nineteenth-century idealists, by Early twentieth-century analytic and positivist philosophers, and by post-Wittgensteinians, which are well summarized by Andres P. Tuck. In addition to these three sorts, I added two more sorts, the interpretation influenced by Chinese Taoist perspective and my own interpretation of David J. Kalupahana's understanding of‘śūnya’. This paper analysed some Asian Buddhist scholars' explanation of the concept of ‘śūnya’ in the middle and late twentieth-century that are assumed to be influenced greatly by the above former three sorts of interpretation. This analysis shows us that these scholars cannot escape completely from the frames of understanding ‘śūnya’ rooted in the former three sorts and the Taoist way of interpretation, though they know the limitation of those ways of interpretation. Among these four sorts, the idealistic interpretation has still given a great influence on them, even though they try to criticize it.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ir insufficient knowledge regarding the theory of‘dependent arising’(‘pratītyasamutpāda’) results in this problem.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need of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on‘pratītyasamutpāda’ and tries to show a possibility of a new outlook on it in order to understand properly the concept of ‘śūnya’.

      • KCI우수등재

        금강경 오가해(金剛經五家解)에 나타난 혜능(惠能)과 야보(冶父)의 ‘여시아문(如是我聞)’ 주석의 문제점 고찰

        허인섭(In-Sub Hur) 한국철학회 2002 철학 Vol.71 No.-

        이 글은 금강경 오가해 가운데 혜능(惠能)과 야보(冶父)의 여시아문(如是我聞) 구절 해석을 중심으로 중국 선사들의 경전 해석 오류의 원인을 추적한 글이다. 첫째, 오류의 시작은 산스크리트 경전이 중국에서는 일차 번역된 후 폐기되어 보존되지 않았다는 역사적 사실로부터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그들은 번역된 경전에 주로 의지함으로써 동일한 한자로 번역된 다른 의미를 지닌 산스크리트 원어들을 정밀히 적극적으로 비교하는 기회를 가질 수 없었다. 대표적인 예가 이 글에서 제시한 evam과 tath?(thus와 suchness)의 혼동이다. 이와 같은 단순한 형용어를 여래와 같은 개념에서의 여(如)자로 풀이할 때 생기는 문제는 긴 설명이 필요치 않을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오해가 매우 조직적으로 반복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오해는 단순한 살수가 아니라 그들의 전통적 세계관이 일관되게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오해의 근원을 위진 현학 더 나아가서는 그들의 전통적인 도가적 우주관에서 찾는다. 그것은 이어지는 산스크리트어 eka를 번역한 중국어 일(一)을 그들이 만물 분화 이전의 未分의 窮極으로 설명하는데서 극적으로 나타난다. 실제 산스크리트 원본에서는 그것은 다만 ‘한 때’라는 시간 한정사의 의미를 지닐 따름이다. 이러한 오류를 중국적 상상력이라고 긍정적으로만 풀이하기에는 석연치 않은 점이 있다. 중국의 선불교가 중국적이면서도 불교의 본래 정신을 재현하는 면이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는 없다. 그러나 선불교의 모든 면이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이 글은 선불교가 비록 불교와 노장철학이 지닌 세계에 대한 천재적 통찰력의 만남일 것이라는 전제를 가지고 있지만, 모든 선사들의 논의가 다 그렇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시도이다. 즉 선불교의 다양한 모습에서 옥석을 가리는 하나의 실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당대(唐代) 경교(景敎) 일신(一神) 개념의 중국적 변용(變容) 연원(淵源) 고찰

        허인섭(Hur, In-Sub)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71

        당대(唐代) 황실의 공인(AD 635) 후 200여 년 지속되었던 중국의 경교는 중국불교의 제 개념을 차용하여 기독교의 토착화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그들이 미륵 아미타 부처 개념과 일신(一神) 개념이 유사하게 본 것이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부처 개념은 중앙아시아 조로아스터교의 신(神) 개념이 개입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근본 불교의 입장과는 거리가 있다. 초기 중국 불교의 핵심이론인 신불멸론(神不滅論) 또한 중앙아시아 사람들의 영적 존재에 대한 믿음이 중국화된 형태이다. 이러한 미륵 아미타의 신적(神的) 능력 또는 정신(精神)의 항구성 등은 현학적 단순 환원론 혹은 도가의 모순긍정적 표현을 통해 설명된다. 이 글은 중국 경교가 이러한 초기 중국불교의 제 개념을 차용함으로써 그것들이 지니는 이론적 문제점을 그대로 답습하게 되고, 자신들의 기독론 자체도 중국인들에게 전달될 수 없었음을 밝히고 있다. The Chinese Nestorian gained the official approval from Tang Dynasty at AD 635 and conducted positively their missionary works. However, their activities had been maintained only for 200 years and since then they disappeared in China. Chinese Nestorian tried to plant their christology to China by utilizing some important concepts of the Chinese Buddhism that already succeeded in adaptation in China. The reason that they made use of the Chinese Buddhist ideas is thought that they fou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concepts of Maitreya and Amitabha Buddha and their own concept of ‘One God(一神)’. However, the concepts of Maitreya and Amitabha Buddha cannot be the main Buddhist concepts in terms of the Early Indian Buddhism that is based on the theory of anātman, because those concepts were developed later in central Asia where the Zoroastrian sense of God had been strongly believed in for a long time and might give a great influence on the religious Buddhism. Besides the Early Chinese Buddhists embraced the idea of Maitreya and Amitabha Buddha as an absolute being, established newly the Buddhist ‘doctrine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神不滅論)’, which is thought to root in the central Asian’s shamanistic belief in the soul. They explained those concepts mentioned above by utilizing the Neo-Taoist simple reductionism or the Taoist’s affirmation of paradox. This paper discloses that the Chinese Nestorian exposed some serious problems when they explained their christology to Chinese people which was similar to what the early Chinese Buddhists did, because they could not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Chinese Buddhism. This resulted in their failing to deliver Nestorian christology properly to Chinese people. In other words, they could not expect the problems occurred by following the Chinese Buddhist way of explanation on Maitreya and Amitabha Buddha when describing the concept of ‘One God(一神)’.

      • KCI등재

        위의경(僞疑經) 보장론(寶藏論)을 통해본 중국불교(中國佛敎)의 도불(道佛) 융합적(融合的) 성격 고찰

        허인섭(Hur In-Sub) 한국동양철학회 2007 동양철학 Vol.0 No.27

          이 글은 당송(唐宋) 대(代)에 승조(僧肇)의 이름을 가탁(假託)하여 지은 것으로 알려진 보장론(寶藏論)의 도불(道佛) 융합적(融合的) 성격을 분석하는 글이다. 불교가 중국에 수입되어 중국화 되는 과정에 도가사상이 적극적으로 개입되었음을 부인하는 학자는 없다. 그러나 도가사상의 어떤 면이 불교와 결합하였는지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해낸 글을 찾아보는 것은 쉽지 않다. 이 글은 불교와 도가의 만남을 가능케 한 요인을 인간 사유 일반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즉 불교의 투영삼범주적 사유방식과 도가의 순환 삼범주적 사유방식이모두 사태의 역동성, 연속성에 대한 두 철학의 적극적인 이해와 표현으로 비롯되었다는 점을 밝히고, 이로부터 중국에서 불교가 어떻게 이해 혹은 오해 되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국인의 불교 이해방식을 바라보면 우리는 중국 승려들의 논소에서 일정한 표현의 틀이 반복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미분적 사태에 긍정적 가치를 주는 노장(老莊)이 사용한 모순긍정적(矛盾肯定的) 표현이 불교가 실체 개념 비판을 위해 활용한 이중부정논리(二重不定論理)와 결합되어 사용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인이 불교를 수용하는 데는 긍정적 요소로 기능하지만 불교의 정확한 이해에서는 걸림돌로 작용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지둔(支遁), 도안(道安), 혜원(慧遠), 승조(僧肇) 등의 중국 승려들의 논소에서 이러한 문제가 어김없이 나타나고 있지만 그 해석의 이중성으로 인해 그들의 불교 이해에 노장적 사유가 주된 사유방식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단언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러나 위의경(僞疑經) 보장론(寶藏論)은 글의 성격상 보다 더 가시적인 방식으로 그들의 중국적 불교이해를 표현해 냄으로써, 중국 승려들의 불교 이해의 이중성의 내면을 가늠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불교전통의 위의경의 의미와 가치를 다시 자리 매김하고, 보장론이 중국불교의 중국적 특성 발견에 매우 귀중한 사례가 될 수 있음을 분석확인하였다.   This paper aims at disclosing the characteristics of amalgamating Taoist and Buddhist way of thinking shown in Baozanglun(寶藏論) that was written under the pretense of Sengzhao(僧肇).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Buddhism was understood by Taoist way of thinking when it was introduced in China. However, it is not easy to find the writings that disclose what aspects of Taoism made it easy to beamalgamated with Buddhism. This paper tries to show that it is not accidental that Indian Buddhism was understood by Chinese Taoism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human ways of thinking in general. That is, the similarity of Buddhist projective trichotomous way of Thinking and Taoist circulative trichotomous way of thinking originated from their congeniality in mythological thinking. In mythological thinking status, people see the world as dynamic continuum and things as interconnected. However, it should be noticed that this commonness seen in Buddhism and Taoism let the Chinese people not to find the real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paper analyses how Taoist transforms Buddhist double negation into their paradoxical way of expression. This aspect can be also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Buddhist view in the commentaries of Chinese Buddhist monks like Zhidun(支遁), Daoan(道安), Huiyuan(慧遠), Sengzhao(僧肇). Baozanglun(寶藏論) can be utilized as the reference to corroborate the real philosophical intention expressed in Chinese Buddhist monks commentaries. As known, Chinese uncanonical Buddhist texts are written more explicitly to suit Chinese people"s taste. This paper compares some important sentences of the former commentaries with that of the later and confirms that the same Taoist ways of expressions are used. This comparison may open a new field of studying Chinese uncanonical Buddhist texts. That is, to utilize Chinese uncanonical Buddhist texts is essential to fi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Buddhism.

      • KCI등재

        화이트헤드 『과정과 실재』의 “범주의 도식”과 세친 유식이론의 논의 구조 유사성 고찰

        허인섭(Hur, In-Sub)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09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21

          This paper aims at disclosing the structural similarity of the ways of descriptions on Whitehead’s ‘Categoreal Scheme’ and Vasubandhu’s ālayavijñāna. Comparing these two ways of thinking,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y explain the continuity of the reality or human consciousness. Whitehead shows us a series of trichotomous concepts specially on ‘Categoreal Scheme’ in Process and Reality. This paper analyzes that the 27 categories of the Categories of Explanation are based on the Category of the Ultimate having a trichotomous structure. Whitehead’s strategy utilizing a trichotomous structure of concepts like one, many, creativity purposes to show an dynamic changing aspects of reality. He tri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dichotomous language usage by this strategy. Vasubandhu also utilizes a trichotomous concepts like ālaya-vijñāna, manas, viṣaya-vijñapti in order to disclose the characteristics of consciousness that is ceaseless changing. His method of using the trichotomous concepts succeeds in a Buddhist tradition to utilize a trichotomous structure of concepts found in 18 dhātu, namā-rūpa and vijñāna, etc. The analysis of these two works shows us that Whitehead and Vasubandhu understood well that the reality should be explained in a balanced way by human senses on the reality which perceive it dynamic changing, or capture it with a static concep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