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에코뮤지엄 지역사 탐구체험학습의 실제 : 경기도 안성 원곡·양성면 4·1독립만세운동 역사테마로드 만들기

        허영훈 ( Heo Young-hoon ),장현용 ( Chang Hyun-yong ) 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논집 Vol.69 No.-

        Where should we stand between memory and forgetfulness of the 4·1 Wongok·Yangsung independence movement? As a producer doing history, how can they play a central role as a community subject? What do students feel in the process of doing that role? These questions were conscious of the problems I had in mind while continuing to study in the course of my research. The case of the 4·1 Wongok·Yangsung independ ence movement is not a completely liberated past, but an ongoing history that is still implicated in the local people. In this study, we tried to explore the specific aspects and results by conducting Inquiry-experience learning of Local history based on ecomuseum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course focuses on analyzing the perceptions and reactions of students in the process and drawing im plication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ay attention to children as heroes of history. Second, they expressed regret in the absence of the place (traces) where the memories of independence movement were standing. Third, they wanted to summon history's forgotten heroes, ordinary people, into history. Fourth, through museum activities represented by the creation of the history theme road, students acted as historical producers and volunteer practitioners as host of local communities. Finally, in order to realize the inquiry-experience learning of local history based on ecomuseum, it became important to think about the link between school and outside of school, that is, the role of community actors about eco museum. It is important that voluntary participation and network for mation of community 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es, in keeping a critical and active interest in various ways of reconstructing the place of my life as a history and autonomously recognizing it, We expect that inquiry-experience learning of local history based on eco museum will be practic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 racteris tics of each region and the aspect of cultural resource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대비한 초등학교 지역사 학습 교재 개발 연구

        허영훈(Young-hoon, He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2

        필자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역사영역에서 지역사의 비중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내실 있는 지역사 학습을 위한 교재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하고, 지역사 학습 교재 개발 사례로서 하나의 실험적인 실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근무하고 있는 경기도 안성을 사례로 주제 중심의 지역사 학습을 위한 교재화를 시도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문해력을 발휘하는 가운데 지역에 소재한 문화유산, 역사적 인물, 옛이야기 등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가공하여 이를 주제 중심의 지역사 학습 교재로 변환해가는 과정을 실천적인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다음으로, 지역사 학습 교재 개발의 결과를 제시하고 교육적인 의의를 밝혔다. 교육적 의의로는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을 앞두고, 지역사 학습 교재 개발의 과정을 정식화하여 제시했다는 점이다. 둘째, 교육과정 문해력을 발휘하여 아래로부터 만들어나가는 지역사 학습의 교재화 사례를 제시한 점이다. 셋째,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고, 자기 주도적인 지역사 학습이 가능하도록 주제 중심의 지역사 학습을 추구했다는 점이다. 넷째, 주제 중심의 지역사 학습을 통해 우리 고장에 대한 정체성을 인식하고, 애향심과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타 지역에서도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다양한 주제 중심의 지역사 학습 교재화의 실천을 기대해 본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history learning materials of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 for regional history learning as the proportion of regional history in the history area of the social education curriculum of 2015 has significantly increased. Based on this consciousness, this study composed a textbook for the subject - centered local history learning in the case of Anseong, Gyeonggi Province. First,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transforming cultural heritage, historical figures, and old stories in the local area, while transforming the literacy of the curriculum, into a textbook based on the subject was initiated. First, we presented results of the development of local textbook and expressed educational significanc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is that the model of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s for the local company was presented befor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applied. Second, this study presented the case of teaching textbooks of local history learning that is produced from below by demonstrating literacy of the curriculum. Third, students were interested in and pursued subject-centered local learning to enable self-directed regional learning. Fourth,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identity of our breakdown through theme-centered local history learning, and to promote a sense of self-esteem. Based on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the practice of teaching textbooks based on various topics in other areas in the future.

      • KCI등재

        어촌지역의 비보풍수에 대한 연구

        허영훈(Young hun Heo),천인호(In ho Cheon)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1

        비보풍수란 땅의 부족함을 보완하거나 지나친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써 인위적인 길지로 만들기 위한 일련의 행위이다. 현재까지 비보풍수에 대한 연구는 주로 내륙지역을 대상으로 전개되었으나 본 연구는 어촌마을 중 특히 동해안 삼척지역의 어촌마을에 적용된 비보풍수를 사례로 하여 내륙지와 어촌지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고 나아가 어촌 비보풍수의 특수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삼척지역 해안에 위치한 어촌은 내륙지의 마을과는 달리 바다와 접하고 있어 비보풍수가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내륙지 비보와 유사한 형태도 발견되고 있다. 그리고 내륙지와 해안가 어촌의 비보풍수를 비교할 때 공통적인 행위로서는 소금단지 묻기, 솟대비보, 지명 비보 등이 있었고 그 대상과 상징이 다른 것으로서는 해안숲 비보 등이 있었으며, 어촌지역에서만 특유하게 나타나는 비보로서는 퇴조비 비보, 해신당 비보 등의 유형이 있었다. The Bibo in Feng-shui signifies supplementing insufficiency of land or restraining excessiveness, the way of setting up propitious 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 distinctive Feng-shui Bibo applied to fishing villag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between Feng-shui Bibo in land and instance of Feng-shui Bibo applied to fishing village of Samcheok on the east coast.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Feng-shui surrounding does not form relatively in fishing villages compared to farm village. Due to high level of dependence on fishery, Bibo Feng-shui has been variously found in fishing village, Bibo similar to farm village also has been seen a lot. When comparing land Bibo and fishing village Bibo, maritime forest Bibo etc. are analogous, but its object and symbol are different, geographical surroundings Bibo, ToeJoBi(退潮碑), and HaeSinDang(海神堂), etc. as fishing village Bibo, related to a well has been only seen in fishing village.

      • KCI등재

        초등학교 3학년 지역화 교과서 구성 체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허영훈(Heo Young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경기도내 25개 지역교육청에서 개발·편찬한 2015학년도 3학년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 체제를 중심으로 비교·분석을 실시하고, 시사점과 함의를 도출한 논의이다. 먼저, 제5차 교육과정기에서 현재까지 지역화 교과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지역화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시사점과 함의를 도출하였다. 시사점으로는 외형체제 측면에서 첫째, 지역화 교과서명과 표지 사진의 다양화와 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2개 지역을 관할하는 지역교육청에서는 교과서를 분리해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내용조직방식 측면에서 첫째, 지역화 교과서의 학습내용 선정 및 학습문제 추출에 대한 기준을 확립해야 한다. 둘째, 단원구성방식과 학습장치의 다양성과 체계성을 추구해야 한다. 질문방식 및 부록 측면에서 첫째, 질문의 유형과 기능, 제시 방식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둘째, 부록 및 보조자료의 형태를 다양화하고 목적에 맞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함의로는 첫째, 사회 교과서와의 연결고리를 갖추되 지역화 교과서만의 개성을 살려야 한다. 둘째, 다양하고 체계적이며 학습자 친화적인 구성 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셋째, 질 높은 지역화 교과서 개발을 위한 필요성 인식과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제안이 받아들여져 개방적인 지역화 교과서관을 가지고, 지역의 특색과 정체성을 살린 개성있고 고유의 구성 체제를 갖춘 좋은 지역화 교과서 개발의 실현을 기대해본다. This paper is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derive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around the development of a system configuration compiled by third grade textbooks localized within 25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in Gyeonggi Province. First, at the Fifth Curriculum period and so far we examined the changing patterns of localized text. And then analyzed the localization textbooks by setting the analysis criteria, we derive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The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first appearance in terms of systems, localized names and diversification of the cover photo books and personalized. Second, the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having jurisdiction over the two regions there is a need to develop separately from the textbooks. In terms of the way information organization first it must establish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textbooks and learning of localized extraction learning problems. Second, we should pursue diversity and systemicity of the configuration. In the first question the way side, and appendix, we should think about the types and functions, ways of presenting questions. Second, there is a vary the form of the appendix and the auxiliary data to be presented and for the purpose. In between reviving personality but parliamentary social studies and connectivity and localized textbooks implication in the diverse and systematic, and learner-friendly configuration system established needs , three-dimensional quality recognized the need for a high localized textbooks I looked at. Future proposals of the study have been accepted for open textbooks localized pipe, personality and looks forward to the uniqu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to realize localization of good textbooks with logic.

      • KCI등재

        강원도 어촌입지의 풍수지리적 특성 연구

        허영훈(Heo, Young-Hun),천인호(Cheon, In-H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동해안 중에서도 어업 의존도가 높아 어촌의 고유성격이 잘 나타나 있는 강원도 삼척지역 26개 어촌 마을을 사례 대상지로 선정하여어촌 입지에 나타난 풍수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어촌마을은 육지와 바다라는 이질적인 두 자연적인 요소가 만나는 공간으로써 농촌이나 산촌 등 내륙지와 유사한 점도 있지만 어촌 고유의 많은 풍수적 특수성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바람과 파랑, 조석과 해류의 이동 등 내륙지와는 다른 자연환경에 의하여 풍수적 구조 형성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어촌의 입지는 조수국과 장풍국의 격국으로 대별되며, 조수국은 만입형, 사빈형, 사구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장풍국 보다는 조수국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조수국 중에서는 만입형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용·혈·사·수에 대한 풍수적 해석에서도 육지와는 다른 특징들이 발견되고 있다. 풍수적 결함을 보완하기 위한 비보도 어촌마을에 넓게 적용되는 등 어촌풍수는 육지풍수와는 다른 차원에서 입지론이 전개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characteristic of Feng-Shui on the location of the 26 fishing villages selected in the city of Samcheok in Gangwon province on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as those feature its own characteristic of fishing villages with high level of dependence on fishery.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even though fishing village featuring the space where the two different natural elements, land and sea meet is similar to inland areas such as mountain village and farming village, it also shows a lot of the distinctiveness of Feng-Shui in fishing village. Particularly, the fishing village has an influence on forming geomantic structure by reason of natural environment, wind, a high sea, tide, and ocean current which are different than inland areas. The location of fishing village is classified into JoSuGug(潮水局), Feng-Shui term which implies the coastal area with mountain and JangPungGug(藏風局), Feng-Shui term which implies a basin surrounded mountains. JoSuGug is categorized as embayment, sand beach, and sand dune. The percentage of JoSuGug is higher than JangPungGug, and the percentage of embayment is the highest among JoSuGug in fishing villages located on the eastern coast of South Korea. It is found that different feature of interpretation on Feng-Shui of Yung(龍), Hyeol(穴), Sa(砂), Su(水) compared to land. Remedy is widely applied to fishing village so as to supplement a flaw of Feng-Shui. Feng-Shui of fishing village has been developed in contrast with the land.

      • KCI등재후보

        안성 내리에 거주하는 고려인 학생들의 인식과 삶: 다문화국제혁신학교 K초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허영훈(Heo, Young Hoo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0 사회과수업연구 Vol.8 No.1

        요약 : 중앙아시아로 향하던 고려인 강제이주의 열차는 지금도 러시아, 중앙아시아 그리고 한국을 오가며 힘겹게 달리고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한국으로 이주해 온 고려인 학생들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환경에 적응하고 온전한 정착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급증하고 있는 고려인 학생들, 한국어 사용 능력의 부족함, 한국인 학생들과의 소통 부족, 교과 및 생활 지도의 어려움으로 인해 고려인 학생들에게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이주의 과정과 이주지에서의 정착 경험을 고려인 아동의 시각에서 적극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 재학 중인 고려인 학생들 14명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그들의 인식과 삶을 심층 면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주 전 생활, 이주 과정,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 한국에서의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 진로 등에 초점을 두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담의 모든 내용은 녹음하고 전사해서 반복적으로 검토하여 고려인 학생들의 인식과 삶에 대한 특징적인 점을 ‘본국에서의 경험과 기억, 한국 이주의 목적, 본국에 있는 친척들과의 네트워크,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고려인 역사교육의 필요성, 한국 생활에 대한 만족도, 한국어 습득의 어려움, 일터로 나가는 부모님, 한국에서 계속 살고 싶어요, 방과 후에 그리고 주말에 무엇을 하는가, 고려인 학생들의 꿈’으로 총 11가지를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능동적 행위자이자 삶의 주체로서의 고려인 학생들의 인식과 삶을 드러낼 수 있었다. 이어서 심층 면담의 결과 분석과 해석을 바탕으로 추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고려인 학생들의 인식과 삶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한국인 학생들과 고려인 학생들 간의 소통과 융화를 이루고 학교 교육과정 및 고려인 역사교육 프로그램을 적실하게 설계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The train of the Korean forced immigrants, which was heading to Central Asia, is still running through Russia, Central Asia and Korea. At this moment, the Korean students who have moved to Korea are struggling to adjust to the environment and to settle down despite the difficult conditions. The rapidly increasing Korean(Goryeo People) students, lack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ack of communication with Korean students, and difficulty in teaching and living led to the need for attention. It was necessary to actively understand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the experience of settlement in the place of mi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children. In this study, we listened to the voices of 14 Korean students in the school where the researcher works, and examined their perceptions and liv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focused on pre-migration life, migration process, identity as Korean, school life and family life in Korea, and career. All the contents of the in-depth interview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repeatedly reviewed, and a total of 11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life were extracte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Experience and memory in home country, purpose of immigration to Korea, network with relatives in my home country, identity as a Korean, the need for Korean history education, satisfaction with life in Korea, difficulty in acquiring Korean, parents going to work, continued in Korea I want to live, what do you do after school and on the weekends. Through this, students’ perception and life as an active actor and subject of life were revealed. Subsequently, based o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를 활용한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의 가능성 모색

        허영훈(Heo Young-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150년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품은 고려인 동포들은 한국인인가? 외국인인가? 그리고 역사적인 조국은 어디인가? 한국인-고려인 학생들 서로 간의 이해와 융화 그리고 차별을 넘어 연대와 동행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연구자는 그에 대한 해답이 바로 ‘역사’에 있다는 판단이 들었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를 활용한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고려인의 존재와 현황에 대해 살펴본 후 고려인 강제이주와 디아스포라의 과정과 그들의 삶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소수자 역사인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를 기억과 망각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교육과정 분석과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 이론 검토를 통해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의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향을 상정하였다. 그리고 실천적 다문화 역사수업의 목표를 설정하고 프로그램(수업안)을 구안하였다. 추후 학교 현장에서 고려인, 한국인 학생들과 함께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를 활용한 실천적 다문화 역사수업을 만들어 나가면서 그 구체적인 양상과 결과를 면밀히 살펴볼 것을 기약한다. Are Koreans(Goryeo People) who have 150 years of diaspora history Korean? or foreigners? And where is their historic homeland? What can we do to help our Koreans and Koreans(Goryeo People) students in our school understand, exchange and harmonize with each other and go beyond solidarity?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answer was in history. Based on these percep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education using the theme of ‘Korean forced migration . First, we reviewed the existence and current status of Koreans and then summarized the process of forced migration and diaspora of Koreans and their lives. Next, the topic of Korean Forced Migration , a minority history, wa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memory and oblivion, and the direction of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education was sough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and the review of practical theories of multicultural history education, the direction of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education under the theme of Korean Forced Migration was assumed. In addition, the goal of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classes was set and the program was devised. In the future, I will pledge to examine the specific aspects and results of the study by creating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lessons using the theme of Korean Forced Migration with Korean and Korean(Goryeo People) students.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 사회과(역사 영역) 교육과정 분석 및 교과서 개발 방향 탐색

        허영훈(Young-hoon, Heo),김봉석(Bong-seok, K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2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라 역사 영역이 포함된 초등학교 5~6학년 사회교과서가 곧 개발될 것이다. 이러한 시기에 개정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변화와 특징을 살펴보고, 초등 역사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모색해보는 연구는 필요하면서도 시의 적절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저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사회과 세 영역 간의 통합적 구성을 시도하면서 역사 영역의 일부 내용이 분산되었으며, 통사적 흐름을 유지하면서도 선사 시대와 현대사가 분산 배치된 형태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역사 영역의 특징과 문제점을 탐색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물사, 문화사 중심의 주제사를 강조하면서 통사 구조와 양립이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의 문제가 대두되었다. 둘째, 정치사와 민족사가 강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셋째, 지역사 학습이 강화되었다는 특징이 탐색되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 개발 방향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영역간의 단순 연합이 아닌 통합적 서술이 필요하다. 둘째, 학생의 삶과 연계된 의미있는 학습 활동이 요구된다. 셋째, 역사 해석의 다양성이 추구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인물사 학습이 강조되면서 이에 대한 방향 정립이 시급하다. 다섯째, 지역사 학습이 강조된만큼 지역사 학습의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본 연구의 제안이 유용하게 받아들여져 양질의 초등 역사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2015 social studies education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5th and 6th graders will be soon written, and textbooks of the history category will be developed as well. Amidst of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focused on the history category, of the revised social studies education curriculum and search for directions for developing history textbooks. It can be said that this is timely research. First of all, the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the history category,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some contents of the history category are scattered while an integrative compilation considering other categories was intended. For example, the prehistoric age and the contemporary history are scatteringly placed while the synoptic flow is maintained. Next,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history category are as follows. First, as thematic history centered on historical figures and cultural history is emphasized, an issue of the compatibility with the synoptic history arose. Second, the possibility of stressing political history and ethnic history became greater. Third,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 study of regional history was emphasized. Lastly, the results of searching for new directions for developing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integrative compilation is required instead of simple combinations in the history category. Second, studying activities related to students’ life are necessary. Third, diversity in analyzing history needs to be sought. Fourth, as the study about historical figures is emphasized, it is urgent to establish directions for this. Fifth,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tudy of regional history is emphasiz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nten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suggestions of this research would be usefully accepted in making high-quality textbooks in the future.

      • KCI등재

        팬데믹 온라인 병행 수업 시대 초·중·고 체험·동아리활동 운영 실태와 대안 탐색

        이동원(Lee, Dong-Won),허영훈(Heo, Young-Hoon),정태호(Jeong, Tae-Ho),임용덕(Lim, Yong-Deok),김호정(Kim, Ho-Ju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접어든 온라인 병행 수업 시대 체험․동아리활동의 운영 실태 분석과 개선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체험․동아리활동은 학교 교육 내 단순한 교육적 경험의 제공을 넘어 학생들의 공동체 형성 및 사회심리적, 정서적 발달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팬데믹으로 인한 체험․동아리활동의 제약은 학생들의 공동체성 형성 및 사회심리적, 정서적 성장의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동체성의 의미를 재개념화하고 체험․동아리활동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경기도 1,131개교 초․중․고 교사를 대상으로 체험․동아리활동 운영 실태 관련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학교 현장의 체험․동아리활동은 위축되어 있었으나 위축과 제약 속에서도 다양한 대안적 활동을 펼쳐 나가고 있었다. 둘째, 체험․동아리활동과 에듀테크와의 접목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코로나19로 인해 옅어진 학생들의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대안 모색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온라인 병행 수업 시대에서 공동체성을 함양할 수 있는 체험․동아리활동의 대안적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동체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집단활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 실천을 통해 검증한 우수 사례를 보급해야 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managing status of experiential and club activities in the era of online parallel classes brought on by the COVID-19 pandemic to derive improvement plans. Experiential and club activities play a major role in forming a sense of community and the socio-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beyond the provision of simple educational experiences in school education. However, the restrictions on experiential and club activities due to the pandemic are becoming obstacles to forming a sense of community and the socio-psychological and emotional growth of students. To this end, this study reconceptualized the meaning of a sense of community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and club activities. Additionally, a survey was conducted on experiential and club activities condition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1,131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experiential and club activities at school sites were contracted due to COVID-19, but various alternative activities were being carried out despite the contraction and restrictions. Second, the necessity of combining experiential and club activities with Edutech was raised. Third, there was an urgent need to seek alternatives to restore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the students, which has been weakened by COVID-19. Based on the above analysis,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lternative experiential and club activities model that can foster a sense of community in the era of online parallel classes. Second, various group activity education programs for cultivating a sense of community should be developed, and best practices verified through field practice should be dissemin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