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내러티브 역량 지향 다양성 교육에 관한 담론과 함의

        허영식(Young-Sik, Huh),강현석(Hyeon-Suk, K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9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 역량의 함양과 신장에 목표를 둔 다양성 교육에 관한 담론과 함의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글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명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비추어볼 때 다양성 교육 혹은 다양성에 지향을 둔 간문화 교육은 학습자가 내러티브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안내해줄 필요가 있다. 둘째, 세계화와 개인화, 대중매체의 보편화와 디지털화, 이주와 문화적 다원화는 점점 더 증가하는 다양성의 전제조건이면서 동시에 거꾸로 그 결과이기도 하다. 셋 째, 다양성 교육의 목표와 과제를 고려하는 데 있어서는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거나 다양성에 대하여 회의적인 입장을 취하려는 시도 및 이와 관련된 내러티브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넷째, 차이·다양성의 증가는 학교교육에서 다양한 내러티브, 다중관점, 다양한 해석이 반영될 것을 보다 더 많이 요구한다.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양성 교육은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의 과제는 구분된 기억에만 국한시키지 말고 이와 동시에 공유된 기억을 탐색하는 데 놓여 있으며, 공유된 기억의 가능성을 전달하거나 학습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 바람직한 내러티브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다양성 교육을 통해서 내러티브의 다양성을 적절하게 고려하고 취급함으로써 내러티브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면, 이는 결국 세계시민교육을 위해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ake a look at the discourse on diversity education, which tries to develop and expand narrative competence, and its implications. To achieve the goal, this paper deals with following themes: theoretical basis for diversity education, diversity and narrative competence, and the relationships of narrative competence, diversity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inquiry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in light of narrative diversity, diversity education should search for courses of action to develop narrative competence of learner. Second, glob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universalization and digitalization of mass media, migration and cultural pluralization are the preconditions for and also the results of increasing diversity. Third, in considering the goals and tasks of diversity education, we need to pay attention also to the narratives taking a sceptic position toward diversity or not recognizing the values of diversity. Fourth, considering the increase of difference and diversity, schooling needs to reflect diverse narratives, multiple perspectives, diverse interpretations in its curriculums and activities. Fifth, task of education lies in searching for shared memories beyond divided memories, and, in so doing, we can expect to develop desirable narrative competence in its authentic sense. Sixth, if we succeed in developing narrative competence by considering and treating appropriately narrative diversity in diversity education, then we can also expect to contribute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내러티브 지향 민주시민교육의 가능성 탐색

        허영식(Young-Sik Huh),이윤복(Yun-Bok Lee)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내러티브에 지향을 둔 민주시민교육의 접근 방안을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인권, 민주주의, 법치주의 등의 가치와 이념에 기반을 두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민주적 정치 문화가 요청된다. 이러한 민주적 정치 문화는 필연적으로 시민적 문해력과 정치적 역량을 필요로 하는데, 이때 내러티브적인 능력이 필요하다. 복잡한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의 정체성과 집단의 정체성이 충돌하기도 하며, 이제까지 존재하였던 다양한 관점들이 상당히 변화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관점과 입장들이 첨예하게 대립한다. 그런데 학생이 자신의 관점을 탈중심화하고 다른 학생이 기존에 갖고 있던 고정관념과 편견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내러티브적인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내러티브에 지향을 둔 민주시민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내러티브 원리가 반영될 수 있는 보이텔스바흐 합의에 관한 담론을 논의한 후에 민주시민교육의 방법으로서 논쟁교육을 예시적인 차원에서 소개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to explore a narrative-oriented civic education. A democratic political culture is required to maintain and develop a free democratic basic order based on human rights, democracy and rule of law. In a complex modern society, individual identities and collective identities sometimes collide, and since the various viewpoints that have existed so far change considerably, different viewpoints and positions are sharply opposed. However, in order for students to decentralize their point of view and correct existing prejudices, narrative skills are require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narrative-oriented civic education. And in this article, after discussing the Beutelsbach Consensus that can reflect the narrative principle, controversy education as a method of civic education was introduced as an example.

      • KCI등재
      • KCI등재
      • 다문화사회에서 편견·차별의 문제와 해결방안

        허영식(Huh, Young-Sik)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인간 Vol.4 No.2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를 향한 사회변동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핵심적인 문제의 하나로 거론되고 있는 편견•차별의 문제에 중점을 두고, 이 문제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에 접근하기 위하여 편견•차별의 문제와 이에 대한 이론적 접근, 차별철폐를 위한 방안, 그리고 편견•차별과 연관된 간문화 갈등의 문제와 더불어 이를 적절하게 다루기 위한 간문화 중재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본고에서 강조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정체성과 관련된 편견은 인간의 사회생활에서 매우 뿌리 깊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편견의 역기능이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우리는 편견의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다. 둘째, 이 맥락에서 민주와 민족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볼 때, 보편적 민주주의와 개방적•다원적 민족주의의 균형과 조화에 기초한 준거모형에 지향을 둘 필요가 있다. 셋째, 집단정체성과 관련된 편견 및 차별을 감소시키기 위한 또 하나의 대안은 간문화적 접근방안의 세 단계(탈중심화, 타자의 체제 이해, 협상과 중재)에서 찾아볼 수 있다. 넷째, 편견과 차별은 서로 밀접한 연관성을 맺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차별의 문제를 바라보아야 하고, 따라서 차별철폐방안도 그러한 맥락에서 파악해야 한다. 다섯째, 차별철폐조치의 핵심적인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이 맥락에서 또한 협상과 중재의 의미와 중요성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finding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problems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relevant problem-solving approaches. To achieve the aim, this article identifies following themes: the problems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the problems, rlevant problem-solving approaches, and intercultural conflicts and intercultural mediations. The bottom line of this study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Agains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background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t is necessary to address the diverse dysfunctions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nd to search for the appropriate alternatives or approaches for reducing prejudice and eliminating discrimination. Embodiment in the relevant laws,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implementation of affirmative action (positive discrimination) measures, inclusion of diverse actors, strengthening of education and enlightenment activities, and, last but not least, setting up of an antidiscrimination organization belong to such alternatives or approaches. In addition to it, it is also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ntercultural conflicts and the tasks or instruments relevant to solve them such as intercultural mediations.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의 제도적 체계화를 위한 교수학습원칙과 실천방안

        허영식(Young-Sik Huh),정창화(Chang-Hwa Ju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민주시민교육의 제도적 체계화를 위한 교수학습원칙과 그 실천방안 을 중심으로 하여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시사점을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는 데 놓여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가지 명제로 정식화할 수 있다. 첫째, 민주시민교육의 합의사항은 일종의 합의가설로 받아들이는 것 이 바람직하며, 그것이 최소합의라는 점, 형식적 차원에서 정식화되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의 교수학습원칙에 초점을 맞추어볼 때 가능하면 다중 관점에 지향을 두고 학습대상인 사회정치적 현상을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평생 교육 차원에서의 교수학습원칙과 관련해서는 수업계획․실행의 세 가지 수준(참여자․주제․ 교육담당자)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교수학습원칙은 민주시민교육에서 작 용하는 기준 혹은 소통적 이해를 위한 길잡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교수학습원칙을 교육현장에서 실천에 옮길 수 있는 구체적인 접근방안과 관련해서는 원칙을 반영한 수업 방안 혹은 수업계획의 사례를 참고하여 경험적으로 실행 및 적용 가능성을 탐색할 필요 가 있다. 다섯째, 본고에서 논의한 사항(합의문제, 다중관점, 평생교육, 실천방안)을 염두 에 두면서, 앞으로 교수학습원칙에 입각하여 민주시민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hare the result of a research that focused on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of civic education and relevant practical strategies for applying them. To achieve the goal, this paper identifies following themes: consensus problem in civic education, civic education oriented to multiple perspectiv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in lifelong education,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applying the principle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may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the so-called Beutelsbach Consensus may be considered as sort of consensus hypothesis, and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ts characteristics: minimal consensus formulated in a formal rather than substantial content dimension. Second, regarding the teaching- learning principles, it seems to be desirable to treat sociopolitical phenomena on the basis of multiple perspective. Third, we can take a look at th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in lifelong education, which serve as criteria or guides for communicative understanding, differentiating them into three levels (participants, themes, practitioners). Fourth, with regard to concrete strategies for applying the principles, we need to search for practical possibilities, referring to the existing didactic approaches or plans, which can be used as relevant models. Fifth, keeping the abovementioned themes (consensus problem, multiple perspective, lifelong education, practical strategies) in mind, we are looking forward to developing civic education on the basis of didactic principl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의 정체성 재정립을 위한 간문화적 접근방안

        허영식(Young Sik Huh),정창화(Chang Hwa Jung)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2 OUGHTOPIA Vol.27 No.2

        이 글은 다문화와 한국의 정체성이라는 의제를 염두에 두면서, 한국의 정체성 재정립을 위한 간문화적 접근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집단정체성으로서의 국가정체성과 디아스포라 정체성에 대해 각각 살펴보고, 여기에 기초하여 간문화성의 관점에서 한국의 정체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문화사회를 향한 사회변동 과정에 비추어볼 때, 한국의 정체성 재정립과 관련된 기본적인 문제와 과제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명제로 정식화할 수 있다. 첫째, 자민족중심주의나 국민주의(민족주의)로 흐를 가능성이 많았던 전통적인 국가정체성 개념을 넘어서서, 다중정체성 혹은 조망정체성의 측면을 고려하고, 비판적 성찰·소통·담론을 통하여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른 시각에서 살펴본 디아스포라 정체성에 대해서도 역시 비판적 성찰이 요청되며, 이를 통하여 더 큰 공동체의 사회통합 및 정체성을 시야에서 놓치지 않으려는 안목이 요구된다. 셋째, 보편적인 인권·민주주의에 지향을 둔 의미에서의 간문화성과 개방적·다원적 국가정체성의 균형과 조화에 기반을 둔 모형을 시의적절한 준거 혹은 대안으로 삼을 만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result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intercultural approach towards reestablishment of Korean identity. To arrive at this aim, the researcher dealt with the following themes: the concepts of national identity and diaspora identity as forms of collective identity, and Korean 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ty. The bottom line of this article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Beyond the traditional concepts of national or diaspora identity, which tend to regress to ethnocentrism or nationalism, and to communautarisme or parallel societ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mergent form of multiple or perspective identity, and secure a greater flexi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critical reflection. We should consider the model based on the balance between interculturality in the sense of orientation towards universal human rights and democracy and an open and pluralistic national identity as an appropriate and alternative reference frame for the reestablishment of Korean identity.

      • KCI등재

        다중관점과 포용적 접근을 통한 간문화 내러티브의 탐색

        허영식(Young-Sik, Huh),조인숙(In-Sook Cho),강현석(Hyeon-Suk, K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8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6 No.3

        본고에서는 다중관점 및 포용적 접근과의 친화성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간문화 내러티브의 특징을 살펴본 다음, 다중관점과 포용적 접근을 통한 간문화 내러티브의 구체화 방안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 글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핵심명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간문화 내러티브는 간문화적 사이공간에서 존재하거나 작용하는 내러티브라고 규정할 수 있으며, 다중관점 및 포용적 접근과의 친화성을 고려하여 간문화 내터티브의 특징을 명료화할 수 있다. 둘째, 간문화 내러티브와 다중관점의 친화성에서 출발하여 간문화 내러티브의 구체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는, 이주사회와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여기에 기초하여 다중관점에 지향을 둔 간문화 내러티브를 구체화할 수 있다. 셋째, 문화주의나 문화본질주의적 사고방식에 따른 위험성과 한계를 고려할 때, 간문화 내러티브를 다루는 데 있어서 포용적 접근이 요청된다. 포용적 접근은 평등의 원칙과 다양성의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를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수행적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분석 및 개입의 도구로서 포용적 간문화 내러티브 모형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넷째, 간문화교육학의 합의사항을 고려할 때, 간문화 내러티브를 구성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서도 자신의 문화적 준거와 인지유형을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핵심목표로 간주해야 하며, 간문화역량의 함양․신장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다 섯째, 이주사회에서 일상을 규정하는 사회적 상태를 문화주의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 하려는 경향을 조심해야 한다는 이론적 통찰이 실제적․조작적 수준에서 적절하게 반영되지 못하거나 아니면 의도한 바와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간문화 내러티브의 역설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arch for the possibilities of intercultural narrative by way of multiple perspective and inclusive approach, focused on the recent research trend in Germany. To achieve the aim, this paper deals with following themes: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 narrative, concrete approaches towards intercultural narrative through multiple perspective, and those through inclusive approach. The result of this inquiry might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intercultural narrative can be defined as narrative existing or working in an intercultural in-between space, and has narrow affinities with multiple perspective and inclusive approach. Second, regarding concrete realization of intercultural narrative through multiple perspective, one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diversity of narratives in a migration/multicultural society. Third, inclusive approach towards intercultural narrative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hat of diversity, both of which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and may be realized concretely qua an inclusive intercultural narrative model. Fourth, considering the consensus of intercultural pedagogy, we need to put emphasis on the ability to reflect on the own cultural references and perception patterns, and on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in shaping and using intercultural narrative. Fifth,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aradox of intercultural narrative in the sense of performative contradiction, which implies inconsistency between theoretical insight on the one hand and practical operative level on the other, especially regarding the problem of naive culturalist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