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hanges of insulin like growth factor-I, IGF-I carrier protei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허영란,김송군,김진상,강창원,Heo, Young-ran,Jin, Song-jun,Kim, Jin-shang,Kang, Chang-won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Science 2000 大韓獸醫學會誌 Vol.40 No.3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induced 당뇨가 혈청과 간장 및 신장조직의 IGF-I, IGFBPs 및 IGF-I carrier protein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혈액과 조직중의 IGF-I 농도는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고, IGFBPs 양상은 Western Ligand Blotting(WLB)으로 관찰하였으며, IGF-I carrier protein의 특성은 column chromatography로 측정하였다. 혈청과 IGF-I 농도는 당뇨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1). 당뇨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간장 IGF-I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신장의 IGF-I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당뇨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혈청과 간장의 IGFBP-3는 감소한 반면, IGFBP-2는 증가하였고, IGFBP-4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당뇨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150kDa carrier protein은 감소하였으며, 50kDa carrier protein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Streptozotocin-induced 당뇨는 혈청 뿐만 아니라 조직의 IGF-I/IGFBP system 변동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eptozotocin-induced (STZ) diabetes on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s (IGFBPs), and IGF-I carrier proteins in serum, liver, and kidney. The levels of total and free IGF-I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RIA). The patterns of IGFBPs were determined by western ligand blotting (WLB) analysis. The profiles of IGF-I carrier proteins in serum were determined by column chromatography. The levels of total and free IGF-I in serum were lower in STZ-induced diabetic rat than normal rat (p<0.01). Similarly, the levels of total IGF-I in liver was lowered in STZ-induced diabetic rats. On the other hand, the levels of total IGF-I in kidney were increased in STZ-induced diabetic rats compared with normal rats (p<0.01). In serum and liver from STZ-induced diabetic rats, the amount of IGFBP-3 was decreased and the amount of IGFBP-2 was increased compared with normal rats. There was a not difference in amount of IGFBP-4 in serum between STZ-induced diabetic rats and normal rats. The serums of normal rats have higher 150kDa carrier proteins than in STZ-induced diabetic rats, whereas, most of 50kDa carrier proteins were found in STZ-induced diabetic rat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 STZ-induced diabetic rats, IGF-I/IGFBPs system that included functional bioactivity was changed in serum as well as tissues, and these chang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athogenesis of diabetes.

      • SCOPUSKCI등재

        광주·전남에 거주하는 일부 남성의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식행동 특성 및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의 효과분석 연구

        허영란,오현영,노희경,Heo, Young Ran,Oh, Hyun Young,Ro, Hee Kyong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5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behavior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ages of behavioral changes in sodium reduction of healthy male adults (20~69 years) in Gwangju Chonnam Regions.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00 male adults. Results: A significantly higher mean age was observed in the stage of Action Maintenance (A M) than in the stage of Precontemplation (PC) and stage of Contemplation Preparation (C P).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exercise, eating out, and preference for salty food, intake frequency of Udon, Ramen and Sundae according to the stages of behavior change in sodium reduction were observed. The dietary behavior scores and intake frequency-related dietary behavior scores of A 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C and C P. Nutrition education for sodium reduction improved the dietary behavior score significantly in PC and C P, as well as the rate of correct answers of sodium-related nutrition knowledge in all stages.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PC decreased greatly, and A M increased. Conclusion: Subjects in PC and C P had an undesirable propensity in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compared to A M, but the nutrition education for sodium reduction greatly improved their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 남성 200명을 대상으로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식행동 특성 및 영양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행동 유지단계 대상자의 연령은 고려전단계와 고려 준비단계 대상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운동과 외식의 빈도 및 짠 음식의 선호도에서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고나트륨 함유 식품의 섭취빈도는 우동, 라면 등 국물음식과 순대의 섭취에서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 변화단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식행동 점수는 행동 유지 대상자가 고려전, 고려 준비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에 의해 고려전단계와 고려 준비단계의 식행동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섭취빈도 관련 식행동 점수에서 행동 유지 대상자는 고려전, 고려 준비 대상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영양교육에 의한 개선 효과는 없었다. 전체 대상자의 나트륨 관련 영양 지식은 나트륨 저감화 영양 교육 후 정답률이 모든 행동단계 대상자에서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대상자들의 행동단계가 고려전단계는 큰 폭으로 감소하고, 행동 유지단계는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나트륨 저감화를 실천하는 대상자들에 비해 고려전, 고려 준비단계 대상자들은 식행동 및 영양지식이 바람직하지 않은 성향이었으나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에 의해 식행동과 영양지식이 개선되었다. 본 연구는 단 1회의 나트륨 저감화 단기 교육에 의한 평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영양교육의 효과를 다양하게 분석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한국 성인 남자의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대한 비만 , 고혈압 및 고혈당의 상대적 위험도 및 기여도

        허영란(Young Ran Heo),임현숙(Hyeon Sook Lim) 한국가정과학회 1999 한국가정과학회지 Vol.2 No.1

        Hypercholesterolemia is a well known major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now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hypercholesterolemia(HC≥240 ㎎/dL) with obesity,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level in 649 male subjects aged 20-69 in Kwangju, Korea. The mean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was 212±43 ㎎/dL, and 25.3% of the subjects was diagnosed as HC and 39.3% as nomorcholesterolemia(NC<200 ㎎/dL). The prevalence of HC seemed to increase with age. The subjects with HC were highly overweighted and had higher body mass index(BMI) than the NC subjects. The incidence of overweight(25≤BMI<30) and obesity(BMI≥30) among the HC subjects were 44.5%, and 1.8%, respectively. The HC subjects had higher systolic(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DBP) than the NC subjects. The incidence of borderline hypertension(160/95〉SBP/DBP≥140/90) and hypertension(SBP/DBP≥160/95) among the HC subjects were 18.3%, and 9.1%,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blood glucose level between the HC and NC subjects. The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BMI(PO.001), weight(P<0.001), DBP(P<0.001), SBP(P<0.01), and age(P<0.01), whereas inverse relationships with height/weight ratio(P〈0.001), and height(P〈0.01). The relative risks on HC were 1.99 for obesity, 1.53 for overweight, 1.82 for hypertension, 1.44 for borderline hypertension and 1.08 for hyperglycemia. Attributable risks on HC were 0.25 for obesity. 0.11 for overweight, 0.20 for hypertension, 0.10 for borderline hypertension and 0.02 for hyperglycemi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 of plasma total cholesterol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s of obesity and hypertension.(Korean J of Human Ecology 2(1):80-88, 1999)

      • KCI등재

        광주 · 전남에 거주하는 일부 남성의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식행동 특성 및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의 효과분석 연구

        허영란(Heo, Young Ran),오현영(Oh, Hyun Young),노희경(Ro, Hee Kyong)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5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 남성 200명을 대상으로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식행동 특성 및 영양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행동 · 유지단계 대상자의 연령은 고려전단계와 고려 · 준비단계 대상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운동과 외식의 빈도 및 짠 음식의 선호도에서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고나트륨 함유 식품의 섭취빈도는 우동, 라면 등 국물음식과 순대의 섭취에서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변화단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식행동 점수는 행동 · 유지 대상자가 고려전, 고려 · 준비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에 의해 고려 전단계와 고려 · 준비단계의 식행동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섭취빈도 관련 식행동 점수에서 행동 · 유지 대상자는 고려전, 고려 · 준비 대상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영양교육에 의한 개선 효과는 없었다. 전체 대상자의 나트륨 관련 영양 지식은 나트륨 저감화 영양 교육 후 정답률이 모든 행동단계 대상자에서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대상자들의 행동단계가 고려전단계는 큰 폭으로 감소하고, 행동 · 유지단계는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나트륨 저감화를 실천하는 대상자들에 비해 고려전, 고려 · 준비단계 대상자들은 식행동 및 영양지식이 바람직하지 않은 성향이었으나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에 의해 식행동과 영양지식이 개선되었다. 본 연구는 단 1회의 나트륨 저감화 단기 교육에 의한 평가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단계에 따른 영양교육의 효과를 다양하게 분석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behavior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ages of behavioral changes in sodium reduction of healthy male adults (20~69 years) in Gwangju · Chonnam Regions.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00 male adults. Results: A significantly higher mean age was observed in the stage of Action · Maintenance (A·M) than in the stage of Precontemplation (PC) and stage of Contemplation · Preparation (C · P).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exercise, eating out, and preference for salty food, intake frequency of Udon, Ramen and Sundae according to the stages of behavior change in sodium reduction were observed. The dietary behavior scores and intake frequency-related dietary behavior scores of A · 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C and C · P. Nutrition education for sodium reduction improved the dietary behavior score significantly in PC and C · P, as well as the rate of correct answers of sodium-related nutrition knowledge in all stages.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PC decreased greatly, and A · M increased. Conclusion: Subjects in PC and C · P had an undesirable propensity in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compared to A · M, but the nutrition education for sodium reduction greatly improved their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전남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에 관한 인식 및 수행도

        김영미(Young-Mi Kim),허영란(Young-Ran Heo),노희경(Hee-Kyong R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

        본 연구는 전남지역 학교 급식에서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관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남에 근무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 236명을 대상으로 식품알레르기 업무에 관한 인식과 수행도 및 지식수준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알레르기 업무 우선순위에 대한 인식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 모두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 파악, 제거식?대체식 제공, 식품알레르기 표시 식단표 게시 및 발송, 교직원 및 조리종사원 교육과 학생?학부모 교육 순이었다. 전남지역 영양(교)사의 89.3%가 식품알레르기 관련 영양교육 및 상담 자료가 충분치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육 및 상담 자료는 스스로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활용하는 경우가 전체 평균 55%로 가장 많았다. 또한 식품알레르기 학생 관리에 대한 영양(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전체 대상자의 94.0%가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자신의 식품알레르기 지식 및 이해수준은 초등학교 영양(교)사 37.1%, 중학교 영양(교)사 42.4%가 40~60% 정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식품알레르기에 관한 업무 수행도는 식품알레르기 표시 식단표 게시 및 발송(63.6%),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파악(43.2%), 대체식 및 제거식 제공(23.7%), 식품알레르기 교육 및 상담실시(19.9%) 순이었으며, 이들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 우선순위와 수행도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한편 식품알레르기 유병 학생 파악 업무(P<0.001), 식품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 식단표의 게시 및 발송 업무(P<0.05) 수행도는 초등학교가 중학교 영양(교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문항에 대한 정답률은 초등학교 영양(교)사 71.5%였고, 중학교 영양(교)사 65.8%로 초등학교 영양(교)사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식품알레르기 관련 교육 및 연수 이수율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16.9%로 매우 낮았으며, 식품알레르기 교육 수강여부는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지식 문항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전남지역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양(교)사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업무 우선순위, 영양(교)사의 역할 중요도, 연수 요구도 등에 대한 인식은 높은데 비하여, 업무 과다, 교육 자료 및 연수 기회 부족 등으로 식품알레르기에 관한 업무 수행도는 부분적으로 미흡하였고 지식수준은 분야에 따라 미흡한 상태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학교 급식에서 식품알레르기 관련 업무에 대한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영양교사의 인식수준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양질의 교육과 연수 기회 제공, 학생 스스로의 식품알레르기 관리와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시수 확보 및 단위학교에 적합한 식품알레르기 관리 매뉴얼의 제작 보급이 우선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As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increasing number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the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school meals is an emerging issu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practices regarding food allerg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nutrition teachers in the Jeonnam area. A total of 236 nutritionists/nutri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foods most reported to cause allergic reactions were peach, eggs, peanuts, shrimps, mackerel, and milk.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major tasks to be completed for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the estimated number of students with food allergies, the offering of allergy-free or alternative foods and informing families of foods that may cause an allergic reaction. A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94%) recognized that the nutrition teacher has the primary role in managing students with food allergies in school. To manage these students, nutrition teachers mostly reported informing of allergic foods/ingredients in the school menu and the estimation of students with food allergy.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education programs on food allergies was 16.9%, whereas 97%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a good professional education regarding allergies for nutrition teachers is required. The knowledge level evaluated with objective questio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elf-estimated knowledge level. In conclusion, nutrition teachers understood the tasks regarding food allergy thoroughly and that, the tasks are relatively under-practiced.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in school meals,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regarding food allergies should be provided for nutrition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안정화 미강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C57BL/6 Mice의 비만과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자영(Ja-Young Kim),신말식(Malshick Shin),허영란(Young-Ran H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8

        미강은 쌀 도정의 부산물로 다양한 연구에서 미강의 생리활성 구성 요소의 항산화, 항암, 면역 강화,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보고되어 미강을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미강을 첨가한 제품의 품질과 관능?기호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뿐이고, 미강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정화 미강 첨가가 항비만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지 생리적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in vivo model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C57BL/6 마우스에 6주간 고지방식이를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고, 미강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제품 개발 시 기능성을 유지하는 적정 첨가비율을 확인하기 위해 안정화 미강 분말을 고지방 식이에 각각 20%, 40%를 첨가하여 7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고지방 식이에 미강을 20% 첨가한 HFRB20군은 HFD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고지방 식이에 미강을 40%첨가한 HFRB40군에서 체중 증가 억제와 지방 조직 무게감소 효과 및 혈당 저하와 leptin 농도의 감소를 보였고 항산화 효소 활성을 개선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안정화 미강의 식이 섬유소와 그 외의 주요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시너지효과를 나타냈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안정화 미강을 이용하여 생리적 효과를 나타내는 제품 개발에 안정화 미강의 첨가량은 40%가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7주의 단기 연구를 수행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HFRB20군에서 비만과 항산화 및 관련 지표가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므로 장기간 섭취 시의 효과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ice bran (RB), a by-product obtained during polishing of un-milled rice, contains a large quantity of essential nutrients such as minerals, vitamins, fiber, amino acids, and antioxidants. In this study, the anti-obesity effects of stabilized RB addition as a food material in a diet-induced obese animal model were investigated. For the analysis, a total of 32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ND, n=8), high-fat diet group (HFD, n=8), 20% RB added high fat diet group (HFRB20, n=8), and 40% RB added high fat diet group (HFRB40, n=8).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7 weeks. Body weight gain, various adipose tissue weights,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serum leptin level of the HFRB40 grou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HFD group. Moreover, antioxidant enzyme activity of the HFRB40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HFD group. However, the HFRB20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RB (40%) addition reduces body weight gain and improves obesity-related parameters. These results suggest RB could be considered as a functional additive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of anti-obesity products, and 40% RB addition would be the physiologically effective level.

      • 여주(Momordica charantia.)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C57/BL6J 생쥐의 체중변화 빛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Ji-Young Park),허영란(Young-Ran Heo)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1 生活科學硏究 Vol.21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tter melon(Momorica charantia L.) extracts on anti-obesity and lipid profiles in C57IBL6J mice fed high fat diet. Mice were fed normal diet (NFD. normal control). and high-fat diet only (HFD. high fat control) and high-fat with bitter melon extract 5% (5% BHD). high-fat with bitter melon extract 10% (10% BHD) for 6 weeks. Body weight gai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F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an HFD (p(0.05). Liver weight in 5% BHD was significantly lower and kidney weight i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Not only Adipose tissue weight but also body fat percenta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serum TG levels were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C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an HFD (p(0.05). LDL-C levels were decreased in the 10% BMD. However, blood glucose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From the findings, it had shown that bitter melon extract have the anti-obesity effect and could improve lipid profi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