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민족모성”과 비체 ―유인실의 “주체 되기”를 중심으로

        허연실 ( Yeon Sil He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3

        <토지>는 무수히 많은 인물이 등장하는 소설이다. 그 중에서 특히 여성 인물들이 주축을 이루는 서사는 늘 식민지 근대가 가지고 있었던 ``여성``의 문제와 함께 한다. 또한 그것은 언제나 식민지시대의 ``민족과 경계``의 문제로 확장된다. 유인실의 서사는 <토지>에서, 우리의 전통적인 가부장제도가 민족주의와 결합했을 때 신여성들을 어떤 처지로 내모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서사이다. 식민지 시대에 민족이란 국가를 상실한 조선인들에게 하나의 초월적인 기표로 작용한다. 그러나 식민지의 가부장적 질서 아래서 여성은 민족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역사의 성화된 재현(eroticized representation)`` 방식에 따라 이민족에게 강간당하는 ``민족/국가``로 은유된다. 이로 인해 식민지의 여성들은 전통적인 정절이데올로기와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민족적인 모성을 위한 주체, ``민족모성``으로 호명된다. 그러나 모성은 자식과 분리될 수 없는, 주체/객체, 안/밖의 경계를 허물어내는 특성을 지닌 것이다. 순수한 혈통을 민족의 도덕적 우월성으로 인식하는 민족주의 자들에게 경계를 허무는 식민지 모성은 위험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본능적인 모성을 비천한 것으로 포기하고 민족주체로 호명될 수 있는 ``비모성``만이 민족모성이 될 수 있다는 아이러니를 내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일본인인 오가다를 사랑하는 인실은 민족모성으로 호명되는 순간, 모성을 포기해야만 하는 운명에 놓인다. 식민지의 가부장적 질서라는 경계 안으로 일본인과 혼혈아는 결코 들어올 수 없기 때문에 그녀가 낳은 아이는 사생아가 될 수밖에 없다. 이민족이나 사생아와 같이 질서를 교란시키는 것은 주체가 바깥으로 내던져버린 비체(abject)가 된다. 인실은 ``모성 포기``를 선언한다. 그렇지 않는다면 인실은 자국과 타국의 경계를 흐려, 식민지 조국의 위험한 존재가 되기 때문이다. 독립 운동가인 인실에게는 가부장제의 질서(order)를 깨고 경계(b/order) 바깥으로 나가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인실에게는 그 과정이 바로 모성 포기의 과정이며 이를 통해 정치의 장으로 들어가 공적 자아로 거듭남으로써, ``주체 되기``에 성공한다. <토지>에 등장하는 신여성들이 민족주의의 모성담론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전통의 요구에 충실할 수밖에 없었다면, 인실의 주체 되기와 그 과정은 여성으로서 공적인 영역으로 진입하는 매우 예외적인 서사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인실이 비천한 것으로 내던진 사랑과 모성은 조찬하와 노리코에 의해 <조찬하-노리코-쇼지>라는 가족으로 복원된다. 쇼지와 조찬하는 식민지 조선의 혈통을 더럽히는 역겨운 대상, 비체(abject)이다. 비체에 의해 복원된 모성은 쇼지와 조찬하, 인실과 오가다의 상처를 상처 아닌 것으로 복원하는 힘을 지닌다. 전후 문학의 ``훼손된 누이`` 표상을 그대로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인실의 서사는 이러한 방식으로 인물을 수난자/피해자로 남게 하지 않는다.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nation motherhood and abject of Park kyung-ni`s Toji(<토지>). The women`s stories in Toji have many women`s issues. And these issues are connected with the nation and border under colonial rule. Woman is not to be the subject nation in the paternalistic system under colonial rule, to be a rape metaphor through eroticized representation. And her name is called ``the nation motherhood`` by nationalists. But motherhood breaks down the world``s borders and can not separate from her child. It`s a dangerous nature to the nationalist who put a premium on pure blood. So she must abandon her motherhood. Then she is called ``the nation motherhood`` and it is the irony. Yu In-sil who loves japanese, surely abandons her motherhood for their child. A child of mixed blood has no choice but to be a love child. This way, the subject carry out a purge that disturbs order. This process is the ``abjection``. Through the abandonment of the motherhood, Yu In-sil succeed in her becoming ``subject``. Her story is the unique in other new women`s stories in Toji. Cho Chan-ha and Noriko adopted a love child Yu In-sil`s. The motherhood and her injury are reconstitute by the abject.

      • KCI등재

        근대 신문 광고의 서사 모티프 연구

        허연실(Heo, Yeon-Si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79 No.-

        이 연구는 근대 신문의 약 광고를 중심으로 하여, 고전 서사 모티프의 전략적 활용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주요 분석 대상 광고는 임신 관련 약 광고와 화류병(花柳病) 관련 약 광고이다. 임신 관련 약 광고에서는 고전서사의 ‘기자(祈子) 모티프’와 그 변형을 찾을 수 있다. 기자 모티프는 ‘기자치성→꿈→임신’이라는 기존의 형식을 벗어나 ‘기자 치성→우연한 만남→약의 효과 입증’으로 변형된다. 이는 근대에 이르러 임신이 모체와 태아의 철저한 관리를 통해 출산에 이르게 하는 육체적 현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기자 모티프에 등장하기도 하는 이인(異人)은 고전 서사에서 중심인물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환상적 요소이다. 이것은 서사 형식을 적극적으로 차용한 근대 광고에서 광고의 서술자로 변용되는 양상을 보이며, 독자들에게 병에 대한 지식을 상세히 전해주는 역할을 한다. 화류병 관련 약 광고는 임질, 매독이라는 병명 자체를 표제어로 삼으며, 병에 관한 지식과 약의 구입 방법 등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광고는 화류병 소재의 근대 서사와도 밀접하게 연관이 됨으로써, 일종의 화류병 유행 서사를 생성해 냄과 동시에 사적 영역에서의 질병을 공론화시킨다. 이는 약에 대한 일종의 신화성을 만들어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dicine advertisings on the modern newspapers and focused on the advertising strategy with Korean traditional narratives. Main advertisings are about the medicines for pregnant and the medicines for venereal disease, especially for gonorrhea and syphilis. The motif of prayer for birth of child in Korean traditional narratives, is quiet common and about a woman who couldn’t have a baby. And this problem was solved by a holy being in her dream. But modern advertisings have a transformational style of this motif. There are no more holy being or dreaming. And the main character meets someone who has informations about a medicine. This is a transformation of the holy being motif on the modern narrative. This unrealistic and fantastic thing doesn’t disappear on the modern narratives, but works as narrator who informs readers [consumers] about disease. On the modern advertising, diseases are subdivided into specific names of diseases such as gonorrhea and syphilis. And these personal diseases are publicized through advertisings. These are related to modern narratives with venereal disease material. Like this, advertising narratives were not only an expression strategy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product but also was a key content for producing the value of the product.

      • KCI등재

        박경리 『가을에 온 여인』의 멜랑꼴리적 주체 연구

        허연실 ( Yeon Sil Heo ) 민족어문학회 2016 어문논집 Vol.- No.76

        이 글은 『가을에 온 여인』의 멜랑꼴리적 주체에 대하여 정신분석적인 관점으 로 살펴보는 글이다. 이 소설은 서사의 표면에 노출된 인물간의 갈등과 사건이 점 층적으로 결말의 행위로 이어지는 소설이 아니다. 의심하고 추리해야만 알아낼 수 있는 근원적인 이유가 서사의 밑바닥에 가라앉아 있으며, 이것이 결말의 자살 이라는 행위를 도출해낸다. 이 소설의 중심인물 오세정은 멜랑꼴리적 주체이다. 잃어버린 것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 깊이를 알 수 없는 상실감에 사로잡혀 멜랑꼴리에 빠진다. 애도할 수 없는 미지의 상실은 조선인이자 민족반역자 아버지의 딸이라는 서로 상충하는 정체성 사이에서 발생한다. 오세정이 두 대상 사이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것은 오 세정의 무의식이 아버지의 욕망에 의존해 있었기 때문이다. 혐오스러운 아버지의 욕망과 자신을 동일시한 결과 오세정은 아버지에 대한 비난을 자신에게로 돌린다. 이와 같은 자기비난의 망상 속에서 오세정은 자신을 반복적으로 처벌받게 한다. 오세정은 사랑하지도 않는, 심지어 자기가 죽인 남자의 형과 결혼한 것도 모자라, 사랑했던 남자와 다른 여자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와 함께 살아간다. 또한 그녀는 남편의 변태적 가학행위에 대해서 아무런 저항도 하지 않는다. 오세정은 이와 같은 자기처벌의 과정에서 누구에게도 구원받지 못한다. 이 소설의 인물들은 어느 누구도 오세정의 상실한 대상을 복원해줄만한 힘을 가지지 못한다. 그들은 자기 처벌서사의 원인과 결과의 연쇄작용 안에서 오세정의 적대자가 되어 그 연쇄작용 이 계속 이어지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이 연쇄작용을 끊어낼 수 있는 것은 멜랑 꼴리적 주체의 죽음, 자살뿐이다. 이처럼 이 소설은 멜랑꼴리적 주체의 탄생과 종말의 과정을 드러낸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오세정의 서사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과 같다. 그것은 일그러지 지 않은, 온전한 정체성에 대한 욕망이다. 온전한 것, ``결벽(潔癖)``에 집요하게 붙 들려 있는 것은 박경리의 여성 인물들의 공통적인 특성이다. 어떤 잘못에 대해 자 아를 벌하는 초자아가 발달할수록 이런 경향이 높다. 개인과 실존의 문제를 심각 하게 고민하게 만들었던 시대에, 박경리 소설의 인물들의 이러한 특성은 인간의 정체성과 도덕성을 한층 깊이 들여다볼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melancolie subject of Park kyung-ni`s 『The Woman who comes in autumn』. The heroine of a novel, Oh se-jeong is the melancholy subject. Her father was a traitor to the Korean people. She went to Japan with him. And then she lost her national identity. But She forgot it unconsciously. Because, it would betray her father if she didn`t do it. And she would string along with the desire for power of him. She felt guilty about that. After her father passed away, she dimly realized that she lost "something", an object of subjectivity. She could not mourned the loss of an object. Because she didn`t know that "something" is what. So she became the melancolie subject. There was nothing worthy of replacement an object. She identified herself with her father. But it was not "object". It was mere "the thing" that she did not desired. she criticized openly guilty of her father. And it came back at her squarely. The melancolie subject was under a delusion of self-condemnation and suffered from a guilt complex. There are many characters in this novel, they were antagonists. When She loved a man, always he loved other woman. She killed him and got married with his brother. His brother was a sadist. After several years of mental illness, she ended at it all. I think ``suicide`` is a self-inflicted penalty. The guilt complex is the origins of delusion and punishment in this novel.

      • KCI등재
      • KCI등재

        인문학적 상상력과 서사전략 1950년대 박경리 소설의 근대와 여성 -전쟁미망인과 지식인 여성을 중심으로-

        허연실 ( Yeon Sil He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6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modern and woman of Park kyung-ni in 1950s. I take issue with the name of the war widows. The women characters on the shorts of Park Kyung-ni lost their husband by the korean war. The war left korea devastated. War widows became heads of household. At the same time, they are forced to wage battle against korean society. The paternalistic system of korean society attack the women as violence. And on the shorts the korean war creates all of the conflicts. But the war is not the root cause. Their conflicts have persisted for a long time regardless of the war. In the shorts the women characters are already educated people before the korean war. As the new woman in 1920~1930s, they realized their own identity. Traditionally woman is not the subject and the same in the modern of korea. They were under restraint by masculine view point. In 1950s, the paternalistic system of korean society is the project at the national level. And women(intellectual or not) are subordinate to men. It is the conflict in the shorts of Park` fundamental cause. The violence of the paternalistic system converts intellectual woman to ``woman-sexual body`` and ``woman-sexual purity``. They are poverty people. Meanwhile, not poverty, intellectual woman is addicted to the love. It is not that she indulges in the sexual desires but that she is addicted to the romantic love intellectually. It is an emblem of ``woman(intellectual)-sexuality``. They demand their own new n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