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화의 정도에 따른 소리내어 읽기의 효과

        허선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5

        Though many studies have highlighted on the effect of Reading aloud,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aloud.’ In order to look into some different field of these studies, this research explored the 'aloud,' in terms of checking whether the degree of the EFL learners' utterance and its' change affects the reading comprehens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 were two research questions. One is whether the pitch of utterance affects the reading comprehension. The other is whether the degree of utterance change affects the reading comprehension. A total of 78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goal of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cord reading aloud assignments once a week during the 3 weeks. The utterance was based on the average of the recording decibel which is measured by the decibel-measurement app. To examine all the data, in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and SPSS 23.0 was used to analyze them. As a result, all participants who have submitted 3 recording assignments outperformed the group of students who did not submit their assignment properly in the midterm test as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utterance of recording group and the low utterance of recording group. All the data of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based on the degree of utterance chang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groups as we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ading aloud affect on the EFL learners regardless their utterance degree and pitch of it. 기존의 다수 연구들이 소리내어 읽기 교수법의 효과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에 비해 본 연구는 소리내어 읽기의 ‘소리내어’에 관심을 두고, 외국어 학습자들이 내는 소리의 차이에 따라 독해에 변화가 생기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 질문을 제시하였다. 첫째, 소리내어 읽기를 할 때, 발화의 크기에 따라 독해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소리내어 읽기를 할 때, 발화 크기 변화의 정도에 따라 독해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 총 78명의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은 3회의 소리내어 읽기 녹음 과제를 온라인으로 제출하였다. 학생들의 발화 크기는 소리 측정 앱을 통해 기록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였다. 자료의 결과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 검정과 상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SPSS 23.0이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소리내어 읽기 과제를 수행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독해 성적이 높았다. 이 집단을 발화 크기에 따라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비교하니,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이 제출한 과제들을 모두 비교해서 발화 크기의 변화 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발화 크기의 변화 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독해 성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의 발화 크기와 정도와 무관하게 소리내어 읽기 활동을 하는 것만으로도 독해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베이지안 확률 기반 범죄위험지역 예측 모델 개발

        허선영,김주영,문태헌 한국지리정보학회 201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0 No.4

        Crime occurs differently based on not only place locations and building use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ho use the place and the spatial structures of the buildings and locations. Therefore, if spatial big data, which contain spatial and regional properties, can be utilized, proper crime prevention measures can be enacted. Recently, with the advent of big data and the revolutionary intelligent information era, predictive policing has emerged as a new paradigm for police activities. Based on 7420 actual crime incidents occurring over three years in a typical provincial city, “J city,” this study identified the areas in which crimes occurred and predicted risky areas. Spati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atial big data about only physic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using the street width, average number of building floors, building coverage ratio, the type of use of the first floor (Type II neighborhood living facility, commercial facility, pleasure use, or residential use), this study established a Crime Incident Prediction Model (CIPM) based on Bayesian probability theor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del was suitable for crime prediction because the overlap analysis with the actual crime areas and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 curve), which evaluated the accuracy of the model, showed an area under the curve (AUC) value of 0.8. It was also found that a block where the commercial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were concentrated, a block where the number of building floors is high, and a block where the commercial, entertainment, residential facilities are mixed are high-risk areas. This study provides a meaningful step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a crime prediction model,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explor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rim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crime occurrence. 범죄는 장소나 건축물 용도에 따라 발생빈도와 유형이 다르고, 그 장소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특성 및 공간 구조 차이에 의해 다양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공간 및 지역특성을 포함한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을 분석해 보면 범죄예방 전략을 마련할 수 있다. 아울러 빅데이터와 지능 정보화시대의 도래에 따라 예측적 경찰활동이 새로운 경찰활동의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보편적인 지방도시 J시를 대상으로 3개년 동안의 7,420건의 실제 범죄사례를 바탕으로 도시공간의 물리·환경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범죄발생공간을 규명하고, 위험지역을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다양한 빅데이터 중 범죄를 유발하는 도시 공간 내 물리·환경적 요소에 한하여 공간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공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분석결과 도출된 가로폭, 평균 층수, 용적율, 1층 사용용도(제2종 근린생활시설, 상업시설, 유흥시설, 주거시설)을 변수로 베이지안확률 기반 범죄발생 위험성 예측 모형(CIPM: Crime Incident Prediction Model)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실제 범죄발생 지역과의 중첩분석 및 모델의 정확도를 판단하는 Roc curve 분석을 통해 AUC 값이 0.8로 모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모델을 토대로 사례지역의 범죄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범죄발생은 상업 및 유흥시설이 밀집된 지역과 건물층수가 높은 지역, 그리고 상업 및 유흥시설과 주거가 혼재해 있는 블록이 범죄발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단순히 범죄의 공간적 분포와 범죄발생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범죄발생 예측모델을 확률론적 관점에서 개발하는 영역으로 한 단계 진전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에 나타난 부동산시장 참여자 심리와 부동산시장 변동 간의 인과관계분석

        허선영,김주영,문태헌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4

        This paper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how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consumers effects the price and transaction volume in the real estate market. Methodologically, we utilized the social media (on-line community) data, which is popularly used for the survey of citizens' satisfaction and preference in marketing, consumer services, politics and elsewhere. We crawled postings uploaded to the real estate social media community for seven months from August 28, 2017 to April 9, 2018, using text mining programming language R. The collected data were quantified through sentiment analys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entiment with the actual real estate market, we used the existing real estate market indexes, such as housing transaction volume, rental transaction index, trading price index, and rental price index. Assuming that any change in consumer’s sentiment that occurs prior to an event (i.e, changes in the real actual estate market) can be used as an evidence of causation, we applied Granger Causality tes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tterns in consumer sentiment appear repeatedly in trading index after approximately nine weeks, and that consumer senti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al estate market. Finally, scrutinizing on-line postings and predicting the future with sentiment analysis could help create a sustainable and stable real estate market. 본 연구는 시장참여자의 심리적인 변화와 부동산시장(가격과 거래)의 변화에 시계열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부동산을 주제로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시장참여자들이 포스팅하는 의견을 수치화한 후 심리지수로 변환한 다음, 이를 실제 시장의 움직임과 비교해 보고는 방식이다. 부동산 온라인 커뮤니티에 실시간으로 업로드되는 게시글을 정량화하여 부동산참여자 심리지수로 산출하였으며, 참여자의 심리지수 변화를 부동산시장의 가격변동 추이와 비교하여, 두 지표 사이에 영향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만약 영향을 주고 있다면 어느 정도 시간을 두고 발생하는지를 그랜저 인과관계 방법으로 규명해 보았다. 분석 결과를 보면, 부동산 정책이 시행되거나 부동산과 관련된 이슈가 공론화되면 시민들이 이에 대한 긍·부정적인 의견을 온라인 커뮤니티에 업로드하고, 그 영향이 실제 부동산시장에 9주 후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후관계를 역으로 보면, 전세거래지수 변화는 3주 후, 매매거래지수는 2~5주 후에 사람들의 심리(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거래지수는 3주, 매매거래지수는 2~5주 후에 시장참여자가 체감하고 글을 게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추후 부동산시장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방법론적으로 볼 때도 온라인 커뮤니티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피드백한다면 부동산시장의 변화를 조기에 파악하여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시장참여자들의 부동산정책 및 이슈에 관하여 느끼는 심리(감정)가 실제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 또는 그 영향이 어느 정도의 시간을 두고 실물 시장에 도달하는지를 미리 파악하는 것은 부동산정책의 보완 및 부동산시장의 변화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漢代 吉祥銘文 瓦當과 吉祥紋樣과의 상관성 연구 -雲紋, 瑞鳥, 樹木을 중심으로-

        허선영 동아시아고대학회 201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2

        This study is regarding contents and patterns of Gilsang(auspicious), focused on Wadang in the Han times. Wadang in the Han times was a root of Wadang culture in East Asia, having been a significant position in Ancient Wadang history. In particular, the advent of character Wadang provided character academy as well as the study of Han's culture and history with pivotal reference. Wadang in Han Dynasty contained over three thousands of characters and patterns. Amonst those Wadang, character Wadang was merely one thousand of them. Character Wadang showed the records which were fairly well explained about circumstance at that time. Of those Wadang, Gilsang patterns occupied over seventy percent of it. And also, in the contents of Gilsang, it placed patterns of Gilsang patterns. In the Han times, it was famous of Hwangno(Emperor and Lao-tzu)thought. Thus, cultural phenomena that had reflected Hwangno and Confusion thought were founded. This study resorts the contents of Gilsang that appeared on the contents of Gilsang in the Han times. As a result, many poetry appeared, and lotus, woody plant, auspicious omen that implied the meaning of Gilsang were placed all together, which is to say that it reflected Hwangno and Confusion thought enthusiastically. In analyzing over one thousand of Wadang characters, over seventy percent of Gilsang contents were founded. Although Wadang in Han times comprised generally of patterns of Wadang, as character Wadang appeared in the early Han times, character Wadang had its heyday in the Hanmoojae times. This advent of Han's Wadang symbolized contents and meaning of Gilsang, wishing for longevity and wealth in the form of poetry, turtle, contents and locus. And also the patterns, having comprised of Wadang on the surface, appeared in Dangsim and Jooyeonboo 본 연구는 한대와당을 중심으로 길상명문과 길상문양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한대와당은 동아시아 고대 와당사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동아시아 와당문화의 근원이 된다. 특히 문자와당의 출현은 문자학계 뿐 아니라 한대 문화사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한대와당은 문자와 문양와당을 포함하여 출토된 자료만으로도 3000여 점이 넘는데, 문자와당은 1000여점 정도에 불과하다. 문자와당에는 당시 상황을 이해 할 수 있는 명문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길상 내용은 7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 길상명문에는 길상문양이 배치되어 있다. 한대는 황로사상이 유행하던 시기로 많은 기물에서 황로사상과 유교사상에 입각한 문화적 현상을 찾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대길상명문에 출현하는 길상문양을 분류하여 문양별 특징을 재분류하였다. 그 결과 장수와 부귀를 염원하는 길상문구와 길상의 의미를 상징하는 운문, 거북, 서조, 연주문등이 출현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와당면을 구성하는 문양들은 당심과 주연부 등에 출현함으로써 서한 후기에서 동한시기의 것으로 다양한 문양대가 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대와당의 가치는 무엇보다도 문자와당의 출현과 운문의 다양한 변화를 통한 문양의 다양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고대 사회의 지배계층에서 사용한 와당은 당대 유행된 사상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한대 와당에 출현하는 운문, 서조, 수목 등의 문양은 음양오행, 신선방술, 황로사상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운문과 수목, 서조는 신선사상에서 가장 자주 등장할 뿐 아니라 신선과 연관이 매우 깊은 문양들이다. 이 같은 문양들은 후에 유행하는 도가, 도교문화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장수와 부귀를 염원하는 길상문구와 길상의 의미를 상징하는 운문, 거북, 서조, 연주문등이 출현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와당면을 구성하는 문양들은 당심과 주연부 등에 출현함으로써 서한 후기에서 동한시기의 것으로 다양한 문양대가 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The Effect of Reading Aloud on Listening Comprehension of EFL Learners

        허선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3

        Reading aloud helps students learn how to read and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in classes. Reading aloud has been confronted with continuous debate during the last few decades. Reading aloud, however, has more benefits than disadvantages, and even there were many attempts to reveal the effect on other language skills. Listening and reading are linked closely on the reception and processing of incoming data. Reading aloud provides learners with basic language techniques such as pronunciation, pitch, tone, and punctuation, and it leads to the improvement of their language ability.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reading aloud effect on EFL learners in Korea. Two research questions were in it. One is whether Korean adult EFL learners acquire benefits of reading aloud in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The other one is whether the advantage of reading aloud influenced differently on learners’ language levels. A total of 139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eventy-two stud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and sixty-seven students were in the experiment group.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two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language levels: thirty-four was in the low level and thirty-three was in the high level. The experiment group was asked to submit their recording files once at a time for 6 weeks during a semester. The recording assignment was reading aloud the listening part 3 and 4 of TOEIC. There were two tests: pretest of part 1 and 2 of TOEIC, posttest of part 3 and 4 of TOEIC. Pretest was easier than posttest, so ANCOVA and standardization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effect. All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Experiment group outperformed in posttest, and it meant that reading aloud affected on EFL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It also verified that reading aloud influenced on the improvement of adult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In the regard with language levels, low level students outperformed high level students even though a few high level students showed outstanding effects on their post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ading aloud affect on EFL learners regardless their ages and listening comprehension levels. Reading aloud can improve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not only in classes but also outside of the class as assignment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opening of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between reading and listening skills to enhance EFL students’ language competence by using reading aloud as assignments.

      • KCI등재

        낙랑와당 연구 – 세끼노다다시 이론에 대한 반론적 견해

        허선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7 中國硏究 Vol.70 No.-

        As Sekkinodadasi Research Group discovered Nakrang Wadang, found around Daedong river in Pyeong Yang areas since 1919, its research group confirmed that its Wadang is completely the same as Han Times’ Wadang. Until now, our study researchers have followed the Sekkinodadasi theory of Nakrang Wadang’s complete similarly to Han Times’ Wadang without any doubt on Sekkinodadasi Theory, citing Sekkinodadasi Theory repeatedly. This study was started, based on the originality of Nakrang Wadang. As a result, Ssangwoonmoon and Sayeopmoon Moonyang(Letter shapes) Wadang was excavated only in Nakrang Goon area. And in case of Woonmoon Wadang, its times is similar to Han Times’ Wadang. however, singular point was found on its placement of Woonmoon’s knots and the fact that the curve line of Woonmoon is closed to right angle should be an attention points. It was not appeared that Seungmoon of Jooyeonbu was connected to roof tiles in Han Times’ Wadang. Most of all, the changes of Dangsim was not shown in Nakrang Wadang and Letter and shapes of Wadang likewise. Types of Letter is Yeseo and Jeonseo, the placed shapes and types of letter are very delicate and fancy. On the other hand, Manse Wadang shown on the surface of Wadang is very monotonous in that it is typical Jeonseo. That is, it is the characteristics of Han Times’ Wadang. This study was focused mainly on Nakrang Wadang, based on the volumes that were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Pyongyang Research Association. And also through comparing the Woonmoon Wadang and Moonja Wadang of Han Times,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Sekkinodadasi theory which Nakrang and Han Times’ Wadang’s similarly needs to be corrected. And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native power’s culture in Nakrang area was melted into Nakrang’s culture through the letter’s shapes and types of Nakrang Wadang, placed on the Wadang surface. 세끼노다다시 발굴조사단은 1919년도부터 평양일대 대동강유역에서 낙랑와당을 발굴하면서, 한대(한왕조)의 것과 완전히 같다는 것으로 규명한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연구자들은 이러한 설을 재차 인용하면서 낙랑와당은 한대와당과 완전히 같은 형식을 가진 와당으로 조금의 의심도 없이 기존의 설을 따르고 있다. 본 연구는 낙랑와당의 독창성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 결과 쌍운문과 사엽문 문양와당은 낙랑군 일대에서만 출토되었으며, 운문와당의 경우 한대의 시기와 유사하지만, 구획 안에서 배치된 운문의 매듭처리가 아주 특이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운문의 곡선은 거의 직각에 가깝다는 것도 주의할 만한 문제이다. 주연부의 승문이 기와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도 한대와당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도 당심의 변화가 낙랑와당에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문자와당의 경우도 마찬가지 이다. 글자체는 예서와 전서로 되어 있으며, 당면에 배치된 문양과 글자체가 매우 섬세하고 화려하다. 반면에 ‘만세’ 와당은 전형적인 전서로 당면의 수식도 매우 단조롭다. 한대와당의 특징이 여기에서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30년대 조선총독부와 평양연구회에서 발행된 책에 수록된 낙랑와당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한대 운문와당과 문자와당과의 비교를 통하여 세끼노다다시가 주장한 ‘한식와당(한대식 와당)’이라는 점은 반드시 정정되어야 함을 밝혀냈다. 낙랑와당의 문양형식과 당면에 배치된 양식을 통해 낙랑일대의 토착세력의 문화 속에 낙랑의 문화가 녹아져 있다는 점을 주시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