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외 시대의 문학사 - 김현의 문학사에 나타난 개인의 위상

        허선애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9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individual revealed in Kim Hyun’s literature history.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reflects the desire of intellectuals in the 1970s for independent modern times. Kim Hyun tried to show through literary history that modern individuals existe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t this time, the modern individual presented by Kim can be said to be a human being proven through epistemological intelligence, that is,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backside of the world that the general public does not see. In Kim’s description, it was a contradiction of the family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to confront modern individuals, but it can be seen that Kim Hyun is not aware of it even though the way to escape it is pre-modern. In Yeom Sang-seop, you can identify the individual as the epistemological intelligence that Kim imagines. Kim defines ethnic literature, realism, and modern individuals as those who can read the backside of the world differently and achieve ethnicity, reality, and modernity against his wil” in the process. For Kim,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such as “against his will” that individuals were ethnic, and personal things were universal. For Kim, who was making such a logical leap, it was for the people in itself, but conversely, for the people, it was inevitable to fail. This is because Kim saw that he could reach the abstract ideology of the nation only by bypassing individuals at the level of the phenomenon. Kim, who used individuals as the fundamental unit of literature and knowledge, suggests focusing on the truth at this individual level in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as an authenticite. His view of literature begins to give individuals excessive meaning that personal truth can become universal truth in the process of reading. Kim, who sees faithfulness to individuals as authenticity, no longer mentions the ‘social structure’ as an object perceived by modern individuals. Instead, the creativity of literature, novelty, not imitating the existing, becomes important to him. If it was a contradictory family system that suppressed and alienated individual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uppressing literary peo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was a creative tradition of existing literature.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of society was understood as a condition for a modern individual to exercise creativity, and instead, he recognized the oppression and denied the so-called “daily life” that could not move toward the novelty of literature. 이 글은 김윤식·김현의 『한국문학사』(1972-1973 연재)와 김현의 『한국문학의 위상』(1975-1977 연재)을 통해 김현의 문학사에 나타난 개인의 위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한국문학사』는 1970년대 지식인이 품었던 주체적 근대를 향한 열망을 반영하고 있는데, 김현 또한 조선 후기부터 근대적 개인이 존재하였음을 문학사를 통해 보이고자 했다. 이때 김현이 부조하는 근대적 개인은 인식론적 지성, 즉 일반인이 보지 못하는 세계의 이면을 알아차리는 능력을 통해 증명되는 존재다. 김현의 서술에서 근대적 개인이 대결하는 것은 조선시대 가족제도의 모순이었는데, 이를 벗어나는 방식이 전근대적이라 할 수 있음에도 김현은 이를 자각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1920년대 작가, 특히 염상섭에게서 김현이 상상하는 인식론적 지성으로서의 개인을 확인할 수 있다. 김현은 민족문학자, 리얼리스트, 근대적 개인을 모두 세계의 이면을 남다르게 읽을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민족성, 리얼리티, 근대성을 성취하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와 같은 수사가 가능했던 것은 김현에게 개인은 곧 민족이었으며, 개인적인 것은 곧 보편적인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논리적 비약을 감행하는 김현에게 개인을 위하는 것은 그 자체로 민족을 향한 것이었지만, 역으로 민족을 위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이는 김현이 현상 차원에 있는 개인을 우회함으로써만 민족이라는 추상적 이념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개인을 문학과 지식의 근본 단위로 삼았던 김현은 『한국문학의 위상』에서 이 개인적 차원의 진실에 집중하는 것을 성실성(authenticite)로 제시한다. 개인적 진실이 독서의 과정에서 보편적 진실이 될 수 있다는 그의 문학관은 개인에게 과잉된 의미를 부여하기 시작한다. 개인에 충실한 것을 진정성으로 보는 김현은 근대적 개인이 인식하는 대상으로서의 ‘사회 구조’를 더이상 언급하지 않는다. 대신 그에게는 문학의 창조성, 기존의 것을 모방하는 것이 아닌 새로움이 중요해진다. 『한국문학사』에서 개인을 억압하고 소외시켰던 것이 모순된 가족제도였다면, 『한국문학의 위상』에서 조선 후기 문인을 억압하는 것은 기존 문학의 창조적 전통이었다. 사회의 구조적 모순은 근대적 개인이 창조성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이해되었으며, 대신 그는 억압을 알지 못하는 자, 그 억압을 인식하여 문학의 새로움으로 나아갈 수 없는 일상인을 부정하게 된다.

      • KCI등재후보

        1970년대 출판시장의 변동과 문단의 재편 -문학과지성사를 중심으로

        허선애 인문예술학회 2018 인문과 예술 Vol.- No.5

        본 논문은 1970년대 후반 설립된 출판사 문학과지성사의 단행본 출판 기획을 특징과 이 시기 출판 시장과 문단의 변동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1970년대 중반 해고된 언론인이 대거 출판계에 유입되면서 전문화된 출판이 시작되었다. 문학과지성사는 문학과 인문학 서적을 중심으로 단행본을 출판하면서 빠르게 출판 시장에 자리잡았다. 최인훈 전집은 독자의 선택권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화되며, 나아가 매체 중심의 문단에서 출판사 중심의 문단 제도로의 변화를 이끌기도 했다. 또한 문학 및 인문학 개론을 총서의 형식으로 출판하는 것은 문학과 지식의 배치를 통해 출판사의 미학과 가치관을 확산하고자 하는 계몽의 시도였으며, 한편으로는 지식인의 것으로 여겨지던 문학과 인문학 도서의 인기가 출판인으로 하여금 대중의 지식 수준을 재고하게 만들기도 했다. 또한 문학과지성사의 성장과 재정적 안정에는 대중소설의 출판이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이처럼 출판은 계몽의 기획이면서도 대중과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앎을 향한 과정이기도 했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check the Alteration of publication market and rearrangement of Literature field in 1970’s. As the journalists who were dismissed were introduced to the publishing industry, specialized publishing began. The Moonji publishing company have established themselves in the publishing market by publishing monographs focusing on literary and humanities books. The completed works of Choi In-hoon was meaningful because he was able to secure readers’ choice, and led to the change from medium-oriented literature field to publisher-oriented literature field. In addition, the publication of the literary and humanities outlines in the form of a series was an attempt to enlighten the aesthetics and values ​​of the publisher through the arrangement of literature and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popularity of literary and humanities books, It also made aware of the level of public knowledge. The publishing of popular novel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and financial stability of literature and intellectual history. In this way, publishing was a plan of enlightenment, and also a process toward new knowledge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public.

      • KCI등재

        세계 지도 위에서 상상되는 민족문학 - 박연희, 『제3세계의 기억』, 소명출판, 2020

        허선애 상허학회 2021 상허학보 Vol.61 No.-

        이 글은 박연희의 『제3세계의 기억』(소명출판, 2020)에 대한 서평이다. 이 책은 제3세계 담론이 표면적으로 부상한 시기의 비평 담론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것에 그치지 않고, 1950년대 미국의 영향력 하에서 반공주의의 표상으로 제기된 아시아 담론 및 기획 또한 제 3세계라는 맥락에서 검토하고 있다. 먼저 해방기 좌우의 진영 논리나 대결 구도에서 한발 물러서 있는 김기림과 박인환을 통해서 새로운 상상력의 면모를 분석하며, 문학 단체를 중심으로 이분화되어 있던 해방기 문학에 관한 논의를 다층화하고 세계사적 감각과 주체 형성이라는 맥락에서 해방기 문단을 재구조화해볼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한다. 또한 냉전 구도가 공고해지는 1950년대 미국의 원조 전략 하에서 한국 문인들이 품었던 세계 문학에 대한 미망을 여과 없이 보여주고 있다. 한편, 저자는 민족 문학 및 세계 문학 담론의 다양한 방향성을 이 시기 주요 매체별로 폭넓게 분석해내고 있다. 이 책이 다양한 진영의 세계문학 담론과 비평적 입각점을 보여주고 있듯이, 제 3세계는 단일한 이념적 실체가 아니었고, 그 수용의 맥락 또한 수용자와 당대의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1970년대를 전후하여 한국의 지성계는 민족, 세계, 그리고 제3세계라는 표상을 두고 다양한 해석과 경쟁적 전유를 진행하고 있었다. 나아가 저자의 논의는 이 시기 제출되었던 다양한 담론적 맥락을 규명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이러한 기획들의 착종된 논리나 한계를 규명하는 것까지 나아가, 미국이라는 양가적 존재와 이를 수용하거나 전유하는 한국 담론의 무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요컨대, ‘전후’ 한국 문학에는 냉전과 제3세계라는 이름의 앎들이 교차하고 있었고, 이 책은 이 지식들을 맥락화하고 추론하여 비평적 상상력의 조건과 그 가능성을 충실히 규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is a book review of Park Yeon-hee’s book. This book does not only make critical discourse at a time when Third World discourse emerged as a subject of discussion, but also examines Asian discourse and planning, which were raised as an expression of anti-communism under U.S. influence in the 1950s, in the context of the Third World. Through Kim Ki-rim and Park In-hwan, who are stepping back from the logic and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beration period, discussions on liberation period literature, which had been divided around literary groups, can be layered and reconstructed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It also shows the hope of world literature held by Korean writers under the U.S. aid strategy in the 1950s, when the Cold War structure was solidified. On the other hand, the author analyzes the various directions of nation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discourse widely by major media of this period. As the book shows various camps’ discourse on world literature and critical points of entry, the Third World was not a single ideological entity, and the context of acceptance also depends on the acceptance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 Around the 1970s, the Korean intellectual community was conducting various interpretations and competitive monopoly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the world, and the third world. Furthermore, the author’s discussion not only identifies the various discourse contexts submitted during this period, but also reveals the ambivalent existence of the U.S. and the unconscious sense of Korean discourse that embraces or monopolizes them. In short, in the postwar, Korean literature was intersected by knowledge called the Cold War and the Third World, and the book is meaningful in that it faithfully identified the conditions and possibilities of critical imagination by contextualizing and reasoning these knowledge.

      • KCI등재

        독서대중의 보편적 앎과 인간 해방의 기획 -1970년대 후반 김종철과 오생근의 독자/대중 인식

        허선애 춘원연구학회 2018 춘원연구학보 Vol.0 No.13

        1970년대 후반 ‘대중’의 문제는 당시 지식인들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였다. 지식인들에게 대중은 대체로 ‘민중’의 미달태로서 이해되었고, 지식인은 대중을 민중으로전환하기 위해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고자 했다. 문학장에서 대중에 대한 논의는 독자에 관한 것과 연계되어 있다. 이 글은 1970년대 김종철의 비평에서 독자에 대한 의미화가 이루어지는 양상과 대중에 대한 인식을 연결해보고자 한다. 나아가 김종철과 함께 『문학과지성』의 동인으로 활동하며 문제의식을 공유했던 오생근의 대중담론을 통해 당대 비평의 염원이었던 문화와 예술의 민주주의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김종철의 문학론은 생산자가 아니라 수용자, 즉 독서 대중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김종철은 문학이 앎의 명증성을 잃어버린 현재 문명에 대한 비판적 작업이며, 문학을 통한 의사소통이 새로운 문명을 가능하게 만든다고 믿는다. 그러나 현재 독자의부재로 인해 문학은 호소력을 잃어버리고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누가 읽느냐의 문제가 작품에 영향을 준다는 김종철의 입장은 독서 대중이 문학장을 이끌어갈수 있는 문학의 새로운 주체로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새로운 예술의가능성은 타자의 경험을 경청할 수 있는 태도에서 찾을 수 있다. 읽히는 시, 독자가접근할 수 있는 시를 써야 한다는 김종철의 주장은 더 나은 삶과 문명을 위한 독서에필수적인 것이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학론은 예술을 능동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대중의 문화적, 사유적 역능에 대한 믿음으로도 나타난다. 김종철과 대중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오생근은 ‘대중’을 “모든 사람”이라는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엘리트와 대중, 지식인과 비지식인의 경계를 무화시킨다. 오생근이대중을 긍정하는 이유 중 하나는 그것이 “예술의 민주화”를 성취할 가능성을 지니고있기 때문이다. 다만 문제는 대중예술이 “인간 해방”의 즐거움을 구가할 수 있기 위해 인간의 주체적 의식을 회복하는 것이며, 그 해답으로 오생근은 진정한 인간적 관점의 교육을 제시한다. 교사와 학생의 상호주체적인 앎을 통해 더 나은 앎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마련된다. 스스로 앎을 구현할 수 있는 주체적 의지의 발현이 오생근이 말하는 교육의 최대치이며, 이와 같은 능동적인 앎은 누구에게나 가능한 보편적 앎이 된다.

      • KCI등재

        지식인의 현장이라는 역설 - 1970년대 현장소설에 나타난 재현의 (불)가능성

        허선애 국제비교한국학회 202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30 No.2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intellectuals' field repre- sentation, focusing on the novels of Jeong Eul-byung and Yoon Heung-gil, which are de- signed for ‘field novel’. In the late 1970s, a new trend emerged: field novel. However, the discourse on this did not ask what and how to represent, focusing on the nature of literature and the duty of the creator, or whether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field.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Jung Eul-byeong and Yoon Heung-gil’s work at- tempted to reproduce beyond the double boundaries of intellectuals and field, and male and female sex workers, and sought to explore the excessive reproduction and impossibility of reproduction that this work shows. Jeong Eul-byung’s work follows the perspective and reproduction of male nationalism of the time on transnational prostitu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laim the rights of sex workers, they are defined as special hitters, and they present recognition to the present through self-awareness as a way for them to overcome contradictions. On the other hand, Yoon Heung-gil’s work is a work that practices becom- ing a witness based on the artist’s own altruism and helplessness. The anxiety and vulner- ability shared by Erena and her colleagues are expressed as the identification of silence and create a foundation for their common life.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in which the meet- ing between Erena and intellectuals results in failure is a self-reflection of Yoon Heung-gil and at the same time shows the impossibility of reproducing the field. Nevertheless, Yun Heung-gil attempted this impossible reproduction once again, revealing the conditions and order of the reproduction. As such, what the intellectuals' longing for the field in the 1970s achieved was not a complete reproduction of the field or the complete unity of the people and the intellectuals. Instead, they engraved the impossibility and difference in the work. 이 논문은 현장소설로 기획된 정을병의 「파멸되지 않는 봄」(1977)과 윤흥길의 「 돛대도 아니 달고」(1977)을 중심으로 지식인의 현장 재현의 가능성과 한계를 짚어보 고자 한다. 1970년대 후반 민중문학론자들의 민중 재현의 의지, 르포나 수기의 확산 등으로 현장소설이라는 새로운 경향이 생겨났다. 그러나 이에 관한 당대의 담론은 문학의 본질과 창작자의 의무에 집중하면서 무엇을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 혹은 현장 의 재현의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이르지 못했다. 이 논문은 정을병과 윤흥길의 작품이 지식인과 현장, 남성과 여성 성 노동자라는 이중의 경계를 넘어 재현을 시도한 작품이라는 점에 주목하며, 이 작품이 보여주는 과잉 재현과 재현의 불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했다. 정을병의 「파멸되지 않는 봄」은 초국적 성매매에 대한 당대 남성 민족주의의 관점과 재현 방식을 따르고 있는 작품이다. 이에 더해 성노동자들의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 그녀들을 특수한 타자로 규정하 고, 그녀들이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기 각성을 통한 현재에의 인정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 윤흥길의 「돛대도 아니 달고」는 작가 자신의 타자성과 무력함 에 기반한 증인되기를 실천하는 작품이다. 에레나와 그녀의 동료들이 공유하고 있는 불안과 취약성은 침묵의 동일시로 현현되며 그들의 공통 삶의 기반을 조성한다. 이와 달리 에레나와 지식인의 만남이 실패로 귀결되는 과정은 윤흥길이 보여주는 자기 반 성이자 동시에 현장 재현의 불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흥길은 이 불가능한 재현을 다시 한 번 시도하며, 재현의 조건과 그 질서를 드러내고자 했다. 이처럼 1970년대 현장에 대한 지식인들의 갈망이 성취한 것은 현장에 대한 완전한 재현이나 민중과 지식인의 온전한 합일이 아니라, 그들의 차이를 은폐하거나 드러내 면서 발생하는 모순들을 작품 속에 새겨놓은 일이다.

      • KCI등재

        혁명이 아닌 혁명, 세대가 아닌 세대 - ‘4·19세대’의 세대 이해 방식에 대한 검토

        허선애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9

        The stronger the perception of a generation, the more invisible the various conditions of that generation beco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art a new discussion on generations by revealing the pattern of the privileged few in the name of the generation. In this sense, the discourse on the 4·19 generation of literature should also be reviewed focusing on generational strategies, not revolutionary spirit, and their continuous generational discussions should be examined on a timely basis. The 4·19 generation of literature refers to people who attended universities during the revolution and have a specific literary attitude. The generation debate in the late 1960s, centered on this generation, was an event in which the new generation and the old generation clashed around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The 4·19 generation tried to prove their generation's identity centered on war rather than revolution, and replaced war with a symbol of revolution after their literary position was solidified. The 4·19 generation discourse their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while presenting their own generational perspective. However, they imagined the generation as narrower than the scope of the universal age group, and the coexistence, solidarity, or ideal generational change of the generation sharing experience were not different from the process of reorganizing literary history centered on their own generation. In addition, the solidarity and replacement of the 4·19 generation, which became the older generation, became only possible with people with the same position, and the different position from oneself was separated and cut off by other generations. 세대라는 인식이 강력하면 할수록, 그 세대에 겹쳐 있는 다양한 조건들은 보이지 않는 것이 된다. 그러므로 세대라는 보편의 이름 뒤에 숨겨져 있는 존재, 그리고 세대의 이름으로 소수의 것이 특권화되는 양상을 밝힘으로써 세대에 관한 논의를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문학의 4·19세대에 관한 담론 또한 혁명 정신이 아니라 세대 전략을 중심으로 재검토되어야 하고, 또한 이들의 지속적인 세대 논의를 통시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문학의 4·19세대는 동일한 연령 집단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혁명 당시에 대학을 다녔고, 특정한 문학적 태도를 지닌 사람들의 이름이다. 이들 세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1960년대 후반 문단의 세대 논쟁은 한국 전쟁의 경험, 혹은 그 의미화 가능성을 두고 문단의 신구세대가 대립한 사건이었다. 4·19세대는 혁명보다 전쟁을 중심으로 자기 세대 정체성을 증명하고자 하였고, 자신들의 문학적 입지가 공고해진 이후에 전쟁이라는 세대 표상을 혁명의 상징으로 대체하였다. 한편, 4·19세대는 자신들의 세대적 특징을 담론화하는 동시에 나름의 세대 관점을 내세운다. 그러나 이들은 세대를 보편적인 연령 집단의 범위보다 더 협소한 것으로 상상하였으며, 경험을 공유하는 세대의 공존, 연대 혹은 이상적 세대교체 등은 자기 세대가 중심이 된 문학사 재구성의 과정과 다르지 않았다. 그리고 기성세대가 된 4·19세대의 연대와 교체는 자신들과 같은 입장을 지닌 사람들과만 가능한 것이 되었고, 자신과 다른 문학적 입장은 다른 세대의 것으로 분리되고 단절되었다.

      • KCI등재

        탈-근대적 문학사의 가능성과 제안들-『한국문학사』 논쟁과 그 이후의 문학사 방법 논의를 중심으로-

        허선애 ( Heo Seon-ae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8 No.-

        이 글의 목표는 『한국문학사』와 그 논쟁에 나타난 담론의 한계를 살펴보며, 『한국문학사』 주변에 존재했던 다양한 문학사의 방법론들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다. 김현과 김윤식은 『한국문학사』를 통해 서구식 문학과 역사의 기준에서 벗어나 주체적 작품 비평을 통해 작품간의 ‘관계’들로 이루어진 문학사를 쓰고자 했다. 이는 곧 비평가의 주체적 독서 행위로서 작품과 작품, 지식과 지식을 연결짓고자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한국의 후진성과 ‘근대’라는 역사의 발전이라는 전제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한국문학사』는 한국과 서구의 동등성을 신념화하는 것에 그치고 만다. 해석자의 ‘지금여기’에 의해 의미가 구성되는 비평적 작업으로서의 문학사를 제안하는 김주연은 문학의 사회성 역시 작품의 ‘관계’를 통해 드러나는 것이라고 본다. 이때 ‘관계’가 예외적 개인인 작가와 독자의 마주침으로 이해되면서, 역사와 사회는 특정한 자격을 부여받은 자들의 것으로 환원된다. 그가 사숙했던 선진 문화로서의 독일에 내재한 후진국 콤플렉스, 보편을 상징하는 유럽이라는 지역 공간 내에 위치했던 독일의 ‘특수함’과 같은 모순 상황은 역설적으로 이방인 김주연에게 후진-선진, 보편-특수의 위계에 집착하지 않을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김주연이 도달한 비-보편, 비-선조적 세계 인식은 문학을 포함한 정신적인 것으로서의 문화를 지나치게 숭고한 것으로 상정하게 한다. 한편, 김현은 『한국문학사의 위상』에서 ‘나’의 독서 경험을 기준으로 문학의 범주를 규정하는 과정에서 의미 구현 주체로서의 독자를 발견하게 된다. 독자의 발견은 문학의 의미를 드러내는 과정에서 작가라는 하나의 중심만이 아니라, 수많은 독자를 통해 다양한 중심들을 인정하는 방식이다. 또한 김치수는 사회사나 일반사의 반영으로서의 문학사를 거부하고, 이에 따른 단순한 시대 구분을 넘어서고자 한다. 이와 같은 시도는 문학의 중심을 해체하고 구조로서의 문학사를 서술하고자 하는 움직임으로도 이어진다. 또한 김치수는 문화의 우열을 말하는 것이 그 문화를 소유한 민족, 즉 종족 중심주의적 발상이며, 후진국 문화의 우수성을 말하는 것 또한 종족 중심주의적 발상이라고 지적한다. 문화에 내재한 힘의 질서를 자각하는 김치수는 선-후와 보편-특수와 같은 이분법에 내재한 인식의 틀을 새롭게 함으로써만 서구 중심의 보편성을 넘어 새로운 문학사가 가능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limits of discourse in the Kim Hyun and Kim Yoon-sik's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its debates, and to analyze the various methodologies about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1970's. The main aim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as to deviate from Western literary and historical standards and to write a history of literature composed of topics ranging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works through subjective criticism. However, it was only a matter of convincing people of the equality between Korea and the West. The suggestion of Kim Joo-yeon's literary history, which had not paid attention because of discourse on subjectivity and ethnicity at that time, provided a way to carry out existing literary ideals. Kim Ju-yeon suggests a literary history as a critical work composed of the meaning of the interpreter's "here and now," and he insists that the sociality of literature is also revealed through its relationship of literary history. The relationship of literary history is understood as an encounter between the artist and the reader, who is an exceptional individual, and history and society, which is reduced to those with specific qualifications. Although Germany is located in Europe, but it symbolizes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the universes in parallel. Paradoxically it made Kim Joo-yeon to be part of the hierarchy of the advanced. However, the non-universal recognition attained by Kim Joo-yeon assumes that the culture of spirituality is overly sublime. On the other hand, in the Phase of Korean Literature, Kim Hyun tries to construct a literary history by the process of defining the identity of literature using a text that was individually semantified through personal reading experience. It leads to the awareness that the history of literature answers the question of the function of the here-and-now literature, identifying the reader as the point where the meaning of the text should reach. In addition, Kim Chi-soo refuses to see literary history as a reflection of society or general history and talks of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a structure placed within a culture that goes beyond the simple division of time. The argument about the superiority of culture is an ethnocentric idea. The perception of the periphery has allowed us to understand the flow of Korean literature by moving away from the trend of Western literary movement. More precisely, it is not similar to the history of the West and that of South Korea, which makes us reconsider the perception of the advanced and backward, and the center and periphery of literature.

      • KCI등재

        감수성과 상상력의 리얼리즘

        허선애(Heo, Seon-ae)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1

        이 글은 『문학과 지성』의 문학론에서 나타나는 문학정신으로서의 리얼리즘의 양상을 분석하고 그것이 지성론의 대두와 결부되어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들이 말하는 리얼리즘은 사조나 기법으로서 아니라, 가시적인 세계이면에 놓인 진실을 응시하는 문학 정신으로서의 리얼리즘이다. 또한 개인적 체험을 그려내는 것을 통해 역설적으로 리얼리티는 가능한 것이다. 이 ‘체험’이라는 표현은 『문학과 지성』에서 반복적으로 활용되는 비평의 기준인데, 이는 단순한 경험의 의미가 아니라, 가시적 세계 뒤에 놓여있는 진실의 다른 이름이다. 이른바 4·19세대들은 한 좌담에서 자신이 ‘타인이 아니라는 의식’과 ‘타인이 되려는 노력’을 감수성이며, 진정한 참여라고 표현한 바 있다. 타인의 삶을 작가가 ‘체험’하는 가능성, 타인의 삶을 통해 무언가를 ‘주고받을’ 가능성이 ‘감수성’에 근거해 있다면, 그 감수성을 통해 얻은 체험을 형상화하는 것은 ‘상상력’에 있다. 시인이 “지게꾼의 삶을 개인적 고뇌의 대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표현은, 감수성과 상상력에 기반한 `참여`라는 『문학과 지성』의 문학론을 대변한다. 그러나 김현은 이러한 리얼리즘이 한국 사회에서는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며, 그 원인을 시민계급의 부재에서 찾는다. 시민계급의 부재를 메울 수 있는 것은 ‘지성인’의 형성이며, 『문학과 지성』을 통해 올바른 ‘지성’을 길러내는 것이 이 잡지의 창간 목적이다. 이때의 ‘지성’은 상상하고 창조하는 정신이며, 세계에 질문을 제기하는 힘이다. 그러므로 지성인은 리얼리스트의 임무를 지성적 작업을 통해서 이룩하는 것이다. 바르트의 ‘결핍된 참여’의 방식을 문학정신이라고 생각하는 문학과 지성 의 문학론에는 문학과 지성은 본질적으로 공존하는 것이며, 이 문학과 지성의 공존에서 문학의 정치성은 비롯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spect of realism as a literary spirit in Mun-ji and to reveal that it is associated with the intellectual theory. Kim Hyun criticizes the ‘vraisemblance’ and ‘verisme’ as merely stereotypes, and discusses the true realism. The realism is not a literary trend or a technique, but realism as a literary spirit gazing at the truth behind the visible world. In addition, by expressing a personal experience, the reality paradoxically is possible. This "experience" is repeatedly used in Mun-ji, which is not a mere experience, but a different name for the truth behind the visible world. The 4·19 generation expressed the consciousness of being others and the effort to be others as "sensibility" and a genuine commitment. The possibility of the artist "experiencing" the life of others is based on "sensibility", and it is in the "imagination" that the experience acquired through the sensibility is expressed. "Commitment" based on sensibility and imagination is a literary theory of Mun-ji. However, such realism is impossible in Korean society, because there is no "intelligence" or "civil classes" in the society at that time. The formation of the "intellectuals" can overcome the absence of the civil classes, and the purpose of Mun-ji is to cultivate the "intelligence". The "intelligence" is the spirit of imagination and creation, raising questions to the world. Therefore, the intellectuals are to accomplish the task of realists through intellectual works. Literature and intellect coexist in essence in literature, which considers Barthes"s "failed commitment" as a literary spirit.

      • KCI등재

        고정된 언어를 넘어서는 ‘진실’

        허선애(Heo, Seon-ae)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5

        이 글은 1970년대 소설에 나타난 소문과 이야기를 해석하려는 인물의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언어와 문학이 도달하려 하는 진실과 보편의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당시의 독재 권력은 언어를 장악하거나 금지하는 방식의 통치술을 행사하였지만, 언어는 해석적 실천을 통해 권력의 언어를 초과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진리’를 표방하지 않는 언어와 세계 인식은 소문이나 거짓 역시 진실로 구성될 수 있는 대상으로 만든다. 이청준의 「소문의 벽」은 편집자이자 소설의 독자인 ‘나’는 자신이 수집한 정보, 소문, 소설을 함께 읽으면서 ‘진실’을 구성한다. 글쓰기만이 아니라, 독서를 통한 ‘자기진술’이 가능함을 전제하는 이청준의 소설은 거짓, 소문, 소설들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는 해석적 실천을 통해서 ‘진실’에 다가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소설 속 인물의 해석을 절대화하지 않음으로써,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해석자의 주체적인 이해를 통해서 ‘소문’이 ‘진실’을 찾을 수 있는 수단이지만, 이것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소문’은 오히려 개인을 억압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소문에서 진실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던 「파하의 안개」의 시인 바아몽은 통치권력에 의해 추방당하고 만다. 이 소설이 소문을 통제하고 생산하는 기술을 통해 통치권을 유지하고자 하는 권력층을 보여주었다면, 윤흥길의 소설에서는 권력층에 의해 통제되는 소시민의 모습이 드러난다. 윤흥길의 「몰매」는 흥미를 목적으로 소문을 만들고 또한 그 소문을 맹신하는 것이 타자를 억압하는 방식인 동시에 권력에 공모하는 방식임을 암시하고 있다. 소문에 이끌려 사는 개인들이 스스로 공권력을 자기의 사회 내부로 끌어들이고, 은폐된 실체에 대해서는 알려고 하지 않는 사람들에 의해 도시의 삶은 유지되고 있다. 반면, 언어로 드러나지 않는 사건을 소문을 통해서 알고자 하는 홍성원의 「흔들리는 땅」에서는 권력의 거짓말이 쉽게 ‘진리’로 치환되는 것을 경계하고, 주체가 자기 기반의 취약함을 인정하는 것이 타자와의 공감, 그리고 ‘진실’에 이르는 길임을 보여주고 있다. 자신이 놓인 자리의 유한함을 인식하는 주체가 다른 자리로 옮겨감으로써 진실에 다가갈 수 있으며, 앎에의 의지를 멈추지 않음으로써 타자에 대한 이해에 가까이 갈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attitudes of the character in interpreting rumors in the novels of the 1970s and examines the possibilities of truth and universality in literature. The governmentality used the method of language control, but the language has the possibility of exceeding the language of power through the interpretive practice of the recipient. The perception of the world and the language as ‘situated knowledge’, make an object that can be constituted to the truth through interpretive practices of rumor. Lee Cheong-joon’s “The Wall of Rumors” shows ‘I’, the reader, compose “truth” while reading the information, rumor, and novel he collected. Lee’s novel, which presupposes that self-statement is possible not only in writing but also in reading, shows that the truth can be reached through interpretive practices of reconstructing false, rumor and novels. And by not absolutizing the interpretation of characters in the novel, it makes various interpretations possible. Through the su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interpreter, ‘rumor’ can be a means to find ‘verity’, but ‘rumor’ is rather a means of suppressing individual. Ba-a-mong, the poet of the “fog of Faha” who tried to find the truth in rumors, was expelled by the power of government. Contrastively, Yoon Heung-gil’s “the group beating” implies that making rumors for interest and believing blindly rumors suppress others and colluding with the governmentality. On the other hand, in Hong Seong-won’s “The shaking Ground” shows the way of trying to reach the verity through the rumor, and it alert that the lie of the dominant power is easily replaced by “truth”. The subject who recognizes the finite of his place can reach the verity by moving to another place and can approach the understanding of the other by not renouncing the will of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