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용 저수지 수질모델 (ARSIM-rev) 개발 및 적용

        함종화,김동환,김형중,김미옥,Haam, Jong Hwa,Kim, Dong Hwan,Kim, Hyung Joong,Kim, Mi-Ock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4 No.6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quality simulation model (ARSIM-rev) was developed in this study for water quality simulation of a small and shallow agricultural reservoir with limited observed water quality data. Developed ARSIM-rev is a zero-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because of little spatial differences in water quality between stations in a small and shallow agricultural reservoir. ARSIM-rev used same water quality reaction equations with WASP except for several equations, and daily based input parameters such as settling rate, release rate from sediment, and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changed yearly based input parameters in ARSIM-rev. A number of pre- and post-processors were developed such as auto calibration and scenario analysis for ARSIM-rev. CE-QUAL-W2, WASP, and developed ARSIM-rev were applied to Mansu agricultural reservoir to evaluate model performance, and ARSIM-rev demonstrated similar model performance with CE-QUAL-W2 and WASP when low number of observed data was used for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quality simulation. Overall, developed ARSIM-rev was feasible for water quality simulation in a small and shallow agricultural reservoir with limited observed water quality data, and it can simulate agricultural reservoir water quality precisely enough like common water quality model such as CE-QUAL-W2 and WASP within a limited time.

      • 논문 - 이동저수지 유역의 수질 특성 및 항목간 상관관계 분석

        김형중,함종화,김동환,홍대벽,Kim, Hyung-Joong,Haam, Jong-Hwa,Kim, Dong-Hwan,Hong, Dae-Byuk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11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8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correlation among water quality parameters in Idong reservoir used for agricultural water. The pH and concentrations of DO, SS, BOD, COD, TP, Chl-a in Idong reservoir almost met the water quality standards for agricultural water, but TN concentration exceeded the water quality standards for agricultural water. All of water quality item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orizontal points at 95% confidence level and the Idong reservoir was possible to be treated as the single water body. As NIP ratio of the Idong reservoir is 52, TP is a limiting nutrient salt. As TN exceeds the water quality standards, it is required to preserve TP below current state to prevent water bloom by eutrophication. Therefore, reduction of phosphorus from the watershed is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eutrophication of Idong reservoir.

      • 석문담수호 유역의 강우시 오염물질 발생특성

        김형중 ( Hyung Joong Kim ),함종화 ( Jong Hwa Haam ),홍대벽 ( Dae 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석문담수호 수질개선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석문담수호의 수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간척농지배수와 주유입하천인 역천을 대상으로 강우시 수질을 조사하였다. 강우조사는 2009년 8월 20일 실시하였는데, 10:00시 1.0㎜의 강우를 시작으로 조사기간 동안 총 42.5mm의 비가 내렸다. 석문담수호 유역의 오염원을 살펴보면 인구는 총 59,979명인데, 분류식 및 오수처리 인구는 20.34%에 지나지 않아 생활하수가 적절히 처리되지 않고 방류되고 있다. 토지이용은 유역면적 총 231.36 ㎢ 중 임야가 51.14%, 답이 21.21%, 전이 10.57%, 대지가 3.32%, 목장이 0.59%, 기타가 13.17%로서 임야와 농경지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산업시설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총 484.92㎥/day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축산의 경우 한우는 6,194두, 젖소 1,885두, 돼지 62,199두, 가금 352,530수가 사육되고 있는데, 규제미만은 한우가 44.58%, 젖소는 14.01%, 돼지는 2.73%, 가금은 0.29%로서 한우를 각 농가에서 소규모로 사육하는 경향이 많았다. 강우시 수질조사결과 농지배수의 경우 BOD는 16.8~28.5㎎/L를 보였으며, EMC농도는 19.99㎎/L를 나타냈다. COD는 18.6~25.1㎎/L(EMC 22.78mg/L)를, SS는 12.6~28.4㎎/L(EMC 22.94㎎/L)를, T-N 및 T-P의 경우는 각각 2.36~3.27㎎/L(EMC 2.99㎎/L), 0.18~0.48㎎/L(EMC 0.32㎎/L)로 조사되었다. 역천의 경우 BOD6.8~10.2㎎/L(EMC 8.72㎎/L), COD 10.2~13.8㎎/L(EMC 12.20㎎/L), SS 18.6~30.4㎎/L(EMC 24.65㎎/L), T-N 4.12~7.64㎎/L(EMC 6.91㎎/L), T-P 0.24~0.52㎎/L(EMC 0.40㎎/L)를 나타냈다. 또한 조사기간의 총 부하량은 농지배수의 경우 BOD 2,661.0kg, COD 3,031.6kg, SS 3,053.4kg, T-N 398.6kg, T-P 42.4kg, 역천의 경우는 각각 2,910.9kg, 4,069.8kg, 8,225.0kg, 2,303.9kg, 134.8kg으로서 농지배수보다는 주 유입하천인 역천이 석문담수호의 수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량과 수질의 변화경향을 보면 농지배수의 경우 SS와 T-P는 초기 강우 이후 유량의 증가와 함께 농도도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나머지 항목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역천의 경우도 SS와 T-P가 유량의 증가에 따라 농도도 증가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유량과 오염부하율의 시계열 변화는 매우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변화하였다. 즉, 모든 항목의 오염부하율은 유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첨두 유량이 통과할 때 오염부하율도 최고값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았다. 각 수질항목별 비점오염 기여율은 농지배수의 경우 BOD는 52%, COD는 66%, SS는 83%를, T-N은 63%, T-P는 80%를 나타냈다. 역천의 경우는 BOD의 전체부하량중 비점오염원의 부하기여율은 86%, COD는 61%, SS는 75%, T-N은 72%, T-P는 50%를 나타내 농지배수와 역천 모두 비점오염물질의 기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석문담수호 수질관리에서 비점오염물질의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석문담수호의 수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농지배수보다 주 유입하천인 역천이고, 역천의 경우 점오염원보다는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석문담수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역천 유역의 비점오염물질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이동저수지유역에서 소유역별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김형중 ( Hyung Joong Kim ),함종화 ( Jong Hwa Haam ),김동환 ( Dong Hwan Kim ),홍대벽 ( Dae 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농촌지역의 소유역 특성에 따른 수질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동저수지 유역을 7개의 소유역으로 분류하고 2006~2010년 사이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pH는 평균 7.44~8.31로서 농업용수 수질기준의 범위에 있었고, 분산분석결과 시기별로는 p=0.0001, 지점별로는 p=8.15E-06으로서 95% 신뢰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DO는 평균 7.99~9.74 mg/L로서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2.0 mg/L 이상을 만족하고 95% 신뢰수준에서 분산분석한 결과 시기별로는 p=1.256E-8, 지점별로는 p=0.0002로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SS는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고, 다양한 오염원이 분포하는 소유역이 평균 6.11 mg/L로 가장 높은 반면 복합농촌의 특징을 갖고 있는 소유역이 0.40~22.40 mg/L, 평균 2.97mg/L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SS는 모두 하천의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100 mg/L 이하를 만족하였다. 지점별로 SS 농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95% 신뢰수준에서 분산분석한 결과 p=0.0957로서 지점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기별 분산분석 결과 p=0.0022로서 95% 신뢰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의 경우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소유역이 평균 10.46 mg/L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하천의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9 mg/L를 초과하였다. 반면 산지, 골프장+산지, 휴양시설+산지, 농촌지역의 성격을 갖는 소유역은 각각 평균 3.37, 3.11, 3.23, 3.46 mg/L로서 매우 낮은 값을 나타냈고 수질기준을 만족하였다. 지점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p=1.39E-11로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 시기별로는 p=0.5931로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호소의 부영양화에 의한 녹조발생의 원인물질의 하나인 TN은 산업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소유역이 평균 6.00 mg/L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대규모 실버타운이 있고 유동인구가 많은 휴양시설+산지로 구성된 소유역이 평균 4.78 mg/L의 높은 값을 나타냈다. 반면 일반적인 농업지역인 소유역은 평균 1.47 mg/L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95% 신뢰수준에서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p=4.2E-27로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시기별로는 95% 신뢰수준에서 p=0.5513으로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호소의 한계영양 염류인 TP의 경우 휴양시설+산지 소유역이 평균 0.27 mg/L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산업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소유역이 평균 0.14 mg/L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산지 및 골프장+산지로 구성된 소유역이 모두 평균 0.03 mg/L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지점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95% 신뢰수준에서 분산분석한 결과 p=7.58E-30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 시기별로는 p=0.8235로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산업시설과 대규모 휴양 시설이 있는 소유역에서 녹조발생의 원인 물질인 TN과 TP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이들 시설이 정화시설을 운영하여도 하수처리 방류수 수질기준이 TN 20 mg/L, TP 2 mg/L로 하천수에 비해 매우 높은 반면, 이 지역은 유량이 적어 희석효과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인공습지의 장기운영에 따른 수질정화효율 변동

        손영권,윤춘경,김형중,함종화,Son, Yeong-Kwon,Yoon, Chun-Gyeong,Kim, Hyung-Joong,Haam, Jong-Hwa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3 No.6

        Long-term water treatment 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constructed wetland treating agricultural tailwater. Studied wetland was established in 2001 and operated from June, 2002 to November, 2010. Wetland vegetation cover was shown over 90 % coverage after 2005. According to vegetation development, accumulation of sediment nutrient was observed; Organic Carbon, T-P and T-N. In addition, DO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was decreased in the constructed wetland output. An infiltration rat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due to compaction of wetland soil. A runoff coefficient was increased due to the low infiltration rate after 2005. A T-N, TSS and Chl.a removal rate was maintained constantly. However, the T-P removal rate was slightly decreased along to wetland operation because low DO concentration could increase elution of phosphorus from sediment. After constructing open water, the T-P removal rate was increased. This is because open water could accelerate the reaearation process. Consequently, over three years of vegetation development could be helpful for wetland performance. In addition, DO concentration is important factor to maintain the T-P treatment.

      • 인공습지 조성형태별 수질정화특성

        김형중 ( Hyung Joong Kim ),함종화 ( Jong Hwa Haam ),김동환 ( Dong Hwan Kim ),홍대벽 ( Dae 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자연정화시설의 장기운영결과를 활용하여 적정 설계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충남 당진군 고대면 석문간척지구 내에 9개의 시험시설을 설치하였다. 1시험포는 미식재구, 갈대구, 애기부들구로 구성되고, 2시험포는 침전지이다. 3시험포는 침전지+애기부들+갈대구, 침전지+미식재+갈대구, 침전지+갈대+미식재구, 4시험포는 지표흐름 인공습지+지하흐름 인공습지, 5시험포는 침전지+습지, 6시험포는 습지+침전지, 7시험포는 습지+개방구간(2열)+침전지, 8시험포는 침전지+개방구간(1열)+습지로 구성되었다. 단독형 식재습지(1시험포) 운영결과 인공습지의 가장 대표적 식물인 갈대와 애기부들 사이에 TN, TP, SS의 수질정화효과에 큰 차이가 없고, 애기부들구에 갈대가 많이 침입하므로 그 지역에 많이 자생하는 식물을 식재하거나 자연도래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3시험포 운영결과 인공습지 전체에 식물을 심는 것 보다 식물이 자라는 식재구간과 식물이 자라지 않는 미식재구간(개방구간)을 같이 조성하는 것이 산소공급이 원활하여 수질정화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의 인공습지 처리효율 분석 결과 습지의 식물이 증가하면서 개방수역이 감소하여 용존산소의 농도가 매우 낮은 값을 나타냈다. 이와 같이 장기간운영에 따른 용존산소와 영양물질 처리효율의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2007년 4월에 7시험포와 8시험포에 개방수역을 설치하였다. 2010년 전체 인공습지 시스템의 TP 처리효율은 개방수역을 설치하지 않은 5, 6시험포의 경우 -25.4%와 -23.9%의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개방수역을 설치한 7, 8시험포의 경우 각각 50.1%와 14.2%의 처리효율을 보였다. 개방 수역을 설치하지 않은 5, 6시험포의 경우 습지가 장기간 운영되면서 습지 수체내의 용존산소 부족으로 인한 인의 재부유로 인하여 처리효율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개방수역을 설치한 7번과 8번 시험포의 경우 적절한 DO농도 유지를 통한 인의 용출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인공습지에 식물이 자라지 않는 개방구간을 조성하는 것이 정화효율이 높으며, 전체적인 DO분포 및 정화효율 면에서 개방구간을 1열 조성하는 것 보다는 2열로 나누어 조성하는 것이 효율이 높았다. 9시험포에서 인공습지의 길이에 따른 정화효율을 분석한 결과 인공습지의 길이가 100m 이상이 되면 정화효율이 크게 개선되지 않으므로 효율성을 고려하여 인공습지의 길이는 100m 이내로 조성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다만, 지역 여건상 정화효율을 높여야만 하는 경우에는 길이를 조절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다. 2, 3, 5, 6시험포 운영결과 침전지 또는 인공습지만으로 조성하는 것 보다 인공습지와 침전지를 조합하는 것이 효율이 높고, 조합하는 경우 침전지+인공습지의 순으로 조성하는 것이 정화효율이 높았다. 4시험포 운영결과 지표흐름 인공습지만으로 구성하는 것 보다 지표흐름 인공습지와 지하흐름 인공습지를 조합한 형태가 인공습지의 장기 운영에 따른 TP와 COD 처리효율 저하현상을 보완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도입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