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자연주의 서정시 고찰-아르노 홀츠의 「서정시의 혁명」과 『판타주스』를 중심으로

        함경희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9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8 No.-

        In dieser Arbeit werden die modernen Formen in der deutschen Lyrik und deren Theorie mit Schwerpunkt auf Arno Holzes Revolution der Lyrik (1899) und Phantasus (1898/1899) untersucht. Bisher wurde die naturalistische Lyrik von der Diskussion fast ausgeschlossen, da sich die Aufmerksamkeit der naturalistischen Dichter auf bestimmte Genres wie Prosa und Drama konzentrierte. Holz macht jedoch den ersten Schritt zur Modernität in der Lyriktheorie, in der die neue Form theoretisch unterstützt wird, und in der Reihe von Gedichten, die sie verkörpern. Holz hebt konventionelle Formen wie Reim, Metrum und Strophe auf, legt eine neue vor, die akustische, inhaltliche und typographische Korrespondenz zeigt. Er zeigt eine bahnbrechende Anerkennung der Sprachreform in der ersten Hälfte des 20. Jahrhunderts, indem er auf den neuen Gebrauch der Sprache als Material, also Ausdrucksmittel für die neue Form, besteht. Trotzdem versucht Holz in der naturalistischen Lyrik und deren Theorie, die Natur durch Kunst zu reproduzieren. Dadurch bleibt Holzes Lyrik als die realistische Erfahrung des lyrischen Ich bestehen. Aber die Auflösung des lyrischen Ich, also die Abweichung von der realistischen Erfahrungsliteratur wie bei Stefan George oder Rainer Maria Rilke, zeigt ein anderes Merkmal der modernen Lyrik. 본 논문은 아르노 홀츠의 「서정시의 혁명」과 『판타주스』를 중심으로 독일자연주의 서정시의 형식을 고찰한다. 지금까지 이 장르는 자연주의자들의 관심이 산문이나 드라마에 집중되어 있었던 만큼이나 논의 대상에서 거의 제외되었다. 그러나 홀츠는 새로운 형식을 모색하는 서정시론과 그것을 구현한 연작시집을 통해 현대 서정시로 첫 걸음을 내딛는다. 홀츠는 운이나 운율, 연과 같은 기존 형식을 지양하고, 청각적, 시각적, 내용적 일치를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을 제시한다. 그는 나아가 이러한 형식을 구현하기 위해 표현수단으로서 언어의 새로운 사용법을 주장함으로써 이후 20세기 전반기의 유럽 문학사조에 나타나는 언어 개혁에 대한 선구적인 인식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을 통해 자연을 재현하려는 홀츠의 서정시는 서정적 자아의 사실적인 체험의 재현으로 나타남으로써, 현대 서정시의 또 다른 면모인 서정적자아의 해체, 즉 사실주의적 체험 문학으로부터의 이탈과 대비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내과 환자의 섭취량/배설량 측정법 비교 연구

        함경희,윤혜영,박소영,김은성,박근애,조세현,김민지,추성혜,김정연,이재길,이향규 병원간호사회 2016 임상간호연구 Vol.2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luid intake and output (I&O) measurement methods in order to figure out more effective and easier method for medical patients Methods: 71 hospitalized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liquid only (LO)” method, all amount of water was summed up including any liquid types of food and IV fluids. In “whole food(WF) intake,” all liquid and solid food intake and IV fluids were added up. Results: The average amount of fluid intake was 2105.29ml for LOmethod and 2523.54ml forWFmethod. The average amount of fluid output was 2148.98ml. The intra-class correlations (ICC) between the intake and output measures by the two different methods was 0.803 and 0.826,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ces of intake/output and body weight change in two different methods was r=.347 (p=.003), and r=.376 (p=.001),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oth LOand WF method may be useful in monitoring patients’ fluid balance. Given the comparability of using LOoverWF, it is suggested that measuring just liquid only intake as the indicator of patient’s intake is applicable in clinical setting.

      • KCI등재

        첨단 과학 시대의 문학 - 율리 체의 소설 『쉴프』에 나타난 인식 및 도덕 담론 고찰 (2)

        함경희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2 독일언어문학 Vol.- No.97

        본 논문은 율리 체의 소설 『쉴프』(2007)에 나타나는 인과성과 우연의 문제를 주체의 행동 및 책임감과 결부되는 도덕 담론의 층위에서 살펴본다. 소설 『쉴프』에서는 범인과 범행 동기 일부가 미리 밝혀지고, 이로써 죄와 책임의 문제가 보다 중심에 놓이게 된다. 이미 소설의 초반부에 언급되는 타임머신 살인 사건이나 의료 스캔들 역시 도덕 담론을 부각시킨다. 소설의 결말부에 이르러 보다 깊은 사건의 진상이 드러나며, 이러한 결말은 한편으로는 기존 추리 소설과 마찬가지로 사건과 관련한 인식론적인 의문을 해소시킨다. 그런데 이 소설의 결말부는 기존 추리 소설과 달리 우연의 개입과 인과성의 파기를 드러냄으로써 법적 그리고 도덕적 질문을 남긴다. 이와 같이 『쉴프』는 포스트모던 추리 소설로서 소설 전반에 걸쳐 도덕 담론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으로써 근대 추리 소설과 차이를 드러낸다. SF 장르의 단골 소재로 등장하는 양자 물리학은 이 소설에서 사건 한정적 인식 담론을 탈피하여 세계 해명으로서 인식 담론의 확장을 보여주며, 명확한 선악 개념에 머물던 추리 소설 장르는 오히려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도덕 담론을 부각한다. 『쉴프』는 신뢰를 상실한 종교적 진리 대신 오늘날 어떻게 과학이 ‘신이 없는 세계’를 설명하며, 도덕과 윤리가 ‘신에 대한 믿음’ 없이 성찰 가능한가를 드러낸다.

      • KCI등재

        피스터의 드라마 이론에 기초한 의사소통 장애로서 대화의 독백화 고찰 - 게오르크 카이저의 『아침부터 밤까지』를 중심으로

        함경희 한국독어독문학회 2018 獨逸文學 Vol.59 No.4

        In dieser Arbeit wird die Kommunikationsstörung innerhalb des inneren Kommunikationssystems in Georg Kaisers expressionistischem Bühnenstück Von morgens bis mitternachts (1912) untersucht. Dabei wird auch betrachtet, welche Bedeutung diese Störung, die zwischen den Charakteren hervorgerufen ist, für das äußere Kommunikationssystem mit dem Publikum hat. In dieser Studie wird die Monologisierung des Dialogs als Kommunikationsstörung anhand der Dramentheorie von Manfred Pfister analysiert. Kaiser versucht durch die Kommunikationsstörung zu zeigen, dass die Prämisse des Kassierers durch das dominierende Wertesystem der Gesellschaft gebildet wird. Die Kommunikationsstörung bezieht sich aber nicht nur auf die persönliche Ebene, sondern auch auf die soziale Dimension. Wenn die Prämisse der Gesellschaft nicht richtig ist, dann wird die Prämisse des Kassierers in die falsche Richtung gesteuert. Wegen der falschen Prämisse endet sein Versuch natürlich in einem Misserfolg. Am Ende erkennt der Kassierer schließlich, dass seine Prämisse falsch ist, und wird als neuer Mensch geboren. Sind Menschen aufgeklärt, kann ein sozialer Wandel vorangetrieben werden, stellen Expressionisten fest. Die Erneuerung des Menschen bedeutet, dass die Menschen von dem Gesellschaftssystem unabhängig werden. Mit diesem Ansatz wird hier gefragt, ob ein neuer Mensch einen solchen Beitrag leisten kann, eine Gesellschaft neu zu führen. Im untersuchten Text versucht der Kassierer neue Beziehungen zu anderen aufzubauen, um die Gesellschaft zu verändern. Aber der Kassierer trifft auf eine solide und feste Wand der existierenden Gesellschaft. Was soll er nun machen? Das ist die Frage, die Kaiser dem Publikum stellt. Dasjenige, das Kaiser durch seine Werke offenbaren will, ist mit der zeitgenössischen Realität und der Möglichkeit der Überwindung verbunden. 본 연구는 게오르크 카이저의 표현주의 희곡 『아침부터 밤까지』(1912)를 중심으로 등장인물들 사이에 일어나는 의사소통 장애와 그것이 관객에게 전하는 의미를 고찰한다. 이 드라마에서 의사소통 장애는 대화의 독백화로 나타나며, 새로운 인생을 찾으려는 주인공의 죽음을 초래한다. 주인공인 은행원의 시도 및 그의 죽음은 표현주의 주제인 인간 개혁과 긴밀히 관련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 작품에 나타나는 의사소통 장애는 사회의 문제점을 부각하여 그 사회와 결별해야 하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차원과 연관된다. 의사소통 장애는 은행원이 인생을 새롭게 시작하기 위해 근간으로 삼은 전제가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체계에 따라 형성된 것임을 드러낸다. 따라서 그의 실패는 사회의 전제가 잘못되었음을 증명한다. 이로써 의사소통 장애는 주인공을 기존 연구와 다르게 평가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주인공의 죽음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만프레트 피스터가 제시한 드라마 이론에 기초하여 희곡의 언어적인 의사소통을 분석할 기준을 제시하고, 작품에 나타난 의사소통 장애로서 대화의 독백화를 규명한다. 이를 통해 은행원이 새 출발을 감행하는 데 바탕으로 삼은 전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시도 및 은행원의 죽음을 살펴봄으로써, 작가가 표현주의 주제와 관련하여 궁극적으로 관객에게 전하는 의미를 고찰한다.

      • KCI등재

        간접적 폭력과 희극 - 게오르크 카이저의 『나치당. 두 작품』을 중심으로

        함경희 한국브레히트학회 2023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Vol.- No.49

        Dieser Beitrag untersucht Georg Kaisers während seines Exils in der Schweiz entstandene Dramensammlung NSDAP unter dem Gesichtspunkt des ästhetischen Widerstands gegen die strukturelle und kulturelle Gewalt. Im Rahmen dieser Betrachtung werden ästhetische Veränderungen und ihre Implikationen in den Komödien untersucht. Klawitter und Der englische Sender, veröffentlicht in NSDAP, spielen in Deutschland zur Zeit von Hitlers Herrschaft. Durch die Analyse der Werke wurden die folgenden Schlussfolgerungen gezogen. Kaiser dekontextualisiert und rekontextualisiert die Nazi-Ideologie, dargestellt durch „Blut und Boden“, und legt ihre Realität offen. Durch diese Enthüllung stellt der Autor Versuche vor, wie man unermüdlich über die strukturelle und kulturelle Gewalt der Nazis lacht und nach einer Möglichkeit sucht, sie zu überwinden. Die in den Werken offenbarten komplexen Aspekte der NS-Gewalt lassen sich in ihrer Spezifität und Universalität durch Galtungs Konzept der indirekten Gewalt besser erklären. Auf diese Weise kann die Untersuchung von Kaisers Stücken aus der Perspektive eines ästhetischen Widerstand gegen die direkte und indirekte Gewalt der Nazis dazu beitragen, bestehende Studien zu erweitern, die sich auf historische Spezifika konzentriert haben. Darüber hinaus lässt uns die Betrachtung der arischen Identität und des Antisemitismus der Nazis in der Vergangenheit aus der Perspektive kultureller Gewalt, die strukturelle Gewalt und physische Gewalt rechtfertigt, die Gefahr erkennen und kritisch reflektieren, die sich heute mit demselben Mechanismus wiederholen kann. Eine solche Reflexion kann zum Frieden in unserer Zeit beitragen, in der wir mit dem Problem des sogenannten “islamischen” Terrorismus oder des “asiatischen Hasses” konfrontiert sind. 본 논문은 표현주의를 대표하는 극작가로 평가받는 게오르크 카이저가 스위스 망명 당시 창작한 작품집 『나치당』을 구조적, 문화적 폭력에 대항하는 미학적인 대응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며, 이의 일환으로 작품에 나타나는 희극미학적인 변화 및 그 함의를 살펴본다. 『나치당』에 실린『클라비터』와 『영국 방송』은 히틀러 치하의 독일을 배경으로 하는 희극이다. 본 논문은 두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카이저가 ‘피와 땅’으로 대변되는 나치 이데올로기를 탈맥락화하고 재맥락화하여 그 실체를 밝힘으로써 나치의 구조적, 문화적 폭력에 맞서 지치지 않고 웃으며 그 극복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두 작품에서 드러난 나치 폭력의 복합적인 양상은 요한 갈퉁이 제시한 간접적 폭력 개념을 통해 그 특수성과 보편성이 보다 적절히 해명될 수 있다. 이처럼 나치의 직, 간접적인 폭력에 저항하는 미학적인 대응이라는 관점에서 카이저 희곡을 연구하는 것은 역사적 특수성에 집중하던 기존 연구를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과거 나치의 아리안족 정체성과 반유대주의를 구조적 폭력 및 직접적 폭력을 정당화하는 문화적 폭력의 관점으로 고찰하는 것은 오늘날에도 동일한 기제로 반복될 수 있는 위험을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게 함으로써 소위 ‘이슬람’ 테러로 규정하고 대응하는 문제나 ‘아시안 헤이트’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우리 시대에 평화를 위하여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카이저의 『구원받은 알키비아데스』와 브레히트의 「부상당한 소크라테스」에 나타난 기법 고찰 - 생소화와 게스투스를 중심으로

        함경희 ( Hahm Kyoung He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7 獨逸文學 Vol.58 No.1

        이 연구는 게오르크 카이저의 희곡 『구원받은 알키비아데스 Der gerettete Alkibiades』 (1919)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단편소설 「부상당한 소크라테스 Der verwundete Sokrates」(1938)에 나타나는 기법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카이저의 『구원받은 알키비아데스』에 드러나는 인물과 사건의 생소화, 언술과 신체표현의 대립은 사건에 대한 거리나 성찰을 가능하게 하는 서사극의 기법을 선취했다. 브레히트는 「부상당한 소크라테스」에서 인물과 사건의 생소화를 유지하면서, 게스투스와 비견될 수 있는 기법인 자세와 외부시각을 통해 사건에 대한 거리나 성찰을 추동함으로써 서사극과 동일한 목표를 견지했다. 그러나 카이저의 희곡은 개별 장면들이 결말과 개연적이고 인과적인 관계를 맺는 목적성을 지양한다. 이것은 관객에게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려는 작가의 궁극적인 의도, 즉 사고유희를 잠재적으로 실현한다. 반면 브레히트의 단편소설은 변증법적으로 목적성을 유지함으로써, 교훈을 전한다. 이것은 문학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작가의 의도를 실현한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까닭은 작가의 세계관뿐만 아니라 작가가 처한 시대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In dieser vorgelegten Arbeit wird versucht, die im Drama Der gerettete Alkibiades und in der Erzahlung Der verwundete Sokrates angewendete Technik zu untersuchen. Brecht hat das Drama Der gerettete Alkibiades in die Erzahlung Der verwundete Sokrates umgearbeitet und Kaiser gewidmet. In dieser Untersuchung werden die beiden Texte im Bezug auf die Verfremdung und Gestus, die als zentrale Begriffe des epischen Theaters verstanden werden, analysiert. Die beiden Werke haben im Zusammenhang mit den Techniken gewiße Ahnlichkeiten, und zwar Verfremdung und gegensatzliche Seiten in der Situation und Figuren. Im Fall der gegensatzlichen Seiten wird bei Kaiser Gegensatz von Rede und Korpersprache konkretisiert, und bei Brecht Haltung und Außenschau. Der Unterschied zwischen den beiden Werken liegt zwar in der Finalitat - kausalem Zusammenhang mit dem Ende. Ob diese Kausalitat erhalten wird, kommt es auf die Differenz der Zeitumstande an. Bei Kaiser steht die Aufhebung der Finalitat gegenuber der dialektischen Finalitat bei Brec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