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교육의 효과 연구

        한혜민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University instructors of Korean Language in th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environment have common difficulties, such as lack of Korean exposure, insufficient time for class, practice, and activities, and level difference of Korean learners. However, ways to overcome these problems have not been researched. Hence, this study suggests applying a flipped learning Korean language classroom for Korean education at the universities in KFL environmen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pplying flipped learning in the classroom is effective in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encouraging in-depth study, and stimulating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and the teacher. These studies imply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use face-to-face class time more efficiently, reduce the level gaps between learners, and conduct more activities when applying flipped learning in the Korean classroom at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lipped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solve the problems for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 and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pplying flipped learning approach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o examine how to acquire Korean language through flipped learning, this study examines several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ories; Focus on Form, Input Hypothesis, Processability Theory and Sociocultural Theory. In the pre-class stage, the focus on form approach is applied, such as consciousness raising tasks, input flood, input enhancement, and input process instructions. During class, task-based activities can be used to enhanc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s. A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affective variables and the flipped learning approach, self-efficacy of learners can be increased in the pre-class stage because they can apply this acquired knowledge as they participate in classroom activities. This maintains motivation, and decreases foreign language anxiety. Therefore, if affective variables of learners who were taught by the flipped learning approach would show meaningful changes, then it could mean that flipped learning was effectiv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s of universities in the KFL environment. As a pilot study, the flipped learning approach was applied to a ‘Korean through Media’ course at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during semester 1, 2015/16. The subject was developed according to ADDIE model, and the course evaluation showed that there was an energet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s, and students had more chances to speak Korean and conduct activities in class. However, some students pointed out pre-class workload was too heavy because students have additional assignments after the class. Reflecting the students’ feedback,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2 years and 7 months (seven semesters), to three courses; ‘Intermediate Korean I’, ‘Intermediate Korean II’, and ‘Korean through Media’ until the problems were solved. The acti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llowing the process; selecting a focus, identifying research questions, taking informed action, evaluation. recognizing the problem-plan-action-evaluation and introspection. To determine how the flipped learning approach would effect affective variations, surveys were conducted three times 44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students who take ‘Intermediate Korean I’ and ‘Korean through Media’ during semester 1, 2017/18. An online survey was distributed with 78 questions; 10 for personal information, 8 for self-efficacy, 4 for situational interest, 15 fo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4 for endogenous instrumentality, 4 for exogenous instrumentality, and 33 for foreign language anxiety. The result shows that the only significant variable is self-efficacy and other variabl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investigation showed that situational interest, goal mastery, and foreign language anxiety were effectiv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lipped learning approach can be applied to the places which have similar difficulties in the KF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flipp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guideline and introduce for teachers at the KFL universities. This study is unique because it shows how to develop Korean language courses by applying a flipped learning approach and tries to clarify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through long-term experimental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more foreign universities can apply flipped learning approach to Korean language courses for successful Korean language acquisition. I hope this study can be a baseline data for those who have difficulties teaching Korean language at foreign universities.

      • 원어민 영어 교사를 위한 e-러닝 한국어 학습 방안 연구

        한혜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e-learning Korean Language for Native English Teachers Haemin Han Major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isity of Foreign Studies Native English teachers have many problems such as culture shock and lack of understand between Korean and English because it is not duty to learn Korean and Korean culture. Also, If they want to learn Korean but they don't have time for learning Korean at school due to their work schedule and work environment. Therefore, if there is e-learning Korean Language program for native English teachers then it can reduce culture shock and help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deed, native English teacher can teach English better based on understanding culture and language differenc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This study has purpose to show the way of e-learning Korean language which is free from time and place for native English teachers. In chapter 1, this study expressed purpose of study and analyzed precedent studies such as Korean education studies for native English teachers and e-learning Korean language. In chapter 2, this study suggested needs of e-learning Korean language for native English teachers, e-learning which adjusted constructionism and ADDIE model for e-learning as theory background. In chapter 3, this study looked into needs analysis result of native English teachers and prepared e-learning Korean language contents list. In chapter 4, this study inspected e-learning design facts and characters, selected and arranged e-learning Korean language contents through results of needs analysis and research materials analysis. Also, this study showed e-learning Korean language model for native English teachers. As mentioned above, native English teachers need to learn basic level Korean to communicate in casual lif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e-learning Korean language program. This study regarded it as importance to show detailed way to teaching Korean to native English teachers through e-learning. Korean education for native English teachers is not only means to live better life in Korea but also to teach English better based on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for the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 discuss e-learning Korean language for native speakers at government level. It also will be helpful to use talented people in Korean education field. This study hopes to be a foundation stone to develop e-learning Korean language program for native English teachers.

      • 초음파 및 키넥트 센서 융합기반의 실내 환경 모델링

        한혜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for building an occupancy grid map using fusion of sonar and Kinect sensors. It is very important for a mobile robot to recognize and construct its surrounding environments for the navigation. The sonar sensors have two major problems that reduce quality and accuracy of grid maps. First is the sonar sensors measure inaccurate data at oblique surface due to wide beam width of sonar. Second is poor directional resolution of sensor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the data association between accumulated data. But sonar sensors are limited to acquire accurate and high quality map, so we use the Kinect sensors. Kinect sensors can be obtained a color image and a depth image, but cannot detect transparent objects like glass. 3D range data of Kinect are transformed to 2D range data to build grid maps. In addition, 3D range and color information of Kinect sensors are used to detect small obstacles placed on the floor. In the image, the pixels corresponding to small objects are extracted by the HSV histogram, and its pose information in 3-D space is computed by the 3-D range data. The detected objects are represented on the grid map. The fusion of the sonar and Kinect sensors can complement each sensor’s weaknesses.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a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s.

      • 근·현대 종이기록물에 사용된 종이 연구

        한혜민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종이는 용도와 편리성을 위하여 재료 및 제작 기술이 변천해 왔으며 그에 따른 생산품의 명칭도 다양하게 변화해 왔다. 근·현대 종이기록물에는 생산방식 변천에 따른 다양한 지종이 사용되었으나 지금까지는 이를 구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용어와 분류체계가 규정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기록물 소장처에서는 기록관리 공공표준 NAK 36:2020(v.1.0)등에 의거한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록물을 관리하고 있다. 다만 기록물의 재질을 구분하는 용어들은 일부 특수지를 제외하면 개념이 모호해 실무에서 용어의 오해와오용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록물 재질을 구분하는 용어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하는 용어들의 개념을 밝히고,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먼저, 기록관리 공공표준에 의거한 각 용어에 대하여 표준국어대사전과 전문사전상의 정보를 취합하여 공통의 정의를 밝히고, 『朝鮮貿易要覽』,『朝鮮總督府中央試驗所報告』 및 단행본과 여러 연구 자료를 통해 기록물에 사용된 용어에 대한 시기별 개념 변화 과정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와 같은 용어의 오해와 개념의 혼란은 수초지의 명칭을 답습하여 유사한 형태의 펄프지에 사용하거나, 기존에 사용하던 용어의 범위가 확장 혹은 축소되며 사전정의와 실무 범위가 일치하지 않게 되어 발생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정리된 개념을 바탕으로 대체용어와 대체안을 제언하여 용어 사용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했다.첫째, 원료배합에 따른 재질 구분 용어인 백상지와 갱지에 대하여 상질지, 하질지라는 대체용어를 제시해 상하위 개념에 중복된 용어 사용을 구분하고 개념에 부합하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질지는 일본공업규격(JIS)를 근거로 범위를 재설정하였으며 하질지는 용도와 원료배합에 따른 용어 사용의 구분을 제안하였다.둘째, 평량에 따른 재질 구분 용어인 박엽지는 얇은 종이를 총칭하는 목적의 박엽지에 대해 경량지를 대체용어로 제시하여 상하위 개념에 중복된용어 사용을 구분하였다. 미농지가 관습적으로 얇은 종이를 이르는 용어로 사용되며 실무에서 박엽지와 혼용되고 있는 오류는 미농지를 화지의 명칭으로 제한하여 오용을 방지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셋째, 수초지에 해당하는 한지와 미농지는 특히, 일제강점기 생산품의 경우 두 지종 간 원료 및 형태가 유사하기 때문에 특정하여 구분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현재의 정보만으로 한지와 미농지를 구분하는 것은 용어 오사용의 소지가 있어 두 지종을 구분하지 않고 수초지로 분류할 것을 제안하였다. 미농지와 한지에 관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것이다.넷째, 특수지에 해당하는 감광지, 감압지, 감열지, 트레이싱지는 각 프로세스에 따른 용어가 세부적으로 구분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감광지를 프로세스에 따라 청사진과 백사진으로 구분할 것을제안하였으며 감열지의 경우 서구권의 Thermal printing 체계를 제시하여 용어 재설정과 체계 보완에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문 Ⅴ장에서는 앞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종이 분류체계를 제안하고,본문 Ⅱ,Ⅲ 장을 통해 수집한 종이 명칭을 배치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내용이 기록물 보존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materials and production techniques used to make paper have changed over the years, and the names of the products have varied accordingly. Various paper types have been utiliz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paper records due to changes in production methods. However, specific terms and classification systems to distinguish them have been lacking until now. For this reason, archives are managing records using terms based on the public standard for records management, NAK 36:2020 (v1.0). However, the terms to classify the materials of records are ambiguous except for some specialized areas, leading to misunderstanding and misuse of terms in practice. In this paper, our objective is to clarify the concepts of the terms currently employed to classify record materials and to establish fundamental materials that can be systematically utilized, thus proposing solutions to the identified problems. Initially, we collected information from standard Korean dictionaries and specialized dictionaries for each term specified in the public standard for archives management, aiming to ascertain common definitions. Subsequently, we provided a summary of the evolving concepts over time for the terms employed in archives. This was achieved through an examination of 『朝鮮貿易要覽』, 『朝鮮總督府施政年報』, and various monographs. Through this investigation, it was identified that existing misunderstandings and conceptual confusion in terminology arose from inheriting the name of the hand made paper and its application to comparable types of pulp paper. This confusion could also be attributed to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the scope of previously used terminology and the mismatch between the dictionary defini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To address these issues, we attempted to rectify the problems in term usage by proposing alternative terms. First, alternative terms were suggested for fine paper and groundwood paper, material classification terms based on raw material composition, including wood free paper and low quality paper. This was aimed at ensuring that the terms align with the underlying concept. The scope of medium quality paper has been reset based on the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JIS), and the need to categorize low quality paper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use and raw material composition. second, lightweight paper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erm for thin paper, a material classification term based on weight. This proposal aims to differentiate the use of overlapping terms in the upper and lower concepts. The common practice of using minogami as a term for thin paper, leading to confusion, should be addressed by limiting the use of minogami to the designation of washi. Third, it was concluded that Hanji and minogami, both corresponding to hand made paper, cannot be precisely differentiated, particularly in products produc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due to similar raw materials and forms. Therefore, distinguishing between hanji and minogami based on current information could be misleading. It is suggested that both species be classified as hand made paper without differentiation.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ogami and hanji in the future. Fourth, in the case of sensitizing paper, a specialty paper, the detailed distinction between terminologies such as pressure-sensitive paper, thermal paper, and tracing paper tends to be overlooked according to each process. It is proposed to categorize sensitizing paper into blueprint and whiteprint based on the process. Additionally, for thermal paper, the Western thermal printing system is introduced to establish the groundwork for terminology redefinition. Chapter V, introduces a paper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outcome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paper names compiled in Chapters II and III are structured and organized. We anticipate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s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archives.

      • 손해보험사의 지급준비금 추정과 변동성에 대한 연구

        한혜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손해보험사의 지급보험금을 토대로 미래에 발생될 사고에 대해 지급될 보험금을 추정하여 적립할 지급준비금을 추정하는 방법과 추정된 지급준비금에 대한 변동성에 대한 연구를 담고 있다. 기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다리법(Chain Ladder Method)에 대해 알아 보고 1993년 Thomas Mack 의 'Measuring the Variability of Chain Ladder Reserve Estimates'를 참고하여 추정치의 신뢰구간을 구하여 지급준비금 적립액의 최고 ⋅ 최저치를 구하였다. CLM과 Thomas Mack의 SCLM(Stochastic Chain Ladder Method)을 이용하여 적립한 지급준비금의 적정성과 불확실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지급준비금의 신뢰구간을 추정하여 Thomas Mack의 SCLM(Stochastic Chain Ladder Method)와 비교해 보았다. This paper has proposed chain ladder method to estimate loss reserve. Loss reserve is to be accumulated by debt about additionally payable insurace payment, which is not completely payable in a seeling day even if the insurance accident happend. The chain ladder method is probably the most popular method for estimating outstanding claims reserves. The thesis, 'Measuring the Variability of Chain Ladder Resere Estimates' is consulted to estimate an upper and lower limit for the reserve with an adequate level of confidence. Thie study suggests a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uncertainties regarding the adequacy of loss reserves and compares the results of applying SCLM and simulation method.

      •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정규직 노조의 대응 : 영향요인 및 대응 결과의 검증을 중심으로

        한혜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정규직 노동조합이 어떠한 상황에 비정규직 노동자를 포용하는지 살펴본다. 둘째, 정규직 노동조합이 비정규직을 포용하면 비정규직 근로조건이 어떻게 개선되는지 검정한다. 전자에 대한 설명에 많은 지면이 사용되었지만 후자를 검정하는 것도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정규직 노동조합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대할 때 ‘경제적 합리성’과 ‘규범적 합리성’ 사이에서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경제적 합리성’은 조합원들의 경제적 이익만 추구하는 행동동기를 의미한다. ‘규범적 합리성’은 비정규직까지 포함된 노동자 전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동동기를 지칭한다. 따라서 경제적 합리성이 강한 노동조합은 조합원에게 유리할 때만 비정규직을 포용하는 반면, 규범적 합리성이 강한 노동조합은 항상 비정규직을 포용하게 된다. 이때 본 연구는 정규직 노조가 비정규직에 포용적인 선택을 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노동조합 외부환경요인의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해보았다. 노동조합을 둘러싼 외부환경은 크게 사업체 환경과 노동운동부문의 제도적 환경으로 나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외부 환경이 어떻게 구성되느냐에 따라 노동조합 행동을 지배하는 합리적 행동동기가 다르게 발현되며, 그에 따라 노동조합이 비정규직을 대하는 방식이 달라질 것이란 가설을 제시하였다. 사업체 패널 분석 결과, 노동조합의 외부환경인 사업체 환경과 노동운동부문의 제도적 환경이 모두 정규직 노동조합의 비정규직 대응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되었다. 사업체 환경 중에서는 ‘비정규 노동자 비중’, ‘사업체의 재무적 성과’, ‘노사관계의 협력적 성격’이 정규직 노조의 비정규직 대응에 영향을 미쳤다. 노동운동부문의 제도적 환경 중에서는 ‘소속 상급단체’와 ‘교섭구조’가 정규직 노동조합의 비정규직 대응을 좌우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노사관계론의 접근방식과 사회운동이론을 지지하는 증거가 되며, 노조의 연대를 유지하기 위해 참고할 지침이 된다. 또한 정규직 노조가 비정규직에게 문호를 개방하여 노조가입자격을 수여할 때 ‘비정규직 상대임금’은 변화하지 않지만, ‘정규직 변환된 기간제 일자리 수’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비정규직을 포용하는 노동조합이 주로 비정규직 고용불안을 개선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양적데이터를 통해 노동조합 외부환경이 노동조합의 비정규직 대응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분석하였다. 이로써 본 논문은 정규직 노동조합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었고, 이질적인 노동부문 간의 연대를 유지하기 위한 지침도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정규직 노조의 비정규직 포용이 실제로 비정규직 근로조건을 개선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노동조합이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체가 된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 반복 행위의 흔적으로 나타나는 공간감

        한혜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races made by successively repetitive actions are like the record of time. The record is the mark of repeated and continuous motions and reveals time. Semitransparent material which impresses dim and shiny makes us imagine something beyond as well as it brings about mysterious and dreamy feelings. My work is based on the interest about sensitive and smooth feeling. I express the traces made by the gestures of continuously tearing and pasting changeable semitransparent paper among various materials through my works. The materialistic characteristic of semitransparent paper like this motivated me to become curious about it and to get myself absorbed in it. In addition, the delicate motions created from the piece of paper piled up another piece of paper and the extended space by the linked motions of them also encouraged me to concentrate on this work. The piling up of sides can give a dynamic characteristic and continuance to a space through proper changes of light and the size in a unit. This not only expresses the space which can easily become monotonous and boring with various feelings of motion, but also creates the effect of coincidence which is not planned beforehand. Also, when a unit is overlapped with another, the difference of whether the shapes of what comes first and what comes later are clearly visible or not results in the effect of transparency. The work begins by leaving all actions to contingency and tearing paper. The torn paper like this is connected again. This act is not to create something. It goes on with no purpose or intention, because it has no particular shape. The control of consciousness intervenes between the actions, which harmonize with the accidental effect and are expressed in the work. It creates the feeling of unlimited extension. The moments of the action progressed like this remain as traces and become visibl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overlapped piece of paper with another piece seen from the result of the action cannot be divided from each other, so they escape from the concept of successive time and keep each moment. The work consisting of subtle variables transcends the physical world and creates the effect of dim rays by unphysical light. It makes it possible to experience the meditative space. Likewise, when one does the same action while concentrating on every moment, one can feel continuous present, that is, eternity, through the moments of connecting pieces of paper.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my work is made up of a series of actions performed during the time, and the action, time and space come to have ‘simultaneity.’ 반복적인 행위의 연속으로 인한 흔적들은 시간의 기록과도 같은 것이다. 그 기록은 반복되고 연속적인 행위의 궤적으로 시간성을 드러낸다. 반투명한 상태는 투명함과 불투명함의 중간적 상태로 경계에 있어 모호한 성격을 가진다. 은은하고 빛이 나는 느낌을 주는 반투명한 소재는 그것 너머의 어떤 것을 상상하게 하게 하며, 이것은 신비하고 몽환적인 느낌을 가져다준다. 이와 같이 섬세하고 부드러운 느낌에 대한 관심이 나의 작업의 근간을 이룬다. 나는 반투명한 성질을 가진 여러 가지 소재 중에서 많은 가변성을 지니고 있는 반투명한 종이를 사용하여, 계속해서 찢고 붙여나가는 손놀림에 의해 드러나는 흔적들을 작품으로 표현한다. 작업의 재료로 사용되는 반투명한 종이가 갖는 신비한 소재적 특성은 내가 그것에 호기심을 느끼고 몰입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하나의 종이 조각과 또 다른 종이 조각의 중첩으로 인해 나타나는 섬세한 움직임, 그 움직임이 연결되어 공간이 확장이 되어가는 것이 작업에 열중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 면의 중첩은 빛과 단위형의 크기의 적절한 변화로 공간에 운동성, 연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것은 단조롭고 지루하기 쉬운 공간을 다양한 운동감으로 나타낼 뿐 아니라 사전에 계획되지 않은 우연의 효과를 보이기도 한다. 또한 한 단위가 다른 것과 겹쳐졌을 때, 그 우선된 것과 나중된 것의 형태가 뚜렷하게 보이거나, 불분명하게 보이는 것의 차이에 따라 투명성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작업은 모든 행위를 우연성에 내맡긴 채 종이를 찢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렇게 찢어진 종이 조각들을 다시 이어 붙이면서 계속 연결해 나간다. 이때의 행위는 무엇인가를 만들어 내기 위함이 아니다. 그것은 어떤 특정한 형상을 갖지 않기 때문에 무목적적이며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된다. 행위에는 의식의 통제력이 개입되며 이것은 우연적 효과와 조화를 이루면서 작품에 나타난다. 이것은 무한히 확장하는 듯 한 느낌을 갖게 한다. 이렇게 진행된 그 행위의 순간들이 흔적으로 남아 가시적으로 보여 지게 된다. 행위의 결과물에서 보여지는 종이 조각과 다른 종이 조각의 중첩은 시작과 끝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속적인 시간 개념에서 벗어나 순간순간을 담아낼 수 있게 된다. 미묘한 변이들로 이루어진 작품은 물리적 세계의 차원을 넘어서 비물질화 된 빛으로 인한 은은한 광선의 효과를 감지하게 한다. 이것은 명상적 공간을 체험하게 한다. 이처럼 매순간 집중하여 같은 행위를 하다보면 종이 조각을 연결하는 그 순간을 통해 계속되는 현재, 즉 영원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특징들로 인해 나의 작업은 그 시간동안 행해지는 일련의 동작으로 이루어져 행위·시간·공간은 ‘동시성’을 가지게 된다.

      • 제빵 관련 쌀의 이화학적 특성과 제빵성 검정 방법에 관한 연구

        한혜민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내에서 가공용으로 육종된 12 품종 쌀의 제빵과 관련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쌀의 제빵 적성을 신속히 판정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쌀가루는 건식 제분하였으며, 제빵 적성은 빵의 비용적과 속의 단단한 정도로 평가하였다. 쌀알의 단단함에 따라서 제분된 가루의 손상전분 함량과 수분 흡수 지수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가루의 회분, 지방 함량 및 색도 간의 유의적(p<0.01) 상관관계는 도정 특성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제빵성이 우수한 Goamibyeo는 밀가루와 가장 유사한 호화 패턴을 나타내었고, Milyang260은 호화 breakdown이 높고, setback이 낮았다. 손상전분의 함량이 적으면서 아밀로오스 함량이 20% 이상인 4 품종(Goamibyeo, Milyang260, Suweon517, Milyang261)의 쌀가루에서만 겔이 형성되었다. 겔이 형성되는 4 품종과 형성되지 않는 품종(Manmibyeo, Hanareumbyeo, Jinsumi, Seolgaeng)으로 물 첨가량을 조절하여 최대 비용적의 빵을 제조하면, 겔이 형성되지 않는 품종은 비용적이 크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빵의 모양을 유지하지 못하였으나, 겔이 형성되는 품종은 비용적이 크면서 24시간이 지나도 빵의 모양이 유지되었다. 따라서 쌀 품종의 제빵 가능성을 판별할 수 있는 일차 특성은 쌀의 아밀로오스 함량과 가루의 겔 형성이었다. 제빵이 가능하였던 품종들의 비용적은 호화 setback, 겔의 경도, 탄성, 씹힘성, 검성, 응집성과 유의적(p<0.01) 상관성이 있었고, 제빵 직후 및 24시간 후 빵 속 굳기는 아밀로오스 함량(p<0.01)과 호화 setback(p<0.01), 겔의 경도(p<0.01) 및 탄성(p<0.05)과 상관성이 있었다. 특히 겔의 부서짐성(p<0.05), 탄성(p<0.01), 씹힘성(p<0.05)은 제빵 직후 빵 조직의 단단함에 대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므로 쌀가루 겔의 물성은 빵의 품질을 판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였다. 따라서 제빵성이 우수한 쌀은 아밀로오스 함량이 20∼25% 범위이면서, 단단하지만 부서짐성이 없고 탄성이 높은 겔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쌀 품종의 이화학적 특성 가운데 아밀로오스 함량 측정과 가루의 호화 RVA 특성 및 겔의 형성과 겔 물성을 분석한다면 많은 시료가 필요한 실험 제빵을 하지 않아도 쌀 품종의 제빵 적성을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12 rice varieties were analyzed, and a rapid method to determine the baking properties of rice was studied. The rice flour was dry milled and the baking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the specific volume(SV) and the bread firmness. The grain hardness was significantly(p<0.01) correlated with damaged starch content and the water absorption index of rice flou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rapid visco analyzer(RVA) showed that Goamibyeo had the most similar RVA pattern to wheat flour, while Milyang260 showed high breakdown and low setback. The four varieties(Milyang260, Goamibyeo, Suweon517, Milyang261) with low starch damage and over 20% amylose content(AC), had formed the gel and maintained the shape of bread after 24 hours with a large SV. The other four varieties(Manmibyeo, Hanareumbyeo, Jinsumi, Seolgaeng) with no gel formation, did not maintain the shape of bread over time even with a large SV.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C and flour gel formation were the primary characteristics in determining rice flour bread quality. A significant(p<0.01) correlation was also observed between SV, RVA setback and gel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The crumb hardness had a significant(p<0.01) correlation with the AC, RVA setback and gel hardness. The difference in brittleness(p<0.05), springiness(p<0.01) and chewiness(p<0.05) of gel was mostly observed for crumb hardness. The gel texture was therefore a useful indicator in determining the baking properties of rice flour. Finally, good bread making varieties had an AC range from 20-25% and gel formation with elastic and hard but not brittle texture. With the analysis of AC, the RVA pasting properties, and the formation and texture of gel, the bread making potential of rice could be determined without baking experiment.

      • 페놀성 화합물 첨가와 제빵단계에 따른 소맥 반죽의 항산화 활성 변화

        한혜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페놀성 화합물 가운데 hydroxycinnamic acid계에 속하는 caffeic acid, ferulic acid, ρ-coumaric acid와 hydroxybenzoic acid계에 속하는 vanillic acid, syringic acid, gallic acid, 그리고 flavonoid계에 속하는 quercetin이 밀가루 반죽에 첨가되었을 때, 기계적 반죽과 발효 및 가열 조작을 포함하는 식빵의 단계별 제조 과정에서 변화되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 측정은 DPPH 라디칼 소거능, β-carotene linoleate model system에 의한 항산화능 시험,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의 세 가지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가공 후 존재하는 유리 페놀성 화합물은 HPLC로 정량 분석하였다. 페놀성 화합물을 첨가했을 때, 가공 단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은 optimum time mixed dough, over time mixing dough에서 낮았고, fermented dough와 bread는 항산화 활성이 증가되었다. 모든 시료에 같은 몰 농도로 페놀성 화합물을 첨가하였을 때, 반죽·발효·굽기 과정 후 모든 시료에서 quercetin 첨가구가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ρ-coumaric acid와 vanillic acid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와 항산화 활성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Gallic acid, caffeic acid, syringic acid 첨가구의 활성은 실험방법에 따라 활성도에 차이가 있었으나, 대조구에 비해 모든 가공단계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가공 후에도 유리되어 있는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던 quercetin이 약 86% 정도 남아있었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 및 유리 페놀성 화합물의 정량 분석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가공 과정 후에도 상당량의 페놀성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이 유지되고 있고, 80% 이상이 유리 상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quercetin이 풍부한 재료를 첨가한 식빵은 기능성 식품으로서 가치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wheat flour dough and breads with the addition of different phenolic compounds at the baking process including mechanical mixing, fermentation, and heat treatment. Seven different phenolic compounds; caffeic acid, ferulic acid, ρ-coumaric acid, syringic acid, vanillic acid, gallic acid and quercetin were mixed to wheat flour at the level of 444.44 uM per 100 g of flour,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potentials were determined by β-carotene,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and nitrate scavenging activity assays and the residues of free phenolic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HPLC analysis. Both phenolic type and baking proces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ntioxidant activity, with quercetin producing a most pronounced effect. Antioxidant activity of dough and breads with ρ-coumaric acid or vanillic acid added dough and brea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from those of the control dough and breads. Added quercetin was remained about 86% after baking. The significance of these interactions is important, especially in food matrices where phenolic compounds are to be added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