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음악교육에서의 다문화주의 수용 : 중·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현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의 세계는 과학문명의 발달과 사회사상의 변화로 "지구촌" 건설이라는 이상을 이루어 가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여전히 민족적, 종교적 그리고 문화적인 문제들에 직면하고 있다.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는 이런 문제들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이다. 다인종·다민족으로 구성된 미국이나 유럽의 국가들은 이미 그들의 교육 제도나 내용 안에서 다문화주의를 포괄적으로 수응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학교교육에서 다문화주의는 아직 익숙한 개념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음악교육에 나타난 다문화주의의 수용 정도와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연구의 범위는 현행 중·고등학교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각 민족의 민속음악이다. 또한 각 민족의 민속음악요소를 소재로 한 창작곡도 같이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민속음악을 활용한 수업의 지역·국가별 악곡, 학습목표, 음악구성요소, 음악활동, 음악외적활동, 평가활동 그리고 관련정보에서 다문화적 접근을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율 분석이며, 둘째, 단원의 수업에 나타난 다문화주의 수용유형에 대한 분석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적 접근을 민족의 음악과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와 활동으로 보았다. 첫 번째 분석에 대한 결론은 이러하다. 음악수업에 활용된 민속음악 전체악곡에 대한 다문화 점유율은 67.0%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업전반에 걸친 각 항목을 분석한 결과, 학습목표와 평가와 같이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는 항목에서는 40.0%이하의 다문화 점유율이 나타났다. 또한 수업의 실제적 활동에 해당하는 음악구성요소, 음악활동 그리고 음악외적활동을 분석한 결과, 음악외적활동의 다문화 점유율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관련정보의 다문화 점유율은 민속음악이 58.4%, 민속음악을 소재로 한 창작곡이 62.0%이며, 특히 악곡해설과 음악외적활동에 편중되게 나타났다. 두 번째 다문화주의 수용유형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민속음악과 민속음악을 소재로 한 창작곡을 단원으로 하고 있는 수업에서 학습목표, 음악구성요소, 음악활동, 음악외적활동, 평가활동, 관련정보 그리고 참고곡의 모든 항목에서 다문화적 접근을 수용하고 있는 유형이 전체의 6.6%인 반면 다문화적 접근을 전혀 수용하고 있지 않는 유형은 9.4%에 해당했다. 또한 수업의 실제 활동인 음악구성요소, 음악활동, 음악외적활동의 포괄적인 활용보다는 개별항목의 활용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여보면 현행 학교음악교육의 다문화주의 수용형태는 세계 여러 민족의 민속음악을 채택하고, 수업의 부분적 활동에서 다문화적 접근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결국 다문화주의가 제한적이고 단편적으로 수용되어 있다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은 중요한 시대적 요청이다. 다양한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그들의 사회를 이해하게 하기에 충분하며, 세계를 향한 창조적인 문화 발전을 가능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은 보다 심층적이고 포괄적인 수용을 모색하여야 한다. 교과 교육과정 체계에서의 구체적인 수용과 다양한 자료와 교수법의 개발은 물론이며 음악교사에 대한 다문화 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and changes in social thought, humans are marching towards the ideal of "global village." They, however, still face conflicts and problems stemming from the dissimilarity in ethnicity, religion, and culture. "Multiculturalism" i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covers all these issues.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countries, which are composed of several races and ethnic groups, have already widely adopted multiculturalism in their educational systems and contents. In Korea's education system, however, multiculturalism is not a familiar concept. This study shows that the Korean education system can be analyzed by using multiculturalism as a central concept; it categorizes different type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analyzes the extent to which multiculturalism is adopted in school music education. The scope of this study consists of ethnic musical contents in the current middle & high school textbooks and guidebooks. In addition, creative musical pieces inspired by different varieties of ethnic music were also included in the analysis. First, an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following aspects of music education: national and regional distribution in the classes that use ethnic music; study goals; musical components; musical activities, extra-musical activities; evaluation activities; and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approach based on the content in relevant data.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t categorie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at are adopted in real classes and lessons. In this study, multicultural approach is defined as an approach that promotes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various nations' music, society, and culture. Simple analysis revealed that more than 67.0% of the music education classes could be classified as multicultural in content and orientation. A deeper analysis of the class items, however, showed that in terms of study goals and evaluation, the items that direct class orientation, fewer than 40.0% fit the definition multicultural. Furthermore, analyses of practical aspects of classes such as musical components, musical activities, and extra-musical activities, demonstrated that these were substantially more multicultural than other aspects of music education. As for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content in relevant information, the percentage was 58.4% in the case of ethnic music and 62.0% in the case of creative musical pieces inspired by ethnic music. In particular, there was an imbalance caused by a disproportionate portion of musical commentaries and extra-musical activities. The analysis of the different categories of multiculturalism that are adopted in school music education revealed that in the case of classes that involve musical categories related to ethnic music and ethnic culture, 6.6% of the categories adopted all items of multicultural approach such as study goal, musical component, musical activities, evaluation activities, relevant information, and reference musical piece. In contrast, 9.4% of categories did not adopt any multicultural approach. Another important finding is that itemized uses were more prominent than comprehensive uses that involve practical activities such as musical component, musical activities, and extra-musical activities. As a synthesis, it can be said that in the case of current school music education, multiculturalism is adopted in such a way that the world's ethnic musical pieces are used in classes and that a multicultural approach is applied in some class activities.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music education in Korea adopts multiculturalism with a limited scop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s necessitated by the emergence of a global society. Understanding the cultures and societies of different nations is a must for living in today's world and is a precondition for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a new national culture. Therefore, a deeper and more comprehensive adop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s called for. With the practical adoption of multiculturalism in the curriculum system, various teaching and study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above all, music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 간호사의 의료분쟁대비 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한현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 및 경제적 변화에 따라 전 국민 의료보험이 실시되었으며 그에 따른 의료 인력도 빠르게 증가 하였고 생활의 여유가 생기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의료사고와 분쟁의 위험성 또한 더불어 증가하게 되었다.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간호업무영역에 있어서의 간호 업무와 관련된 분쟁에 대한 경험과 관련교육의 요구도를 분석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연구방법으로 서울소재 A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자료 수집기간은 2008년 4월 16일부터 2008년 4월 27일까지 12일 동안이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 program을 사용하여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chi-square test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전체 분쟁 건수는 91건이며 전체 대상자중 29.3%가 간호업무관련 분쟁을 경험하였고 이중 3.4%는 5건 이상 분쟁을 경험하였으며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분쟁의 진행결과를 모르고 있었다. 대상자들의 20.2%가 환자 측으로 부터 위기감을 느꼈으며 언어폭력이 가장 많고 난동행위와 신체적 위해를 겪은 경우도 각각 61.9%와 50%이고 대상자들이 분쟁 후 조언을 구한 곳은 주위동료나 선배, 상급관리자 순이었다.둘째, 대상자들 중 학부와 졸업 후 의료인의 법적의무와 분쟁에 대한 교육경험이 없거나 2시간 이하인 경우가 41.5%와 77.3%로 조사되었고 대부분 교육이 부족하다고 느끼며 분쟁 해결과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의료인의 법적의무와 의료분쟁에 대한 예방 및 관련교육의 필요하다고 하였다.셋째, 교육 방법 및 내용으로 학부 4년 동안 의료관계 법규 및 의무에 대한 교육을 바탕으로 학부 1,2 학년 때는 의사소통 방법과 윤리, 인성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학부 3,4 학년은 판례경향 및 분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졸업 후에는 의료관계법규, 의료 법규상의 의무, 최근 판례경향 및 분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넷째, 분쟁발생은 근무부서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위와 근무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분쟁경험에 따른 의료분쟁에 대한 부담감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교육필요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서울소재 한 개의 병원을 대상으로 하여 결과를 전체로 일반화하기 어렵지만 본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간호업무 관련 분쟁이 의료분쟁과 달리 특수과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분쟁이 발생한 경우 의료인을 보호하고 조언을 구할 수 있는 곳이 요구되며 대부분의 간호사들이 분쟁관련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교육내용으로 의사소통 방법과 윤리, 인성교육을 통해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 시키는 것이 의료인으로서 가치관이 형성되는 학부교육의 기초가 되어야 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판례경향 및 분석을 통한 실제적인 사례 교육으로 보완한다면 간호업무관련분쟁 예방에 한걸음 나아간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ationwide medical insurance wa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which has in turn rapidly multiplied the size of medical staff. As people lead a richer life and take more interest in their health, the risk of medical incidents and disputes has also increased.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nurses' experiences with nursing-related disputes and their demands for related education and to provide data needed to develop an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them.A survey was taken among 208 nurses working for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or 12 days from April 16 to 27, 2008. Using the SAS 9.1 program,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in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hi-square test.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First, the total number of disputes was 91. Among the subjects, 29.3% experienced nursing-related disputes, and 3.4% of them underwent five or more disputes. Most of the subjects were not aware of the progress of their disputes. In addition, 20.2% felt a crisis because of the patients, and 61.9% and 50% suffered from their violent acts or physical harm caused by them, respectively, with the biggest portion of them dealing with verbal violence. The nurses consulted their colleagues, predecessors, and supervisors in the order with respect to their disputes.Second, 41.5% of the subjects had no experience of education about the legal duties and disputes of medical personnel in college or after graduation, and 77.3% received two hours of such education or less. Most of them felt the education was not enough and far from helpful in the resolution process. And they voiced their opinions about prevention education regarding the legal duties and medical disputes of medical staff and the related education.Third, as for the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they said that education about communication methods, ethics, and personality should be provided to freshmen and sophomores and education about precedent trends and analyses to juniors and seniors based on the fundamental education about the laws and duties of medical relations.And fou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pute occurrences according to the department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ccording to positions and career. While a sense of burden for medical disputes according to the dispute experiences led to significant differences, a need for education did not.Although it'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investigated the case of a hospital in Seoul, the results do offer important insights that nursing-related disputes were not concentrated on certain departments unlike medical disputes, that there should be places medical staff can go to for protection and consultation in case of a dispute, and that most of the nurses felt a definite need for dispute education. Furthermore, the basis of undergraduate education should be the desirable values for medical staff through education about communication methods, ethics and personality. When such education is accompanied by practical case education through precedent trends and analyses, they will be one step closer to the prevention of nursing-related disputes.

      • 경남지역 베이비부머와 실버세대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 및 요구 비교 연구

        한현희 창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와 실버세대 두 계층간 평생교육 참여실태 및 요구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노년기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18개 시군의 65세 이상 실버세대 600명과 54∼62세 베이비부머세대 603명을 대상으로 1,203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 참여욕구는 실버세대(66.7%)보다 베이비부머세대(80.9%)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시간대를 살펴보니 실버세대는 대다수 평일 시간대를 희망하였지만 베이비부머세대는 주말시간대도 선호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참여하고 싶은 교육기관은 실버세대의 경우 노인복지관, 경로당을 선호하였고 베이비부머세대는 다양한 기관에서 참여하길 희망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참여 동기는 심리적 만족 및 행복감이 주된 목적이었고 차선책으로 베이비부머세대는 교양함양‧지식습득 등 자기계발, 실버세대는 친목도모 증진으로 나타나 차이가 있었다. 셋째, 희망 평생교육 프로그램 영역은 베이비부머세대 경우 인문교양교육(28.5%), 직업능력향상교육(21.9%), 문화예술 스포츠교육(21.4%) 순, 실버세대는 문화예술 스포츠 교육(53.2%), 인문교양교육(29.6%)순으로 나타나 대상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희망하는 영역별 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을 분석한 결과 직업능력향상교육 영역은 자격증 인증과정, 컴퓨터 자격증 강좌, 취업 및 창업 준비과정, 인문교양교육 영역은 건강 및 의료 강좌, 가정생활강좌, 컴퓨터 강좌, 외국어강좌, 시민참여교육 영역은 환경생태강좌 프로그램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토대로 노년기 평생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노인교육 운영기관은 대상별 차별화되게 접근하여 영역별 활발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며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한 프로그램 참여지원비 제공, 노인에게 적합한 일자리 제공을 위한 직업능력향상 교육 영역 프로그램 확대 보급, 노년층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장애요인 감소방안을 제시하여 인구고령화로 발생되는 여러 사회문제를 평생교육측면에서 대안을 마련하고 정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필요가 있음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러시아어 호칭어의 한국어 번역 전략에 관한 연구

        한현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tudy on Strategies for Translating Terms of Address from Russian into Korean There are various types of terms of address in Russian, and nuance, intention, honorifics to the hearer depend on the forms and combinations of terms of address. In particular, various terms of address and their shifts in literature work as a literary device for expressing the relations between characters, psychological changes, and organic connection to the plot. Especially, play, consisting of scripted dialogue, has abundant terms of address in it than other literature forms,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mistranslation, as the relations between characters can only be identified through terms of address. Therefore, when a translator misunderstands or lacks understanding of the pragmatic meanings of terms of address, the relations between characters and the roles of characters can be shifted in the translated text. Even though the terms of address in Russian plays an important role, and it is difficult to translate them from Russian into Korean, there rarely have been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terms of address between Russian and Korean or on how to translate terms of address from Russian into Korean.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the terms of address between Russian and Korean at the sociolinguistic level,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translating terms of address from Russian into Korean. In addition, the study intends to identify how terms of address are being translated from Russian into Korean, what kind of problems there are in translation strategies, and suggest how to solve these problems. For this, the paper introduced the system of terms of address in Russian and Korean, compared the principle of usage and semantics from the perspective of power and solidarity between the speaker and the hearer, and described alternation rules, co-occurrence rules, and switching, shift, and variation of terms of address. The study also condu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n Russian-Korean literary translation in order to identify how terms of address are being translated. The subject of analysis is nine Korean translations of The Cherry Orchard,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lay of Anton Chekhov. The types of terms of address analyzed include name (N), kinship (K), and second-person pronoun (T/V), which ar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Chekhov, and the study analyzed semantics by comparing discourses.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ranslations used transliteration strategy for single name terms of address (N), and literal translation strategy for single kinship terms of address (K). In some cases, power and solidarity of terms of address in the source text shifted in the translated text due to these translation strategies. In the case of combination of name and second-person pronoun (N + T/V) and kinship and second-person pronoun (K + T/V), power and solidarity in the source text were maintained, lost, or distorted depending on the strategies chosen for the terms of address at the sentence level in the translated text such as terms of address, second-person pronouns, and final endings. The problems in translating terms of address from Russian into Korean were categorized into six types: 1) causing confusion of characters; 2) loss of function of terms of address; 3) violation of usage norm of terms of address resulting in loss of semantics of power and solidarity; 4) loss of derived meaning of power and solidarity; 5) distortion of relations between characters; and 6) loss of literary function and effect of shifting of terms of address. The causes of these problems seem to be due to the following tendencies: 1) recognizing name terms of address (N) only as a proper noun; 2) considering only social roles of the speaker and the hearer when translating terms of address instead of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pragmatic meanings of terms of address; 3) recognizing the combination of first name and patronomic as honorifics, and the rest of name terms of address as plain terms; 4) recognizing V second-person pronoun as honorifics, and T second-person pronoun as plain terms. To solve these problems found in translating terms of address from Russian into Korean, the study tried to categorize translation strategies for terms of address. The paper provided the matrix of sociolinguistic alternation rules of name terms of address (N), kinship terms of address (K), and second-person pronoun address (T/V) in The Cherry Orchard, and suggested translation strategies for these terms of address focusing on honorifics at the sentence level. As a conclusion, the study provided strategy model for translating terms of address, and demonstrated that this model can solve the problems found in the existing translations.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further discussion and revitalization of studies on Russian-Korean translation of terms of address, as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terms of address between Russian and Korean. In addition to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translation of terms of address and describing the effect and limitation of translation strategies, the study also suggested strategies for translating terms of address from Russian into Korean by categorizing various translation strategies. The paper also expanded the scope of the study on terms of address from the word level into the honorifics level. This study aims at improving the quality of translation of terms of address through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erms of address in Russian-Korean literary translation training and suggesting the function and role of terms of address as a factor to be considered in literary translation evaluation and criticism. However, the size of the data and the number of types of terms address analyzed in this study are relatively small.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size of corpus for more elaborate study. At the same time, verification and revision of strategy model for translating terms of address from Russian into Korean and sociolinguistic alternation rule for Russian terms of address suggested in this paper would also be necessary.

      • 게임중심 CAI 언어프로그램이 정신지체학생의 단어재인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현희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단어재인능력은 언어발달과 모든 학습의 기본적인 능력이며 한 개인이 성장하고 생활해 나가는데 있어서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쳐 사회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기능이다. 단어재인 능력에 낮은 성취를 보이는 정신지체 학생에게 기존의 학습지, 단어카드, 한글교구 등 평면자료를 이용한 교육방법 외에 다감각적인 감각 제공, 즉각적인 피드백, 적절한 보상시스템, 흥미 및 집중력 요소를 가지는 게임중심 컴퓨터보조학습(CAI) 언어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정신지체학생에게 게임중심 CAI 언어프로그램(중재A)과 단어카드중심 언어프로그램(중재B)을 교대로 실시하여 어느 방법이 단어재인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인가를 검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J초등학교 특수학급 3~6학년 정신지체학생 중 한글 미해독학생 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교대중재 설계를 실시하였다. 실험은 매일매일 중재A, 중재B를 교대로 번갈아가며 약 30분씩(평가 5분, 실험처치 20분, 기록 및 정리 5분) 개별 학생별로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를 각각 22~26회 실시하였다. 게임중심 CAI 언어프로그램(중재A)은 재미나라 중 한글나라(한솔교육), 웹기반 언어지도 프로그램(국립특수교육원) 2가지 인터넷 사이트를 연구 목표 단어 20개에 맞춰 재구성하였다.그리고 단어카드중심 언어프로그램(중재B)은 중재A 목표 단어의 난이도와 총 음절수를 동일하게 고려하여 목표 단어 20개를 선정하였고 연구자가 자체 제작한 낱말카드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는 중재A, 중재B 교대 중재를 실시한 그 다음날(24시간 이후) 각각 목표 단어 20개 중 정반응한 문항수를 누가 기록하고 백분위로 환산하여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중재 간의 효과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학생 4명 모두 게임중심 CAI 언어프로그램(중재A)이 단어카드중심 언어프로그램(중재B)보다 단어재인 점수가 더 높았다. 대상학생에 따른 중재 간의 점수 차이는 학생 1은 40점, 학생 2는 55점, 학생 3은 25점, 학생 4는 20점이었다. 둘째, 유지단계에서도 대상학생 4명 모두 중재 단계 점수 차이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점수로 유지되었다. 셋째, 개별 대상학생 개인차에 있어 가정환경 및 개별 특성과 현재 수준에 따라 두 중재 사이의 점수 차이가 20~35점 정도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대상학생 1, 2는 한글에 대한 사교육 경험이 없고 컴퓨터를 접하지 못하는 환경의 학생이었고 단어재인 기초선 평가에서 0점으로 대상학생 3, 4에 비해 20점 더 낮은 성취를 보인 학생이었다. 이에 반해 대상학생 3, 4는 가정에서 한글교육을 받고 있으며 컴퓨터를 자주 접하는 환경의 학생이었다. 넷째, 게임중심 CAI 언어프로그램은 단어카드중심 언어프로그램보다 정신지체 학생의 동기부여 및 지속적인 흥미 그리고 학습 집중력에 더 많은 영향을 끼쳐 단어재인능력 향상에 효과가 더욱 높았다. 따라서 특수교육 현장에서 개별학생에게 단어재인 지도와 같이 반복적이고 집중적인 학습이 필요한 경우 단어카드, 학습지, 한글교구 등 기존평면 자료뿐만 아니라 게임중심 CAI를 적절히 활용하여 학생의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장애학생의 흥미와 집중력을 높이고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게임중심 CAI 언어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 시급히 필요하며 학생용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웹기반학습, 멀티미디어학습 등 다양한 교육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특수교육 여건 개선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와 관련하여 보다 다양한 교과와 장애영역에서 많은 대상학생으로 범위를 넓혀 좀 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후속연구가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하겠다. 그리하여 장애학생의 모든 교과에 기초가 되는 단어재인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검정할 필요가 있다. Word recogni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pabilities, which provides foundations for both linguistic advancement and learning process, and serves as an essential part of one’s social life in that it influences his or her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in a significant wa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novative teaching/learning method by applying a game centered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CAI) to a language program which supports multi senses, immediate feedback, and appropriate reward system, and promotes interest and concentration among mentally retarded students with a lower achievement level in word recognition more effectively than conventional materials including work sheets, word cards, and teaching aids for Hangul (the Korean Alphabet.) This study aims to discover which method can improve the word recognition capability more efficiently, based on the alternate application of the game centered CAI language program (Treatment A) and the word card centered language program (Treatment B) to the mentally retard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lternating treatments design was established for the 4 mentally retarded students studying in a special class of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who are from 3rd to 6th grade and illiterate to Hangul. The students studied Treatment A and B alternately for about 30 minutes (5 for evaluation, 20 for experiment treatment, and 5 for recording and arrangement) every day. The program was composed of the stages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follow-up, with each student participating in it for 22 to 26 times. The game centered CAI language program (Treatment A) was developed by rearranging Hangulnara, a part of Jaeminara, the educational web-site operated by Hansol Education, and the Internet-based educational program offered by 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with 20 of the targeted words for the experiment. The word card centered language program used the word cards created by the author, the difficulty and the number of syllables of which are identical to those of the words in Treatment A. The result was processed within 24 hours after each treatment by counting the correct responses for the 20 words and transforming the data into percentage numbers and graphs, along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t effect between the two treatment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ll of the 4 students marked a better score in the word recognition capability with the game centered CAI language program (Treatment A) than with the word card centered language program (Treatment B); in fact, every student showed the margin in a way that favors the former: 40 points with Student 1, 55 with Student 2, 25 with Student 3, and 20 with Student 4. Second, In the follow-up stage, the entire group of the 4 participating students maintained similar to or slightly higher scores than those on the intervention stage. Thir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of 20 to 35 points between the two treatments, depending on the home environm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level of each participating student. Student 1 and 2, who have never received any extracurricular education to learn Hangul, and have no access to personal computers, scored zero in the baseline evaluation, which is 20 to 25 points lower than that of Student 3 and 4. On the other hand, Student 3 and 4 have a chance to learn Hangul, and are exposed to the frequent use of PCs at home. Fourth, it was proved that the game centered CAI language program is more efficient to develop the word recognition capability of the mentally retarded students by creating increased motivation, constant awareness, and enhanced concentration among them. As a result, as the repetitive and intensive learning like word recognition is required for special education, a various teaching methods can be considered and designed including the game centered CAI to enhanc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s well as the traditional materials such as word cards, work sheets, and teaching aids for Hangul. In addition, it is highly necessary that we develop and use a variety of game centered CAI language programs to promote disabled students’ interest and concentration and educational efficiency at the same time, and we also make constant efforts to provide the better environment for special education by enhancing both the software and hardware for using computers, web-based education, and multimedia learning, to name a few.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arry out more objective and systematic analysis on other educational subjects and areas of disability, which will help discover more efficient ways to develop the disabled students’ word recognition capability, a valuable foundation for virtually all the school subjects.

      • 대인 외상을 경험한 기독교인의 용서과정 연구

        한현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인 외상을 경험한 기독교인의 용서과정과 신앙의 영향을 분석하여 용서에 대한 성경적, 실천적 가치관을 제시하고 대인 외상 경험자들의 용서개입을 위한 상담 및 돌봄에 대한 제언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수행을 위해 대인 외상을 경험한 9명의 기독교인 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기록물을 수집하였고 Creswell의 사례연구방법과 기독교 패러다임으로 분석하였다. 외상의 기독교 패러다임으로는 기독교 병리학을, 용서의 기독교 패러다임으로는 그리스도 닮음의 과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대인 외상을 경험한 기독교인의 용서과정에 관한 주제 109개, 하위범주 31개, 상위범주 11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11개의 상위범주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무너져 내리는 나’,‘용서를 위해 나아감,’용서의 결실’로 드러났다.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독교적 패러다임으로 해석하였으며 대인 외상을 경험한 기독교인의 용서과정은 ‘고통으로 몸부림침’, ‘자신의 생각과 기대를 내려놓음’, ‘하나님의 사랑과 임재를 경험함’, ‘새로운 자아로 거듭남’으로 드러났으며, 용서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요인으로는 상처를 토로할 수 있는 모임과 지지체계, 신앙적 자원, 상황의 나아짐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가 용서를 결단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대인 외상 경험자의 용서 개입을 위해서 외상 경험자의 고통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외상을 돌보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용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상담자와 돌봄 사역자는 하나님 앞에서 외상 경험자의 고통이 충분히 표현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복음 안에서 그들의 수치심을 다룸으로써 하나님 앞에 용서의 문제를 가지고 나갈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실제 대인 외상을 경험한 기독교인의 용서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외상 경험자의 용서 개입을 위한 상담과 돌봄의 실천적 방안과 교회 공동체 인식의 변화가 필요함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중심단어: 대인 외상, 용서, 신앙, 기독교 병리학, 그리스도 닮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iblical and practical values for forgiveness by analyzing the forgiveness process and the influence of faith in Christians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nd to suggest counseling and caring for forgiveness interventions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s were collected from nine Christian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nd analyzed using John W. Creswell's case study method and Christian paradigm. The Christian paradigm of trauma was applied to Christian psychopathology, and the Christian paradigm of forgiveness was applied to the process of Christiformity. As a result of analysis, 109 themes, 31 sub-categories, and 11 upper-categories were derived on the forgiveness process of Christians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The derived 11 high-level categories were classified into 'Broken self', 'Going for forgiveness', and 'The fruits of forgiveness'. From a Christian paradigm, it was analyzed that the forgiveness process of Christians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was 'Wrestling with pain', 'Putting down one's belief and desires', 'Experiencing God's love and presence', ' Being born again as a new self'. The factors that help those to move toward forgiveness were meetings and support systems that can express the pain, religious resources, and improvement of the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ecision to forgive. Practical methods for forgiveness intervention are proposed as follows. One is that understanding the suffering of the traumatized person should be preceded the intervention of forgiveness, and forgiveness intervention should be made in the process of caring for and treating trauma. The other is that counselors and caregivers should help their suffering to be fully expressed before God. Another is that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m to bring the matter of forgiveness before God by dealing with their shame in the gospel. Through analyzing the forgiveness process of Christians who have experienced actual interpersonal trauma,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pose a practical way of counseling and caring for their forgiveness intervention, and perspective change of the church community. KEYWORD: Interpersonal trauma, Forgiveness, Faith, Christian psychopathology, Christiformity

      •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 검정형 실기과제의 현장 실무 활용 정도 및 만족도와 재교육 필요성

        한현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License for Cosmetologists covers basic knowledge and repetitive skin training. In rapidly changing industrial structure, industry needs have also changed accordingly. To properly respond to these circumstances, it is required to check the qualifica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practical perspectives in field assignment for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License for Cosmetologists. In addition, the goal of retraining programs should be to meet diverse customer needs by enhancing practicality.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those preparing for the license test, those already with the license and beauty salon workers in their 10-50s living in Daeje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Chungcheongnam-do, Chungcheongbuk-do and other regions from September 1 to October 18, 2022. A total of 319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 ‘40s’, ‘married’, ‘high school graduate or below’, ‘15 years or longer’, ‘owner’ and ‘Daejeon’ were the highest in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ngth of service, job title and residence respectively. Second, when asked if they hold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License for Cosmetologists, those with ‘Yes’ were higher. When asked why they want to obtain the license, when they obtained it, how many times they took the license test, where they were trained for the license and how long it took for preparing for the license, ‘employment or business startup’, ‘July 2016 or later’, ‘once’, ‘hairdressing academy’ and ‘5-6 months’ were most responded each. Third, according to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ing of measurement instruments, factor loading was 0.4 or higher in all categories. In other words, they are sufficiently valid. In addition,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were higher than the threshold (0.6), confirming that measurement data are internally consistent. Fourth, concerning differences in field practi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female’, ‘high school graduate or below’, ‘15 years or longer’, ‘owner’ and ‘Chungcheongnam-do & Chungcheongbuk-do’ were high in gender, education, length of service, job title and residence respectivel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Fifth, in differences between satisfaction with field assignment and a necessity of reeduca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atisfaction with field assignment was high in ‘female’, ‘high school graduate or below’, ‘owner’ and ‘Daejeon, Chungcheongnam-do, Chungcheongbuk-do, etc.’. In addition, a necessity of reeducation was high in ‘15 years or longer’ and ‘owner’. Sixth, according to descriptive statistics on utilization of practical tasks, satisfaction with field assignment and a necessity of reeducation, they were 3.95, 3.80 and 4.25 in average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ound that utilization of practical task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field assignment and a necessity of reeducation. In addition,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atisfaction with field assignment and a necessity of reeducation. Seventh, in the influence of utilization of field assignment for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License for Cosmetologists on satisfaction with field assignment and a necessity of reeducation, a positive effect was observed.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field assignment revealed a positive influence on a necessity of reeducation.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field assignment, the z-value (permanent wave) was 2.028,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s (p<.01). The above results conclude that the utilization of field assignment for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License for Cosmetologists has an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the assignment and a necessity of reeducation and that satisfaction with field assignment affect a necessity of reeduca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used in examining the system for the purpose of narrowing a gap between labor and education markets, changing people’s perception of a necessity of reeducation and performing future studies as basic data.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증은 기초적 지식과 반복적인 기술 훈련을 바탕으로 하여 다루고 있고 급변하는 사회의 산업 구조 변화와 함께 산업 사회의 요구도 변화하고 있어 이에 부응하기 위해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 검정형 실기과제도 현장 실무 활용 정도를 고려한 자격 제도여야 하므로 수시 점검이 필요하다. 또한 재교육도 현장 실무 활용 정도를 높여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연구의 조사 대상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북도,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10-50대 이상의 남·여 자격증 준비생과 취득자, 실무자를 대상으로 2022년 9월 1일부터 2022년 10월 18일까지 설문 조사를 진행한 총 319부를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통계프로그램 SPSS 2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결과는 성별은 여성, 연령은 40대, 결혼여부는 기혼, 학력은 고등학교 재/졸, 미용종사 경력은 15년이상, 직급은 대표(원장), 거주지는 대전광역시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용사(종합,일반) 국가기술자격증 취득 현황에 따른 결과는 취득 여부가 ‘그렇다’로 높게 나타났고 취득 준비 목적은 취업 및 창업, 취득 시기는 2016년 7월 이후, 취득하는데 치룬 시험 횟수는 1회, 취득을 위해 교육 받은 기관은 미용학원, 취득을 준비하는데 적당한 소요 기간은 5-6개월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측정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모든 항목의 요인 적재량이 0.4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은 충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신뢰도 분석 결과도 기준값 0.6 보다 높게 나타나 측정 자료의 내적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현장 실무 활용 정도 차이에서 성별은 여성, 학력은 고등학교 재/졸, 근무 경력은 15년이상, 직급은 대표(원장), 거주지는 충청남·북도가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다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실기과제 만족도와 재교육 필요성 차이에서 실기과제 만족도는 성별은 여성, 학력은 고등학교 재/졸, 직급은 대표(원장), 거주지는 대전광역시, 충청남·북도, 기타가 높게 나타났고 재교육 필요성은 경력은 15년이상, 직급은 대표(원장)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현장 실무 활용 정도, 실기과제 만족도, 재교육 필요성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 현장 실무 활용 정도의 전체 평균은 3.95, 실기과제 만족도의 전체 평균은 3.80, 재교육 필요성의 전체 평균은 4.25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현장 실무 활용 정도는 실기과제 만족도와 재교육 필요성에 정(+)의 상관 관계가 있었고, 실기과제 만족도도 재교육 필요성과 정(+)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일곱째,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 검정형 실기과제의 현장 실무 활용 정도가 실기과제 만족도와 재교육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 검정형 실기과제의 현장 실무 활용 정도는 실기과제 만족도, 재교육 필요성에 정(+) 영향을 실기과제 만족도는 재교육 필요성에 유의한 정(+)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실기과제 만족도에 대한 매개 효과를 검정한 결과 헤어 퍼머넌트 웨이브 z값이 2.028로 나타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 검정형 실기과제의 현장 실무 활용 정도는 실기과제 만족도와 재교육 필요성과 실기과제 만족도는 재교육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 검정형 실기과제의 현장 실무 연계성을 고려하여 노동시장과 교육시장의 갭을 줄이기 위한 제도의 수시 점검과 재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및 이분야 연구에 따른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색각이상 아동을 배려한 초등학교 교과서 배색에 관한 연구 : 저학년 수학교과서를 중심으로

        한현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Color is used as one of the important visual information factors to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in all the space. Although we think we perceive color equally, in fact, there exists difference in color perception for congenital or acquired factor. Some have difficulty judging information because they perceive color or colors in a certain wavelength differently from normal color vision, which is caused by malfunction of cone cells governing color detection. Lately, universal design has been planned and popularized in consideration of all the social members in the world, regardless of sex or age. We consider universal design as a design that is made to provide information even to those who have different color detection due to abnormal genetic type or eye disease. This consideration is recently applied to pubic sings, products and websites. However, it has been yet applied to education, especially textbooks. Textbook is the most fundamental educational material to realize educational curriculum. Therefore, such consideration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who have color detection disorder so having problem learning.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propose color model to improve color scheme used in learning concept and delivering information in an attempt to help the children having problem of sensing color acquire information through textbooks on fair bas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ypes and symptoms of color detection disorder and the current status of color arrangement in the existing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lor arrangement of math textbooks that more depend on color for delivering information than other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found out problems. Furthermore, this study carried out a test to know with what colors children with color detection disorder problem distinguish by color hue and tone.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propose color scheme with better color discrimination and apply it to a design for simulation and testing. The results of the test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children with dyschromatopsia (the decreased ability or inability to see color, or perceive color differences, under normal lighting conditions) have problem distinguishing 71% of the existing color scheme that is currently used in the math textbook for low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and thus inconvenience in learning. Second, the children answered that they had problem discriminate the color arrangements of R/G, YR/G, Y/G, RP/PB and those using similar colors like YR/Y and PB/P. The color arrangement used in the textbooks was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the children to recognize colors due to delicate difference in brightness and chroma as well as cause perceptional error to them. Third, the test on the children with dyschromatopsia for the color discrimination by hue and tone using KS Standard Color Scheme C&D155 Hue&Tone demonstrated that they had difficulty recognizing basic colors/vv tone in R, YR, GY, B, PB, RP and, as they answered, the basic color/dp tone in R, G, BG, P, RP looked similar to the children. Of them, the children said it was really hard to discriminate R, RP up to vv tone. Next, they said that it was difficult to tell the difference of sf tone/lt tone in R, GY, G, P, RP and sf tone/pl tone in R, G, BG, B, PB, P, RP. Of them, they responded that sf tone/lt tone/pl tone of G and RP looked similar to them. Furthermore, they also answered it was hard to distinguish pl tone/wh tone in R and YR and in all colors but Y, GY considered dk tone/bk tone as similar colors. Moreover, they said they had hard time discriminate dkgy tone/bk tone in all colors. By color hue, the children with dyschromatopsia categorized R/YR in dp tone, gy tone, dkgy tone and bk tone in a similar color group and answered that it was difficult to tell the difference basic colors and YR/GY in vv tone. And it turned out that they had difficult discriminating Y/GY in all color hues but lt tone and gy tone; G/BG in dk, dl, lt, pl, lt, pl, ltgy, dkgy, and bk tone. Of them, the children even said that B in all the hues except dk and dl looked similar. And they said that B/PB looked similar in basic colors and vv, dl, sf, wh, gy, dkgy, and bk tone. Of them, they said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even P in wh, gy, dkgy, and bk tone. In addition, they said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PB/P in vv, dp, lt, pl, wh, gy, dkgy, and bk tone. Last, it was known that they have difficulty discriminating R/RP in dl, lt, dkgy, and bk tone. Fourth, this study proposed 8 colors for the children with dyschromatopsia on the basis of on the results of the test for the difficulty of color discrimination by hue and tone: 6 basic colors of high chroma (R, YR, Y, BG, PB, RP) in vv tone that the children prefer the most and 2 additional colors to create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and chroma from other colors. R was located close to YR and thus it was made easy to tell the difference when mixed with BG. And G was replaced with BG, similar to B, and let them recognize it (BG) to be blue even when mixed with Y. Fifth, to verify the proposed color scheme, three methods were employed. First, this study applied the proposed color arrangement to 15 color arrangements that the children expressed it was difficult to tell difference in face-to-face survey and carried out simu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could discriminate those colors more clearly. Second, the results from the surveyed children (4) with dyschromatopsia demonstrated that all of 4 children responded that it was much easier to distinguish colors with the proposed color scheme. Third, a test was carried out with the children with normal color detection to compare with those with dyschromatopsia. 15 questions were asked to th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all answered that they could more clearly distinguish YR/BG, Y/BG, Y/PB(high brightness), PB(low brightness)/RP(high brightness) in 2-color combination; R/Y/PB(고명) in 3-color combination; and R/Y/BG/PB(high brightness) in 4-color combination after applied with the improved color scheme. It evidenced that the proposed color scheme is also helpful for the children with normal color detection. And then it was applied to the color design of the math textbook with 8-color combination as well as 2-, 4-, 6 color combination, which are various in color application. The present study finds itself significance in that it has conducted a comprehensive study from the actual status survey of color detection disorder of children to its ver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will be followed with more samples and that colors designed (by universal design) in consideration of children with dyschromatopsia can be widely used in planning color scheme. In addition, this study hopes that the children with dyschromatopsia will be able to acquire information without difficulty, free themselves from social discrimination and constraint. 색은 모든 공간에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중요한 시각정보요소의 하나로 사용되는데 우리는 색채지각을 당연시 여기지만 선천적 혹은 후천적 요인으로 인해 색을 인지함에 있어 개인차가 존재한다. 색감지 세포인 추상체의 기능저하 및 결핍으로 인해 특정 파장대의 색을 정상색각과 다르게 인지하기 때문에 중요한 정보판단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남녀노소 구분 없이 사회구성원 모두를 배려한 디자인인 유니버설디자인이 계획되고 보편화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유전자 타입이나 안구의 질환 등으로 색인지를 달리하는 사람들에게도 정보가 제대로 전달되도록 배려한 디자인을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이라 한다. 이러한 배려는 최근 공공사인물이나 제품, 웹사이트 등에 적용되고 있는데 교육 분야 특히 교과서에 대한 배려는 아직 찾아보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심적인 교육 자료로서 색인지 오류의 경험을 통한 노하우 습득과 학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색각이상 아동도 색인지에 불편함이 없는 컬러유니버설디자인 관점의 배려와 적용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색각이상 아동이 교과서를 통해 공평하게 정보를 습득할 수 있도록 교과서 내 개념이해 및 정보전달을 위해 사용된 배색개선을 위한 색채제안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색각이상의 유형 및 증상에 대해 이해하고 초등학교 교과목 중에서도 색을 통한 정보전달 의존성이 높은 수학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 배색개선을 위한 현황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색각이상 아동에게 색상별, 색조별로 색구분이 용이하지 않은 색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여 색의 식별성을 고려한 색채를 제안하고 디자인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및 대상자 검증을 진행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색각이상 아동과 함께 교과서에 사용된 배색에 대한 현황조사 결과, 현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교과서에서 정보전달을 위해 사용된 배색의 71%가 색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실제 학습활동시 불편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둘째, 색각이상 아동이 색의 구분이 용이하지 않다고 답한 배색의 경우, 일반적으로 색각이상자가 색의 식별을 어려워하는 색상의 배색이었으며 색상에 있어서 R/G, YR/G, Y/G, RP/PB 배색과 YR/Y와 PB/P와 같이 유사색이 사용된 배색의 색구분을 어려워하였다. 교과서에 사용된 배색은 색상에서 오는 지각오류 뿐만 아니라 근소한 명도차와 채도차에 의해 더욱더 색차이를 인지하기 어려워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색각이상 아동을 대상으로 KS 표준색인 C&D155 Hue&Tone의 140색을 이용하여 색상별, 색조별로 색구분이 용이하지 않은 색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먼저 색상별로 색구분이 어려운 색조를 고르게 하였을 때 R, YR, GY, B, PB, RP에서 기본색/vv톤의 색구분을 어려워하였고, R, G, BG, P, RP에서 기본색/dp톤의 색상이 유사해 보인다고 답하였는데 이중 R, RP는 vv톤까지도 색구분이 어렵다고 답하였다. 다음으로 R, GY, G, P, RP에서 sf톤/lt톤을, R, G, BG, B, PB, P, RP에서 sf톤/pl톤의 색구분이 어렵다고 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G와 RP의 경우 sf톤/lt톤/pl톤까지 색이 유사해 보인다고 답하였다. 그리고 R와 YR은 pl톤/wh톤의 색구분이 어렵다고 답하였으며, Y와 GY를 제외한 모든 색상에서 dk톤/bk톤을 유사해 보이는 색으로 묶었다. 또한 R과 YR, PB에서 dk톤, dkgy톤, bk톤의 색구분이 어렵다고 답하였고 모든 색상에서 dkgy톤/bk톤의 색구분이 어렵다고 답하였다. 색조별로 색구분이 용이하지 않은 색상에 대한 조사 결과, dp톤, gy톤, dkgy톤, bk톤에서 R/YR을 유사하게 보이는 색으로 묶었고 기본색과 vv톤에서 YR/GY의 색구분이 어렵다고 답하였다. 그리고 lt톤과 gy톤을 제외한 모든 색조에서 Y/GY의 색구분을 어려워했으며 dk톤, dl톤, lt톤, pl톤, lt톤, pl톤, ltgy톤, dkgy톤, bk톤에서 G/BG의 색구분을 어려워하였는데 이중 dk톤과 dl톤을 제외한 나머지 톤은 B까지도 유사해 보인다고 답하였다. 그리고 기본색, vv톤, dl톤, sf톤, wh톤, gy톤, dkgy톤, bk톤에서 B/PB가 유사해 보인다고 하였는데 이중 wh톤, gy톤, dkgy톤, bk톤은 P까지도 색구분이 어렵다고 답하였다. 또한 vv톤, dp톤, lt톤, pl톤, wh톤, gy톤, dkgy톤, bk톤에서 PB/P를, 기본색, dk톤, wh톤, ltgy톤, gy톤, dkgy톤, bk톤에서 P/RP의 색구분을 어려워하였다. 마지막으로 dl톤, lt톤, dkgy톤, bk톤에서 R/RP의 색구분을 어려워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넷째, 색상별, 색조별 색구분이 용이하지 않은 색에 대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색각이상 아동이 가장 선호하는 고채도 vv톤의 R, YR, Y, BG, PB, RP 기본 6색과 더불어 PB와 RP의 경우 다른 색들과 명도차, 채도차를 두기 위해 두 색을 추가하여 총 8색을 제안하였다. R을 YR에 가깝게 하여 BG와 함께 배색되어도 판별이 용이하도록 하였고 G를 대신해 B에 가까운 BG를 두어 Y와 배색되어도 BG가 파랑으로 인식하여 색의 식별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다섯째, 배색 개선 검증을 위해 총 3가지 방법을 통해 개선여부를 확인하였다. 먼저 1:1 설문조사시 색의 구분이 어렵다고 답하였던 15개 배색에 제안색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시뮬레이션 결과 색구분이 명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색각이상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색각이상 아동 네 명 모두 대체적으로 개선 후 배색이 훨씬 색구분이 용이하다고 답하였다. 세 번째, 정상색각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색각이상 아동과 동일한 15개 문항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2색 배색의 경우 YR/BG, Y/BG, Y/PB(고명도), PB(저명도)/RP(고명도), 3색 배색의 경우 R/Y/PB(고명도), 4색 배색의 경우 R/Y/BG/PB(고명도)의 경우에 대해서는 20명의 아동 모두 개선 후 배색디자인의 색 구분이 더욱 뚜렷하다 답하여 개선된 배색이 정상색각 아동에게도 색 식별력이 뛰어난 배색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과서 배색 디자인에 적용하여 사용된 배색 이외에도 제안한 8색을 이용하면 활용가능한 배색이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색각이상 아동의 시각에서 현황조사에서 검증까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더 많은 인원수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모든 색채계획시 컬러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색각이상 아동을 배려한 색채가 사용되길 바란다. 또한 색각이상 아동이 불편없이 정보를 얻고 사회적 차별과 제한 속에 자신을 가두지 않고 더욱더 다양한 색을 즐길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 긍정심리학에 기초한 Bounce Back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한현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s ranked first or second in the world(OECD, 2016), but their subjective happiness has remained at the bottom for the eighth year(Yeom et al, 2016). The results created a critical view of Korean education. Korean education is being asked such questions as ‘Is South Korea the world’s top producer of unhappy school children?’ (Kim et al., 2016 recite; Philips, 2013) and ‘Are Korean kids learning to be unhappy?’(Elgin, 2013; Kim et al., 2016 recite). Korean education, which has caused a child's maladjustment, should make practical efforts for the child's social and emotional health. In this study, social and emotional education courses at the school are neede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solving problems in Korean education. As a solution, we introduced positive psychology education program and want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Compared to positive psychology, psychosomatic programs based on negative origins were conducted for children who are vulnerable to certain areas. Only a few students with mental pain could benefit from the program(Gerber & Semmel, 1984). Therefore, most children have difficulties not being given the opportunity to improve mental health.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was aimed at helping the majority of children learn how to build psychological assets needed to cope with life challenges.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chosen in this study is the Bounce Back program developed in Australia. Bounce Back, based on psychological theory, is designed to teach children directly in school how to cope with adversity and strategies for well-being(Axford et al., 2011). Previously, only a few students have accidentally achieved well-being and happiness, and Bounce Back explicitly presents the well-being and well-being of most students as goals of the school curriculum. Bounce Back was very effective in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health in Australia and is now popular across Australia(Kidsmatters, 2008; Pearson, 2018). It was introduced in other countries and is widely used in Britain and South Africa to improve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health(Axford et al., 2010; McGrath & Noble, 2011). Bounce Back is considered the first global positive education program(Pearson, 2018). In the last 15 years, positive psychology has been so intense that it has been described as re-emergence (Furlong et al., 2018). Bounce Back, which was produced in 2003, has continued to maintain its psychological expertise by publishing a third edition in 2018 amid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y. However, there is a problem with the valid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Bounce Back. Because we are still using inspection tools made in 2003. The quantitative variation of this tool is only two things: resilience and Connectedness, and contains questions with statistical problems(Axford et. al., 2011). Recent positive psychology has different opinions on studies that use indicators alone in describi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health. Researchers have found that single psychological indicators do not affect children's social emotional health independently, but are set in an integrated set at the same time(furlong et al., 2018). These studies have concluded that it is desirable to measure sets of different indicators in measuring child mental health(furlong et al., 2018). For this reaso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Bounce Back program, which i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is no longer a single variant. To address these problems, the study used covitality, an integrated set of indicators developed by Furlong and others in 2014. Covitality is a measurement tool that identifies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health at various levels of life (furlong et al., 2014). Covitality has been statistically validated in various races and countries including Korea, Japan, China, and Turkey(furlong et al., 2018). Kim(2016) cited the problem that ‘the Korean national mental health screening’ does not measure positive assets of other levels because it only identifies students ' weaknesses. Thus, it is proposed that the use of covitality sh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he Korean national mental health screening. To address this objective, we performed validation of the Bounce Back Program, which was designed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based on a concept of Covitality of multiple resources. Through these efforts, social and emotional education programs were intended to verify the impact of children's multiple well-being resources. 103 fifth-grade students from S Elementary School in Seongnam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eparating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Bounce Back Progra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nges in Covit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 significant effect has been found 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They have been effective i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 but have not continued.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is detailed below. The value of Covita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Bounce Back programme was improv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mparison to those involved in the control group. Further examinations also showed improved Covitality valu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the Bounce Back Program has been proven to be an effective program that improves the Covitality of children. Looking at the effects of Bounce Back on the 12 pos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effectiveness varies from character to character. The results are classified into three aspects : areas where effects are concurrently shown for post-inspection and post-inspection, areas in which post-inspection is effective but not effective in subsequent inspection and areas where neither post-inspection nor subsequent inspection have been effective. The effectiveness of each characteristic nature of the outcome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st- inspection and subsequent inspection showed effectiveness in a total of eight pos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Each characteristic is Self-effecacy, Self-awareness, Persistence, Emotional regulation, Empathy, behavioral self-control, Gratitude and Optimism. Second, the post-inspection was effective in terms of three pos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ut no subsequent inspection showed any effectiveness. There are three variables : Family support, School support, and Zest. Third, a total of one positive characteristics did not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ost- inspection and subsequent inspection simultaneously. It is characteristic of a Peer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Life's Satisfaction,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and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effectiveness in post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seven weeks later, no significant effects were shown in further examinations. Secon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no significant effects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ost-inspection and further-inspection.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effectiveness in post and further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has validated the Bounce Back Program a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total positive assets. In addition, although overall positive assets were improved, sub-area of the respondents were still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be used as an integral description of a child's multiple resources. In addition, specific sub-area checks provided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implementing positive education programs. For example, the Peer support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areas did not show effectiveness in post and subsequent examinations, and the results showed the important areas in which fifth-grade children suffered. In addition, In addition, post-efficiency emerg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lthough other areas were not involved. The results showed that improving the adaptation system could also help compensate for the lack of resources. Finally, not only some vulnerable children but also the majority of children are able to address the vulnerabilities of their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and address various problems in life. 한국 학생들은 세계적으로 1~2위의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이고 있지만(OECD, 2016), 그들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8년째 최하위 수준을 면하지 못하고 하고 있다(염유식 외, 2016).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 교육에 비판적 시각을 만들어내었다. 한국 교육은‘세계최고의 불행한 아동을 생산하는 것이 한국교육인가?’(Kim et al., 2016 재인용; Philips, 2013), ‘한국 아이들은 불행해지는 방법을 배우고 있는가?'(Elgin, 2013; Kim et al., 2016 재인용)와 같은 질문을 받고 있다. 아동의 높은 부적응을 초래한 한국 교육은 아동의 사회·정서 건강을 위한 현실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적인 방법으로 학교 차원의 사회·정서적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이를 실현하는 구체적 개입으로서 긍정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그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긍정심리학과 비교하여 볼 때, 부정 기원적 심리학에 기반 한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들은 특정부분에 취약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런 프로그램으로는 정신 고통이 심각한 일부 학생들만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Gerber & Semmel, 1984). 그리하여, 대다수의 아동은 정신건강 증진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어려움이 있다. 반면, 본 연구는 대다수의 아동이 삶의 도전에 대처하는 데 필요한 심리적 자산을 구축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런 이유로 기존의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긍정 심리학적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함으로써 기존의 접근과는 다른 시도를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택한 긍정 심리학 프로그램은 호주에서 개발된 Bounce Back 프로그램이다. 심리학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Bounce Back은 아동에게 어려운 역경을 만났을 때의 대처법과 웰빙에 대한 전략을 학교에서 직접 가르치기 위해 고안되었다(Axford et al., 2011). 이전에는 소수의 학생들만이 웰빙과 행복을 어쩌다 우연히 획득하게 되었는데, Bounce Back은 대다수 학생의 웰빙과 행복을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로 명시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Bounce Back은 호주에서 아동의 사회·정서건강에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현재 호주 전역의 초등학교에 대중화되었다(Kidsmatters, 2008; Pearson, 2018). 이후 다른 나라에서도 도입하였고, 영국이나 남아프리카에서도 아동의 사회·정서건강 향상을 위해 널리 사용되어졌다(Axford et al., 2010: McGrath & Noble, 2011). Bounce Back은 전 세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초의 글로벌 긍정교육 프로그램으로 평가되고 있다(Pearson, 2018). 최근 15년간 긍정심리학은 부활(re-emergence)이라고 표현될 만큼 왕성한 연구가 실시되었다(Furlong et al., 2018). 2003년 제작된 Bounce Back은 긍정심리학의 발전 속도에 맞추어 2018년 3차 개정판을 출간하여 심리학적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Bounce Back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에 문제점이 생기고 있다. 왜냐하면 2003년에 만들어진 검사 도구를 아직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도구의 양적 변인은 단일 지표인 탄력성과 유대감 2가지 뿐 이며 통계적 문제가 있는 문항을 포함하고 있다(Axford et. al., 2011). 최근의 긍정심리학은 아동의 사회 정서 건강을 설명하는 데 있어 지표를 단독으로 사용하고 있는 연구에 다른 의견을 보인다. 연구자들은 아동의 사회 정서 건강에 심리학적 단일지표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세트가 되어 동시에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게 되었다(furlong et al., 2018). 이런 연구들은 아동 정신건강을 측정함에 있어 다양한 지표들의 세트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었다(furlong et al., 2018). 이와 같은 이유로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Bounce Back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연구함에 있어 단일변인으로 측정하는 것은 더 이상 설득력이 없게 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아동 발달 연구팀인 Furlong등이 개발한 통합적 지표 세트인 상호활성화(Covitality)를 사용하였다. 상호 활성화(Covitality)란 아동의 다양한 생활 차원의 자산들을 총망라하는 지표로써 아동의 사회·정서적 정신건강을 확인하는 측정도구이다(furlong et al., 2014). 상호 활성화(Covitality)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 일본, 중국, 터키 등 다양한 나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효성이 검증되었다(furlong et al., 2018). Kim 등(2016)의 연구에서는 한국정부의 국가차원 아동 행동정서 검사는 학생들의 취약점만을 측정하여 아동의 긍정적 자산 여부를 측정하지 못한다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국가차원의 아동 사회 정서 검사의 대안적 방법으로 상호활성화(Covitality)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와 제안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중적 자원으로 구성된 상호 활성화(Covitality) 개념에 근거를 두고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설계된 Bounce Back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정서적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다중적 웰빙 자원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성남의 S 초등학교의 5학년 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하여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Bounce Back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사회·정서적 정신건강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효과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Bounce Back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상호 활성화(Covitality)값은 통제집단 아동들의 상호 활성화에 비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추후검사에서도 상호 활성화(Covitality)값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Bounce Back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상호 활성화(Covitality)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검증되었다. Bounce Back이 12개 긍정심리 특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효과성이 특질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실험집단에서 나타난 결과의 양상을 세 가지로 분류해보면, 사후, 추후 검사에 효과성이 동시에 나온 영역과, 사후 검사에는 효과성이 나왔으나 추후검사에서는 효과성이 나오지 않은 영역 그리고 사후검사와 추후검사에서 모두 효과성이 나오지 않은 영역으로 구분된다. 결과에 양상에 따른 특질별 효과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8개의 긍정심리 특질 면에서 사후검사와 이어지는 추후검사에서 효과성을 보였다. 각 특질은 자기 효능감, 자기 인식, 인내, 감정 조절, 공감, 행동 조절, 감사 그리고 낙관성 8개이다. 둘째, 총 3개의 긍정심리 특질 면에서는 실험집단의 사후검사에는 효과성이 나왔으나 추후 검사에서는 효과성이 보이지 않았다. 각각은 가족 지지, 학교지지, 열의(Zest) 3개 변수이다. 셋째, 총 1개의 긍정특질에서 사후검사와 추후검사의 효과성이 동시에 나오지 않았는데 그것이 또래지지 특질이다. Bounce Back이 삶의 만족도, 긍정/부정 정서(PANAS), 우울 불안 스트레스(DASS)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효과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실험집단은 사후 삶의 만족도에서 효과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가 7주 후 추후 검사에서는 효과성이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통제집단에 비교하여 실험집단은 긍정/부정 정서의 사후검사와 추후검사에서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실험집단은 우울 불안 스트레스 사후 검사와 추후검사 모두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았고 측정치는 상승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Bounce Back 프로그램은 아동의 총체적 긍정자산을 향상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검증되었다. 더불어, 총체적 긍정자산이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하위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아동의 전반적인 사회·정서적 정신건강을 설명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구체적인 하위영역의 확인은 아동정신건강을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긍정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는데 기준과 방향을 제공하여 주었다. 예를 들어, 또래 영역 과 긍정/부정 정서 영역은 사후검사와 추후검사에서 효과성을 보이지 않았는데 이 결과를 통하여 5학년 아동이 고통을 겪는 중요한 영역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가족 지지와 학교 지지 영역은 처치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실험집단에서 사후효과성이 나타났는데 이 결과를 통해 아동 내부의 적응체계를 향상하는 것으로도 외부 지지 자원의 부족을 보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일부 취약한 아동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모든 아동들도 정신적 어려움에 대처할 수 있도록 자신의 심리 사회적 정신건강의 취약한 점을 공개하고 삶의 다양한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데 연구의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