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1차 수신사(1876) 김기수의 일본인식과 그 의의

        韓哲昊(Han Cheol-Ho) 한국사학회 2006 史學硏究 Vol.- No.84

        제1차 수신사 김기수는 『일동기유』에 놀라울만큼 자세하고도 정확하게 명치일본의 실상을 기록하였으며, 되도록 주관적 판단을 자제하면서도 은근히 자신의 소감을 적어놓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위정척사상상이 지배적인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김기수가 근대적 제도와 문물에 대한 지식이 적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일동기유』의 내용을 액면 그대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동기유』를 토대로 김기수의 일본인식과 그 의의를 새롭게 평가해보았다. 김기수는 만국공법 체제를 기반으로 전개되고 있는 근대적 국제질서와 외교관상주제도를 알고 있었지만, 이에 입각해서 조일수호조규 후속 조약을 신속하게 처리하자는 일본의 요구를 전통적인 외교관행을 내세워 우회적으로 거부하였다. 당시 개국 논리로 제시되었던 구호회복론과 왜양분리론은 어디까지나 전통적인 중화질서체제의 온존을 전제로 한 것이었지 서구에 대한 문호개방이나 서구적 만국공법체제의 수용을 의미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는 일본정부가 권고했던 러시아견제책의 필요성을 조금이나마 인정하면서도 절실히 받아들이지는 않은 것 같다. 그리고 일본이 조선에 대한 청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양국의 관계 개선 및 강화를 역설했던 반면 김기수는 구호회복론의 시각에서 일본과 우호를 돈독히 한다는 입장을 견지함으로써 조일연대론에 대해 원론적으로 동조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일본을 이적시하는 관념에서 벗어나 우호적으로 바라보기 시작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한편 그는 서양의 기술과 기계를 직접 목격하면서도 가능한 한 자세히 묘사하고 원리를 캐내려고 노력하면서도, 일본의 부국강병 추진에 대해 왕도론적 교화관에 입각해서 비판함과 동시에 조선의 수용 역시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하지만 당시 조선 정계에 반일적 분위기가 여전히 압도적이었던 점, 공개를 전제로 집필했던 『일동기유』에서 자신의 본심을 확실하게 털어놓을 수 없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서양의 제도가 기술을 상세하게 묘사한 자체만으로도 그 실체를 조선의 위정자들에게 정확히 알리고 수용해야 할 필요성과 당위성을 역설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김기수는 서양의 기술과 제도를 수용하기 위해 조일수호조규체결 당시 고종을 비롯한 일부 위정자들에 의해 제시되었던 왜양분리론을 적극 활용하였다. 일본이 서양의 제도와 문물을 받아들이고 있는 실질상 목적을 서양의 침략에 대항하는 데 있다고 파악함으로써 왜양일체론을 부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왜’가 ‘양’과 일체되지 않고서 ‘양’의 제도와 문물을 받아들일 수 있듯이 조선도 간접적으로 ‘왜’를 통해 ‘양’의 근대적 기술 등을 수용할 수 있다는 논리이다. 이러한 논리의 배경에는 일본이 서양식 부국강병을 추지한 결과 몇몇 분야에서 중국보다 낫다는 그의 인식도 크게 작용했다고 추측된다. 이처럼 김기수가 112년만에 일본의 본토를 방문하여 명치일본의 변화된 실상을 최초로 견문한 뒤 집필했던 『일동기유』는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일본에 대한 가장 최신의 지식과 정보를 수록한 책이었다. 따라서 『일동기유』는 유교적 관념론에 집착했던 정계 내 위정자들에게 명치일본의 실상을 올바로 파악하는 계기를 마련해주었으며, 1880년대 개화자강정책을 추진하는 데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Kim Gi-soo concretely wrote the real condition of Meiji Japan and expressed his own view point courteously in Ildonggiyu. Studies until now, emphasizing Kim Gi-soo's little knowledge about modern system and institution, didn't considered the historic condition on those day when Wijeongcheoksanon was pervasive. So, I re-estimate his view of Japan and its meaning on the basis of Ildonggiyu. Though Kim Gi-soo knew the System of Modern International Law, he indirectly rejected Japan's demand on dealing with the Additional Articles and Trade Regulations of Kanghwa Treaty promptly based on that Law by advocating the traditional diplomatic practice. He also slight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restraining Russia which Japan recommended but didn't accepted it seriously. Though Japan emphasized improving and reinfor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however, Kim Gi-soo fundamentally didn't sympathize with the Korean and Japanese Solidarity on the viewpoint of Kuhohoibokron. In addition, he directly saw western technology and machinery and described them as specifically as he can, and criticized Japan's plan to increasing national wealth and strengthening army with Confucianism. However, considering the purpose of writing Ildonggiyu was to open to the public, his detail description itself about western system and culture was to notices the fact to the Korea's politicians precisely and to emphasize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accepting those. For this, Kim Gi-soo positively used Waeyangbulliron. Comprehending that Japan's object of accepting western culture and system was to oppose against the invasion of western society, also Korea, like Japan, could introduce western system and culture into their country. At these logical backgrounds, his recognition that Japan surpassed China in some fields had a great effect. Ildonggiyu is the book which Kim Gi-soo wrote the changed situation of Meiji Japan for the first time, in 112 years after the Tongsinsa's last visit to Japan. It recorde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Eastern-Asia and the latest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Japan. Therefore, Ildonggiyu made an opportunity for politicians to grasp the situation of Meiji Japan, also had a huge influence on promoting the Enlightenment Movement in the 1880'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한국근대사 서술과 역사인식

        한철호(Han Cheol-Ho) 한국사연구회 2005 한국사연구 Vol.129 No.-

        In order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to establish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m, history textbooks, which is the main compass used for secondary level history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compiled in an exact manner. Nevertheless, the historical descriptions and perceptions contained in the 2005 version of the New History Textbook put out by Husosha publishers contains even more distortions than the previous edition. As a result, the level of distrust and conflict between the three countries has been raised to new heights. The New History Textbook published by Husosha publishers has employed the geopolitically-motivated Hanbando wihy?pron (Korea as a dagger in the heart of Japan) theory to justify Japan's inva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the book argues was carried out to maintain Japans independence during the process of building a modern state. The Hanbando wihy?pron is a theory that argues that Japan's security would be threatened if Korea were to fall into the hands of one of its enemies. Therefore, as this theory runs the risk of instilling students with the belief that Korea and China are potential threat to Japan's security rather than viewing them as neighboring countries with whom friendly ties should be established, the descriptions of history based on this theory should be removed. Based on this notion of the Hanbando wihy?pron, the New History Textbook, emphasizes that while China and Russia intended to conquer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onset of the modern era, Japan supported Koreas efforts to modernize itself and reorganize its military system. The textbook also claims that Japan helped prevent Korea from being invaded by other foreign powers in order to assure Japans own security. In addition, the textbook not only tries to cover up or justify the Russo-Japanese and Sino-Japanese Wars on the grounds that they were justified defensive actions, it even glorifies these wars. The perception of history hidden within the Husosha textbook reflects Japan's desire to remilitarize and remove the sense of guilt which has long served to restrain the Japanese. There is no way that future relations between the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can be maintained in a positive manner if such distorted perceptions of history are allowed to take roots among the future generations of Japan. In this regards, the three countries should strive to establish a shared perception of history that can contribute to actualizing peace and prosperity in th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