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무가 연구의 검토와 전만 (2)

        한창훈(Chang Hun Han) 제주학회 2009 濟州島硏究 Vol.32 No.-

        본 논문은 최근 들어 나온 제주도 무가 관련 학위 논문들의 성과와 과제를 검토한 것이다. 이를 중심으로 하여 제주도 무가 연구의 최근 현황을 검토하고, 연구사적 전망을 시도한다. 제주도 무속과 무가의 경우, 자료 자체의 수집 정리는 이미 한계점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다음의 과제는 이러한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의미 있는 이론적 연구 성과를 내놓아야 하는 문제가 된다. 최근 연구 성과는 본풀이 분석을 위주로 하는 문학 연구의 틀을 넘어서, 신앙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 점이 주목된다. 본풀이의 역사적 변이 양상을 치밀하게 다루는 연구도 나왔다. 특히, 제주 신화와 미야코지마 신화를 비교한 연구는 향후 제주도 무가 연구의 방향을 선도적으로 잘 보여준다고 판단된다. 학문의 발전은 단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때문에 최근 주목받는 연구 못지않게 기존의 연구 성과에 대한 비평적 성찰의 중요성은 다시금 강조된다. 자료의 수집 정리에서, 공시적 통시적 과정의 연구, 타 문화권과의 비교 연구로 이어지는 제주도 무가 연구의 흐름은 학문의 발전 과정을 잘 대변해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achievements arid tasks of recent theses for a degree related to shaman Songs in Jeju Island. It attempts to review recent conditions of research on shaman songs in Jeju island based on them, and to present an outloo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research area. As for the shamanism and shaman songs in Jeju Island, it is believed that the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the relevant data have already reached the limit. Thus, the next task is to present significant theoretical 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data. Recent work in Jeju Island s shaman songs is remarkable in that it has intensely addressed the problem of faith going beyond the framework of literary study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Bopuri main story. There are studies that elaborate the aspects of historical changes in Bonpuri. In particular, the work comparing Jeju s and Miyakojima myths well leads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shaman songs in Jeju Island. Academic development is not built in a day. For this reason, emphasis should be given to the importance of the critical examination of the existing work as well as the recent attractive studies. The trends of the research on shaman songs in Jeju Island from the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data, through the study of synchronic and diachronic processes, to the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cultural areas seem to well represent the process of the academic development.

      • KCI등재

        16세기 在地士林 江湖時調의 양상과 전개

        한창훈(Han Chang-hun) 한국시조학회 2005 시조학논총 Vol.22 No.-

        고려 후기 이후 조선조를 거치는 동안, 士大夫라는 특정 집단에 의해 이루어진 江湖時調는, 문학사에서 중요한 미적 범주의 하나로 주목되었다. 본 논문은 이중에서 특히, 16세기 在地 土林의 대표자인 이현보, 이황, 권호문. 장경세의 江湖時調에 나타나는 특징의 양상과 전개를 개괄적으로 살폈다. 이현보, 이황의 江湖時調를 해명하는 데 가장 적절한 개념틀은 道學的 儒敎 根本主義의 속성이다. 道學的 根本主義는 현실 정치에의 참여를 통해서만이 아니라 그로부터의 좌절과 퇴각을 수용하고 스스로를 이념적으로 재충전하는 방식에서도 나타났다. ‘부패한 정치 현실과 완전한 도덕적 이상’, ‘人心과 道心’, ‘俗世와 江湖’ 등의 이분법적 세계관이 그 바탕을 이룬다. 이에 비해 권호문과 張經世의 江湖時調는 상대적으로 政治 現實에 대한 강한 친연성과 관심을 보인다. 그 때문인지 작품에 나타나는 江湖 自然의 형상화는 사실적이고 경험적인 모습으로 드러난다. 이처럼 그들은 시적 형상화의 측면에서도 관념적 성격을 벗어나, 다분히 현실적인 측면에서 江湖自然에의 친연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에 江湖時調의 새로운 국면은 정철에서 좀더 뚜렷하게 나타나고, 신흠과 윤선도에 이르러 더욱 큰 차별성을 드러내게 된다. 이들의 江湖時調는 士林의 정치적 승리 이후 도학적 근본주의 이념의 도전적 변별 가치가 약화된 국면에서, 士林 출신 세력의 정치적 이합에 따라 형성된 분파들 사이의 쟁투로부터 일시적으로 실세하거나 그런 세태를 혐오하는 데서 산출되었다. Studying on the history of korean ancient poetry, we come in contact with a series of verses which "Jejisarim's Kangho Shijo". In the 16th century are the representative works among them. Sarim were involved in the domestic discords so that they brought about severe party strifes after all. "Jejisarim's Kangho Shijo" profoundly dealt with the various problems concerning nature and human beings. Lee. Hyunbo and Lee, Whang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philosophical attitudes of Confucianism. After this. Kyun, Homun and Jang, Kyungse can be largely summarized as the dual theory of reason and spirit. From the standpoint of natural principles, the epistrnology of Confucianism, the theory of reason has characterized by ideality and reality. It can be said that the problem of harmonizing and uniting nature with human beings was solved in the unity of space and man. "Jejisarim's Kangho Shijo" in the 16th century prominently express not only the courses of character cultivation but also the pride and clos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We can say that "Jejsarim's Kangho Shijo" in the 16th century are divided into both types of the conservative idealism and the reformative realism in the political status and that such ships can be separated into types ideality and reality in the philosophical context.

      • KCI등재

        고전문학 ‘교육’ 연구의 방법적 담론과 정체성

        한창훈 ( Han Chang-hu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8 청람어문교육 Vol.0 No.67

        고전문학 교육 연구 논쟁의 가장 큰 문제는, 교육학이라는 문제를 어떻게 풀 것인가에 있다. 이에 따라 인문학적 관점, 사회과학적 관점이 생기게 되고, 필연적으로 방법론의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결국 고전문학 연구 방법과 고전문학 교육 연구 방법은 그 본질이 다르다는 점에 도달한다. 이런 인식은 결국 고전문학이 가르칠 만한 대상이 된다는 점을 전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곧 고전문학이 그 자체의 존재론적 가치 이외에도 교육될 만한 교육적 가치나 속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결론적으로 고전문학교육 연구가 한 단계 더 진전해야 한다면, 연구방법론의 확장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 고전문학교육 연구는 인문학이다 사회과학이다 등의 논쟁은 이 과정에서 별로 중요하지 않다. 기존 학문 체계상으로만 한정하여 본다면, 그것이 인문학인지 사회과학인지 심지어는 자연과학인지에 대한 명확한 판별은 힘들거나, 시각에 따라 무의미하다고 본다. The greatest problem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debate lies on how tot solve the problem of pedagogy. As a result, a humanistic viewpoint and a social-scientific viewpoint are created, and inevitably, the problem of methodology is encountered. In the end, the method of studying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reach the point that their essence is different. This recognition presupposes that classical literature will eventually be an object worthy of teaching. And this means that classical literature has educational value or attribute that it worth being educated other than its ontological value. In conclusion, if the research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should go a step further, extension of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Controversies such as classical lterature education studies belong to humanities or social scieences are not so important in this process. If we limit this to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clearly whether it belongs to humanities, social sciences, or even natural sciences, or it doesn’t matter according to perspectives.

      • KCI등재

        고전문학 교육 텍스트의 전문적 특성과 교양적 성격

        한창훈(Chang Hun Han) 한국고전연구학회 2023 한국고전연구 Vol.- No.61

        전통적으로 대학에서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전문화된 연구에 몰두하고, 여기서 정립된 교육 내용이 중등교육을 통해 확산된다는 인식이 보편화되어 왔다. 그런데 국어교육 자체가 학문 중심적 지식 교육에서 벗어나서 의사소통 중심의 기능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고전문학 교육도 기존의 문학이론과 문학사 중심의 교육 내용에서, 문학이 가지고 있는 언어적 속성을 중심에 둔 교육으로의 점진적 변화가 있었다. 고전문학은 두 가지의 교육적 속성을 갖는다. 하나는 오랜 시간을 걸쳐 전승해 오는 동안 끊임없이 향유되고 재해석되어 현재에도 일정한 정서적 영향력을 갖는 속성이다. 이를 교양적 성격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당대의 삶의 모습을 담지하는 자료로서 문화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사실이다. 이는 고전 텍스트에 대한 문해력의 획득이라는 학문적 위상을 갖게 하였다. 이는 전문적 특성이라는 말로 개념화하고자 한다. 모든 고전문학 텍스트는 그 자체로 내재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원래의 텍스트가 가치 있다고 해서 그것이 곧바로 교육적 가치를 획득하는 것은 아니다. ‘교양’은 일정한 문화 이상을 체득하여 이를 통해 체화된 창조적인 이해력이나 지식을 의미하며, 그 내용은 시대나 민족의 문화 이념이 변함에 따라 달라진다. 고전문학의 교육철학으로 ‘문화’는 역사와 철학을 포괄한 의미를 가졌음을 강조한다. 여기서 문화에 잘 대응하는 개념을 교양이라고 본다. 이때 한국의 경우, 교육과정 구성에 ‘문화’라는 개념어가 주목된다. 일본의 경우, 교육과정 구성에 ‘교양’이라는 개념어가 중요하게 부각된다. 여기서는 이런 양국 간의 차이에 대한 가치론적 평가는 하지 않기로 한다. 양국의 인식 차이는 다 각자 나름의 역사적 배경과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향이 한국의 대학 교육과정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어, 대학의 학부 전공 수업에서도 교육 방법을 새롭게 고민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 결과 기존의 전문적 특성에서 교양적 성격을 강화하는 쪽으로 흐르게 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Traditionally, there has been a general perception that universities are immersed in specialized research that creates new knowledge,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established hereby are spread through secondary education. However,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itself moved away from academic-centered knowledge education and moved to a communication-centered function center,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lso has had a gradual change from the education content focusing on the existing literature theory and history of literature to education centered on the linguistic attributes of literature. Classical literature has two educational properties. One is a property that is constantly enjoyed and reinterpreted while being handed down over a long time, which has a certain emotional influence even today. This can be conceptualized as a liberal arts character. The other is the fact that it shows the original form of culture as a material that contains the appearance of life at the time. This gave it an academic status of acquiring literacy for classical texts. I attempt to conceptualize this in terms of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Every classical literature text has its own inherent value. However, even if the original text is valuable, it does not immediately acquire educational value. ‘Liberal arts’ refers to creative understanding or knowledge that is embodied through acquiring a certain cultural ideal, and its content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or the cultural ideology of a nation. As an educational philosophy of classical literature, I emphasize that ‘culture’ has a meaning encompassing history and philosophy. Here, the concept that responds well to culture is considered liberal arts. At this time, in the case of Korea, attention is paid to the concept term of ‘culture’ i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Japan, the concept term of ‘liberal arts’ is highlighted as important i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Here, I will not make a value-based evalu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because each has its own historical background and reason. This trend comes to affect the university curriculum in Korea, and even in undergraduate major classes at universities, there has been a situation where we are thinking about new teaching methods. As a result,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that flow from the existing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to the strengthening of liberal arts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국 고전문학교육 연구 동향과 전망 - 1980년대 이후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한창훈 ( Han Chang-hu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3 고전문학과 교육 Vol.25 No.-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산출된, 고전문학교육 연구 관련 박사학위 논문을 주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이어 논점이 제기되는 경우는, 학술지의 특집이나 관련 일반 논문들도 그 검토 대상을 확장했다. 지금까지의 연구 흐름으로 보았을 때, 우선 고전문학교육 연구에서 ‘고전’에 주목하는 경우와 ‘문학’에 주목하는 경우로 우선 크게 양분할 수 있었다. 문학 연구가 상정할 수 있는 최종의 단계는 교육에 있다. 따라서 문학교육은 문학 연구의 완성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먼저 이른 시기 고전문학 교육 전공자들은 고전문학 연구와 고전문학 교육 연구를 구별하고, 교육적 의의가 있는 즉 일반성과 보편성을 갖춘 원리 탐구를 지향하는 논문들이 고전문학 교육 연구의 결과물이라 보았다. 더불어 고전문학의 교육철학으로 ‘문화로서의 고전문학’을 말하면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문학이라는 용어의 개념과는 달리 우리 선조들이 사용했던 문학이라는 용어는 역사와 철학을 포괄한 의미를 가졌음을 강조했다. 이 때문에 고전문학 교육 연구의 방향은 고전 작품의 사유 체계와 표현에서 그 보편적인 원리를 추출하고, 이의 현대적 의미와 문화적 효과를 밝히는 것이 된다. 이런 입장은 가면 갈수록 ‘고전’ 보다는 ‘문학’ 쪽으로, ‘문학’ 보다는 ‘문학적’인 것으로 발전하고, 새로운 텍스트의 발굴이나 새로운 해석보다는 교육의 대상으로서의 텍스트의 성격을 강조하는 쪽으로 발전한다. 그리고 이런 면을 최근 수행된 일군의 학위 논문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문학은 그 자체의 존재론적 가치 이외에도 교육될 만한 교육적 가치나 속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고전’에 중심을 둔 것으로, 당대의 삶의 모습을 담지하는 자료로서 문화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는 고전문학 교육이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따라서 작품이 하나의 교육 자료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고전문학 교육 연구의 다른 방향은 이 점에 주목하여 이루어졌다. 다음으로는 실제적인 연구들이 있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하는 문제는 실제 수업 방식과 관련한 것으로, 교육학적 시각과 실제 현장 경험이 유용하게 응용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하는 문제의 경우,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 두 영역은 가르치는 목적에 따라 내용이 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맞물려 있다. 그런데 이 본질적인 부분의 연구가 다른 부분의 연구 성과보다 빈약한 상태에 있다. 앞으로의 과제는 우선 상대적으로 부족한 영역에 대한 연구가 보충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사회과학적 방법론을 포함한 새로운 고전문학 교육 연구 방법론에 의거한 연구들이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Doctoral dissertation papers related to th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produced until now were reviewed in this paper. Then, if any issue was raised, the review was extended to special editions of academic journals or general research papers. On the basis of research trends so far,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focusing on 'classic' and 'literature'. The final step of introducing the study of literature is education. Thus, an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is important for the completion of the study of literature. First, early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majors distinguish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from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and evaluate the research papers, which explore the principals and have characteristics of generality and universality, as the result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research. In addition, they mentioned 'classical literature as culture’and emphasized that the terms of literature which our ancestors used contain comprehensiv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s in contrast to the terms of literature used today. Because of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to extract universal principles from the systems of thinking and expression found in classical literature and to identify contemporary meanings and cultural effects. This position has developed from 'classics' to ' literature' and is becoming more 'literary' rather than 'literature' as time passes. In addition, it there has been a shift towards more emphasis of the nature of the text as an object of education rather than the excavation of new texts or new interpretations. These aspects, too, can be seen in the dissertation papers review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Classical literature has an educational value or property which can be used for education in addition to its own ontological value. This is based on 'classic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it shows the archetype of culture as a material impregnated with the appearances of the life of the times. It also demands that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based on historical facts; thus, it functions as one of the sources of educational material and studie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aiming in different directions should therefore pay attention to this point. Next, there is actual research. The problem of 'How to teach' is related to actual teaching methods. There is a point where pedagogical perspective and actual experience in the field can be applied usefully. But, relatively speaking,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research into 'Why? and what to teach?'. These two areas are interconnected because content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teaching. But, this essential part of the research contains weaker points than any other areas of the study result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upplement with a study on the relatively weaker areas. It is expected that many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methodology of new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cluding social scientific methodologies.

      • KCI등재
      • KCI등재

        『탐라문견록』에 나타난 제주인의 동아시아 인식과 그 의미

        한창훈(Chang Hun Han) 제주학회 2012 濟州島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18세기 정운경이 남긴 『탐라문견록』을 자료로 하여, 이 시기 제주인의 실제 체험을 통해 파악된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간략한 인식의 지형도를 그려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운경(1699~1753)은 제주 목사로 부임하는 아버지를 따라 제주도에 처음 왔다. 낯선 땅에 온 정윤경은 뜻밖에 많은 제주 사람들이 일본과 대만은 물론, 멀리 베트남까지 표류·표착하다가 다시 돌아왔다는 사실을 알고, 이들을 하나하나 만나 인터뷰하고 그 내용을 기록으로 남겼다. 이런 기록들은 하나로 모은 것이 바로 『탐라문견록』이다. 『탐라문견록』의 분량은 들락날락하지만, 표류 날짜, 지점, 송환 경과 등이 비교적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제보자가 기억하는 것은 최대한 꼼꼼하게 정리한 점이 대단히 특징적이다. 국가간 외교 접촉이 극히 제한적이던 18세기 당시, 이런 표류는 민간에서 해외 문화를 체험하는 유일한 통로가 되었다. 해양 활동의 증가와 어업 및 교역의 활성화로 나라마다 빈번한 표류 상황이 발생했고, 이들의 구조와 송환 과정에서 외교적 관계가 부각 되었다. 우리의 경우, 일본과 비교하여 보면, 개별적인 기록은 많이 있지만 체계적인 정리 작업은 되어 있지 못하다. 때문에 『탐라문견록』의 가치가 여기서도 발견된다. 『탐라문견록』에 따르면, 당시 제주인들이 바다로 나가는 경우는 탐험, 모험 등은 없고, 교통 혹은 장사를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들은 표류시 일반적인 의사소통은 필담을 통해 하였다. 당시 동아시아 특히,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은 한문 문화권에 속했고, 과거 제도를 실시하는 나라였으므로, 한문을 통한 필담이 큰 문제가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대부분 송환은 중국을 거쳐 조선으로 보내지는 절차를 밟았는데, 이 때 명의 연호를 사용하는 문제가 큰 걸림돌이 되었다. 그리고 특히 조선의 경우, 송환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갖추어져 있지 않았다. 대만이나 류쿠, 안남 등지의 낯선 풍속과 일본인들의 생활상 등 표류민들의 다양한 해외 체험 및 관찰 기록이 전해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brief topography of Jeju people`s recognition of the East Asian region as was grasped via their actual experiences in the 18th century with Jeong Un-gyeong`s Tamramungyeonrok A Description of Jeju as its principal material. Jeong Un-gyeong(1699~1753) came to Jeju Island along with his father, who took office as governor fo Jeju. In this strange island, he unexpectedly learned that many of Jeju people had returned home after drifting even some far distant Vietnam land as well as Japan and Taiwan, and hence interviewed each one of them to make records of their experiences. What was resulted from the collection of such records was Tamramungyeonrok. The contents of Tamramungyeonrok are not uniform, but it has comparatively detailed descriptions of datas of drifting points of events, processes of return. It is unique to the effect that Jeong tried to writh what the informants remembered as carefully in detail as possible. In the 18th century, when international contacts were extremely limited, such drift cases were the only route to common people`s experiencing foreign cultures. There occurred frequent events of drift across various countries due to increase in oceanic activities and activation of fishing and trade, and hence diplomatic concern was prominent in the course of the salvation of drifters. In the case of Korea, compared with Japan, though there were lots of individual records, systematic compilation was not yet attained. The value of Tamramungyeonrok lies in this fact. According to Tamramungyeonrok Jeju people were involved in trading or traffic not in expedition and adventure when they proceeded to the sea. They generally communicated in writing when they encountered foreigners due to drifting. At that time, as East Asian countries, especially Korea, China, Japan, and Vietnam, belonged to the culture of Chinese classic literature and enforced the system of national examination, communication in writing was not a big problem. However, most of returning processes were through China to Joseon, in which case the use of Ming`s chronological title was a big trouble. In particular, Joseon was not equipped with an administrative system of return. Records of various overseas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have been transmitted including strange customs in Taiwan, Ryukyu, Vietnam etc, and Japanese life aspects.

      • KCI등재

        판소리 문학사에 있어서 <게우사>의 위상 (The Status of <Gewusa> in the History of Pansori Literature)

        한창훈(Han Chang Hun) 국어문학회 2009 국어문학 Vol.46 No.-

        <Gewusa> is not a Pansori song version but a novel version. Pansori based novels are reading materials transcribed or printed to be read, and include all alternative versions. The title <Gewusa> is also a clue to the fact that the novel originated from <Musuki Taryeong>. The weakening of the function of inserted poetry, which is one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Pansori, suggests that the work was transformed into a novel. Inserted poetry is for drawing the audience's sympathy in the field of performance. Thus, it is considered a natural phenomenon that inserted poetry, which is not so important in a novel version, was omitted or replaced with narrations. With regard to narration techniques as well, the dialogue part of <Gewusa> maintains many of the characteristics of its song version, but the other parts are closer to a novel than to the song version. Assuming that <Gewusa> was transcribed in 1890, we can infer that it was rewritten and its transcribed version was distributed in the trend of transition of Pansori narrations into novels. With regard to its relation with song <Gewusa>, the relation was inferred from hypothesizing transformation not from a song to Pansori or Pansori style novel as in the commonly held opinion but in the opposite direction. However, this part is considered to require further discussion.

      • KCI등재
      • KCI등재

        고전시가 교육에 있어서 ‘해석’의 문제

        한창훈(Han Chang-hun) 한국비평문학회 2009 批評文學 Vol.-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is ‘interpretation’ in the education of classic poetry, and what we should keep in mind in order to apply it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cently, the literary education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a learner’s cognitive process in the course of reading while it positively considers the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learners at the same time. It is admitted that ‘interpretation’ as such is fulfilled at the step following ‘sympathy’ in literary reading. The status of the education of class poetry comes not from the past but from the present.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presentize the past texts, which is, that is to say, the ‘interpret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is task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rocess for adjusting the texts to the reader’s level, which in turn appears as the work of translation, annotation etc. Texts in the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used in the sense that it covers all the steps that occur just before the reader reaches the feeling or aesthetic responses after he/she has read a work. While the activities occurring here is said to be ‘interpretation,’ all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ccurring the step of the education of classic poetry should be regarded as activities of ‘interpre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