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그문트 바우만의 액체근대 특성을 기반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두 세계」에 관한 연구

        한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apid progress of modern information society is causing changes in the quality of human life due to changes in human lifestyles, the emergence of new communication format, and formation of cyberspace, Society has become more open and diversified due to the technology that enabled transcendence of time and space, and people experience countless possibilities of human relationship through SNS(Social Network Service) as technology became more common. Specially, today's society has gone beyond online into an ontact culture as online relationships became more inevitable than offline due to the global pandemic. This made people more dependent on virtual space than on real space and led to temporary and superficial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 Zygmunt Bauman(1925-2017), a Polish sociologist who foresaw this negative change in society, has diagnosed that liquidity, uncertainty and instability of society has intensified by rapid changes from post-modern to contemporary period in his book 『Liquid Modernity』(2000), and critically analyzed this liquid modern society. He predicted that the weight of virtual relationship mediated by modern people's technology would exceed that of reality, and pointed out that this online relationship gradually leads to one-off short and shallow relationships and weakens the bond between humans. However, despite the negative aspects of technology parameter, technology has become an indispensable means in the post-Corona era.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al aspect that has changed around characteristics of Baumann's liquid modernity and choreographed the dance creation 「Two Worlds」 (2020) based on the ambivalence of technology. Through this, this study intended to convey that relationships and community can be restored by focusing on the fluidity, scalability, and immediatelyness of changing society that has become more convenient to make a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faster to relate to others. To this end, this study organized the work into total 3 chapter and analyzed by dividing the theme and contents, the path and movement of dancers, and the meaning of objects and costumes according to each scene. Part 1 expresses how people make limited face-to-face relationships because of the insurmountable space and time under the theme 'solid relationship.' The space behind the stage was set as the space for solid relationship, and completely revealed time and space of being isolated from others using a separated square lighting on water and sewage. The red string placed behind water is an objet that symbolizes the bond with the dancer B and expressed the solidarity and limitation of solid relationships through the energy that holds a mutual string and moves. Dancer A repeatedly makes a movement of pushing the arms and legs together with strong force and of moving around by holding the body at a lower level to reveal a strong will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olid relationship with weight. However, as physical limitation becomes more difficult to overcome, the obsession with relationship solidarity increases, and the flicker phenomenon of lighting was used to visually represent emotional agitation. Then when Dancer A tries to take off a black jacket that symbolizes the repressed atmosphere of solid society, repetitive heavy and dark electronic sound was used to reveal the closed and fixed characteristics of solid modernity. Part 2 showed a human being feeling confused and lethargic about the irresistible changes caus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under the theme 'liquid relationship.' To express a state in which the boundary between space and time gradually breaks down, the space set in the center of the stage was expanded and used circular blue lighting and wave pattern gobo lighting to reveal the liquid nature of society. Also, the ambiguity of society and the unstable psychology of individuals were meant to be emphasized by making a fog effect of spreading disorderly in space to indicate the liquidity, instability and uncertainty of society. As chaos escalated, Dancer A tried to show that there is a growing sense of insecurity in society where order and norms are lost at the same time as freedom is gained by moving through the fog spreading all over the place and making rapid rotations and high leap movements along the curved path. Music begins with the sound of waves sweeping everything in society that leads to a sinking sound and the sou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gets overlapped. Through this, the liquidity of society was meant to be highlighted and to express the image of human abyss facing high technology at the base of various changes in society. In the second half, it was emphasized that human anxiety had reached its peak as a lot of overlapping sounds were heightened by an unknown sound effect and through an atmosphere of contrast that quickly switches to silent state. Under the theme 'Virtual Relationship,' Part 3 expressed a human being experiencing immediacy and virtuality that appear when the time and space of relationship expand indefinitely through metaverse. The entire stage was used to show the extension of relationship, and symbolically revealed the hypothetical connection of relationships through technology through the green laser in front of the stage. This is when Dancer B, who symbolizes others, appears and Dancer A enjoys a sense of autonomy and liberation by bonding and making friends with others regardless of physical distance. To indicate this, the two dancers intended to show visually how people feel connected and maintain a relationship over a long distance by moving quickly and lightly or leaping high to create an atmosphere of joy and hope or moving diagonally in an extended path and making face-to-face actions, In the second half, however, Dancer A, who was left alone when Dancer B suddenly disappeared, shows the dark side of the immediacy of relationships by expressing futility and solitary psychological state. This is of revealing the temporary and superficial negative aspects of technology-driven relationships, and the performance ends by helping to reveal the ambivalence of online relationship as music starts with a bright and light piano melody that signifies new possibility of change and then slows down. As said, the researcher developed a message of communion and sharing in the language of dance by raising the issues in the dance creation「Two Worlds」 under the theme of the ambivalence of human relationships given by a society that has changed by technology. This study intended to point out that aspects of relationship in society change depending on who we communicate with and what we communicate for in new normal society, and to convey that it is important for acceptors and users of technology to play the role well by putting a sense of critical distance to restore relationship and community even if the physical distance is extended. 현대 정보화사회의 급속한 진전은 인간의 생활양식의 변화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형태의 등장, 사이버스페이스의 형성에 의해 삶의 질적인 측면에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시공간의 초월을 가능하게 만든 기술로 사회는 더욱 개방되고 다양화되었으며, 기술이 점차 보편화되어 가면서 사람들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하며 무수히 많은 인간관계의 가능성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에는 세계적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관계가 불가피해지면서 사회는 온라인을 넘어 온택트(Ontact) 문화로 접어들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현실공간보다 가상공간에 더욱 의존하게 되면서 이들의 유대관계는 일시적이며 피상적으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사회의 부정적 변화를 예견했던 폴란드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Zygmunt Bauman, 1925-2017)은 그의 저서 『액체근대』(2000)에서 후기근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시기의 급격한 변화로 사회에 유동성, 불확실성, 불안정성이 심화되었다고 진단하고, 액체근대의 사회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그는 현대인들의 기술을 매개로 한 가상관계의 비중이 현실의 것을 넘어설 것이라 예측했고, 이러한 온라인 관계는 점차 짧고 얕은 관계의 일회성을 초래하여 인간들 상호간의 유대를 약화시킨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기술 매개의 부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기술은 없어서는 안 될 수단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바우만이 『액체근대』에서 주장한 사회의 특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사회의 부정적 현상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러한 특성에 의해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친 기술의 양면성을 고찰하고자 무용창작작품 「두 세계」(2020)를 안무하였다. 작품을 통해 사회의 유동성, 확장성, 즉시성에 의해 변화한 인간관계를 재고함으로써 이에 대한 부정적 경향과 공감적 이해를 통해 미래지향적 인간관계의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총 3장으로 구성된 작품의 각 장면을 주제 및 내용, 무용수의 이동경로 및 움직임, 오브제와 의상의 의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장은 ‘고체적 관계’를 주제로 하여 제한된 시공간에서 사회적 질서와 규범에 익숙한 인간관계의 장벽에 부딪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인과의 단단한 결속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무대 뒤쪽 고체적 관계의 공간에서 상수와 하수로 분리된 사각조명을 사용하여 제한된 시공간을 가진 사회와 인간의 모습을 단적으로 드러내었다. 상수 뒤쪽에 배치한 붉은 끈은 타인을 상징한 무용수 B와의 유대관계를 이어주는 오브제로 사용하여 두 무용수가 상호 끈을 잡고 움직이는 에너지를 통해 고체적 관계의 결속성과 제한성을 표현하였다. 음악은 무겁고 어두운 느낌의 반복적인 전자음을 사용하여 고체근대의 폐쇄적이고 규범적인 특징을 드러내는데 효과를 더하였다. 2장은 ‘액체적 관계’를 주제로 하여 급격한 기술의 발달로 생겨난 저항할 수 없는 변화에 혼란과 무기력함을 느끼는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사회적 현상인 유동성, 불안정성, 불확정성을 나타내기 위해 공간에 무질서하게 퍼지는 포그(fog)로 효과를 주어 사회의 모호함과 개인의 불안한 심리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음악은 사회의 모든 것을 휩쓸고 갈 듯 한 파도소리에서 물속에 가라앉는 듯한 소리로 이어지는데 여기에 전자기기 소리를 중첩시켜 사회의 다양한 변화의 기저에서 첨단기술과 마주하는 상태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3장은 ‘가상적 관계’를 주제로 하여 메타버스(metaverse)안에서 관계의 즉시성, 가상성을 경험하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확장된 유대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무대 전체공간을 사용하였고, 초록색 레이저(laser)를 통해 기술에 의한 관계의 가상적 연결성을 상징적으로 드러내었다. 무용수 A는 무한히 확대된 시공간에서 연결되는 인간관계로 일시적인 자율감과 쾌락을 느끼지만 가상의 연결 속에 즉시 사라진 변화된 인간관계로 인해 허무함과 회의감이 커지고 고체적 관계성의 소중함을 다시 깨닫게 된다. 음악도 변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드러내는 밝고 가벼운 피아노선율과 점차 느려지는 템포가 대조를 이루며 온라인 관계의 양면성을 드러내는데 효과를 더한다. 이와 같이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 「두 세계」를 통해 오늘날 소통의 주체인 우리가 누구와 무엇을 위해 소통할 것인가에 대한 인식과 실천하는 자세에 따라 사회 속 관계의 양상은 달라진다는 점을 밝히며, 물리적 거리는 확장되어도 인간의 유대관계와 공동체성 회복을 위해서는 비판적 거리감을 두고 기술의 사용자가 그 역할을 잘 감당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전하고자 하였다.

      • 계절 변화에 따른 습지 퇴적토 내 질소 환원 특성

        한지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습지는 대표적인 지하수의존생태계 중 하나로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기작 통해 수체 내 질소와 같은 영양염류를 처리하거나 제거하는 등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생태계로써 그 가치가 높다.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로 증가된 홍수 및 가뭄을 포함한 계절 변동은 습지의 수문학적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수리학적 변화는 습지 퇴적토의 산화환원조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습지 내 질소의 생지화학적거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는 습지의 수리적 특성 변화와 계절 특성 변화에 따른 질소의 생지화학거동 연구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절에 따른 습지 퇴적토의 질소 환원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한 백석제습지에서 PA와 PB 두 지점에서 계절별 (2019년 6월, 12월) 및 심도별 (0~50 cm 깊이) 습지 공극수와 퇴적토를 채취 하였다. 공극수의 이화학특성 (질소화합물, DOC, SO42-, S2-, Fe2+), 퇴적토의 이화학 특성 (수분함량, NH4-N, NO3-N, pH) 및 탈질 속도 (잠재적 탈질율)와 질소 환원 관련 유전자 (narG, nirS, nosZ, nrfA) 및 미생물 군집 특성 분석을 수행하여, 계절에 따른 습지 퇴적토의 질소 환원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 지역의 공극수 DOC 농도는 식물 성장으로 인해 12월 보다 6월에 더 높은 농도로 나타났으며, 질소화합물은 NO3-N보다 NH4-N가 더 우세하게 나타났다. 퇴적토의 잠재적 탈질율은 6월과12월에 PA 지점은 각각 2.67–4.67, 3.13–15.13 ng N2O/g/hr 범위이고, PB 지점은 1.77–6.30, 3.60–6.30 ng N2O/g/hr 범위로 두 지점 모두 6월 보다12월에 더 높게 관찰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탈질 유전자 (narG, nirS, nosZ)도 12월에 더 높게 관찰되었다. 잠재적 탈질율은 수분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6월 보다 12월에 침수되어 있던 환경이 상대적으로 높은 퇴적토의 수분함량을 야기하여 12월에 더 높은 잠재적 탈질율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탈질 관련 유전자 보다 DNRA (Dissimilatory nitrate reduction to ammonium)에 관여하는 유전자 (nrfA)가 더 높게 관찰되었는데, 이는 본 연구 지역에서는 탈질 보다 DNRA가 더 우세 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미생물 군집은 계절에 따 라 심도별로 서로 다른 군집이 나타났다. PCA 결과, 잠재적 탈질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는 공극수의 경우 SO42-, 퇴적토의 경우 수분함량으로 나타났다. 미생물의 경우 Class 수준의 Verrucomicrobia와 Bacteroidia와 유전자의 경우 narG와 nosZ와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질소 환원과 관련된 생지화학적요인들은 계절에 따른 습지의 수리수문학적 특성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2월에 6월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탈질 기작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질소 환원의 여러 기작 중 탈질을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복잡한 질소 환원을 생지화학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규명하기 위한 다른 질소 환원 기작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Wetlands are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groundwater-dependent ecosystems, and are highly efficient ecosystems that can treat or remove nitrogen from water bodies, through various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However, seasonal variation, including recent increases in the frequency of floods and droughts have affected the hydrological environment of wetlands. Furthermore, these effects may result in changes in redox conditions in the nitrogen biogeochemical process in wetland sediments. However, the seasonal variation in nitrate reduction in wetlands resulting from hydraulic change have not been fully understand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nitrogen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wetland sediment with different sediment depths. For this purpose, sites PA and PB were selected in the Baekseok reservoir wetland located in Gunsan, Jeollabuk-do, and wetland porewater and sediments with different depths were collected in June, and December 2019. The pore water chemistry (nitrogen compounds, DOC, SO42-, S2-, Fe2+), the potential denitrification rate of sediment, and sediment chemistry (soil moisture content, NH4-N, NO3-N, pH), nitrogen reduction related functional genes (narG, nirS, nosZ, nrfA) and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were analyzed to compare the seasonal nitrate reduction characteristics in the wetland sediment. The reults showed that DOC concentration in porewater was higher in June than in December due to plant growth, and NH4-N was more dominant species in nitrogen compounds than NO3-. The potential denitrification rates of PA sediments in June and December were in the range of 2.67–4.67, and 3.13–15.13 ng N2O/g/hr, and the PB sediments were in the range of 1.77–6.30, 3.60–6.30 ng N2O/g/hr, respectively. The higher potential denitrification rates were observed in December than June. The denitrification-related genes (narG, nirS, nosZ) were also higher in December. In addition, the potential denitrification rat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oisture content, which was suggested to have a higher potential denitrification rate in December because the environment that had been flooding in December caused a relatively high soil moisture content than in June. Genes involved in DNRA (nrfA) were higher than those related to denitrification, suggesting that DNRA may be more dominant than denitrification in this study area. Microbial community showed different community depending on the season and depth. The PCA showed that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potential denitrification rate were SO42- for pore water and moisture content for sediment. For microbial factors, it was found to be affected by Class level Verrucomicrobia and Bacteroidia, and genes for narG and nosZ. This study suggensted that the biogeochemical factors related to nitrate reduction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seasonal wetland characteristic. This study focused on denitrification among several mechanisms of nitrate reduction, but in the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other nitrate reduction mechanisms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to understand and identify complex nitrate reduction in the wetland.

      • 팜므 파탈 이미지 헤어스타일 연구

        한지연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세기말 예술가들의 회화의 소재 중의 하나로 사용되었던 요부형의 이미지인 팜므 파탈에 내재된 의미를 살펴보고, 영화와 패션과 연계하여 헤어스타일에 재현되고 있는 이미지를 연구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다양한 문화에 나타나고 있는 팜므 파탈은 반복적인 모방과 응용 및 변화를 통해 그 이미지를 생산해 내고 있는데 이러한 이미지 표현에 있어 영화, 패션,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등에서의 표현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회화에 표현된 팜므 파탈이 20세기에 재현되고 있는 이미지를 미학적 관점에서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I장의 서론에 이어 II장에서는 팜므 파탈의개념과 사회ㆍ문화적 배경, 19세기 회화ㆍ영화ㆍ패션에서 표현된 팜므 파탈을 고찰하였고, III장 결과 부분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고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팜므 파탈 이미지가 재현된 헤어스타일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문헌 자료인 미용문화사 및 관련서적, 미술사 관련서적, 뷰티 관련 사진 자료 등을 통해 살펴보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과 사진 자료등을 첨부하여 20세기 재현되고 있는 헤어스타일에 관해 연구하였다. 그결과 팜므 파탈의 이미지가 헤어스타일에 적용하게 되었다. 첫째, 회화에서 표현된 헤어스타일은 그 이미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롱 길이의 스트레이트 헤어와 웨이브가 적절히 조화된 헤어스타일이 팜므 파탈의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영화에 표현된 헤어스타일은 주인공의 캐릭터에 따라 다양한 헤어스타일이 연출되고 있었는데, 보브 스타일과 전체적으로 굵게 세팅한 느낌의 퍼머넌트 웨이브가 팜므 파탈의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패션에 표현된 헤어스타일은 과장된 스타일과 내추럴한 스타일이 공존하여 나타나고 있었는데, 펑크스타일, 블레이드, 백콤으로 양감을 준헤어스타일과 스트레이트와 컬리 헤어 등을 들 수 있다. 넷째, 20세기에 나타난 헤어스타일은 다양화된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는데, 보이쉬하게 짧은 헤어스타일과 관능미를 강조하는 하드한 라인의 보브 스타일, 내추럴 하면서 부스스하게 손질하지 않은 듯한 웨이브와 굵게 세팅한 웨이브 등이 팜므 파탈의 이미지로 다양하게 연출되고 있었다. 본 논문을 연구하면서 팜므 파탈의 이미지가 재현되고 있는 부분을 연구범위로 분석하였으나, 분석 대상 시기의 사진 자료 및 이러한 이미지가 헤어스타일에 구체적으로 접목시킨 선행 논문이 없는 관계로 연구가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었으며, 분석 대상이 다소 광범위하게 설정됨으로서 상호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제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팜므 파탈의 이미지를 헤어스타일에 국한하여 표현 하였으나, 헤어스타일 위주가 아닌 패션, 메이크업을 다룬 분야가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21세기에 관한 연구는 보다 더 복합된 트렌드에 맞춘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treatise looks out over the intrinsic meaning of "Femme Fatale", which is temptress image that was used as one of subject matters for paintings by artists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studies the "Femme Fatale" images which have reappeared in a film or fashion through hair-style. The "Femme Fatale"that we can find from a diversity of culture creates the own image through the repeated imitation, application, or variation and so forth. When it comes to the way of an image creation, We can not help neglecting the expression of "Femme Fatale" in a film, fashion, make-up and hair-style. In fact, "Femme Fatale" plays a pivotal role in the fields mentioned above. Therefore, in this treatise, I would like to study the images of "Femme Fatale" -that appeared in 19th paintings and reappear in the 20th century- from a point of aesthetic view Following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will show the concept of "Femme Fatale"and social, cultural background of the one, and the consideration of "Femme Fatale" in a film, fashion, make-up and hair-style. In chapter 3 (conclusion), I analyzed the reappeared image of "Femme Fatale"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from theoretical background. The method of study : I studied this from the documents such as cultural history of beauty, art history, pictures and photographs related with beauty. I attached these visual materials for your easy understanding. First, hair style expressed in paintings varies depending on its image. Long straight hair style in harmony with wave hair represents femme fatale images. Second, a variety of hair styles are shown in movies according to main characters. Bob style and permanent wave with setting perm represent femme fatale images. Third, both exaggerated and natural hair styles exist in fashion, for example punk style, blade, voluminous hair styles using backcomb, straight and curly hair. Last but not least, various images of hair styles are introduced in the 20th century. For example, femme fatale images are shown in many different hair styles such as short hair style with boyish images, hard line bob styles with focus on voluptuous beauty, natural wave and wave setting. Given the above four cases, femme fatale images are expressed in many different hair styles such as radical hair styles, hard line bob styles, long straight hair styles, permanent wave and bushy hair with an emphasis on hair texture as shown in paintings, movies and fashion. I have analyzed the area in which the image of "Femme Fatale" reappears. But, I had a difficulty of finding not only the pictures of "Femme Fatale" in 19^(th) century but alsoprecedent treatises dealing with hair-style related with the images. In addition, I admit that there is some deficiency in my study arising from a wide scope of the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we need to study more and continuously about other field such as fashion, make- up and so forth, In my opinion, if we study "Femme Fatale" in 21th century, We will have to focus on the more complicated trends.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가 구강위생과 치아우식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지연 단국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one of children’s disorders observed commonly at a preschool or school age and is characterized by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and impulsiveness. Due to core symptoms of this disorder, children having ADHD are highly likely to show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experience behavioral problems as well as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social relations. The prevalence of ADHD has been reported variously between 5‐10%, and 6.5‐13.25% of Korean children are reported to have this disease. It has been reported that ADHD affects oral health behaviors and dietary habits, worsens oral hygiene, and consequently increases dental caries experience. However, the number of related studies is small and most of small‐scale studies have been cross‐sectional. In addition to these limitations, relevant studies are quite rare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ADHD on oral hygiene and dental caries by surveying oral health behaviors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DHD symptoms.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ental caries experience according to change in ADHD symptoms through follow‐up.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with 1,579 children aged between 7‐13 who gave their consent to oral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on ADHD during the period from 2008 to 2010. In particular, 531 children surveyed in 2008 were followed up in 2010. In the cross‐sectional study, among 1,579 subjects, 1,562 with permanent teeth and 1,247 with deciduous teeth were used in the valid sample. In the follow‐up study, among 531 subjects, 515 with permanent teeth and 325 with deciduous teeth were used as valid sampl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Among oral health behaviors surveyed in the cross‐sectional study, only 59.2% of children with ADHD symptoms brushed teeth before going to bed while 76.0% of children without ADHD symptoms did,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arithmetic mean of the Plaque Index was 1.39 in children with ADHD symptom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1.20 in children without ADHD symptoms. The arithmetic mean of ds index was 2.30 in children with ADHD symptoms, which 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1.22 in children without ADHD symptoms. Based on the Plaque Index, the subject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under 1.0, between 1.0‐1.4, and over 1.5), and the effect of ADHD on the Plaque Index was analyzed through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odds ratio for children with ADHD symptoms to show Plaque Index of 1.5 or higher was 1.97 times (95%, CI: 1.13‐3.41). When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ds index (0, 1‐3, and over 4) and the effect of ADHD on ds index was analyzed through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 for children with ADHD symptoms to show 4 or higher was 1.91 times (95%, CI: 1.11‐3.28). During the follow‐up, DMFS index increased by 0.75 (from 2.08 to 2.83) in children who maintained ADHD symptoms during the period, and by 0.48 (from 1.31 to 1.79) in those without ADHD symptom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presented above, it was found that ADHD has an effect of oral health behavior, worsening oral hygiene and increasing dental caries experience. Thu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ADHD.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는 학령전기 또는 학령기에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아동기 장애 중 하나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및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이 장애를 가진 아동들은 ADHD의 핵심증상들로 인해 학업 성취도가 낮아지고 품행문제와 사회적 관계형성의 어려움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ADHD의 유병률은 5~10% 정도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아동의 6.5%~13.25%가 이 질환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ADHD가 구강보건행태와 식이습관에 영향을 미치고 구강위생을 악화시켜 치아우식경험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들이 있다. 그러나 아직은 연구수가 많지 않고 대부분 소규모 연구대상에서 단면조사의 형태로 수행되었다는 제한점이 있으며, 특히 국내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ADHD 증상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행태와 식이습관을 조사하여 ADHD가 구강위생과 치아우식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또한 추적조사를 통하여 ADHD 증상 변화에 따른 치아우식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구강검사와 ADHD 설문조사에 동의한 만7세~만13세 아동 1,579명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하였다. 이 중 2008년 조사한 531명은 2년이 지난 후인 2010년에 추적조사 되었다. 단면연구에서는 1,579명 중에서 영구치가 있는 연구대상 1,562명과 유치가 있는 연구대상 1,247명을 구분하여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추적조사 연구는 531명중에서 영구치 연구대상 515명, 유치 연구대상 325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단면연구에서는 구강보건행태에 대한 조사 중 ADHD 증상이 있는 아동의 59.2%만이 잠자기 전 잇솔질을 하여 ADHD 증상이 없는 아동의 76.0%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 실천율을 보였다. ADHD 증상이 있는 아동의 치면세균막 지수 산술평균값은 1.39점으로 ADHD 증상이 없는 아동의 1.20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ADHD 증상이 있는 아동의 우식유치면지수 산술평균은 2.30면으로 ADHD 증상이 없는 아동의 1.22면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치면세균막 지수를 1.0점 미만, 1.0점 이상 1.4점 이하, 1.5점 이상 세 군으로 나누어 다항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ADHD가 치면세균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분석하였을 때 ADHD 증상이 있는 아동이 치면세균막지수 1.5점 이상을 나타낼 비차비는 1.97배(95%, CI: 1.13-3.41)로 나타났다. 우식유치면지수가 0면, 1면 이상 3면 이하, 4면 이상 세 군으로 나누어 다항형 로지스틱을 이용하여 ADHD가 우식유치면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을 때 ADHD 증상이 있는 아동이 우식유치면지수가 4면 이상일 비차비는 1.91배(95%, CI: 1.11-3.28)로 나타났다. 추적기간 동안에 ADHD 증상이 계속 유지된 아동의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가 0.75면(2.08면에서 2.83면) 증가하여 ADHD 증상이 없는 아동의 0.48면(1.31면에서 1.79면)보다 더 많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가 구강보건행태에 영향을 미쳐서 구강위생을 악화시키고 치아우식경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결과를 기반으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생활체육 참여자의 활동 만족이 스포츠 TV 시청동기와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지연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 참여자의 활동 만족이 스포츠 TV 시청동기와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송매체로서의 TV의 역할은 평생교육의 장을 제공하므로 현대인의 문화생활을 풍요롭게 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특히 TV프로그램 중에서 스포츠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커지는 경향으로 일반인은 물론 청소년들의 스포츠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고 있다. 따라서 수도권 지역의 생활체육 참여자의 일반 성인 대상으로 생활체육 참여 활동만족이 스포츠TV 시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비교,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3년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생활체육참여자로써 일반 성인 3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문항은 연구 목적에 맞게 설문내용을 수정․보완 하였으며, 연구주제와 설문 내용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설문문항은 총 48문항으로, 5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s)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자료처리방법으로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활동만족 중 시청동기는 시설, 교육, 심리, 사회, 신체 요인 순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1). 다음으로 시청의도는 생활체육 참여자의 활동만족 중 심리, 신체, 사회, 시설, 교육 순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1).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활동만족이 TV스포츠 프로그램 시청동기에 미치는 영향으로 생활체육 참여자의 활동만족 중 교육, 시설, 심리 순으로 시청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체육 참여자의 활동만족이 TV스포츠 프로그램 시청동기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 요인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자의 활동만족이 TV스포츠 프로그램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생활체육 참여자의 활동만족 중 신체, 시설, 사회, 심리, 교육 요인 순으로 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체육 참여자의 활동만족이 TV스포츠 프로그램 시청의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 요인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나타났다(p<0.1).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생활체육 참여자의 활동 만족이 스포츠TV 시청동기와 의도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타인에게 추천하는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수많은 생활체육의 활성화가 되고 있으나 스포츠TV의 프로그램은 한정적이어서 안타까울 뿐이다. 스포츠TV방송 활성화를 위하여 경기의 규칙이 대중화를 이룰 수 있도록 수정․보완하고, 다양한 이벤트를 활용한다면 스포츠 방송을 시청한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활동지속과 추천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아사이베리 과편의 제조조건 최적화 및 품질특성

        한지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딸기, 블루베리 등과 같은 베리류가 우수한 기능성을 갖고 있다고 밝혀지면서 국내외 연구진들에 의하여 다양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아사이베리(Acaiberry)는 베리류 가운데 하나로 아마존 원주민들이 질병의 치료 및 에너지 보충을 위해 애용하던 식품으로 알려지면서 역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아사이베리는 브라질 북부 아마존 열대지역의 늪지나 범람원에서 자생하는 아사이 야자나무의 열매로 지방, 섬유질, 비타민 및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확 환경이 까다롭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재배가 불가능하며 가공된 형태로만 공급되고 있어서 이런 한계를 넘어서는 제품의 개발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런 한계에 착안한 본 연구는 아사이베리를 항산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고, 이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통 후식류의 하나인 과편에 아사이베리를 첨가하는 방식의 과편 제조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아사이베리 과편의 생리활성 물질인 총 페놀 함량을 구하였고,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사이베리즙의 총 페놀 함량은 94.67±1.53 mg GAE/g로 측정되었고,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은 IC50이 160±0.15 μg/mL, 환원력은 0.05%의 농도에서 0.968±0.025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나 아사이베리즙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소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사이베리즙을 첨가한 과편의 최적 배합 비율을 도출하기 위하여 Design Expert 8(State-Ease Co., Minneapolis, MN, USA)을 이용하여 계획하였고, 예비 실험을 통해 아사이베리즙을 첨가한 과편의 품질특성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를 아사이베리즙 (A), 올리고당(B)으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는 수분함량, pH, 당도, 색도(L, a, b), 조직감(경도, 부착성, 탄력성, 씹힘성, 검성, 응집성), 관능적 특성(외관, 색상, 투명한 정도, 신맛, 단맛, 단단함이 좋은 정도, 씹힘성이 좋은 정도, 전반적인 기호도)로 정하였다. 아사이베리 과편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 pH, 당도 모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수분함량과 당도는 0.1% 이내에서 유의적이었으며, pH는 5% 이내에서 유의적이었다. 기계적 특성 분석 결과, 색도는 명도가 유의수준 5% 범위에서 유의적이었으며, 조직감은 씹힘성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성을 나타냈다. 그 중 부착성, 탄력성, 응집성은 유의수준 5% 범위에서, 경도, 검성은 유의수준 1% 범위에서 유의적이었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외관, 색상, 투명한 정도, 신맛, 단맛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 항목에서 유의수준 1% 범위에서 유의적인 기호도 차이를 보였다. 유의적으로 나온 외관, 색상, 투명한 정도, 신맛, 단맛, 전반적인 기호도 항목의 범위를 최대로 설정해서 예측된 아사이베리 과편의 최적점을 도출하여 아사이베리즙 312.84 g, 올리고당 215.68 g을 산출하였다. 최적화된 아사이베리 과편과 아사이베리즙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대조구 과편, 비타민 C를 첨가한 비교구 과편을 제조하여 일반성분, 총 페놀 함량 및 이화학적 특성, 기계적 특성 그리고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여 품질특성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최적화된 아사이베리 과편의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 과편보다 약 6배, 비타민 C를 첨가한 비교구 과편보다 약 2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품질특성에서는 조직감에 관한 항목 중 응집성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그 중 수분함량, pH와 당도 모두 유의수준 0.1% 이내에서 유의적인 기호도 차이를 보였다. 수분함량과 pH는 최적화된 아사이베리 과편의 값이 가장 낮았지만, 당도는 최적화된 아사이베리 과편의 값이 가장 높았다. 즉, 아사이베리즙을 첨가할수록 수분함량은 낮아지고, pH는 더욱 산성적 성질을 띠며 당도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색도(L, a, b)와 조직감을 확인하는 항목 중 경도, 탄력성, 씹힘성, 검성 항목 모두 0.1% 이내에서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내며 최적화된 아사이베리 과편의 기계적 특성 값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종합해볼 때에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닌 아사이베리는 한국 전통음식 중 하나인 과편에 대한 기호도와 품질특성을 증진시키는 소재로써 연구 개발 가치와 식품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study’s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condition of two different amount of Acaiberry juice(A), and oligosaccharides(B) for the Gwapyeon prepared with Acaiberry.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of response surface, which showed 10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2 replicates for Acaiberry juice, and oligosaccharides. The Acaiberry juice was determined total phenolic contents, antioxidative effects b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DPPH)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Acaiberry juice is high the total phenol(94.67±1.53 mg GAE/g), antioxidant activities in DPPH(IC50 160±0.15 μg/mℓ) and FRAP (0.968±0.025). The physiochemical, mechan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est were measured, and these values were applied to the mathematical models. A canonical form and perturbation plot showed the influence of each ingredient on the final product mixture. The physiochemical and mechanical measurements showed significant values in moisture content, color L, color a, color b, hardness, chewiness, gumminess, cohesiveness, total phenolic conten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in sensory evaluations showed significant values in color, flavor, cleanness, chewiness and overall quality. The optimum formulation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as calculated as acai berry juice 312.84 g, oligosaccharides 215.68 g. The optimized Gwapyeon prepared with Acaiberry was compared to the control Gwapyeon.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in color, flavor, clearness, chewiness and overall quality at the optimized Gwapyeon than the control Gwapyeon. As a result, the Gwapyeon prepared with Acaiberry has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oxidative stability and it showed to be the functional produ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