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반도체 습식 HF 최종 공정 중 실리콘 표면의 소수성이 Water Mark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정훈,김숭환,박진구,박종진,Han, Jeong-Hun,Kim, Sung-Hwan,Park, Jin-Gu,Park, Jong-Jin 한국재료학회 1997 한국재료학회지 Vol.7 No.10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소자의 수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반도체 습식 세정 시 건조 후 웨이퍼 표면에 형성된 water mark의생성 원인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초순수수의 물방울을 다른 접촉각의 시편 위에 고의로 잔류시킨 후 질소 및 산소 분위기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분위기와 상관없이 HF 처리된 소수성의시편 뿐만 아니라 친수성의 시편에서도 water mark이 관찰되었다. 생성된 water mark의 크기는 분위기에 무관하게 접촉각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러나 산소 분위기에서 HF처리된 시편은 건조 후 질소 분위기에서 생성된 water mark의 크기보다 2배이상 크게 형성되었다. 이들 산소 및 질소 분위기에서 HF 처리된 실리콘 시편 위에 생성된 water mark의 성분을 AES(Auger Electron Spectroscopy)로 분석한 결과 water mark는 실리콘과 산소의 화합물 형태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AAS(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분석 결과 건조 분위기에 상관 없이 HF처리된 실리콘 시편 위에 물방울을 30분 잔류시 물방울 내의 실리콘 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물방울내 ozone을 첨가하여 실리콘 표면을 산화 시켰을 때 물방울과 표면의 접촉각 감소와 water mark의크기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 방출조절용 항균성 포장재의 개발 및 미생물 생육억제와 물질전달 모델링

        한정훈,Han, Jeong-Hun 한국식품연구원 1996 食品技術 Vol.9 No.2

        Potassium Sorbate의 향균능력측정결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성장에 대하여 uncompetitive 기작으로 작용하였다. 열처리 실험의 결과 Potassium Sorbate는 가열온도에 대하여 Arrhenius, 또한 가열시간에 대하여 1차반응식관계로 향균능력을 잃었으며 따라서 보존제로 Potassium Sorbate를 식품에 첨가후 포장, 가열살균하는 일반 식품가공공정상에서 가열살균공정이 첨가 보존제의 잔류향균능력을 잃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film과 치즈안에서 Potassium Sorbate의 확산계수 및 확산에 의한 물질전달 현상을 수학적모델과 컴퓨터 simulation 그리고 실험에 의해 구하였다.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이 범용플라스틱중에서 가장 작은 확산계수를 가져 빠른 물질전달이 요구되는 film층 또는 약물저장층으로 적합한것으로 나타났다. 그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ET)는 느린 물질전달이 요구되는층 또는 복합다층 film에서 물질전달에 단방향성을 주는 고차단층으로 적합한것으로 나타났다. Potassium Sorbate분말과 LDPE resin분말을 섞은후 단일스크루 익스트루더로 항균성 포장 film을 제조한 결과 LDPE film의 tensile strength과 elongation, elastic modulus는 Potassium Sorbate를 3% 이상 포함할때까지 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film의 투명도는 급격히 낮아졌다. 향균성LDPE film은 효모가 접종된 한천배지상에서 항균물질인 Potassium Sorbate를 배지위로 서서히 방출시켜 효모의 성장속도(growth rate)를 저하시키고 초기성장지체기(lag period)를 연장시킨다. 따라서 식품포장재로 적용시에 미생물의 오염을 막고 식품저장기간을 연장할것이라 여겨진다.

      • KCI등재

        조선 전기 '官船漕運制' 연구에 대한 재검토

        한정훈(Han, Jeong-hu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1 No.-

        조선시대 조운제 연구에서 독보적인 성과를 남긴 주요 연구자는 조선 후기 船運業의 발전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배경으로 조선 전기 조운제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시각으로 인해 해당 연구 성과에서 재논의가 필요한 부분이 발견된다. 특히 韓國漕運史의 관점에서 고려와 조선시대의 조운제를 함께 살펴보면 더욱 그러하다. 기존 연구의 핵심인 '관선조운제'는 조선 후기 '私船賃運制'에 대비시켜보면 나름의 의미가 있다. 하지만 '관선조운제'라는 역사용어는 船軍과 兵船의 도움으로 수행된 조선 초기 조운제의 특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뿐 아니라, 漕運發達史에서 여타 조운방식과의 차별성을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지나치게 보편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기존의 '관선조운제'를 대신하여 조선 초기 조운제를 '水軍 지원 조운체제'로 바꾸어 이해할 것을 제안하였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조운체제를 고려시대의 그것에 연결시켜 보면, ①漕倉制 이후, ②군현별 조운체제 - ③수군 지원 조운체제 - ④사선임운체제 순으로 조운방식이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 현종대부터 ①조창제가 운영되다가, 고려후기부터 점차 漕倉의 운영기반이 부족해짐에 따라 14세기 전후 시기에 조운 업무를 각 군현에 위임하였고(②군현별 조운체제), 고려말ㆍ조선 초기부터는 수군의 도움을 받았다(③수군 지원 조운체제). 결국 고려 후기와 조선 초기는 조창의 기능이 약화된 상황 속에서 지방 군현과 수군조직의 도움 속에서 조운제를 유지한 셈이다. 물론 조선 초기에 조창제의 복원을 추진하였지만 달성하지 못한 채, 16세기에는 私船을 통해 賃運하는 방식(④사선임운체제)으로 조운정책의 방향을 전환하게 되었다. Important researchers, who have made unique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Joseon period, consider it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a background on which the developments of shipping industry in the late Joseon period may be explained. From this perspective of study, some parts to be reviewed among research achievements are found. In particular, they are more obviously revealed when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s in Joseon and Koryo are examined together,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marine transportation history. The 'Gwanseon-Joun-System (官船漕運制;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ith Public Boat)', a core of the previous studies has its own implication if it is compared with 'Saseon-Imun-System(私船賃運制)' in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 the 'Gwanseon-Joun-System, a historical term has two disadvantages in that it could not properly reflect the features of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early Joseon period, which was performed with the aid of warships and naval forces, and was too general to be discriminated from other marine transportation methods in the history of marine transportation history. Thu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early Joseon period be understood as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ith the aid of the naval forces(水軍 支援 漕運體制)' instead of 'Gwanseon-Joun-System'. If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in the Joseon period is connected that of Koryo period on the basis of findings above, it is found that the marine transportation method had been developed from ①Jochang-System(漕倉制) through ②marine transportation system by gun-hyeons(郡縣別 漕運體制) and ③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ith the aid of the naval forces to ④Saseon-Imun-System. From the Hyeonjong dynasty In Koryo the ①Jochang-System was managed but by the late Koryo period, as the base of Jochang management was gradually weakened, the marine transportation tasks were entrusted to each gun-hyeon around 14th century(②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by gun-hyeons). In the late Koryo and early Joseon period. it was supported by the naval forces (③marine transportation system with the aid of the naval forces). In conclusion, when function of the Jochang was weakened, the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seemed to be maintained with the aid of local gun-hyeons and organization of naval forces. While recovery of Jochang system was tri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but it was filed, the direction of marine transportation policy was changed toward the charged shipping with private boats in the 16th century(④ Saseon-Imun-System).

      • KCI등재

        고려시대 동남해지역 해양사와 중심 포구의 이동 - 조선 초기 부산포 개항과 관련하여 -

        한정훈 ( Han¸ Jeong-hun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1 항도부산 Vol.42 No.-

        본고는 조선 태종 7년(1407)에 내이포(乃而浦)와 함께 개항하는 부산포의 역사적 연원을 살펴보고자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이 포함된 ‘동남해 해양사’의 관점에서 고려시대 동남해의 포구와 해양활동을 살펴보았다. 고려시대 동남해지역은 일본과의 외교와 통상활동의 중심 권역으로, 그 중심지는 남포(南浦)가 있던 김해와 합포(合浦)가 있던 마산지역이었다. 12~13세기 중반에는 객관(客館)과 동남해도부서(東南海都部署)가 있던 금주(金州)에서 대일 외교·통상 업무를 관할하였다. 13세기 후반의 원간섭기 이후는 왜구 침입의 방어 거점인 합포진변만호부가 있던 회원현(會原縣)이 동남해 수군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신라~조선 초기 동남해지역 중심 포구의 이동 양상을 살폈다. 신라의 대외 교섭은 울주 태화강변의 율포(栗浦)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조선왕조 개창 이후 태종 7년에는 흥리왜인(興利倭人)을 위해 내이포와 부산포를 개항하였고, 16세기 중엽이 되면 부산포 단일 왜관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상과 같이 신라~조선 초기 동남해지역의 중심 고을과 포구는 울주(율포), 금주(남포), 회원현(합포) 그리고 동래현(부산포)으로, 오늘날의 울산-김해-창원(옛마산)-부산 순으로 이동하였다. 이러한 동남해 해양사의 중심 포구의 이동 속에서 부산포의 개항을 이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the opening of Busan Port along with Naeipo in the 7<sup>th</sup> year of King Taejong’s reign (1407) during the Joseon Dynas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ports in the southeast coast and marine activities during the Goryeo Dynasty from the ‘sea history of the southeast coast’ perspective, including the Busan area. The southeast coast region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the central district for foreign policies and trading activities toward Japan, and the center was Gimhae where Nampo was located and Masan where Happo was located. To go back to the Silla Dynasty to examine the aspects of changes in the central ports in the southeast coastal region, foreign negotiation was made in Yulpo in the Taehwa riverside in Ulju. Next, in the first half and the middle period of the Goryo Dynasty, Geumju where the Southeast Sea and Islands Division and guest houses were located supervised foreign policies and trade affairs toward Japan. After the Yuan intervention period in the late 13<sup>th</sup> century, Hoewon-hyeon where the defensive work against Japanese invasion, Jinbyeon Manho-bu in Happo was located was the center base of naval forces’ activities in the southeast coast. Also, after the opening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7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 Naeipo and Busan Port were opened for Heungri-woein (Japanese Traders), and in the mid-16th century, the single Waegwan period was opened in Busan Port. As above, between the Silla Dynasty and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central counties and ports in the southeast coast region moved from Ulju (Yulpo) through Geumju (Nampo) and Hoewon-hyeon (Happo) to Dongnae-hyeon (Busanpo), respectively, Ulsan, Gimhae, Changwon (Former Masan) and Busan toda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pening of Busan Port in changes in the central ports in the southeast coast Sea history.

      • KCI등재

        고대 목간의 형태 재분류와 고려 목간과의 비교

        한정훈(Han, Jeong-hun)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6

        본 논문은 고대 목간과 고려 하찰목간의 형태 비교를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이를 위한 전제 작업으로 고대 목간의 형태를 분류하던 중 선행 연구에서 구멍형 목간을 소홀히 다루었음을 알게 되었다. 고대 목간의 형태와 용도를 대략적으로 검토한 결과, 백제 목간을 중심으로 삼국시대에는 구멍형 목간이 荷札 뿐 아니라 편철용 문서목간, 신분증표용 목간, 주술용 목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장방형과 홈형 그리고 일정한 기능을 부여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뾰족한 형상[尖形]과 더불어 구멍형도 고대 목간 형태의 분류체계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양자의 형태 비교에서 손쉽게 확인된 내용은 고대 목간에서 다면형이나 원주형 목간이 어렵지 않게 확인되는데 반해, 고려시대 목간은 기본적으로 두께가 얇은 板材形이었다. 이러한 차이는 고려시대 목간이 荷札이기 때문에 짐 꼬리표로서 부피가 작고 두께가 얇은 장방형이 부착하기에 편리하였기 때문이다. 더불어 고대 목간에서 여러 형태가 확인되는 것은 목간이 다양한 용도로 널리 이용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달리 말해, 통일신라를 거치면서 목간의 용도가 축소됨에 따라 고려시대에는 그 형태도 단순화된 것이다. 뒤이어 동일한 용도의 하찰목간인 성산산성의 것과 고려시대 목간의 형태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고 · 중세를 막론하고 좌우 양쪽에 홈을 낸 목간이 하찰목간의 전형이었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러한 홈형 목간의 비율이 고려시대에 더욱 높아진 것은 하찰목간 형태의 정형화나 규격화가 보다 진전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고려시대는 짐에 부착하기 위한 가공 부위로서 홈이 보편화되면서 荷札목간에서조차 구멍이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compare forms of ancient wooden tablet and Goryeo Hachal(荷札) wooden tablet. At first, forms and uses of ancient Kokgans are reviewed to find that the hole-type of wooden tablet was variously used in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Therefore, rectangular, groove and sharp shapes as well as hole-type are also suggested to be included in the class of ancient forms of wooden tablet. In addition, different from ancient one, the use of wooden tablet in Goryeo period was limited to the parcel note[Hachal], so its forms also tended to be simplified. On the other hand, the Seongsan-Sanseong wooden tablet, a representative Hachal wooden tablet was compared with that in Goryeo period. It is found that the wooden table with left and right side grooved was a typical Hachal wooden tablet during both the ancient and the middle age, indicating that an increase in ratio of hole-type of wooden tablet in Goryeo period means the developments in standardization or normalization of forms of the Hachal wooden tablet. As the groove was generalized as a cutting part to which a parcel was attached in Goryeo period, the hole-type of wooden tablet almost disappeared even in the Harchal.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