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적 정체성 구성 : 1980~1994년의 불교사회운동을 중심으로

        한은영 전남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ocial context of the people's Buddhist movement in 1980s to establish the social status of Korean Buddhism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ocial movement and its influence of Buddhist social movement on the form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identity of Korean Buddhism. The people's Buddhist movement issued a statement and expressed the posi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socially. The discourse of Buddhist social movement was a social practice act that raised questions on traditional religious ideology and newly produced practical meanings that drive social participation of Korean Buddhism. This practice of discourse is noteworthy as a social fact that Korean Buddhism entered the social discourse field to establish itself as a responsible religious group in society. This paper focuses on the formation of subject and the willful action of the movement discourse according to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of the Buddhist social movement. The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the statement, the social role recognition of the people's Buddhist movement, the change of social consciousness, and the paragraph theme of the statement to confirm the way of the discourse of Buddhist social movement. In addition,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discourse on identity formation, the social relationship that the subject attempted to change was examined in the linguistic aspect of the text. In 1980, Buddhists who experienced national violence called the October 27 persecution became aware of the crisis that they should find the basis of self-reliance in Korean society. The artificial power structure reorganization by political power triggered the will to Buddhist self-government. The confrontation with political power led to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sharing the perception that Buddhist self-government and social democratization should be pursued at the same time in solidarity with the popular Buddhist movement. At the heart of the popular Buddhist movement were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 Buddhist Association and Buddhist activists who led them. The Korean Assoc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Buddhists set the ideology of popular Buddhism as the movement coordinates and tried to organize the Buddhist organizations and Buddhist organizations. The Seungga movement is in solidarity with the people's Buddhist movement, and has established an organizational framework using a short-range network such as Munjung and Seungga University. At that time, the task of Korean Buddhism was to try to change the relationship with political power by Buddhist reform and Buddhist self-government, Korean Buddhism formalized the demand for the abolition of Buddhist law and participation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t the Haeinsa Buddhist Temple in 1986. The proclamation of Buddhist self-identification defined the Buddhist movement as participating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dimension of Buddhist self-identification. The perspective of interdependent arising of Buddhist movement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 movement to mobilize the reformers. As the popular Buddhist movement became more active, the violence of political power was revealed to the whole Korean Buddhism. The accumulation of hostile collective behavior experiences against political power led to the Buddhist public, including the people of the Buddhist movement, to confirm their social identity. The 1980s popular Buddhist movement began with dissatisfaction with the social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the characteristics consistently revealed in the discourse of Buddhist social movement are the recognition of society and the emphasis on social rel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composition were caused by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social and Buddhist contradictions. The use of the transformational ideology vocabulary in the discourse structure conveyed the ideal value of democratic, ethnic, and popular ideology, and made the Buddhist public recognize the Buddhist reality in a social structure. Buddhist contradictions were not by individual and Buddhist internal feudalism but by ethnic contradictions and divisional contradictions. By doing so, the Buddhist public has prepared a cognitive foothold to move away from the helplessness from the individual and Buddhist inner perspective and to the subject of change. This study divided the discourse of Buddhist social movement into Buddhist social discourse and participatory Buddhist discourse, and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suffering, social discourse was categorized into democratic discourse, national discourse, and popular discourse. Democratic discourse is a dominant social discourse that has been created throughout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since 1985. The main contents were the non-democratic social reality of Korean society, the violence of the regime, the actual situation of police violence, and the will to social democratization. The national discourse has shown the influence of the unification movement and the national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since 1988, and the national discourse has been limited to the theoretical level of discuss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erience the influence of the divided situation on life. On the other hand, the popular discourse was suggested as the name of 'Minjung Buddhism' as the most critical point of Korean Buddhism, but many discourses were not created.,The discourse of Buddhist social movement combined social discourse and participatory Buddhist discourse by encouraging social participation of the subject by composing Buddhist and social problems in a smoked manner. The participatory Buddhist discourses related to Korean Buddhism consisted of social participation discourse, Buddhist self-imposed discourse, Buddhist repression discourse, and Buddhist reform discourse. The participatory Buddhist discourse is the leading discourse of social participation discourse, and the rest of the participatory Buddhist discourse except for the reformed Buddhist discourse was produced steadily from 1986 to 1992. In the formation of participatory Buddhist discourse, the relationship with political powe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le participating i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Korean Buddhism experienced the essential properties of political power to Buddhism as the oppression of Buddhism. The Buddhist repression discourse was concluded as a social participation discourse to solve the will to Buddhist self-identification and Buddhist contradiction. The Buddhist Reform Discourse was triggered by the Buddhist Reality Discourse, which claimed the change of Korean Buddhism in the early 1985 People's Buddhist Movement. However, the Buddhist repression discourse produced during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not expressed because it was suppressed, and it exploded in the reform phase in 1994. The discourse of Buddhist social movement was responded to social issues with the representativeness and symbolism of Buddhist movement by the association of Buddhist and Buddhist groups and the group of Buddhist movement. After 1987, the association led the social discourse. The Buddhist groups represented the Buddhist position on Buddhist issues and declaration of state, and they were highly interested in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role of Korean Buddhism. On the other hand, the home group did not practice their own discourse, but they participated in discourse practice in relation to Buddhist reform. In particular, in the reform phase of 1994, it announced its role and the beginning of the movement. The discourse of Buddhist social movement repeatedly used 'our' community subject to instill belonging and homogeneity to the existing community called 'Korean Buddhism'. The community subject 'we' changed the listener into the subject by dividing and calling the subject into 'Buddhist', 'Buddhist', 'Youth Buddhist', 'Sabu popular' and so on. As the reformer was called in parallel and repeatedly, the will to reform Buddhism was converted into a common responsibility. In addition, the emphasis and repetition of 'we' formed a sense of community homogeneity and ultimately contributed to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group and the formation of collective identity. The effect of this discourse was united with the will of Buddhist reform of the Buddhist movement group and the in-house believer in the birth of the reform end in 1994. The longitudinal reform movement, which was carried out as part of the social sector transformation movement supported by the public opinion, was the settlement of the Buddhist social movement in the 1980s when the organization of the Buddhist reform movement and the organization of the Buddhist movement formed an alliance and combined the Buddhist Buddhists. In the longitudinal reform,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the People's Buddhist Movement led to the participation Buddhist movement, and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carried out by Jogye Order in 1995 showed the change of Korean Buddhism. The socialization movement of enlightenment is aimed at enlightenment of social justice, unification, environment, and peace movement, which are social problems, and the whole Korean Buddhism actively responded to social changes and suggested desirable alternatives to strengthen the social doctrine and influence of Buddhism to positively change the perception of Buddhism. The will of the end to social participation was expressed in the end of the reform end, which was the first case in which the end presented non- Buddhist social problems as a task. However, as seen in the goal of the movement that was formed and presented at the end of 1992, the social participation character gradually turned to internal reform in the Buddhist social movement. Since 1994, the Buddhist movement forces including the Practical Seunggae Society have not shown any interest in social issues. In addition, since the longitudinal reform was led by the Buddhist reformers centering on Sunwoodo, the social participation character gradually weakened. Since the 1990s, Buddhist social movements have been developed by organizations that have expressed the nature of civil movement, such as human rights movement, environmental movement, unification movement, economic justice practice movement, environmental movement, mental grandmother support project, North Korean defectors and international refugee support project. Meanwhile, the Teachers' Center under the Participatory Buddhist Regime is conducting criticism and surveillance functions on the operation of the denominations. The situation that lacks the center point to lead the Buddhist movement is similar to the 1980s when it criticized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and tried to find the social participation identity of Buddhism. The current situation is the result of the Buddhist social movement not leading the movement due to the Buddhist movement ideology and consequently leading to the situational social participation discourse. The experience of Buddhist social movements in the 1980s shows that social participation identity is composed and sustained by social actions. Keywords : Korean Buddhism, Social Participation Identity, Statement, Buddhist Social Movement, Engaged Buddhism 이 연구는 1980년대 민중불교운동세력이 한국불교의 사회적 위상정립을 위해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사회적 맥락을 해명하고, 불교사회운동의 특성과 그 운동이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적 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을 성명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민중불교운동세력은 성명서를 발표해 사회적으로 불교계의 입장을 표명하였다. 불교사회운동 담론은 전통적인 종교이념에 의문을 제기하고, 한국불교의 사회참여를 추동하는 실천적 의미를 새롭게 생산하는 사회적 실천 행위였다. 이러한 담론 실천행위는 한국불교가 사회에서 책임 있는 종교집단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사회적 담론장에 진입한 사회적 사실로 주목된다. 본 논문은 불교사회운동의 사회·정치적 맥락에 따른 주체 형성과 운동담론의 의지적 작용에 주목하였다. 성명서의 발표 요인을 비롯하여 민중불교운동세력의 사회적 역할인식, 사회의식의 변화, 그리고 성명서의 단락주제를 분석하여 불교사회운동 담론이 구성되는 방식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담론이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주체가 변화를 시도하였던 사회적 관계를 텍스트의 언어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1980년 10·27법난이라는 국가폭력을 경험한 불교계는 한국 사회에서 자기존립의 근거를 찾아야 한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해졌다. 정치권력에 의한 인위적인 권력구조 개편은 불교자주화에 대한 의지를 촉발시켰다. 정치권력과의 대립은 불교개혁운동이 민중불교운동과 연대해 불교자주화와 사회민주화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하게 하였다. 민중불교운동의 핵심에는 학생조직인 대불련과 이들을 지도한 불교운동가들이 있었다. 대불련은 민중불교 이념을 운동 좌표로 설정하고, 승가 및 불교단체를 선도하며 조직운동을 시도하였다. 승가운동은 민중불교운동세력과 연대하며, 문중, 승가대학 등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해 조직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당시 한국불교의 당면과제는 불교개혁과 불교자주화로 그 첫 단추는 정치권력과의 관계변화를 시도하는 것이었다. 한국불교는 1986년 해인사 승려대회에서 불교관계법 철폐 요구와 민주화운동 참여를 공식화하였다. 불교자주화 선언은 불교운동을 불교자주화 차원에서 민주화운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불교운동에 대한 불이(不二)적 관점은 승가운동이 개혁세력을 결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 민중불교운동이 활성화될수록 정치권력의 폭력성은 한국불교 전체를 대상으로 현시되었다. 정치권력에 대한 적대적 집합행동 경험의 축적은 민중불교운동세력을 비롯하여 불교대중으로 하여금 사회적 정체성을 확인하게 하였다. 1980년대 민중불교운동은 한국불교의 사회적 정체성에 대한 불만에서 시작되었다. 불교사회운동 담론에서 일관되게 드러나는 특성은 사회에 대한 인식과 사회관계의 강조이다. 이러한 담론 구성의 특성은 사회모순과 불교모순의 높은 상관성에서 기인하였다. 담론 구성에서 변혁이념 어휘의 사용은 민주·민족·민중이념의 이상적 가치를 전달하고, 불교대중이 불교현실을 사회구조적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불교모순은 개인적이고 불교 내적인 봉건성이 아닌 민족모순, 분단모순에 의한 것이었다. 그럼으로써 불교대중은 개인적이고 불교 내적인 시각에서 오는 무력감에서 벗어나 변화의 주체로 나아갈 수 있는 인식적 발판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은 불교사회운동 담론을 불교적 사회담론과 참여불교담론으로 구분하였다. 사회적 고통이라는 관점에서 본 사회담론은 민주담론, 민족담론, 민중담론으로 범주화되었다. 민주담론은 1985년 이후 민주화운동 전반에 걸쳐 생성된 지배적인 사회담론이다. 주된 내용은 한국 사회의 비민주적 사회현실, 정권의 폭력성, 경찰폭력 등의 현실적 상황과 사회민주화에 대한 의지였다. 민족담론은 1988년 이후 통일운동의 영향과 한국불교의 민족주의적 특성을 보여주었다. 민족담론은 분단 상황이 삶에 미치는 영향을 체감하기가 어려워 원론적인 수준의 논의에 그쳤다. 한편 민중담론은 한국불교가 가장 비판받는 지점으로 ‘민중불교’라는 명칭으로까지 제시되었으나 많은 담론이 생산되지는 않았다. 불교사회운동 담론은 불교문제와 사회문제를 연기적으로 구성해 주체의 사회참여를 독려함으로써 사회담론과 참여불교담론을 결합시켰다. 한국불교와 관련된 참여불교담론은 사회참여담론, 불교자주화담론, 불교탄압담론, 그리고 불교개혁담론으로 구성되었다. 참여불교담론은 사회참여담론이 주도적인 담론이며, 개혁불교담론을 제외한 나머지 참여불교담론은 1986년 이후 1992년까지 꾸준하게 서로 견인하며 생산되었다. 참여불교담론의 형성에는 정치권력과의 관계가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국불교는 민주화운동에 참여하면서 정치권력의 불교에 대한 본질적 속성을 불교탄압으로 경험하였다. 불교탄압담론은 불교자주화에 대한 의지, 불교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참여담론으로 귀결되었다. 불교개혁담론은 1985년 민중불교운동 초기 한국불교의 변화를 주장한 불교현실담론으로부터 촉발되었다. 하지만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생산된 불교탄압담론이 억누르고 있어 발현되지 못하다가 1994년 종단개혁 국면에서 폭발하였다. 불교사회운동 담론은 승가·재가 연합단체와 승가운동 단체가 불교운동의 대표성과 상징성을 갖고 사회적인 이슈에 대응하였다. 1987년 이후에는 연합단체가 사회담론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승가단체는 불교적인 문제와 시국선언 등에 대해 불교계의 입장을 대변하였으며, 한국불교의 사회참여 및 사회적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반면 재가단체는 독자적인 담론 실천을 벌이지는 않았지만 불교개혁과 관련해서는 담론 실천에 가담하였다. 특히 1994년 개혁국면에서 재가불자연합은 ‘재가불자’의 역량을 보여주었으며, 이후 재가불자운동의 시작을 알렸다. 불교사회운동 담론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한국불교’라는 현존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과 동질감을 심어주기 위해 ‘우리’ 공동체 주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였다. 공동체 주어 ‘우리’는 주체를 ‘불교도’, ‘불자’, ‘청년불자’, ‘사부대중’ 등 세부적으로 분할하여 호명함으로써 청자를 주체로 변화시켰다. 개혁주체는 병렬적이고 반복적으로 호명되면서 불교개혁에 대한 의지는 공동의 책임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우리’의 강조와 반복은 공동체적 동질감을 형성해 궁극적으로는 집단에 대한 소속감과 집단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담론의 효과는 1994년 개혁종단 탄생 과정에서 승가운동 단체와 재가 신도의 불교개혁 의지를 하나로 결집시켰다. 사회일반 여론의 지지를 받아 사회부문 변혁운동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던 종단개혁운동은 불교개혁운동 성향의 조직과 민중불교운동 계열의 조직이 동맹을 이루고, 재가불자까지 결합한 1980년대 불교사회운동의 결산이었다. 개혁종단에서 민중불교운동의 문제의식은 참여불교운동으로 이어졌다. 1995년 조계종단에 의해 진행된 ‘깨달음의 사회화운동’은 한국불교의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주었다. 깨달음의 사회화운동은 사회적인 문제인 사회정의, 통일, 환경, 평화운동을 깨달음의 대상으로 하고, 한국불교 전체가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사회적 영향력을 강화하고 불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려고 하였다. 사회참여에 대한 종단의 의지는 개혁종단의 종헌에도 표명되었는데, 비불교적인 사회문제를 종단이 과제로 제시한 최초의 경우였다. 1990년대 이후 불교사회운동은 시민운동적 성격을 표방한 단체들의 활동으로 인권운동, 환경운동, 통일운동, 경제정의실천운동, 환경운동, 정신대할머니 후원사업, 탈북자 및 국제난민 지원사업 등이 전개되어 왔다. 하지만 종단개혁 이후 깨달음의 사회화운동에 의한 대사회적 실천에도 불구하고 한국불교는 사회적인 문제에 관심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종단개혁이 선우도량을 중심으로 하는 불교개혁세력에 의해 주도되었기 때문에 사회참여적 성격은 점차 약화되어 현재 승가단체의 사회적 활동은 다시 축소되었다. 한편 재가불자운동으로 참여불교 재가연대 산하의 교단자정센터가 교단운영에 대한 비판과 감시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한국불교의 상황은 불교현실을 비판하고 사회적 정체성을 모색하기 위해 노력하였던 1980년대와 흡사하다. 차이가 있다면 사회참여와 불교개혁에 대한 상황요인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1980년대 불교사회운동의 경험은 집단의 사회적 정체성은 담론 실천과 함께 구체적인 실천행위라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해 구성되고 지속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주제어 : 불교사회운동, 민중불교, 성명서, 사회참여적 정체성, 참여불교

      • 초등학생 디지털 참고서의 사용성 평가와 개선안 연구

        한은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is a increasing interest and utilization of electronic books with the recent release of variety high-performance tablet PCs and the propulsion of the government’s digital textbook business. The education market also received momentum from the government’s policy related to digital textbooks and the reference books are gradually becoming digitalized. However, compared to the efficiency and reputation of the electronic books, the utilization rate is low.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electronic book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fficiency and user-friendly convenience to the users to increase the technological aspect and als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electronic book. For educational electronic books in particular, the general electronic book’s usability factors and additionally, the usability for the efficiency of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usability problem of the digital reference book through the usability test of the digital reference book and to seek improvement measures for a more user-friendly design. For this purpose, 2 types of digital reference books were selected which are analyses of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are book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the educational market because of its reputation. A usability test was executed each through these digital reference books with both professional and user subjects. The professional test derived a appropriate heuristic for the digital reference book usability assessm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of electronic book usability. Questionnaire was utilized for the subject of 5 teachers and a heuristic assessment was executed. Detailed suggestions were aggregated through interviews. The digital reference book user performance list was created for the user test through the related field literature and digital reference book electronic usability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utilized for the subject of thirty 6th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to investigate the digital reference book usability performance and emotional satisfaction. Analysis result pointed the problems of the usability in the digital reference book such as insufficient basic function of the electronic book, lack of help tips, inefficient disposition of the menu and functions, lack of utilization of multimedia and instructional tool for the efficiency of education. Various proposals were made as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addition of environmental function that would allow configuration of font and paragraph shape to increase legibility of the electronic book and show consideration about the status of the learner, bookmark that helps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electronic book, supplementing the content research function, supporting various methods of help tips such has balloon help tips that helps function usage other than the overall help tips, positioning the frequently used functions to be exposed on the exterior and positioning the related menus and functions in proximity, learning schedule management that helps the education, note, recording function, providing various educational tools such as data attachment function, utilizing various multimedia elements such as videos that may motivate and pique the learner’s interest, animation, sound and etc. To sum up, the digital reference book’s usability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ought through this study’s digital reference usability test. In the test results, the evaluators generally assessed the usability of the digital reference book positively and this implies that the digital reference book has the potential of developing into a 3rd fusion cont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that can be referenced in publishing digital reference books by publishers since it is a time when reference books are gradually becoming more digitalized in the education market because of the recent release of various high-performance tablet PCs and because of the digital textbook business propulsion by the government. 최근 고성능의 다양한 태블릿 PC의 출시와 정부의 디지털 교과서 사업 추진은 전자책에 대한 관심과 활용을 증대시키고 있다. 교육시장에서도 정부의 디지털 교과서 관련 정책에 탄력을 받아 참고서가 점차 디지털로 바뀌어 가고 있다. 그러나 전자책의 효율성과 인지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이용률이 낮다. 전자책의 이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자책의 기술적인 측면과 더불어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친화적 편리성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학습용 전자책은 일반적인 전자책의 사용성 요소와 더불어 학습의 효율을 위한 사용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참고서 사용성 평가를 통해 디지털 참고서의 사용성에 문제점을 찾고, 보다 사용자 친화적 설계를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 분석과 더불어 교육시장에서 인지도가 있고 많이 사용하고 있는 2종의 디지털 참고서를 선정해 전문가와 사용자를 대상으로 각각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평가는 전자책 사용성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토대로 디지털 참고서 사용성 평가에 적합한 휴리스틱을 도출하고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휴리스틱 평가를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의견은 인터뷰를 통해 취합하였다. 사용자 평가는 해당분야 문헌과 디지털 참고서 전자책 사용 분석을 통하여 디지털 참고서 사용 수행 리스트를 작성하고 초등6학년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디지털 참고서 사용 수행도와 감성적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평가 결과 디지털 참고서 사용성의 문제점으로는 전자책의 기본 기능 미비, 도움말 부족, 메뉴와 기능의 비효율적 배치, 학습의 효율을 위한 교수 학습 도구와 멀티미디어 활용 부족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전자책의 가독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상태 배려를 위하여 전자책 글자모양 및 문단모양 환경 설정 기능 추가, 전자책의 효율적 활용을 돕는 책갈피, 내용 검색 기능 보완, 전체 도움말 이외 기능사용을 돕는 풍선 도움말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도움말을 지원하고,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사용자 접근이 쉽도록 외부로 노출하고 서로 연관성이 있는 메뉴와 기능은 근접하게 배치하는 방안을 들 수 있다. 학습의 효율을 돕는 학습 스케쥴 관리, 노트, 녹음기능, 자료 첨부 기능과 같은 다양한 학습도구를 제공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동영상, 애니메이션, 사운드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 활용이 개선안으로 제시되었다. 이상 본 연구의 디지털 참고서 사용성 평가를 통해서 디지털 참고서의 사용성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평가 결과 평가자들은 디지털 참고서의 사용성을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는 디지털참고서가 제 3의 융합 콘텐츠로써 발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최근 고성능의 다양한 태블릿 PC의 출시와 정부의 디지털 교과서 사업 추진으로 교육시장에서도 참고서가 점차 디지털화되어 가는 시점에서 출판업계가 디지털 참고서를 출판하는데 참고할 만한 연구로써 의미가 있다.

      • 실버세대의 화장품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은영 숙명여자대학교 원격향장산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노령인구는 세계적인 노령화 추세와 더불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경제 성장과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그에 따른 전 인구의 노령화 현상은 우리나라의 경우 그 증가 속도가 다른 연령층에 비하여 매우 높은 편으로 2000년 7월 1일을 기점으로 65세 이상의 노령인구가 총 인구의 7.1%(3,370,100명)를 넘어서면서(통계청, 2000: 세계 및 한국인구의 현황), 유엔이 정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으며, 2021년에는 총 인구의 13.1%로 증가될 전망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실질적인 시장으로 인식되어가고 있는 실버 화장품 시장이 그 특성이 동질적인 시장이 아니라, 다른 욕구 및 특성을 보이는 일련의 세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앞으로의 화장품 산업에 영향을 미칠 실버 세대의 구매력과 소비력을 예측해보고자 한다. 조사 방법은 조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통계, 화장품 사용 실태, 화장품 구매 행태, 피부에 대한 인식과 관리의 4개영역으로 구분되어 작성된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모두 전산 부호화하여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실버 세대들의 화장품 사용은 전체 응답자의 88.5%에 이르며, 평균 사용횟수는 하루 2~3회가 가장 많았다. 기초화장품인 로션과 스킨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품으로 나타났고, 화장(메이크업)을 하고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48.3%를 보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화장품 사용유무와의 차이에서는 주거형태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선 유의수준 p< 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2. 실버 세대들은 기능성 화장품에 대하여 67.0%가 알고 있으며, 알고는 있지만 사용하지 않는 응답자가 64.0%에 달했다. 피부 주름을 가장 큰 고민으로 삼는 실버 세대들은 기능성 화장품 중 주름개선에 관한 제품을 53.9%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버 세대들을 위한 화장품의 필요성에 대해 응답자의 71.7%가 긍정적으로 생각하여 이들 실버세대를 위한 제품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3. 화장품 구입에 있어서는 42.5%가 직접 구입하는 것을 보여주며, 백화점과 전문점이 화장품 구입의 주 구매처임을 알 수 있다. 현재 화장품 가격에 대하여 64.8%의 응답자가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다. 4. 실버 세대가 가지는 피부 고민은 주름(22.8%), 피부 건조증 심화(15.9%), 피부 처짐(14.2)의 순이었다.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rapidly with the global trend of aging of population. In Korea population aging, which means the elongation of the average span of life du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medical advance, tends to be developed rapidly as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has augmented more than that of other age groups. As of July 1, 2000,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over 65 exceeded 7.1%(3,370,100)(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0: The status of International and Korean population) joining the aging societies designated by UN and is expected to account for 13.1% of total population of Korea in 202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in this circumstance to forecast the purchasing and consuming power of silver generation in order to verify that the market of cosmetics for silver generation,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n emerging market, is composed of a series of sub-divided markets that show various desire and characteristics not of a homogeneous market.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survey research with a questionnai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the socio-demographical statistics of the surveyed people, their actual condition of cosmetics usage,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of them and their recognition of skin.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analyzed through SPSS, the total package program, after all the data had been encod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It is 88.5% of the total number of the surveyed people who answered that they use cosmetics. And 2 to 3 times a day is the most common answer about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The study shows that what they use most is lotion and skin toner and 48.3% of the total number of the surveyed people answered that they put on make-up. In the respect of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people and whether they use cosmetics or no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of 0.001 in other items except for their residence status. In the relation between age and whether they use cosmetics or no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of 0.001 and between average monthly income and ways of raising living expense and whether they use cosmetics or no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of 0.05. And it is revealed that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usage of cosmetics. There appear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other items about the realities of cosmetic usage. 2.67.0% of the total number of surveyed people answered they know functional cosmetics but 64.0% said they don’t use them though they know them. As wrinkle is what silver generation people are most concerned about their skin, 53.9% of people said they use anti-wrinkle products. Asked about the necessity of cosmetics only for silver generation, 71.7% of people agreed to it, which indicates it is needed to develop cosmetic products tailored only for them. What the surveyed people chose as necessary cosmetics for elderly people is anti-wrinkle or wrinkle preventing cosmetic products, dry skin improving cosmetics, hair dye, deodorant and whitening cosmetics in order. It is estimated that current silver generation is very positive about the release of cosmetic products only for them. 3.The study shows that 42.5% of the total number of surveyed people buy cosmetics in person and silver generation usually buy them at a department store or cosmetic shop. 64.8% of them think the price of cosmetics is expensive. 4.It is revealed that what silver generation is most worried about their skin is in the order of wrinkles (22.8%), aggravation of dry skin (15.9%), and flabby skin (14.2%). Considering that 77.1% of the total number of surveyed people answered they know Botox, it can be known that their ability to acquire new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previous generation. 5.It is 26.8% of the total number of surveyed people who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d cosmetic tattoo. Among them 71.4% said they had tattooed their eyebrows.

      •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은영 강릉원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들에게 자연물을 이용한 다양한 영역의 활동을 실행 한 후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유아교육 현장 적용 타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이 영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만 2세 영아의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을 계획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에 소재한 W시의 M어린이집과 인근에 위치한 H어린이집의 만 2세 영아들로 각각 14명의 영아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 후 실험처치를 실시 한 다음 사후검사로 집단 간의 차이와 변화를 알아보는 순서로 설계하였다. 사회정서발달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본정서 및 사회적 행동, 자아개념, 인지 및 정서 조절, 사회적 관계 등 하위요인 39문항으로 구성된 김호인(2010)의 사회 정서 척도를 사용하였다. 검사 도구는 5점 Likert 척도로 제시하였다. 공격성을 알아보기 위해 한미옥(2000)의 연구에서 사용된 공격 행동 관찰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 도구는 영아가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는 과정에서 관찰되는 공격성을 체크하는 도구로, 신체공격에 해당되는 대인공격을 나타내는 21개 문항과 대물공격을 나타내는 10개 문항 및 언어적 공격을 나타내는 9개 문항으로 나누어 총 4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총 40개 문항을 5점 Likert 척도로 제시되었고, 개인별 총합점수를 계산하였고 점수가 높을수록 공격성의 정도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위한 실험은 2018년 10월 30일부터 12월 20일까지 8주간에 걸쳐 16회 진행되었으며, 연구절차는 실험설계, 검사자 교육,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게 실시한 활동의 대주제와 소주제는 표준보육과정 자료집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영아에게는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 16회와 비교집단 영아에게는 표준보육과정 자료집에서 제시된 교수자료를 이용한 활동을 16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영아는 사회정서발달의 하위 영역 중 자아개념을 제외한 기본정서 및 사회적 행동, 인지조절, 정서조절,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을 합한 자기조절, 사회적 관계에서 점수 향상을 보였으며, 비교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은 만 2세 영아의 공격성 완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영아가 표준보육과정 자료집에서 제시된 교수자료를 이용한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 영아보다 낮은 공격성 점수를 받았다. 공격성의 하위영역 중 언어적 공격성을 제외한 대인공격, 대물공격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공격성 점수가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및 공격성을 완화 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활동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자연물을 이용한 오감활동은 사회정서발달과 공격성 감소를 위해 적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뇌졸중 후 발병한 제 1형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과 체성 감각 유발 전위의 관계

        한은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은 신경의 염증반응, 말초신경의 감작화, 중추신경의 감작화, 교감 신경계의 비정상적인 기능 항진, 기능장애로 인한 억제(dysfunctional inhibition) 등이 그 병태 생리로서 제시되고 있고 어깨관절 아탈구, 어깨관절의 마비 정도, 경직, 무시(neglect) 등 요인들에 의해 그 정도나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아직 확립된 이론은 없는 실정이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후 제 1형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과의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 소견의 이상 여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어깨관절 아탈구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발생 예측인자로 삼을 수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연구 대상은 2003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를 시행 받은 환자 중 뇌졸중이 재발하거나 말초신경병증의 증거, 혹은 병전에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을 일으킬만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를 제외한 242명(남자 1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임상적으로 제 1형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이 의심되고 삼상성 골주사법을 시행하여 확진된 통증군은 64명, 이를 제외한 비통증군은 178명으로 양군 간의 성별이나 연령의 차이는 없었다. 2) 연구방법 통증군과 비통증군의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성별, 연령, 뇌졸중의 원인(뇌출혈, 뇌경색),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의 발생 여부와 삼상성골주사 검사의 시행 시기, 상•하지의 체성감각유발전위의 잠시와 진폭, 어깨관절의 아탈구 여부를 조사하였다. 삼상골주사 검사는 동위원소 섭취가 혈류영상, 혈액풀영상, 지연영상 모두에서 증가된 경우를 진단기준으로 삼았다. 정중신경과 후경골 신경의 환측의 진폭이 건측의 50% 미만이거나 환측의 잠시가 건측에 비해 하지의 경우 5%이상, 상지의 10%이상 지연된 경우, 또는 유발되지 않은 경우를 비정상으로 정의하였다. 환자군과 비통증군의 성별, 연령, 뇌졸중의 원인(뇌출혈, 뇌경색), 비교를 위하여 카이제곱(χ²) 검정방법을 시행하였고 각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Spearma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 값이 0.05 미만일 때를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다고 하였다. 결과 1) 빈도와 진단 시기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의 빈도는 18.8%이었으며 진단 시기는 뇌졸중 후 평균 65.4일 이었다. 2) 체성감각유발전위와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의 발생 통증군과 비통증군의 상지 체성감각유발전위, 하지 체성감각유발전위, 상, 하지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 소견을 비교한 결과, 상지, 하지, 상•하지 체성감각유발전위 모두에서 통증군이 비통증군에 비해 비정상 소견이 유의하게 많은 경향을 보였다.(p=0.000) 3) 뇌졸중의 원인과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의 발생 통증자군에서 뇌출혈군은 34명, 뇌경색군은 30명, 비통증군에서 뇌출혈군은 61명, 뇌경색군은 117명으로 통증군에서 비통증군에 비해 뇌출혈군의 비중이 높았다.(p=0.006) 4) 어깨관절 아탈구와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의 발생 통증군에서 어깨관절 아탈구를 동반하는 경우가 의미 있게 많았다.(p=0.000) 어깨 아탈구를 동반하지 않은 환자의 경우, 통증군에서 체성감각유발전위가 비정상인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어깨관절 아탈구를 동반한 환자에서는 통증군과 비통증군 간 체성감각유발전위의 이상여부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5) 복합통증증후군과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 상지 체성감각유발전위(r=0.296), 하지 체성감각유발전위(r=239), 상•하지 모두의 체성 감각유발 전위(r=0.291), 어깨관절 아탈구(r=0.329)로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과 낮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00) 결론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에서 이상 소견을 보이거나 어깨관절 아탈구가 동반된 경우, 또는 뇌출혈로 인한 뇌졸중 후 제 1형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의 발생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추 신경계의 전도 이상이 뇌졸중 후 제 1형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의 발생에 영향을 미침을 추론할 수 있으며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의 이상 소견을 발생의 예측 위험인자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 건강기능식품의 섭취실태 및 인식 조사

        한은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의 섭취실태 및 인식조사를 통해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대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하게 되었다. 2007년 8월 27일부터 9월 17일까지 조사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건강기능식품 섭취실태 및 인식에 대해 20대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SPSS 12.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건강기능식품 섭취자는 60.7%였으며, 건강기능식품 중 영양보충제, 홍삼, 매실추출물, 인삼 등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건강기능식품 구입 시 약국, 홈쇼핑 등을 이용하고,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는 가족, 친척, 텔레비전, 라디오 등에 얻는 것으로 나타나 의료진이나 전문가와의 상담 후 건강기능식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재 건강상태에 맞는 건강기능식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신체부작용은 13.4%였고 위장장애의 비율이 높았으며 대처는 하지 않는 응답자가 많아 신체부작용이 나타났을 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다. 2004년 건강기능식품법의 시행이후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제도가 마련되었으나 소비자들이 모르고 있는 실정이므로 건강기능식품의 올바른 선택 방법, 섭취방법 등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건강기능식품’이라는 문구나 로고, 「이 광고는 기능성표시 광고심의위원회의 심의를 받은 내용입니다」혹은 마크(심의필 도안),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 및 로고에 대한 홍보를 통해 소비자가 국가로부터 인증받은 건강기능식품을 선택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텔레비전, 인터넷, 라디오 등의 여러 방면의 광고, 책자 및 홍보물 발행, 교육 실시 등의 소비자교육을 통해 올바른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여 건강한 소비자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various problems in functional food intake and find out countermeasures for them through investigating the actual status of functional food intake and perception of functional foods.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men and women in their 20s from August 27 to September 17, 2007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actual status of the intake and perception of functional foods among them, and the result was analyzed by SPSS 12.0.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revealed that people who ate functional foods were 60.7% and the proportion of ginseng steamed red, Japanese apricot extracts, and ginseng was high among functional foods in terms of the intake. It was revealed that people usually used pharmacies and home shopping when buying functional foods, and got information on functional foods from families, relatives, television, radio, and so on, indicating that it is necessary for them to consult medical staffs or experts in order to buy functional foods proper for their current health state. The percentage of people with experiences in side effects on the body was 13.4% and the percentage of disturbance gastrointestinal was high and many of them did not take any step to ease the side effects, suggesting that education and promotion about methods for solving the problem of side effects should be provided to people so that they could cope with the side effects when they present. It is the real situation that while after the functional food law came into effect in 2004, institutions with regard to functional foods have established, customers didn't know that, therefore positive promotions about the method of selecting functional foods properly, right intake methods, and so on are needed. Through promotions on statements or logos indicating 'functional foods,' the phrase「this advertisement has been deliberated by the Functional Food Advertisement Council」 or the mark (deliberated design) indicating it, and standards for superior functional food manufacturing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 and its logo, customers should be made to be able to select and consume functional foods authorized by the nation. Through instructing customers by making use of such as advertisements in/on various media like television, the Internet, radio and so on, the publication of books and promotive material, and some education, one should make the customers become healthy and maintain their health by means of good functional food intakes.

      • 열분해로 합성된 영가철 개질 바이오차를 이용한 지하수 내의 질산성 질소, 트리클로로에틸렌 및 6가 크롬의 환원

        한은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mounts of effluent groundwater have increased gradually due to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s. Even though the quality of effluent groundwater is generally good, most of the effluent groundwater are discharged into the sewage system, which induces big burdens to sewage treatment plants. Thus, proper treatment is required to reuse or recycle effluent groundwater. Even though the groundwater quality is generally good, concentration of nitrate, trichloroethylene(TCE), and Cr(Ⅵ) exceed slightly the guideline values of groundwater. Mild treatment of the pollutants in the effluent groundwater can improve the reusability of the water. TCE can be decomposed via reductive dechlorination into dichloroethene, vinyl chloride, or ethene. Cr(Ⅵ) can be reduced into Cr(Ⅲ) which is adsorbed or precipitated easily. Nitrate can be directly removed by ion exchange, but the reduction to ammonia is a common choice. However, reduction of nitrate cannot remove total nitrogen and toxicity of the nitrogen, therefore, additional treatment of the reduced total nitrogen is required. In this study, nitrate, TCE, and Cr(VI) in the effluent groundwater were removed using zero-valent iron impregnated biochar synthesized by pyrolysis of iron oxide and sawdust biomass. Nitrate was reduced into ammonium by the ZVI modified biochar, and the reaction is highly dependent on the pH. However, ammonium remained in the aqueous phase, thus the total nitrogen did not decrease. Ammonium was removed effectively by zeolite. In the column test, nitrate was reduced into ammonium, and ammonium was removed by zeolite. TCE and Cr(Ⅵ) were removed completely at all pH conditions. Sawdust biochar modified with ZVI removed nitrate, TCE, and Cr(Ⅵ) through reduction and adsorption, which indicates that the effluent groundwater from underground facilities can be treated properly within the guideline of water quality by the ZVI-biochar.

      • 5·18기념의례의 재현과 세대계승 : 5·18청소년문화제(Red Festa)를 중심으로

        한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5·18민중항쟁 기념의례는 ‘1980년 5월’ 집단기억을 재생산해 희생자를 추모할 뿐만 아니라 국가폭력과 현실정치 비판의 장이었다. 5·18이 ‘민주화운동’으로 규정되고 공식 기념행사가 국가기관에 의해 치뤄지면서 5&#8228;18민중항쟁은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집단기억이 망각의 단계로 들어서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2000년 이후 자유로운 논쟁이 가능해짐에 따라 지역사회에서 5·18의 세대계승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5·18기념의례 연구는 사회·정치적 맥락에서 의례의 형성과 변화 중심으로 진행되었지, 세대계승 차원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2004년 이후 5·18기념행사 주간에 금남로라는 역사적 공간을 점유하고 연행되는 5·18청소년문화제(Red Festa)를 통해 청소년의 5·18재현과 5·18기억의 세대계승을 살펴보았다. 5·18청소년문화제(Red Festa)는 (재)5·18기념재단을 중심으로 청소년 단체, 시민사회단체가 물적·인적·조직적 자원을 동원해 개별 단체에서 진행되던 5·18기념 및 인권·평화교육의 성과를 모아 전시하고, 공유하는 청소년활동의 장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5·18청소년문화제(Red Festa)에서 청소년은 5·18을 어떻게 기억하고 재현하는가? 둘째, 5·18청소년문화제(Red Festa)에서 청소년의 5·18기억 재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5·18청소년문화제(Red Festa)에서 재현된 5·18기억은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수용되는가? 청소년의 5·18재현과 기억의 수용을 알아보기 위해 5·18청소년문화제(Red Festa)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참여관찰,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청소년의 5·18재현 의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18청소년문화제(Red Festa)에서 5·18재현은 사실 재현과 민주·인권·평화의 5·18담론 재현으로 구성되었다. 사실 재현은 5·18 당시의 폭력적인 상황, 시민적 저항, 공동체 형성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5·18기억이 긍정적인 집단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 5·18담론은 5·18청소년문화제(Red Festa)의 주제, 프로그램, 공간구획과 홍보물에 이르기까지 중심내용으로 구성되어, 청소년에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둘째, 5·18청소년문화제(Red Festa)에서 5·18과 직접 관련된 사회적 이슈나 전 국민적 관심을 불러 일으켰던 현실문제 쟁점들은 5·18 저항정신과 접합되어 재현되었다. 청소년의 5·18재현은 국가폭력으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한 5·18의 원초적 성격, 책임자 처벌과 진실규명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현실, 민주주의·인권·평화 관련 사회적 논쟁과 같이 정치·사회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았다. 5·18담론 재현은 인권·평화담론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청소년의 현실과 접합해 비판의식과 저항의식으로 이어지고 있다. 셋째, 청소년은 5·18을 학교에서 배우며 자유로운 토론문화 속에서 공식기억으로 수용하고 있다. 청소년은 다큐멘터리, 영화, 연극, 문학작품과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개방적으로 접하면서 5·18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형성시키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이 주로 접하는 자료는 시청각 매체로 단순명료한 사실전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시청각 자료는 청소년의 5·18기억을 공식기억으로 재구성할 뿐만 아니라 1980년에 한정시키고 있어 청소년의 5·18재현 의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청소년은 5&#8228;18청소년문화제(Red Festa)가 관람객을 위해 밝고 활기차야 하지만 놀이적인 경향을 경계해 5·18재현은 사실적이고 추모적이어야 한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5&#8228;18청소년문화제(Red Festa)에서 5·18재현은 사실 재현에서 담론 재현까지 사회적 요인의 영향 속에서 5·18기억을 재구성해 가고 있다. 하지만 5·18재현이 한정된 내용과 주제로 반복되고 있어 5&#8228;18에 대한 인식의 범주를 넓힐 필요가 있다. 5·18이 한국사회의 민주화 운동에 대한 이해와 병행될 때 1980년에 고착되지 않고 본질적인 의미의 재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