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기술 - 시설채소의 세균병 방제는 이렇게

        한유경,Han, Yu-Gyeong 전국농업기술자협회 2011 농업기술회보 Vol.48 No.3

        시설 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고온기가 되면 세균성 병해가 기승을 부리게 된다. 일단 발병이 되면 방제가 불가능하므로 병 발병 후 '치료'보다는 '예방'위주의 관리를 해야 한다.

      • 농업기술 - 시설채소의 병해관리는 이렇게

        한유경,Han, Yu-Gyeong 전국농업기술자협회 2010 농업기술회보 Vol.47 No.6

        시설재배에 있어 재배작형 및 육종방법의 다양화와 새로운 병해, 연작에 따른 토양병해 농약의 과용과 연용으로 인한 약제내성균 출현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토양병해는 연작연수가 증가할수록 병원균의 증가와 축적을 조정하여 연중 문제가 되고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병 발생 전에 식물체를 건강하게 재배하기 위한 환경조건을 잘 조절하여 예방차원에서 합리적인 시설환경관리와 각종 작물병해에 등록되어 있는 농약을 선택한 후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병해관리의 기본이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대상 국가 외국인 교사와의 접촉이 한국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유경(Youkyung Han),정제영(Jaeyoung Chung),박상완(Sangwan Park),김이경(Ee-gyeong K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다문화 대상 국가들과의 교사교류 프로그램이 한국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 수준은 학생의 개인 배경과 외국인 교사의 배치 여부에 따라차이가 있는가? 둘째, 외국인 교사와의 접촉이 한국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증가시키는가? 연구방법의 일환으로 다문화 대상 국가 외국인 교사가 배치된 37개 초·중등학교와 미배치된 37개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총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해당 응답결과를 토대로t-test, F-test, 위계적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여학생의 다문화 수용도가 남학생보다 높았고,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도가 중등학생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문화 대상 국가 교사들과의 접촉은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대상 국가와의 교사교류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한편, 한국의 주류 문화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Asia-Pacific Teacher Exchange Program on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 students. Two research questions are set forth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research. First, does the level of cultural acceptance by Korean students differ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backgrounds and the placement of foreign teachers? Second, does contact with foreign teachers increas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placement of foreign teachers fro m the Asia-Pacific reg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000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enrolled in 37 schools with foreign teachers and 37 schools without foreign teachers. Th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t-test, F-test, an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female students had a higher multicultural acceptance level than males, while the elementary-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est multicultural accept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tudents contact with teachers from multicultural countries increased the level of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eaffirming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 exchange program between Korean teachers and foreign teachers from the Asia Pacific region. Also,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necessary to increas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 mainstream culture students were presented.

      • KCI등재

        제2단계 BK21 사업성과 및 개선방향에 대한 델파이 연구

        한유경(Han You-Kyung),박주형(Park Ju-Hyoung),나민주(Rah Min-joo),정제영(Chung Jae 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2단계 BK21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대학원 재정지원사업에 대 한 개선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단계 BK21 사업의 전문가(고등교육 전문가, BK21 참여교수, BK21 운영위원, 교육부 관련 전문가들) 25명을 대상으로 2013년 8월부터 10 월까지 총 3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에 참여한 22명의 의견을 종합하여 분석한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단계 BK21 사업은 핵심정책목표인 대학원생의 연구 역량 강화와 연구 성과의 향상을 통한 대학의 교육·연구력 강화를 성공적으로 달성하였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1단계 BK21 사업에 서 지적된 양적 성과 위주의 평가가 개선되지 못한 문제점은 남아있었다. 또한 사업의 운영 상에서도 사업단의 자율성이 부족했으며 평가로 인한 행정적 부담, 전공별 차별화되지 않은 획일화된 평가지표에 대한 문제점이 존재했다. 2단계 BK21 사업 이후에도 경쟁력 있는 국제적인 학문집단을 양성하고 대학원의 질 향상 을 위해 지속적인 대학원 재정지원사업이 필요하다. 보다 효율적인 사업을 위해서는 사업 기 획 시 정책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성과관리 체제의 혁신과 적정수준의 성과관리 과정을 통해 사업 참여인력들의 행정적 부담을 줄이면서 합리적 성과모형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교육사업의 특성 및 학문분야별 특성을 고려하여 장기 적인 관점에서 성과를 설정하고 측정하며 이를 반영하는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stage BK21 project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graduate school funded projects. For this purpose, a Delphi Survey was implemented. Summarizing the main results of opinions of participants in the Delphi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the key policy goals of 2nd stage BK21 project successfully achieved. The research performance and capacity of graduate students was improved and education and research capacity of university education was strengthened. However, the problems which were indicated by the evaluation of 1st Stage BK21 project remained. Quantity oriented assessment approach was not corrected. In addition, a lack of autonomy of the project teams still existed in terms of using money. The administrative burden of assessment was hindrance to the project teams and the standardized evaluation indicators regardless of majors were problematic.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s for graduate schools are still necessary beyond 2nd stage BK21 projec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graduate education and to foster internationally competitive academic community. Yet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future projects, it is important that the goals of projects should be clearly defined. And the improvement of overall management and appropriate management techniques reducing administrative burden of scholars are essential Also, it should set the goals in the long ter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sector and the indicators of the goals should be established carefully.

      • KCI등재후보

        편입학 제도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모색

        한유경(You-Kyung Han),윤수경(Soo-Kyung Yoon),권민경(Min Kyoung Kwo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3

        최근 학령인구의 감소, 취업난 등으로 청년층의 수도권 선호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대학의 교육여건과 관계없이 지역대학 기피현상이 특히 편입학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편입학으로 인한 대학간 학생 이동은 대학서열의 공고화, 대학의 학사 운영의 부실화 등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는 편입학 제도개선안을 발표하였으나 이 개선안이 가져오는 효과 및 문제점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편입학 실태 분석을 통해 교과부가 발표한 편입학 제도 개선안의 보완사항 등을 포함하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전체대학과 우수대학, 대학 소재지와 대학 설립 주체, 전공계열을 구분하여 실제로 학생들이 어떠한 대학과 전공을 선호하고 있는지에 대해 일반 편입학과 학사 편입학의 지원 경쟁률과 충원율을 중심으로 하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우수대학을 중심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편입학 전형 방식, 새로 적용되는 편입학 입학정원 산정 방식에 따른 대학편입 규모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편입학 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도별 전체대학 및 우수대학의 편입학 실태 분석 결과, 일반 편입학과 학사 편입학의 경쟁률과 충원율 모두 수도권 사립대학과 수도권 국‧공립대학이 높게 나타나, 수도권 대학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대학 유형에 따른 전공계열별 실태 분석 결과, 수도권 국‧공립대학과 수도권 사립대학의 경우 모든 전공계열에서 높은 경쟁률과 충원율을 보였다. 이에 비해 지역 국‧공립대학과 지역 사립대학은 교육계열과 의약계열을 제외한 전공계열의 경쟁률과 충원율이 낮게 나타났다. 수도권 우수대학의 일반 편입학과 학사 편입학의 경쟁률과 충원율이 지역 우수대학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편입학 전형은 영어를 중심으로 한 정량적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2013년 수도권 사립대학의 편입학 규모는 상당부분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편입학 제도의 개선을 위해서 일반편입학 여석 산정기준 방식의 수정‧보완, 학사 편입학 여석 산정 방식의 개선, 편입학 전형 방식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college students’ transfer and countermeasures and suggest the revision plan by analyzing problems. For this aim,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y process and overall situ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transfer. This study then analyzes the data, which are based on the college transfer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data focus on problems and issues of college students’ transfer among colleges and universities by popularity, region, and found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several issues have been found and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irst, regarding transfer with bachelor degree, students transfer to different majors, especially medical and pharmaceutical college or college of education. Nevertheless, they also prefer metropolitan area colleges as transferred students without bachelor degree. The reputation of colleges is also a major factor. Second, the analysis of mobility between regions, colleges, or majors through transfer reveals the strong hierarchy among colleges. Especially, transfer without bachelor degree is more hierarchical: preference for metropolitan area colleges rather than local colleges and higher ratio of transfer students from public local colleges rather than transfer students from private local colleges. This issue is need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universities and the regulation of college transfer and to improve the college student transfer system in order to prevent inefficiency and inequity of college student transfer.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choice of freedom, adjustment of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volved in college transfer system is necessary.

      • KCI등재

        고해상도 영상의 분류결과 개선을 위한 최적의 Shape-Size Index 추출에 관한 연구

        한유경 ( You Kyung Han ),김혜진 ( Hye Jin Kim ),최재완 ( Jae Wan Choi ),김용일 ( Yong Il Kim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9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5 No.2

        고해상도 위성영상이 갖는 공간 객체의 복잡성과 다양성에 의해 기존 중·저해상도 영상에서 사용하던 분류 방식을 고해상도 영상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영상의 공간적인 특성을 추가적으로 추출하여 분광정보와 결합하여 분류를 수행하는 방식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해상도 영상의 분류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새로운 공간 개체(spatial feature)인 SSI(Shape-Size Index)를 제안하는데 있다. SSI feature는 영역 확장(Region Growing) 기반의 영상 분할 (Image Segmentation)을 수행한 후, 세그먼트 내에 공간 속성값을 할당하여 공간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공간정보를 고해상도 영상의 다중분광 밴드와 결합하여 Support Vector Machine(SVM)을 이용한 분류를 수행하였다. SSI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두 매개변수인 분할변수와 가중치변수의 최적값을 얻기 위해서 고해상도 위성영상인 KOMPSAT-2와 QuickBird-2에 반복적으로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고해상도 영상의 공간특성을 표현하는데 적합한 매개변수를 통하여 도출된 SSI와 고해상도 분광 밴드를 결합하여 분류를 수행한 결과가 분광밴드만을 이용하여 분류를 수행한 결과에 비해 높은 분류정확도를 도출함을 확인하였다. High spatial resolution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has a limitation when only using the spectral information due to the complex spatial arrangement of features and spectral heterogeneity within each class. Therefore, the extrac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in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This study proposes a new spatial feature extraction method, named SSI(Shape-Size Index). SSI uses a simple region-growing based image segmentation and allocates spatial property value in each segment. The extracted feature is integrated with spectral bands to improve overall classification accuracy. The classification is achieved by applying a SVM(Support Vector Machines) classifier.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feature extraction method, KOMPSAT-2 and QuickBird-2 data are used for experiments. It is demonstrated that proposed SSI algorithm leads to a notable increase in classification accuracy.

      • KCI등재

        수정된 IEA 기반의 분광혼합분석 기법을 이용한 임상분류

        한유경 ( You Kyung Han ),김용일 ( Yong Il Kim ),김용현 ( Young Hyun Kim ),송아람 ( Ah Ram Song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4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0 No.2

        분광혼합분석 결과로 얻어지는 각 물체의 점유비율을 활용하면 보다 세밀한 분류가 가능하다. 이는 복잡한 도심지역의 피복분류 뿐만 아니라 혼효림이 많은 한반도 임상분류에 적합한 분류기법이 될 수 있다. 효과적인 임상분류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적절한 endmember의 추출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기하학적 방법(geometric endmember selection)은 분광특성이 유사한 산림지역에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에서 직접 순수한 화소를 추출하는 기법 중의 하나인 IEA(Iterative Error Analysis)와 침엽수와 활엽수의 분광특성을 이용하여 실험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각각의 endmember를 자동으로 추출하였다. CASI(Compact Airborne Spectrographic Imager) 영상의 두 지역에 대하여 분광혼합분석을 이용한 분류를 수행한 결과, 분류 정확도는 각각 86%와 90%로, 제안한 기법이 실험대상지역을 대표하는 침엽수와 활엽수의 endmember를 적절하게 추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광혼합분석 기법을 이용한 보다 효과적인 분류를 위해서 분류항목 외 기타물질을 endmember로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ractional values resulted from the spectral mixture analysis could be used to classify not only urban area with various materials but also forest area in more detailed spatial scale. Especially South Korea is largely consist of mixed forest, so the spectral mixture analysis is suitable as a classification method. For the successful classification using spectral mixture analysis, extraction of optimal endmembers is prerequisite process. Though geometric endmember selection has been widely used, it is barely suitable for forest area. Therefore, in this study, we modified Iterative Error Analysis (IEA), one of the most famous algorithms of image endmember selection which extracts pure pixel directly from the image. The endmembers which represent deciduous and coniferous trees are automatically extracted. The experiments were implemented on two sites of Compact Airborne Spectrographic Imager (CASI) and classified forest area into two types. Accuracies of each classification results were 86% and 90%, which mean proposed algorithm effectively extracted proper endmembers. For the more accurate classification, another substances like forest gap should be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