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만화산업에서 만화문화로, 대표적인 만화축제의 지향성 및 평가지표에 대한 시론

        한상정 ( Sang-jung Han )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6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Vol.30 No.-

        우리는 ``대표적인 만화축제``라는 표현을 일상적으로 사용하지만, 사실상 무엇을 대 표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 적이 없다. 많은 경우 가장 큰 규모, 긴 역사, 많은 방문객을 지닌 축제를 지시하는데, 그 이유는 만화축제에 대한 논의들이 대부분 경제 적, 산업적 효과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이 근저에는 산업에 편향된 만화 산업론이라는 패러다임이 존재한다. 이 패러다임의 변화가 없는 이상, 만화축제에 대한 논의들은 경제적 효과의 문제로 축소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만화산업에서 만화문화로 논의 패러다임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대표 적인 만화축제란 만화문화의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행사라고 규정했다. 프랑스의 대 표적인 만화축제와 비교한 후 크고 작은 수많은 만화축제들의 몇 가지 예를 제시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다양한 만화축제를 기대해볼 수 있는 지역적이고 전문적인 만 화문화 행위주체들의 활동들이 시작되고 있다. 이러한 소개를 통해 향후, 경제적 효과 만을 기대하는 만화축제가 아니라 사회적, 지역적, 공동체적인, 작으면서도 전문적인 많은 만화축제들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고, 이를 통한 대표적인 만화축제로서의 평가 지표 두 가지를 제시하려고 한다. We casually use the term ‘representative’ comics festival, but there is no discussion on what exactly the festival represents. Most of the time, it means the largest in scale, rich history and the most visited festival. It is because most of the discussions are pivoting between economical and industrial effects. There are fundamental paradigm biased towards to the industry and it is called Comics Industry theory.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paradigm, the discussion on the comics festival will perish because of the questions on economic effects. This paper is suggesting the change of paradigm from Comics Industry to Comics Culture, judging ‘representative’ festival as where the present condition of comics culture can be seen. After comparing with representative comics festival of France, offered examples of comics festival in all scale. There are some movements by local-based and professional main bodies of the comics culture in Korea. This paper is aiming on sharing the interests on small, social, local, community-based and professional comics festival, by introducing these main agents.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질적 도약을 위한 시론

        한상정 ( Sang Jung Han ) 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한국언어문화 Vol.0 No.41

        Cette recherche vise a montrer des perspectives culturelles et sociales sur la naissance d`un mot"graphic novel", autre appellation de la bande dessinee, et sur ses conceptions et ses contextes. En meme temps, la recherche explique des necessites industrielles, eudationnelles, et culturelles qui servent a augumenter des qualites des `culture contents`. Des malentendus dans lesquelles la bande dessinee est un genre mineur et pejoratif, se sont apparues lorsque cette moyen d`expression est nee. Autrement dit, ces meprises repandues sur ce medium ose a naitre un nouveu mot, qui insiste ses traits artistiques. En fait, le graphic novel n`est rien d`autre que le resultat de longues luttes des dessinateurs contre ces incomprehensions afin de justifier un statut neutral en tant qu`une moyen d`expression comme tous les autres, a la bande dessinee. On ne peux pas nier des resultats provenant des necessites de `maketing` afin de bien promouvoir des albums. En plus, le graphic novel designe autres bandes dessinees qui n`appartiennent pas aux types specifiques de chaque bande dessinee de trois regoupements du monde entier. bande dessinee. Chaque region a belles bandes dessinees, en parlant esthetiquement. Aujourd`hui, des developpements rapides de nouveaux technologies comme 3D, augmentent bien des utlites industrielles de la bande dessinee. Si le diegege de la bande dessinee n`etait que imaginaire, ces avancees technologies le rendrent visibles et tactiques. La fiction incapable d`etre decrit devient autuellement un monde visible et vraisemblant. Et les educateurs changent d`avis face a la bande dessinee. S`ils pensent jadis a degager des bandes dessinees des enfants, ils demandent a faire les lire, au moins la bande dessinee en raison de la chute de lectorat des livres. L`ennemi principal de la lecture des livres n`est plus la bande dessinee, plutot le jeux video. De plus, le graphic novel comme la bande dessinee qualifiee, donne aux lecteurs des aspects culturels et esthetiques. Si on cree beaucoup le graphic novel en Coree, il aide a bien elever les qualites de `culture contents` en general. Il faut insister des traits neutrals de la bande dessinee en tant que medium. Les pratiques plus affectifs a modifier aux meprises sur la bande dessinee, sont faire lire le graphic novel. Pour cela aussi que la creation des graphics novels a besoin d`etre abondamment.

      • KCI등재

        만화페어의 필요성과 가능성

        한상정(Sang-Jung Han)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1 애니메이션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부천국제만화축제의 만화페어관을 둘러본 후, 이런 행사를 ‘왜 하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해외의 유명한 만화축제들은 모두 페어가 있다. 그렇다고 해서, 페어의 핵심축인 만화출판사(종이건 디지털이건)가 몇 개 없는 페어관을 꼭 운영해야 하는가라는 점이다. 주최 측은 만화페어를 운영하는 어려움을 외부환경에서 찾고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해석이 충분하지 않다. 우선 만화페어가 왜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보는 것에서 시작할 것이다. 만화페어의 필요성에 동의한다면, 현재의 만화페어가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따라올 수밖에 없다. 이에 답변하기 위해 오랫동안 세간의 관심을 끌지 못했던 ‘서울국제도서전’의 질적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별한 분석방법론이 없으므로, 가장 오래된 북페어 중의 하나인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의 발전과정에 기대어 서울국제도서전의 변화를 여섯 측면에서 파악한다. 독립된 전담조직의 구성, 담당자의 역량, 행사장에서의 정보의 질, 문화적 이미지로의 브랜딩, 대중의 영입, 시대에 따른 정체성의 변형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2012년부터 2020년까지 부천국제만화축제의 만화페어, 그중에서도 만화마켓관의 부스 숫자와 구성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드러낸 후, 유의미한 만화페어로 변화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여섯 측면에서 제시해보았다. This study began with a question which I encountered after having recently visited the comics fair hall at the Bucheon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what is the rationale behind the holding of these comics fair ? Fairs are certainly widespread in foreign comics festival; yet the question which confronts us is whether a comics fair exhibiting the scarce number of comics publishers existing in Korea should be deemed a necessity. The organizer of the festival attributes th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a comics fair to external circumstances; but that explanation is insufficient. We should start by asking ourselves whether comics fair are necessary as part of a comics festival in the first place. If one is to deem comics fair necessary, the natural question to ask is how the current state of comics fair ought to evolve. To answer this question, I have analyzed the qualitative evolution of-the hitherto overlooked-‘Seoul International Book Fair’ since 2017. By taking inspiration from the evolution of one of the oldest book fairs, the ‘Frankfurt International Book Fair, I have identified six aspects from which its evolution can be analyzed. These include: the creation of a specialized and independent organizational committee, this latter’s ability, the quality of information provided in the exhibition, the type of cultural symbol through which it has been branded, the amount of popular input it permitted, and the manner in which its identity has been reflective of cultural change. I have then examined the comics fairs in the Bucheon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from 2012 to 2017,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number of booths and content in the ‘Manhwa market’ halls, and singled out several problems. Finally, in light of the six aspects mentioned above, I have suggested several directions that the Bucheon Internaational Comics Festival could explore in order to grow as a significant and culturally meaningful festival.

      • KCI등재후보

        〈뮤지엄 만화규장각〉, 멀티만화문화공간 운영전략의 모색

        한상정(HAN Sang-j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7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은 2009년 새롭게 개관하면서 한국만화산업진흥과 한국만화문화진흥의 두 축을 〈비즈니스센터〉와 〈뮤지엄 만화규장각〉이라는 사업영역의 두 축으로 구분하는 동시에 두 건물로 분리했다. 사업의 성격상 당분간은 비즈니스센터에서 사업운영수익을 올리기는 쉽지 않으므로, 뮤지엄 만화규장각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하다. 전시, 도서열람 및 연구, 다양한 문화행위를 포괄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멀티만화문화공간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 이 공간의 운영계획을 세우는 것은 진흥원 전체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일이다. 본 논문에서 비록 세부적인 부분들까지 모두 언급할 수는 없다손 치더라도, 가장 주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는 설립취지와 목적에 따른 조직과 인력구성에 대한 문제를 먼저 제기하고 차례로 운영수익의 문제-사업운영수익 및 재원확보-에 대해 접근하려고 한다. With its reopening in 2009, Korea Manhwa Contents Agency(KOMACON) divided its major business into two domains named “Contents Business Center” and “Museum Manhwa Gyujanggak”, in charge of promoting Korean manhwa industry and Korean manhwa culture, respectively, in two separate buildings. Since the former is not likely to earn operation income for the time being at least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business, the latter plays an all the more important role. Accordingly, it is requisite for KOMACON to develop an operating plan for the museum which can be regarded as a multi-cultural space of manhwa in that it includes various cultural activities including exhibition, library, and research.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basic framework for its purpose of foundation, objects, organization, and personnel composition, and then, its sources of operating income―business operating profit and financing―, if not all of the details regarding the museum.

      • KCI등재

        복합문화공간콘텐츠로서의 ‘뮤지엄 만화규장각’ 기획을 위한 몇 가지 주요 요소들

        한상정(Han Sang-Jung)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6

        본 논문은 ‘뮤지엄 만화규장각’을 ‘복합문화공간콘텐츠’라는 거시콘텐츠로 다루려는 시도이다. 이 경우 만화라는 이 공간설립의 기본 목적인 문화콘텐츠는 미시콘텐츠가 된다. 미시콘텐츠를 품고 있는 공간 자체를 하나의 문화콘텐츠로 바라본다면, 우리는 문화콘텐츠에 대한 논의들을 좀 더 거시적인 안목에서 바라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소박한 의문과 대답을 찾는 과정이 이 논문의 전부이다. 어떻게 본다면, 만화야말로 이러한 종합적 개념에 가장 잘 어울리는 표현양식인데, 그 이유는 만화의 본질은 연속적 칸들의 ‘상호의존성’이다. 독자적으로는 결코 정의될 수 없고, 관계적으로만 정의될 수 있다는 성격은 복합문화공간콘텐츠의 성격과도 유사하다. 이 공간콘텐츠를 풍부하게 규정하기 위해서 우선, 박물관학이 어떻게 그 논의를 전개해왔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어서 박물관학의 현대적 입장들과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사이에 어떠한 접점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 거시콘텐츠를 제대로 형상화해내기 위해 만화규장각을 하나의 인체, 생명체로 상정하고 그 이상적 형태를 그리며 몇 가지 주요 요소를 기획해 본다.

      • KCI등재후보

        만화의 정의에 대한 문제제기들과 “근대 만화”에 대한 역사적 정의

        한상정(Han Sang-j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1

        우리는 종종 우리가 접하고 있는 만화의 역사를 기원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경우를 발견한다. 만화와 전혀 무관하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이러한 입장은 동시대 만화의 특성에 대한 이해의 부족을 야기할 수 있다, 우리는 1896년, 리차드 펠튼 아웃콜트(Richard Felton Outcault)의 〈옐로우 키드(Yellow Kid〉)에서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만화라는 매체를, 만화의 사전(事前) 형식과는 틀린, ‘근대 만화(la bande dessinee moderne)’라고 규정하고 이를 정의하려 시도했다 이런 시도는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화면’이라는 지지대(support)와 기존의 만화형식과의 만남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 가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웹툰 속 여성 가슴의 시각적 재현 유형 연구

        한상정(Han, Sang-j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1 No.1

        최근 웹툰에서의 여성 혐오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주로 스토리와 캐릭터의 성격 분석에 머물러있다. 이 논문은 만화작품에서 여성 차별, 여성혐오에 대한 연구를 시각적 재현까지 확장하고, 여성 가슴의 시각적 재현 유형분류와 분석을 통해 여성 혐오에 이르는 작품들을 줄이는데 기여하려고 한다. 여성 가슴의 시각적 재현 유형은 성차별적인 이상적 유형, 혐오적 유형, 그리고 성평등적인 중립적 유형, 세 가지로 분류한다. 이상적 유형은 스토리, 캐릭터와의 관련성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데도 이런 상황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스토리, 캐릭터와의 ‘비가시적인’ 불일치를 보인다. 두 번째 혐오적 유형은 여성 차별을 넘어 여성 혐오를 보이는 것으로 캐릭터나 스토리의 성격과 무관하게 여성의 가슴에 과도한 시선을 끌고 스토리의 원만한 진행을 방해한다. 마지막으로 스토리, 캐릭터와의 자연스러운 일치를 보여주며, 스토리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중립적인 유형이 있다. 작품들을 세 유형으로 분석하고 나면, 혐오적 유형은 양적으로 많지 않아도 눈에 쉽게 띄는 반면 이상적 유형은 양적으로 많은데도 그다지 주목받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상적 유형이 ‘자연적’인 것이 아니라 ‘관습적’이며 여전히 성차별적이라는 점을, 성평등적인 중립적 유형과의 비교를 통해 명확히 드러낼 필요가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혐오적 유형은 물론 이상적 유형에 대한 문제의식을 확장시켜 나간다면 웹툰 역시 성평등성이 잘 드러나는 표현형식으로 변모해나가지 않을까 기대한다. While a lot has been recently written about the issue of misogyny in comics, these discussions have largely centered around questions of character and plot analysis.This paper attempts to enlarge the scope of these discussions by drawing attention to the pictorial depiction of women in comics - most specifically, to the different ways in which comics have represented their female characters breast. This paper will classify these representations to fall broadly into three categories: a (sexist) idealizing depiction of female breast, a misogynistic kind of depiction, and an egalitarian, neutral kind of depiction. The first type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while it bears little relation to the webtoon s storyline or by its characters, its discrepancy with these elements is made largely invisible. The second type - which goes beyond sexism to border misogyny - draws excessive attention to female breasts (a feature which is often at odds with its characters), and so to the point of causing nuisance to the flow of the story. The final type may be called neutral in the sense that it syncs with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work and does not distract from the plot. By classifying different comics works into these three types, I notice that while the misogygnistic type were the most noticeable, the idealizing type passed largely unnoticed despite being more numerous. What needs to be shown is that this idealizing depiction is not natural but rather socially habitual , through their comparison with the aforementioned more neutral kind of depiction. We hope that webtoons will be able to adopt a more gender-equal visual expression by distancing itself from both types of depiction.

      • KCI등재

        한국 웹툰의 연출문법 연구

        한상정(Sang-Jung HAN)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3

        이 연구는 한국웹툰의 연출이 어떠한 문법들을 제시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한다. 그를 위해서 당연히 웹툰의 경계가 어디까지인지를 규정해야만 하다. 이를 위해 웹툰이 여전히 만화라는 표현형식의 하위 종이라는 점을, 만화만이 보유한 특성을 여전히 지니고 있다는 논거에 의거해 증명해 보려고 한다. 웹툰연출은 현재로썬 크게 두 가지 디바이스에 따라 분리해서 보아야 하는데, 하나는 컴퓨터의 웹화면이고, 두 번째는 스마트폰의 화면이다. 이러한 디바이스에 따라 전자는 세로스크롤이라는 웹상의 특성에 기반한 웹툰의 연출이, 후자는 스마툰이나 컷툰, 또는 새로운 스타일의 웹툰연출을 제시한다. 동시에, 웹툰이라는 경계선을 넘으려고 했던, 그리고 넘으려고 하는 시도들을 점검해 보고, 이들이 만화가 독자들에게 주는 고유한 경험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해두려고 한다. 향후 다양한 연출에 대한 실험과 실현이 등장하겠지만, 만화에 고유한 경험들을 제공할 수 있는 경계 안에서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그 경계를 뛰어넘는 순간, 우리는 새로운 표현형식의 등장을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following question: what kind of codes can characterize Korean webtoon? This evidently urges us to define the limits of the webtoon media. From this, I will try to show that webtoon is still a subcategory of comics, which will be proven by the persistence of some characteristics particular to comics in Korean webtoon. In the present state, the way webtoon is displayed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wo devices: the first one is the computer screen, and the second the smartphone screen. In accordance to this, the former follows a classic displaying based on vertical scrolling, while the later tries different styles of displaying such as smart-toon or cut-toon. We will here analyze diverse past attempts to surpass the limits of webtoon as well as still ongoing ones, and point out that they no more provide the readers with the unique experience of comics. It is probable that new challenges on webtoon"s displaying style will appear in the future, but these challenges have to be produced within the limits in which the unique experience of comics can occur. If we overcome these limits, we might face a wholly new displaying styl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