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각장애인의 사회적 통합에 관한 연구 : 마음으로 보는 세상을 중심으로

        한상일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o study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I created a photography project called Seeing With The Heart. The project was planned five years ago to teach the visually impaired how to use a digital camera. It was not only to teach simple use of a digital camera but also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hotography if it can be a method for social integration of the visually disabled. Since its invention in 1839, visually able people have used photography. To take a picture by the visually disabled was almost unfeasible until recently.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camera makes it possible. The digital camera brought innovation to photography, making sight unimportant in taking picture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how people use photography well to express one’s thought and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regardless of disability. So, to find out what makes the visually disabled take pictures and how it can be used to improve their ordinary life, I planned and organized the photography project. The popularization of photography is due to the propagation of the digital camera. The features of digital photography are immediacy, simplicity in control, and inexpensiveness. Because of these features, the general public, except for the visually disabled, can use photography as a method of self expression. Taking a picture is based on seeing an object. It does not mean that people who have trouble seeing cannot take pictures. Even though photography is one of visual arts, a digital camera’s ease of use and immediacy could make the blind possible to use it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The modern society is called a visual image era. The wide use of the digital camera has caused the organization of photography clubs in virtual space. Anybody who likes photography can be a member of clubs. Members have conversations about their photography whether it is good or not, and how they feel about it. The blind can also join these clubs to build new connections and to communicate to other people; they can also post their pictures. Through it, the blind can inspire self-confidence, which has lowered as the blind lose their sight. In addition, photography can improve their life. To check if photography can help the blind participate in society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디지털 카메라는 일상에서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소통’의 수단으로 사진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하였다. 조작의 용이함, 경제적 부담감 해소, 온-오프라인에서 자유로운 활용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분을 두지 않는 사진 저변의 확장으로 이어졌으며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도 사진 이용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하여 생각하게 하였다. 사진은 움직임의 매체, 자기 표현의 매체, 소통의 매체이다. 이러한 매체적 특징을 갖는 사진을 볼 수 없기에 움직임이 제한되고,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자기표현을 위한 자신감이 저하되고, 만나는 사람의 폭이 좁아지는 시각장애인에게 적용 가능하고 그들의 일상에서 사진 이용이 가능함을 시각장애인 사진교실 ‘마음으로 보는 세상’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시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불안감, 자존감, 사회적 관계망, 외부 활동 동기 부여, 야외 활동 욕구, 그리고 여가 생활에 사진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마음으로 보는 세상에 참가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멘토로 참가한 사진학과 학생들의 설문을 통하여 시각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먼저 시각장애인 대상으로 한 설문은 개인적 성향, 일상 생활, 그리고 사진 관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진교실 참가자들은 시각장애기간이 평균 10년 이상으로 장애 수용을 하지 못해 야기되는 심리적인 불안감은 없었다. 첫 째 개인적 성향 분석에서 시각장애를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참가자들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이고, 새로운 시도, 그리고 타인과 교류 및 활동적인 것을 좋아한다고 응답하였으나, 난관에 봉착하면 좌절하고 무기력함을 느낀다고 응답한 참가자도 있었다. 개인적 성향 분석은 외부 활동에 긍정적이고 선호하는 참가자들의 성향이 실질적인 외부 활동으로 연결되고 있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참가자의 일상 관련 질문에 다수의 참가자들은 외부 활동 시 활동 보조인 없이 독립 보행이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외부 활동과 여가 활동에 대한 욕구도 크다고 응답하였다. 일상에서 여가 활동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 약 70%의 참가자가 여가 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여가 활동 종류와 장소에 대한 질문에 활동적인 것 보다는 독서, 음악 감상, 악기연주와 같은 정적인 여가 활동 위주로, 다양한 장소가 아닌 집이나 시각복지관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 여가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실질적인 외부 활동과 여가 활동 횟수를 묻는 질문에서 1주일에 평균 3~5회 이내로 많지 않은 활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진 교실 참가자들의 개인적 성향과 일상 관련 질문을 통해서 시각장애인들은 외부 활동, 여가 활동, 그리고 타인과의 교류를 선호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그들의 일상은 반복적인 생활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사진 관련 질문을 통하여 사진이 그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세부 분석을 하였다. 분석은 사진 교실 활동, 심리적 안정감, 야외 활동, 여가 수단, 사회적 관계망, 사진 교실 재 참여 여부, 다른 시각장애인에 사진교실 참여 권유 여부, 시각장애인의 사진 활용 제약요인, 그리고 사진 이용의 지속성 여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마음으로 보는 세상 참가자들의 지원 동기는 사진이라는 ‘새로운 시도’와 ‘새로운 사람과의 만남’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사진교실에 참여하면서 가장 좋았던 점은 야외 촬영과 사진 평가라고 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사진이 자신들의 심리적인 안정감에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으며, 상당수 참가자가 외부활동에 대한 동기부여가 되었고, 목적이 있는 야외 활동을 하게 되어 만족스러웠다고 하였다. 시각장애인의 여가 수단으로 사진의 유용성 대한 질문에는 약 95%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고, 타인과의 교류 및 관계망 형성에도 사진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다만, 사진이 다른 시각장애인과의 교류에 도움이 되는가 하는 질문에는 비시각장애인이 배제된다면 효율성은 떨어질 것이라고 하여, 사진의 특성상 비시각장애인과의 교류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라 하였다. 시각장애인의 사진 활용 제약요인을 묻는 질문에는 사회 선입견, 참여 기회 부족, 시각장애인 스스로의 인식 및 용기부족, 그리고 신체적 불편함을 꼽았으며, 기타 의견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해서 음성기능이 들어있는 카메라의 보급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주거지 부근에 사진 교실이 개설된다면 참여 여부를 묻는 질문에 모든 참가자는 ‘그렇다’고 하여 지속적으로 사진 이용을 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음을 나타냈으며, 약 85%의 참가자가 다른 시각장애인에게도 사진 교실 참여를 권유하겠다고 하였다. 또한 총 5회 진행된 마음으로 보는 세상의 재 참가 비율이 약 31%인 점으로 미루어 보아 사진이 시각장애인의 일상 및 여가 수단으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음으로 보는 세상에 참여한 멘토를 대상으로 사진교실 이전과 이후 시각장애인과 관련한 생각의

      •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유형 및 지역에 따른 콘크리트 생산시 CO2 배출량 평가에 관한 연구

        한상일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method of quantitative evaluation of CO2 amount generated from concrete production to field procuring process and propose method of reducing CO2 in construction field using it. As for the amounts of CO2 of concrete, the amounts of CO2 generated in the stages of material, transportation and manufacturing are evaluated from input material, transported distance and energy using amount. Based on the evaluation method proposed, the unit amounts of CO2 generated in concrete material, transportation and manufacturing stages by the size of each project are calculated, and the causes of the CO2 emission amounts by each characteristic are analyzed through analyses by material levels, and building types and areas. CO2 emission amount analysis and causes are as follows: 1. Concrete showed increase of CO2 emission amount by the strengths, and the amounts of CO2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ations of concrete use like cases of being used as structure and those of being used as ground. When strength and slump are the same, the amounts of CO2 emission differed depending on building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ady-mixed concrete sand in the stage transportation from producing area and production stage. 2. Regarding building types, CO2 emission amounts decreased in the sequential order of apartment houses, office and residential commercial complex, and in the case of residential commercial complex, that is the reason the using amounts of blast slag or flyash instead of cement are increased for improvement of strength. 3. As for the difference of concrete by the areas, CO2 emissions were low in the sequential order of Busan, Incheon, Seoul and Gyeonggi. In the case of Incheon, that is the reason they used a composition of combination sturdy for endurance against salt of the sea. 4. By applying the above analysis in the field, the cas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CO2 emission amounts by applying high strength concrete while modifying SRC structure column to RC structure column, about 83% of CO2 emission were reduced when RC structure high strength concrete was applied. 5.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nable proposal of method to reduce CO2 in concretes in construction fields and quantitative evaluation for the reduction of CO2 later on. 건설 산업은 전 산업분야 중 CO2 배출량이 많은 환경 저해 산업으로 인식되어져 왔으며 특히 건설 산업의 주요자재인 콘크리트는 시멘트, 골재, 혼화재료 등의 재료생산 과정에서부터 제조에 이르기까지 CO2가 많이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 CO2 배출량이 적은 고강도 콘크리트 적용 및 CO2 저배출 자재에 대한 조달 시스템의 적용 등 콘크리트의 생산에서부터 현장 조달 과정까지 발생하는 CO2량의 정량적 평가 방법의 구축 및 이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CO2 저감 방안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생산과정에 따른 CO2 배출량의 정량적 평가 방안을 제안 하였다. 평가방법은 개별적산법을 이용한 국가 LCI DB와 산업연관분석법을 이용하는 혼합방식을 통하여 LCA 전과정 평가 프로세스에 따라 콘크리트의 CO2 배출량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콘크리트 생산과정의 단계를 자재, 운송, 제조단계로 구분한 뒤 각 단계별 CO2 배출량을 자재단계에서는 투입재료의 원단위 CO2 배출량을 근거로 하고, 운송단계에서는 각 재료의 운송거리를 측정하고, 제조단계에서는 레미콘사의 에너지 사용량을 통해 평가하였다. 제안된 평가 방법을 통하여 총 10개의 지역별, 용도별 특성을 가진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각 프로젝트의 규격별 콘크리트의 자재, 운송, 제조 단계에서의 발생하는 단위 물량당 CO2 배출량을 산출하여 재료레벨별 (강도 및 슬럼프), 건축물의 유형별 (오피스, 공동주택, 주상복합), 지역별 (인천, 서울・경기, 부산) 분석을 통해 각 특성에 따른 CO2 배출량의 차이 및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평가에 대한 결과로 CO2 배출량은 콘크리트 강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콘크리트가 건축물에 사용되는 부분에 따라 배출량의 차이를 보이는데 기초로 사용된 경우에는 수화열 감소를 위해 시멘트보다는 고로슬래그의 혼합 비율을 높여 CO2가 적게 배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일한 강도 및 슬럼프의 경우 건축물의 유형, 재료의 산지에 따른 운송단계, 생산단계의 레미콘사의 특성 등 여러 가지 원인에 따라 CO2 배출량이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건축물의 유형에 따른 분석에서는 공동주택, 오피스, 주상복합의 순으로 CO2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주상복합의 경우에는 공동주택 및 오피스에 사용된 동일강도의 콘크리트보다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를 시멘트 대체 혼화재료로 사용한 비율이 높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콘크리트의 지역적 특성 분석에서는 인천이 가장 CO2 배출량이 적었는데 이는 내염해에 강한 배합의 구성을 사용한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상기의 분석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제안된 CO2 저감에 방안에 대해 고강도 콘크리트로 설계 변경하고자 하는 현재 신축중인 판교지역의 오피스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CO2 배출량 저감 방법을 적용・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RC구조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적용시 SRC 구조의 저강도 콘크리트 적용 보다 약 17%의 CO2 배출량이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RC 구조의 기둥에서는 저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기둥보다 고강도의 기둥을 사용한 기둥의 경우 약 10%의 CO2 배출량이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단계에서의 콘크리트 생산부분의 CO2 배출량 저감방법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적용, 고로슬래그 등을 사용한 CO2 배출 저감 배합표의 표준화, 레미콘 사 선정시 CO2 배출량이 적은 업체 선정 등으로 요약 될 수 있으며 본 평가를 통해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에 대한 CO2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프로젝트 수행 시 적용해 보고자 한다.

      • 녹색 사회적기업의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 PSS 비즈니스 모델의 적용유무에 따라서

        한상일 한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전 세계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의 가치창출과 사회복지의 가치창출을 실현할 수 있는 ‘녹색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미 복지국가를 경험한 영국, 미국, 호주 등에서는 ‘녹색 사회적 기업’ 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창출을 위해 다양한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노력해왔고 현재 복지문제를 겪고 있는 국내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정부 및 사회, 경제에서 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사회적 기업은 항상 경제적 가치 창출의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현재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자들은 사회적 기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왔으나 다양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렇게 부족한 연구를 보충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환경의 가치, 수익의 창출,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PSS 비즈니스 모델을 Arnold Tukker가 제시한 PSS 8대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녹색 사회적 기업’의 대표자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On-PSS와 Non-PSS로 ‘녹색 사회적 기업’을 분류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PSS 비즈니스 모델을 하는 기존의 기업들은 환경적 가치가 향상되었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도입으로인해 일자리가 창출되었으며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기 때문에 ‘녹색 사회적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또한, On-PSS 와 Non-PSS ‘녹색 사회적 기업’이 어떠한 유형이 경영성과가 높은지를 비교해 보기 위해 Bull의 Balance를 선행연구에 따라 설문화 시켜 ‘녹색 사회적 기업’의 대표자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경영성과를 측정하였고 Balance의 5대 관점별로 경영성과를 비교하여 모평균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은 부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첫째, 다양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회적 기업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키고 지속적인 수익창출을 위한 사업의 계획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두번째, 생산성이 낮은 복지의 문제와 환경의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해답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Green Social Enterprise'는 환경, 경제, 사회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기업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많은 연구자들은 'Green Social Enterprise'에 대해 관심을 갖을 수 있을 것이다.

      • 급냉 전기로 산화슬래그의 콘크리트용 잔골재료의 적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상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른 환경오염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가 가시화됨에 따라 인류의 지구환경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대되어 환경보호정책이 점점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구환경을 보존하기 위하여 인류는 자원 및 에너지의 낭비를 개선하고, 자원 순환형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산업 폐기물의 재활용 기술의 개발과 재활용 자재의 사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60년대 이후 경제발전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그 중에서도 제철 및 제강산업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철강협회의 자료에 의하면 국내의 조강생산 능력은 1998년 IMF 시기에 다소 주춤하였으나, 매년 꾸준히 증가를 하여 2008년에는 약 5,300만 톤에 이르는 세계 6위의 조강생산국이 되었다. 철강산업은 다량의 원료와 다량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표적인 업종으로 제선, 제강, 압연 등의 복잡한 일련의 생산 공정을 필요로 하며 철강생산에 따른 부산물인 철강슬래그를 다량 발생시킨다. 이러한 철강슬래그는 고로슬래그 외에는 뚜렷한 재활용 용도가 마련되지 않은 부산물로 세계 각국은 재활용용도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 6위의 조강생산국인 우리나라 역시 철강슬래그의 발생량도 매우 막대하며, 다른 나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철강슬래그의 재활용이 시급한 국가로 분류할 수 있다. 철강슬래그 중 제강슬래그는 Free CaO의 팽창붕괴성 때문에 건설재료로 재활용하는데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제강슬래그는 Free CaO를 적게는 0.1% 많게는 20%까지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고, Free CaO의 함량이 1% 이상이 되면 Free CaO는 슬래그 내부로 침투되는 물과 반응하여 Ca(OH)2를 생성시켜 체적 팽창을 일으켜 제강슬래그의 붕괴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약 6개월에서 1년간의 야적에 의해 에이징(Aging)한 후 도로용 노반재 등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공정은 오랜 시간, 넓은 야적장의 요구와 그에 따른 부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킨다. 최근에는 용융된 제강슬래그를 서냉시키지 않고 급냉시켜 제강슬래그 중의 CaO를 화합물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써 Free CaO의 생성량을 감소시시켜 골재화하는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제강슬래그를 고속의 공기를 이용하여 급냉시켜 입형이 구형에 가까운 급냉 제강슬래그 개발하였으나 콘크리트용 골재로서의 연구가 부족하여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Free CaO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제강슬래그 중 고속의 공기로 급냉시켜 제조한 급냉 전기로 산화슬래그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안정성을 검토하고 이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을 검토함으로써 콘크리트용 골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가족생태학적 요인이 아동의 발달장애 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상일 대구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this study tries to clarify risk patterns based on the risk levels of disturbed behaviors, which help to distinguish between several groups of children. This purpose is important because it answers the empirical question of whether or no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homogeneous in their risk patterns. The levels and factor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ffer according to their internal and external living environments, and these differences are likely to be reflected in different risk patterns. Second,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risk patter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third purpose is to find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of family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aking the risk patterns of children and family ecological factors including poverty status, parental propensity,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family cohesion, into account.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risk patterns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This study uses the term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diagnostic criteria that defin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presented in the Buck's Behavior Rating Scale (BBRS), taking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 an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s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into account. These diagnostic criteria are generally thought to be the widely accepted criteria used,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be defined to include the entire range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that are seen in young children. This study employed the BBRS, consisting of 105 items, that are used as screening device in the early stages of the assessment process to identify children who need more in-depth evaluation and it specifically attempts to gauge the severity of negative symptoms as seen by parents, teachers, or professionals. The 105 items are constructed by the five point Likert-scale. In this study, the target population group selected according to specific characteristics is that of children with possible developmental disorders from age three to seven years old and their families. Data was collected from 174 families of children with particular behavior problems and patterns of problems shown by children in March 2006. In order to check the accuracy of the data, the instrument was processed by professionals who had previous knowledge and experience. Missing sections of items, cases of extreme values, inconsistencies, and errors were investigated. Errors discerned through this procedure and all data changes and imputations were identified. After all adjustments were made, this study graphed a profile sheet for each child.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find interactions among factors by forming clusters on the basis of their statistical similarity. This cluster technique is a statistical procedure designed to categorize children's behavior into groups based on the criterion that the members of the group are most alike in terms of their underlying characteristics. A heuristic approach was us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clusters in the present study. In step two, logit analysis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patter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tep thre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aking the patterns of disabilities and family ecological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ata contained two distinctively different groups of disabilities pattern. Therefore, the sample was grouped into two clusters, indicating that different patterns of disabilities can b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disability levels. Twenty-seven percent of the children belonged to cluster one and seventy-three percent of the children belonged to cluster two. Mean scores in cluster 1 were higher for all eighteen items comparing with children in clusters two. Since the first cluster is characterized by high mean scores of all, cluster one is referred to as the severe pattern, and cluster two is referred to as moderate pattern. Logit analysis showed that overcome perception, poverty status, and parental psychological distr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atter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hildren of those families with active overcome perception were more likely to have moderate disabilities than the children of those families with passive overcome perception. Children with poor families were more likely to have the pattern of severe disabilities. Parental psychological di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severe disabilities pattern. Estimated OLS regression was employed to examine whether or not disabilities patterns and family ecological variables are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of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en holding other factors constant. The findings showed that disabilities patterns, parental personality traits, family cohesion, relative deprivation of poverty have large and statistically high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But, family income itself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relatively little variation on quality of life of the family. Public policy makers, teachers, and professionals need to categoriz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for two purposes: first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need or problem group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formulation of policies or programs, and second to identify which population groups should be targeted to receive a given benefit or attention. The categories of families or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target group for public policy or program might be based on the patterns of disabilities based on the disabilities level (i.e. moderate vs severe pattern) and family ecological factors. Need and problem identification, as well as the selecting of target group require an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populations or population sub-groups. Noting that the relative deprivation of poverty is likely to affect nega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of families with disabilities children, the policy formulations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poor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Since the poor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are particularly at risk, public policy makers should be aware of planning for the needs of the poor family who appears to be in the problem group and who needs to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programs and priorities. In addition, programs that can provide social service and assist the families to cope with their adverse life conditions and psychological distress should be developed. These intangible supports will provide important psychological benefits to families to educate the disabled children in reaching their fullest potential. It also provides the belief that they are not isolated from social groups, and the society has mor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and commitment.

      • 성령의 신유사역에 대한 교회사적 고찰

        한상일 베뢰아국제대학원 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성령으로 인도받는 신약교회를 이루기 위한 고찰이다. 이를 위해 사전에 성령과 신유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성령의 역사와 신유의 이적이 하나님의 역사임을 알게 하였다. 이와 더불어 성령의 역사와 신유 이적의 근본이 예수 그리스도임을 밝히고 있다. 특별히 신유사역의 의미와 본문 연구를 통해 성령의 역사와 신유 이적의 출발점이 예수임을 밝혔다. 성령의 역사는 예수께서 죽으시고 부활하시므로 종료된 것이 아니라, 사도와 믿음의 선진들을 통해서 이어졌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사도행전에 나타난 신약교회의 신유사역을 통해 성령의 역사가 초대교회에서 왕성한 사역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초대교회에서 왕성했던 신유가 사도시대나 정경이 완성된 시기에 종료된 것이 아니라, 성령의 인도함을 받은 신약교회에는 어김없이 증거된 것을 역사적 발자취를 통해 발견하고 이를 논증했다. 결론적으로 성령의 신유사역에 대한 교회사적 고찰을 통해 초대교회, 중세 신약교회, 근세 신약교회 그리고 현대 신약교회로 면면히 이어지는 신유의 역사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신유사역이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심을 알게 하였다. 그래서 성령의 인도하심을 통한 신유의 이적이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때까지 계속되어야 하는 사역임을 논증하고 있다. 이것은 능력의 보편성으로 성령의 역사가 종료되었다고 주장하는 은사종료설을 배척하며, 오직 성령의 능력을 통한 신유의 이적이 계속됨을 증거하고 있다. This thesis is an inquiry which intents to establish the New Testament Church which is led by the Holy Spirit. For the said purpose, the Holy Spirit's operation and signs of divine healing were proven to be God's working through the comprehending of the Holy Spirit and divine healing. In addition, it demonstrates that Jesus Christ is the source of the signs of healing and of the operation of the Holy Spirit. The studies on the meaning of healing ministry and on the biblical texts concerned especially prove it. The operation of the Holy Spirit did not end with the death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but was continued through the Apostles and seniors of faith. This thesis provides with clear and specific evidences of the Holy Spirit's most thriving operation in the Early Church through the healing ministry described in the Acts of the Apostles. Divine healing which thrived in the Early Church did not end with the Apostles or at the formation of Biblical Canons. Historical traces were discovered and demonstrated that it was unfailingly witnessed in the Spirit-led New Testament Church. As a conclusion, this church historical study on the Spirit's healing ministry showed that that of Jesus Christ remains always the same yesterday and today as healing continued to occur throughout the Early, Medieval, Modern and Present-day Church. Therefore it demonstrates that signs of healing by the guidance of the Holy Spirit is the ministry which must last until the Lord's Advent. This refutes the assertion that the operation and gifts of the Holy Spirit ended and testifies that signs of healing by the Spirit's power simply contin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