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앙의 합리성” 연구에 있어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계시헌장」의 기여

        한민택(Han, Mintae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2 이성과 신앙 Vol.53 No.-

        제1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톨릭 신앙에 관한 교의 헌장 「하느님의 아들(Dei Filius)」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 헌장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이 ‘신앙의 합리성’ 연구에 가져온 결정적 기여가 무엇이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다. 이신론자들에 대항하여 싸우던 고전 호교론의 ‘외부주의’ 영향 하에 있던 헌장 「하느님의 아들」은 계시와 신앙을 순전히 사변적이고 지성주의적이며 권위주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었다. 가신성의 동기를 주로 신앙 행위의 외부에서 주어지는 것에서 찾았기 때문에 헌장은 신앙 내용과 인간 경험 사이의 관계 물음에 대한 답을 온전히 제시해줄 수 없었다. 계시의 사실과 의미를 분리하는 고전 호교론의 외부주의적 성향은 신앙의 고유한 합리성을 숙고하는데 있어 많은 난점을 남겨두었으며, 헌장 「하느님의 아들」은 그러한 흔적을 지니고 있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계시헌장」은 고전 호교론의 외부주의적 전망을 뛰어 넘어 계시와 신앙 이해에 있어 새로운 전망을 도입하였다. 하느님의 계시는 다만 믿어야 할 진리들의 집합체가 아니라 인간과 사랑의 친교를 이루고자 하시는 삼위일체 하느님 자신의 통교행위(auto-communication)로 이해된다. 구원의 역사와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에 집중되어 제시된 계시 개념은 더 이상 추상적인 관념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며 체험 가능한 인격적 실재로 드러나며, 신앙은 당신 자신을 통교하시는 하느님을 향한 인간의 전인적이며 실존적인 처신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전망에서 가신성의 동기는 신앙 내용과 신앙 행위에 긴밀히 연결된다. 신앙의 합리성은 더 이상 순전히 사변적인 논증에서가 아니라 교회와 신앙인의 구체적이며 일관된 삶과 체험에서부터 찾아지게 된다. 끝으로, 이와 같이 그리스도교 체험 안에서 발견되고 체험된 그리스도 신앙 진리는 또한 보편적인 것이고자 하기 때문에, 늘 진화하는 주변의 사회와 문화와의 대화는 신앙의 고유한 합리성을 충만히 드러내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드러난다. En faisant la comparaison avec la Constitution Dei Filius du Vatican I, nous pouvons mesurer des apports décisifs de la Constitution Dei Verbum du Vatican II à la recherche de la rationalité de la foi. Sous l’influence de l’extrinsécisme qui dominait l’apologétique classique entendant combattre les thèses déistes, Dei Filius laissait favoriser une compréhension purement spéculative, rationaliste et autoritaire de la révélation et de la foi. En cherchant les motifs de crédibilité essentiellement dans ce qui est donné de l’extérieur de l’acte de foi, cette Constitution n’était pas pleinement en mesure de répondre à la question de la relation entre le contenu de la foi et l’expérience humaine. La tendance extrinséciste de l’apologétique qui sépare le fait et le sens de la révélation laissait pendantes de nombreuses difficultés pour concevoir la rationalité propre de la foi chrétienne. Dei Filius en garde la trace. Dei Verbum à Vatican II a introduit une nouvelle perspective dans la compréhension de la révélation et de la foi, en surmontant la perspective extrinséciste de l’apologétique classique. La révélation divine n’est plus seulement comprise comme un ensemble des vérités à croire, mais comme auto-communication du Dieu-Trinité qui veut entrer en communion d’amour avec l’homme. Centré sur l’histoire du salut et sur la personne de Jesus-Christ, le concept de révélation n’apparaît plus comme une idée abstraite, mais comme réalité personnelle, objet d’une expérience concrète et réelle de l’homme, tandis que la foi est comprise comme une attitude existentielle, un engagement personnel et total de l’homme envers Dieu qui se communique. Dans cette perspective, les motifs de credibilité sont intimement liés au contenu de la foi et à son acte propre. La rationalité de la foi, quant à elle, n’est plus cherchée dans une démonstration purement spéculative, mais dans une vie et dans une expérience concrètes et cohérentes de l’Eglise et du croyant. Enfin, puisque la vérité du christianisme ainsi trouvée et vécue au sein de l’expérience chrétienne se veut universelle, le dialogue avec la société et la culture ambiantes qui sont en perpétuelle évolution nous apparaît indispensable pour manifester pleinement la rationalité propre de la foi chrétienne.

      • KCI등재
      • 기초신학의 관점에서 본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와 그리스도교 신학의 과제

        한민택(Han, Mintae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8 이성과 신앙 Vol.65 No.-

        본고에서는 유발 하라리의 『호모 데우스』의 분석을 통해 제4차 산업혁명의 도전과 그에 대한 교회와 신학의 과제에 대해 숙고하고자 한다. 하라리는 신기술을 통해 ‘불멸, 행복, 신성’을 추구하는 현 인류가 딜레마에 빠져 있음을 지적하며, 그 원인을 서구의 인본주의 자체에서 찾는다. 농업혁명을 통해 신과 관계를 수립하여 우주의 중심에 자리하게 된 인류는 과학혁명으로 신을 객석으로 몰아내기에 이르렀으며 급기야 스스로 신이 되려 한다는 것이다. 하라리의 이러한 주장에는 인류의 역사를 종교와 과학의 계약으로 해석하는 입장이 자리한다. 그런데 종교를 사회질서의 유지를 위한 도구 정도로 평가절하하며 또한 인문학적 성찰을 배제하는 저자의 입장이 오히려 그가 제기하는 윤리적 문제의 본질을 진단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21세기 과학과 종교의 대화 가능성을 열기 위해 본고에서는 둘 사이의 비판적이며 창조적인 관계 수립을 위한 전망을 마련하고자 한다. 21세기 신기술로 인한 변화된 삶의 조건과 신앙의 조건에 대해 숙고하고, 인간의 정체성 위기 현상에서 출발하여 신앙을 새롭게 규정하며, ‘존재의 무상성(無償性)’을 원리로 하는 새로운 사유와 윤리를 창출할 것을 주장한다. ‘계시’ 개념을 삶의 비전에서 이해된 ‘하느님 나라’와 연결시켜 재해석하여, 하느님과 인간과 신앙에 대해 ‘현실적’으로 다가설 것을 주장한다. This study looks at the challenges for the Church and the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analyzing ‘Homo Deus’ of Yuval Harari. Harari points out that the present mankind who pursues “immortality, happiness, and divinity” through new technology is facing a great dilemma. He finds its cause in the western civilization itself. He argues that mankind who was able to take the center stage of the universe by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agricultural revolution and who pushed God to the sidelines through scientific revolution is now even trying to become Gods themselves. Harari’s argument is based on a stance of interpreting the history of mankind as a covenant between religion and science. His devaluation of religion as a mere tool for maintaining social order and exclusion of the factor of human reflections hinders the course of diagnosing the ethical problems he presents and finding suitable solutions. In order to open the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ospects for setting critical, yet creative relations between the two realms. This paper argues for the need to redefine ‘faith’ and to create a new way of thinking and a new set of ethic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ratitude of existence’ (based on the christian belief that life is given gratuitously by God) by looking at the changes that the new technologies will bring to the daily and religious lives of humans and the subsequent identity crisis. This paper also calls for dialogue on God, humans, and faith in a more ‘realistic’ manner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the concept of ‘revelation’ in the context of the ‘kingdom of God’ understood in the prospect of life.

      • 기초신학의 중심 주제로서의 식별

        한민택(Han, Mintae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0 이성과 신앙 Vol.68 No.-

        본고에서는 최근 ‘공동합의성’과 함께 대두되고 있는 ‘식별’ 개념을 기초신학적 관점에서 정립하고자 한다. 먼저 기초신학에서 식별 문제가 어떻게 제기되는지를 프랑스의 신학자 앙리 부이야르와 클로드 제프레의 저작을 차례로 분석하며 살핀다. 부이야르는 ‘가신성의 동기’에 대해 성찰에서 출발하여 계시가 역사적 표지에 대한 신앙의 식별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음을 밝힌다. 제프레는 해석학적 관점에서 하느님 백성의 ‘의미산출활동’을 계시의 구성요소로 간주하며 계시가 하느님 백성의 동일한 전통 안에서 재해석되고 식별되는 것으로 밝힌다. 2장에서는 공동합의적 교회 실현을 위해 요구되는 공동체적 식별의 원리와 기준에 대해 숙고한다. 먼저 교황청 국제신학위원회의 문헌 『교회의 삶과 사명 안에서 공동합의성』에서 식별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살핀 다음, 그리스도 신앙의 고유한 원리에 따라 식별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계시헌장」에서 제시하는 ‘성전’(Traditio)의 전망에 위치시킨다. 이로써 공동체적 식별은 계시의 전달과 현실화의 원리로 자리매김한다. 식별은 신앙 행위로서 그 대상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실현된 계시 사건이며 그 계시 사건과 오늘의 현실을 연결함으로써 신앙의 동일한 지향성을 전달하는 원리다. 또한 식별의 기준도 드러나는데, 식별에서 주도권은 신앙의 증언과 그 증언을 낳은 신앙 공동체에 있으며 교회의 사명인 ‘선교’를 지향하는 것이어야 한다. L’article entend réfléchir le concept de “discernement”, sujet prenant de l’importance avec la “synodalité de l’Eglise”, du point de vue de la théologie fondamentale. Dans un premier temps, l’article montre comment le discernement se pose comme problème de théologie fondamentale en analysant respectivement les écrits d’Henri Bouillard et de Claude Geffré. Partant d’une réflexion sur le “motif de la crédibilité” de la foi chrétienne, Bouillard fait voir comment la révélation est saisie indirectement à travers ses signes historiques par l’acte de discernement dans la foi. Geffré considère, du point de vue de la théologie herméneutique, l’“activité signifiante du peuple de Dieu” comme élément constitutif de la révélation, et montre comment celle-ci est réinterprétée, et son sens discerné, dans la tradition authentique du peuple de Dieu. Dans un second temps, l’article réfléchit sur le principe et les critères du discernement communautaire, qui sont requis pour la réalisation d’une église synodale. Après avoir examiné comment le document de la commission théologique internationale, Synodalité dans la vie et dans la mission de l’Eglise, traite le discernement, l’article entend poser ce concept de discernement dans la perspective de la Tradition de l’Eglise, selon le principe propre de la foi chrétienne, telle qu’elle est considérée dans la Constitution Dei Verbum. Ainsi le discernement communautaire se montre-t-il comme principe de transmission et de réalisation de la révélation divine. En tant qu’acte de foi, il a pour objet l’événement de révélation réalisée en Jésus-Christ, et c’est lui qui est le principe de transmission de l’intentionnalité de la foi par le biais de l’articulation entre l’événement de révélation et la réalité d’aujourd’hui. En conséquence, certaines caractéristiques du discernement en découlent : dans le discernement, l’initiative appartient au témoignage de la foi et à la communauté croyante qui lui a donné naissance, et ainsi à la “mission” de l’Eglise.

      • 그리스도교 신앙 공동체의 출발 -한국 천주교회 ‘창립사創立史’ 이해를 위한 신학적 시도

        한민택(Han, Mintae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4 이성과 신앙 Vol.56 No.-

        ‘그리스도교 신앙 공동체’는 어떻게 규정되며 그 출발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한국교회에서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제기되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은 한국 천주교회 창립사 이해를 위한 해석학적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리스도 교회의 ‘창립’에 관한 제1, 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과 「교회헌장」 반포 20주년을 맞아 교황청 국제신학위원회가 발표한 보고서 ‘교회론의 쟁점들’(1985)을 차례로 분석한 후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1. 교회의 ‘창립’을 역사의 한 순간이나 사건에 국한시켜서는 안 되며, ‘구원의 역사’ 전체 안에서 이해해야 한다. 2. 교회의 창립자로서 예수를 말할 때, 그의 ‘창립’ 행위는 한 순간의 말이나 행동이 아닌 ‘그리스도 사건’ 전반에 걸쳐 이해되어야 한다. 하며, 교회는 예수의 역사적 도정 곧 하느님 나라 복음선포로부터 성령 파견에 이르는 전 과정의 결실로 보아야 한다. 3. 예수는 교회의 역사적 기원일 뿐 아니라 교회의 삶의 원리이기도 하다. 4. 교회의 창립이 구세사의 한 순간에 환원될 수 없듯이 지역교회의 창립 또한 한 사건이나 인물 혹은 역사의 한 순간에 환원시킬 수 없으며, 여러 단계의 발전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5. 교회의 창립은 ‘하느님 계시의 역사 안에서 이루어지는 교회의 되어감’이다. 그러므로 지역교회의 창립과 발전은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 계획이 역사 안에서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6. 지역교회의 창립에서 핵심이 되는 두 가지 요소가 있는데, 하나는 보편교회의 살아있는 전통과의 일치이며 다른 하나는 지역의 언어, 문화, 역사 등과의 친밀한 대화로서, 이 둘은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7. 각 지역교회의 창립자는 예수 그리스도로서 하느님께 그 기원을 두고 있지만, 그 창립 행위는 또한 인간을 통해 이루어진다. 각 지역교회가 형성되고 발전하는데 선구자적 역할을 한 이들을 ‘창립자’라고 부를 수 있는데, 이는 ‘육화의 유비’에 근거한 비유적인 표현으로서 교회를 세우고 이끈 이들의 주도적이고 자발적인 면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Comment peut-on définir « la communauté des fidèles du christianisme » et comment commence sa fondation ? Pour répondre à cette question qui se pose d’une façon particulière dans l’Eglise de Corée, cet article entend donner quelques critères herméneutiques permettant de comprendre la fondation de cette Eglise. Après avoir analysé tour à tour les enseignements du Concile Vatican I et du Concile Vatican II sur la fondation de l’Eglise ainsi que les « Thèmes choisis d’ecclésiologie », rapport donné par la Commission théologique internationale à l’occasion du XXeanniversairedelaclôturedu- ConcileVaticanII,cetterechercheaboutitàcespointsconclusifs : 1. Au lieu de limiter la fondation de l’Eglise à un seul moment ou à un seul événement de l’histoire, il faut la comprendre dans l’ensemble de l’histoire du salut. 2. Quand on désigne Jésus-Christ comme fondateur de l’Eglise, son acte de « fondation » doit être compris non comme une parole ou un acte d’un moment déterminé, mais comme étant étendu sur l’ensemble de l’« événement du Christ ». Cela signifie qu’il faut considérer son Eglise comme fruit de l’itinéraire terrestre de Jésus commençant par l’annonce du Royaume de Dieu jusqu’à la Pentecôte. 3. Jésus-Christ est à la fois l’origine historique de l’Eglise et son principe permanent de vie. 4. De même qu’on ne peut limiter la fondation de l’Eglise à un seul moment de l’histoire du salut, on ne peut réduire la fondation d’une Eglise locale à un seul événement, à un seul personnage ou à un seul moment de l’histoire, car elle s’effectue selon des étapes progressives. 5. Puisque la fondation de l’Eglise est le « devenir de l’Eglise à l’intérieur de l’histoire de la Révélation », la fondation d’une Eglise locale et son développement doivent être compris comme réalisation concrète du dessein universel du salut de Dieu dans l’histoire. 6. Il y a deux éléments essentiels dans la fondation d’une Eglise locale, qui sont étroitement liés : d’une part, l’union avec la tradition vivante de l’Eglise universelle, d’autre part, le dialogue intime avec la langue, la culture, l’histoire, etc. de la région. 7. Chaque Eglise locale, ayant Jésus-Christ pour fondateur, a son origine en Dieu, mais sa fondation s’opère également par l’homme. On peut appeler « fondateurs » des chrétiens qui ont joué leur rôle principal et précurseur dans la naissance et le développement d’une Eglise locale. Il s’agit d’une expression symbolique fondée sur l’analogie de l’Incarnation, qui veut souligner l’aspect conducteur et volontaire du travail de ces premiers chrétiens qui dont fondé et conduit leur Eglise.

      • 현대 기초신학 관점에서 바라본 정하상의 『상재상서』

        한민택(Han, Mintae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9 이성과 신앙 Vol.67 No.-

        본고에서는 정하상 성인의 『상재상서』를 기초신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 작품에 담겨 있는 고유한 신학적 전망을 도출함으로써, 이 작품이 단순히 ‘보유론적 호교론서’를 넘어 그리스도 신앙의 원리인 ‘신앙의 이해’ 곧 믿는 바를 이해하려는 탐구의 결과임을 밝히고자 한다.이를 통해 정하상 성인의 순교 행위가 내세에 대한 염세주의적 추종이나 비이성적 교리와 윤리 강령에 대한 맹목적 추종이 아니라, 신앙의 인식과 행위가 당시 사회, 문화적 통념과 근본적으로 갖게 된 갈등에서 비롯된 귀결이었음을 밝히려는 것이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현대 기초신학의 역사와 과제를 고찰함으로써 『상재상서』를 기초신학적 전망에 위치시키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상재상서』를 기초신학적으로 분석한다. 먼저 『상재상서』 전체를 ‘신앙의 이해’의 역동적 움직임 안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책에서 ‘자연적 신 인식’과 ‘신앙의 신 인식’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신앙 행위가 순교로 이어지게끔 했던 천주교의 초월적 인격신과 유교의 상제 사이의 근원적인 차이점에 대한 인식이 『상재상서』 안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핀다. 결론에서는 한국적 기초신학의 기틀을 놓은 『상재상서』가 오늘날 우리에게 남겨주는 과제에 대해 숙고하며 글을 마무리한다. 『상재상서』는 당시 한역서학서와 서양의 호교론서의 영향을 반영하면서도, 그들의 한계를 넘어 당시 신앙인의 고유한 신앙 인식의 방법과 내용, 실천까지도 제시하고 있으며, 문화, 종교적 요소를 연결시켜 신앙 진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그리스도교 교의사 뿐 아니라 한국의 사상사 안에서 큰 의의를 지니는 기초신학적 저술로 평가할 수 있다. Nous voudrions analyser, dans cet article, le Sangjaesangsuh de Paul Chong Ha-sang, du pont de vue de la théologie fondamentale d’aujourd’hui. En dégageant la perspective proprement théologique de cette œuvre, l’article entend montrer que celle-ci est l’aboutissement d’un effort pour comprendre ce que l’Eglise croit, relevant du mouvement de l’intellectus fidei, au lieu de la considérer comme un simple livre apologétique complétant le confucianisme par le christianisme. En effet, nous voulons montrer par là que le martyre de Saint Paul Chong, loin d’être une simple poursuite misanthropique de la vie de l’au-delà ni de la suite aveuglée des vérités et des préceptes moraux irrationnels, est le résultat du conflit fondamental entre la foi chrétienne et l’opinion commune socio- culturelle d’alors. Dans la première partie, l’article analyse le Sangjaesangsuh du point de vue de la théologie fondamentale. D’abord, il situe cette œuvre toute entière dans le mouvement dynamique de l’intellectus fidei. Ensuite, il manifeste comment s’y articulent la connaissance naturelle de Dieu et la connaissance de Dieu dans la foi. Enfin, il décrit comment s’y reflète la conscience de la différence fondamentale entre le Dieu personnelle du catholicisme et l’Être suprême du confucianisme. L’article se termine en réfléchissant sur la tâche que laisse le Sangjaesangsuh pour nous aujourd’hui. Le Sangjaesangsuh, tout en étant influencé par certains livres catholiques d’alors traduits en chinois et par des œuvres apologétiques de l’Occident, dépasse clairement leurs limites, présente le moyen, le contenu et la pratique de la connaissance de foi des chrétiens d’alors, ayant pour but d’expliquer la vérité de la foi en lien avec des éléments culturels et religieux de cette époque. Par cela, nous pouvons estimer cette œuvre comme un ouvrage de théologie fondamentale à proprement parler, ayant une importance particulière non seulement dans l’histoire du dogme chrétien mais aussi dans l’histoire de la pensé de notre pays.

      • ‘자유의 교육학’에 따른 신학교 인성 양성

        한민택(Han, Mintae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0 이성과 신앙 Vol.68 No.-

        La formation humaine dans les séminaires selon une pédagogie de la liberté La formation humaine est devenue aujourd’hui une tâche majeure dans la formation des futurs prêtres. L’Eglise catholique a pris une nouvelle direction pour cette formation humaine en publiant deux documents importants. L’article veut regarder de plus près le contenu de cette nouvelle formation humaine en analysant les deux documents, et proposer une nouvelle direction dans la formation sacerdotale en vue de leur réception critique dans le contexte coréen, sous le signe d’une “Pédagogie de la Liberté”. D’abord, l’article analyse l’exhortation apostolique du Pape Jean-Paul II, Pastores Dabo Vobis(1992), surtout son enseignement sur la formation humaine comme “fondement” de toutes les autres dimensions de la formation sacerdotale. Il regarde ensuite comment le document récent de la Congrégation pour le Clergé, Le don de la vocation presbytérale(2016), traite de la formation humaine dans la perspective de l’“intégration”. Néanmoins, la réalisation de cet idéal de formation humaine dans la situation de la Corée reste une question ouverte. Dans notre situation où les séminaristes restent souvent très passifs dans la vie au séminaire et qu’ils ont des difficultés à se manifester dans leur formation, vouloir qu’ils vivent comme sujet de leur formation selon les deux documents apparaît une attente trop idéale. Inspiré d’Une Pédagogie de la Liberté, livret fourni par la Compagnie des Prêtres de Saint-Sulpice (Province de France) sous forme de “quatre notes” sur la formation des prêtres, l’article entend chercher une nouvelle direction pour la formation, afin de modifier la situation actuelle de manière à promouvoir l’autonomie des séminaristes et à leur permettre de participer plus activement dans leur formation. Après avoir présenté le but et la méthode de la “pédagogie de la liberté”, l’article souligne qu’il faut un passage “de l’éducation à la formation”, et que cette formation doit devenir un “cheminement vers la liberté intérieure sur le fondement de la personnalité”. Pour un tel changement, l’article souligne encore que sont nécessaires une “rencontre personnelle avec Jésus-Christ” et une “formation des relations intimes et personnelles dans la vie communautaire”. C’est dans la dynamique du discernement et de l’accompagnement que tous ces éléments fonctionneront intégralement pour la formation de la personnalité du séminariste et de sa liberté intérieure. En guise de la conclusion, l’article propose que l’intentionnalité de la “mission” pénètre tout le parcours de la formation. 본 논문은 신학교 인성 양성을 한국적 상황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사제 양성에서 인성 양성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는 오늘, 가톨릭 교회는 근래 들어 두 개의 문헌을 통해 인성 양성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는 이 두 문헌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보편교회가 제시하는 인성 양성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것의 한국적 수용을 위한 사제 양성의 새로운 방향을 ‘자유의 교육학’이라는 이름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권고 『현대의 사제 양성(Pastores Dabo Vobis)』(1992)에서 제시한 모든 양성 차원의 ‘기초’로서의 인성 양성을 분석한다. 이어서 교황청 성직자성이 반포한 『사제성소의 선물』(2016)에서 인성 양성이 어떻게 ‘통합’의 전망에서 다루어지는지 고찰한다. 그런데 두 문헌이 제시하는 인성 양성의 이상이 어떻게 한국의 현실 안에서 구체화될 것인지는 미지수로 남아 있다. 신학생들이 생활에서 수동적이며 양성에서 자신을 온전히 드러내는 데 어려움을 겪는 현 상황에서 그들이 양성의 주체로 살아가기를 바라는 것은 이상주의적 기대로 남는다. 쉴피스회 프랑스 관구에서 출간한 ‘자유의 교육학’에 영감을 얻어, 본고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변화시켜 신학생들이 자율성을 함양하여 양성에 더욱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양성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자유의 교육학’의 취지와 방법을 제시한 다음, 왜 ‘교육에서 양성으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양성이 ‘인성의 기초 위에서 내적 자유를 향한 여정’으로 자리매김해야 하는지 밝힌다. 그러한 방향전환을 위해서 가장 요구되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만남’과 ‘공동체 생활 안에서 인격적 신뢰 관계의 형성’이다. 이 모든 요소가 신학생의 통일된 인격 형성과 내적 자유의 함양에 통합적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은 식별과 동반의 역동성 안에서이다. 본고는 결론을 대신하여 ‘선교 지향성’이 양성의 전 과정을 관통할 수 있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계시와 체험 :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계시헌장」을 통해 본 한국교회의 신학적, 사목적 과제

        한민택(Han Min taeg)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5 신학과 철학 Vol.- No.27

        계시 개념의 권위주의적 성격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은 「계시헌장」이 계시 개념발전에 가져다 준 기여에 주목한다. 헌장은 제1장 ‘계시 그 자체’에서 계시 개념에 인격주의적, 역사적, 그리스도 중심적 비전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전망 안에서 헌장은 계시 개념이 그동안 지녔던 외부주의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성격을 해체시키는 동시에, 계시와 신앙 사이의 내재적 관계를 수립하고, 계시와 구원의 역사를 연결시켜 해석학적 전망을 열어주었다. 제2장 ‘계시의 전달’에서 헌장은 계시 전달의 장(場), 전승의 가시적 주체로서 교회의 삶을 제시하여, 계시와 신앙 사이의 내재적 관계를 교회 공동체 차원으로 넓혀주었다. 계시의 한국적 토착화를 위해 헌장으로부터 두 개의 중요 연구 과제를 가늠해볼 수 있는데, 하나는 신앙 행위와 ‘자연적 선 인식’ 사이의 관계 연구이며, 다른 하나는 ‘전통의 위기’ 현상의 신학적 분석이다. 둘 모두 오늘의 한국인의 구체적 체험과 그리스도 계시를 실질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과제로 드러난다. In order to overcome the authoritarian character of the concept of revela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tribution that the Dogmatic Constitution of Divine Revelation offe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The Constitution provides a personalistic, historic and christocentric vision in the First Chapter, "Revelation Itself''. In this respect, the Constitution dissolutes the long-held extrinsic and authoritarian character of the concept of revelation, while at the same time establishes the intrinsic relation between revelation and faith, in a way to open an interpretive prospect by connecting revelation and history of salvation. In the Second Chapter, "Deliverance of Revelation", the Constitution provides the notion of church life as the main field and visible subject of delivering revelation, thus widening the intrinsic relation between revelation and faith to the level of church community. In order to enhance the Korean inculturation of revelation, two significant research projects can be derived from the Constitution. First, an examin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acts of faith and natural knowledge of God, second, an analysis on the phenomenon of 'crisis of tradition'. These two can be understood as aiming to substantially relating the concrete experience of nowadays Koreans and divine revelation.

      • 시노드적 교회의 쇄신 원리로서의 자비와 식별: 『복음의 기쁨(Evangelii Gaudium)』을 중심으로

        한민택(Han, Mintae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1 이성과 신앙 Vol.71 No.-

        En cette phase préparatoire du 16ème Synode des Evêques, cet article entend situer la synodalité dans la perspective de la réforme de l’Eglise du Pape François. Dans un premier temps, l’article analyse le concept général et la finalité de la synodalité telle qu’elle est exprimée dans le document de la Commission théologique international (CTI), La synodalité dans la vie et dans la mission de l’Eglise. La synodalité s’y montre comme le principe d’une Eglise qui s’incarne dans l’histoire tout en restant dans une fidélité créative à la Tradition. Elle indique ainsi le modus vivendi et operandi d’une Eglise qui se manifeste comme « communion » dans sa vie et dans sa manière de vivre la mission. Ensuite, l’article analyse le cléricalisme qui est un obstacle majeur à la réalisation d’une Eglise synodale. En reliant ce cléricalisme, critiqué par la CTI mais aussi par plusieurs théologiens coréens, à un autoritarisme dogmatique marqué par l’extrinsécisme théologique, il s’agit de montrer que ce problème fondamental ainsi que sa solution concernent une réinterprétation de la révélation chrétienne. Ceci d’autant plus que, sans analyse dogmatique, cette critique court le risque de demeurer sans effet en oubliant l’essence même du problème. Enfin, en suivant l’exhortation Evangelii Gaudium, et l’analyse montre comment la miséricorde et le discernement jouent un rôle majeur comme principe de réforme de l’Eglise chez le Pape François. L’article examine d’abord la finalité générale de la réforme missionnaire, montre ensuite comment la miséricorde et le discernement jouent leur rôle de principe de réforme au-delà de la mondanité spirituelle et le cléricalisme. Cette réforme n’en reste pas seulement au niveau des institutions, mais met en avant la miséricorde, contenu de la foi, pour qu’elle se pénètre dans tous les domaines de la vie de l’Eglise. Elle fonctionne comme un principe qui permet de renouveler l’identité de l’Eglise et de retrouver l’impulsion missionnaire des fidèles. En conclusion, cette réflexion entend ouvrir une nouvelle voie pour la réforme synodale de l’Eglise de Corée. A la lumière de l’histoire et de la situation actuelle de la Corée, elle invite à cette tâche de réinterpréter la miséricorde divine attestée dans la Bible et dans la Tradition, d’en identifier les significations pratiques, et de rechercher les moyens de la réforme dogmatique et institutionnelle de l’Eglise de Corée. 16차 세계주교시노드 준비 과정에서 본 논문은, 시노달리타스를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회 쇄신의 전망 안에 위치시키고자 한다. 이 논문은 먼저 교황청 국제신학위원회 문헌 󰡔교회의 삶과 사명 안에서 공동합의성󰡕에 나타난 시노달리타스의 개략적 개념과 방향성을 살핀다. 여기서 시노달리타스는 거룩한 전승에 일치하며 역사 안에 육화하는 교회의 모습을 나타내며, 교회가 자신의 삶과 사명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친교’로 드러내는 ‘생활 방식과 활동 방식의 고유한 특성’을 가리킨다. 다음으로 시노드적 교회를 실현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성직주의를 분석한다. 국제신학위원회의 문헌뿐 아니라 한국교회의 여러 신학자에 의해 지속해서 지적된 성직주의를 이 글에서는 신학적 외부주의로 각인된 교의적 권위주의와 연결함으로써, 그 근본적 문제와 해법이 그리스도 계시에 대한 재해석과 관련이 있음을 밝힌다. 이는 교의적 분석 없는 성직주의의 비판이 문제의 본질을 망각한 효과 없는 비판에 머물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프란치스코 교황의 권고 󰡔복음의 기쁨󰡕을 분석하며,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회 쇄신의 원리로서의 자비와 식별을 분석한다. 먼저 교황이 추구하는 교회의 선교적 쇄신의 전반적 방향성을 고찰하고, 자비와 식별이 어떻게 영적 세속성과 성직주의를 뛰어넘어 시노드적 교회 쇄신의 원리로 작용하는지 밝힌다. 교황이 추구하는 교회 쇄신은 단순히 제도적 차원이 아닌, 신앙 내용인 신적 자비를 전면에 내세우며 자비가 교회 생활 전반에 스며들게 함으로써, 교회의 정체성을 쇄신하고 선교 열정을 회복하는데 원리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임을 명확히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위의 고찰은 한국교회의 시노드적 쇄신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한다. 곧 한국교회에 맡겨진 과제는 성경과 성전이 증언하는 하느님의 자비를 한국의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에 비추어 새롭게 해석하고, 그 실천적 함의까지 파악하며, 그에 따른 교회의 교의적, 제도적 쇄신을 도모하는 것이다.

      • KCI등재

        코로나 시대에 주목하는 박해시대 교우촌의 공동체 삶과 전례

        한민택(Mintaeg Han) 신학과사상학회 2021 가톨릭 신학과 사상 Vol.- No.85

        본 논문은 코로나19 상황에서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전례와 삶의 관계 문제에 대한 해법을 박해시대(1785~1886) 교우촌 신자들의 공동체적 삶과 전례에서 찾고자 한다. 논문은 먼저 전례와 삶의 관계 문제를 ‘시노달리타스(synodalitas)’의 한국적 수용이라는 맥락에 위치시킨다. 전례와 삶의 괴리 문제를 ‘시노드적 교회’를 실현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하는 성직 중심의 권위주의와 연결하여 이해하려는 것이다. 여기서는 평신도의 보편사제직에 대한 적극적 인식과 교회 삶과 사명에 능동적, 자발적 참여를 가능케 하는 새로운 해석학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다음으로 한국교회 박해시대 동안 교우촌이 형성되고 확산하게 된 경위를 살피고, 교우촌 신자들의 일상생활과 신앙생활을 소묘한 다음 그 안에서 전례가 차지하는 위상을 고찰한다. 특별히 ‘첨례표’에 반영되는 신자들의 전례 중심적 삶과 거기서 회장이 행했던 중심적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삶의 거행’이라는 아프리카 토착화 신학의 해석학적 전망에 따라 교우촌 공동체에서 전례와 선포와 생활의 선순환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고찰한다. 이를 통해 교회의 복음 선포 사명에 대한 권위주의적 인식에서 벗어나 평신도의 삶으로부터 출발하는 ‘아래로부터’의 복음 선포 사명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로써 교회 안에서 평신도 중심의 사목자 역할을 새롭게 규정해야 할 당위성을 역설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 시대에 시노드적 교회를 실현하기 위해 가장 시급히 요청되는 것으로 전례와 일상생활의 선순환을 매개하는 해석하는 공동체 창출,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전례적 삶, 평신도 양성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paper seeks to find a solution to a new problem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caused by the Covid-19, that is,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turgy and life, by looking into the community life and liturgy of the Catholic Villages in the Era of Persecution(1885-1886). It first places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turgy and life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acceptance of ‘synodalitas’. The purpose of this is to understand the gap between liturgy and life in connection with the clergy- centered authoritarianism that acts as an obstacle to realizing a ‘synodal church’. It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a new hermeneutics that enables the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laity in the life and mission of the Church, as well as the active recognition of the common priesthood. Nex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atholic Villages were formed and spread during the Era of Persecution, which then leads to a description of the daily and religious life of the Villages’ laypeople, as well as the status of the liturgy in their lives. In particular, it intends to shed light on the laity’s liturgical life which can be found in the ‘Liturgical Calendar’ and the central role played by the ‘Hoejang(chairman)’. Finally, it is shown, with the hermeneutic perspective of the African inculturation theology of “the celebration of life”, how the virtuous cycle of liturgy, proclamation, and life was achieved in the Catholic Villages. This is to emphasize from below approach for the mission of proclaiming the Gospel, which begins with the life of the laity and breaks away from the authoritarian recognition of the Church s mission. In this way,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justification for a new definition of the pastor’s role centered on the laity of the Church.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suggests that creating an interpreting community which mediates the virtuous cycle of liturgy and life, practicing liturgical living in everyday life, and training the laity are most urgently required to realize a ‘synodal church’ in the era of the Covid-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