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호관찰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

        한미라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의 가정, 또래, 학교환경 등 사회적관계망을 분석하고 재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보호관찰 청소년 이 비행의 유혹으로부터 벗어나 건전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였도록 도 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관찰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을 가정요인, 또래요인, 학교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사회적 관계망에서 재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남지역 2곳의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 중인 청소년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에서 조사응답 자료로 사용할 수 없는 29부를 제외한 205부를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청소년의 사회적관계망애 대한 주요 문헌연구 를 통 하여 각 변인들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문항들을 확보하여 설문문항을 구성 하였다. 부모지지 관한 문항은 다측면적 지지척도 중 부모에 대한 부분을 사용하였으며, 부모감독에 관한 문항은 허묘연 (1999) 의 척도를 사용하였 다. 또한 또래지지와 교사지지는 민원홍 (2013) 이 설문분석시 사용한 척도 를 활용하였다. 통 계 분석을 위해 SPSS Windows 18.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분석,Cronbach alpha test,분산분석,다중회귀분석,t-test,카이스 퀘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관찰 청소년의 사회 적관계망 정도를 보면 부모와 교사의 지지에 대해서는 ‘보통’정도로인식 하고 있었으나 자신의 처지를 이해해주고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지지를 제공해 주는 또래관계에 대하여는 부모나 교사에 비해 긍정적으로 인식하 고 있었다. 둘째, 보호관찰 청소년의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관계망의 차이 를 살펴보면 부모의 결혼 상태에 따른 가족구조별 차이에서는 부모지지, 부모감독, 교사지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비행친구 수에 따른 사 회적 관계망은 또래지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 중도탈락에 따른 사회적관계망에서는 부모지지, 부모감독, 교사지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호관찰 청소년의 재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결과 가정 환경 요인을 보면 부모의 별거 이혼 사별의 경우 재비행이 높게 나타났 으며, 또래관계에서는 비행하지 않는 친구가 많을수록 재비행이 낮게 나 타났으며, 학교환경애서는 학업 중도 탈락한 보호관찰 청소년일수록 재비 행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가족의 구조 및 비행하지 않는 친구의 수, 학업 중도탈락 요인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재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보호관찰소, 가정, 학교가 협조체제를 유지하여 보호관찰 청소년이 건강한 청소년기를 보내고 건전한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조력하여야 할 것이다.

      • 전남지역 치과 구내 방사선사진의 참고선량

        한미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Purpose: To establish reference doses of periapical radiography in Chonnam Province, KOREA. Materials and Methods: The target-skin distances were measured for dental patient’s 1235 exposures including 345 mandibular molar areas. Each periapical radiation exposure was simulated with exactly the same patients exposure parameters and the simulated radiation doses were measured utilizing Mult-O-Meter (Unfors Instruments, Billadal, Sweden). The measurements were done in 44 dental clinics with 49 dental x-ray sets in Chonnam Province for one or two weeks at each dental clinic during year 2006. Results: The third quartile patient surface doses were 2.8 mGy for overall periapical exposures and 3.2 mGy for periapical mandibular molar exposures. Conclusions: The third quartile patient surface doses in Chonnam Province can be used as a guide to accepted clinical practice to reduce patient radiation exposure for the surveyed reference doses were below the recommended dental periapical radiography dose of 7 mGy by IAEA. 연구 목적: 전남지역 치근단 구내방사선사진의 참고선량 제정하는 것 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치과의원에서 구내방사선사진을 촬영할 때 마다 방사선원에서 환자 피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촬영기 끝난 다음 촬 영 때와 똑같은 노출조건으로 방사선량 측정기에 노출시켜 노출량을 측정하였다. 2006년도에 전남지역 44개 치과의원의 49개 촬영기를 이 용하여 1-2주간 총 1235회 구내 촬영에 대하여 측정하였고, 이 중 하 악구치부는 345회 측정되었다. 결과: 전체 구내 촬영의 3/4 표면선량은 2.8 mGy 였고, 하악구치부의 3/4 표면선량은 3.2 mGy 였다. 결론: IAEA에서 권장하는 하악구치부의 참고 선량 7 mGy 보다 훨씬 낮은 참고선량이 측정되었으므로, 구치부 3/4 표면선량 3.2 mGy는 실 제 임상에서 환자의 방사선 촬영 할 때의 참고선량으로 이용될 수 있 을 것이다.

      • 7차 교육과정의 중등학교 화학 교육과정과 대학의 일반화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한미라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quantity of scientific knowledge is increased according to rapid changing of the modern society. Therefore the effective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are asked. The 7th curriculum was composed that it revised with its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programs. But many people consider that college or university curriculum must be linked. with secondary curriculum. This study discussed the contents of general chemistry and ChemistryⅠ and ChemistryⅡ in high school. The most of contents in general chemistry are placed in the contents of "ChemistryⅡ" in high school.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 ChemistryⅠ" have only the concepts and theories in chemistry. It may be too much contents for students who want to study chemistry. Thus, rearrangements of chemistry contents system must be needed in the secondary educ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oth teachers and experts in chemistry education must consider of experiences in teaching and contents of textbooks. Also these consideration should be used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levels of intellectual development of the students. <국문초록> 급변해 가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과학적 지식은 많아 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중·고등학교 내용의 연계성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하지만 현재의 높은 대학 진학률을 고려한다면, 중등교육과 대학교육 간의 연계성도 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화학과 고등과정의 화학 내용을 조사하였다. 화학Ⅱ에 일반화학의 내용이 편중되었음이 밝혀졌고, 화학Ⅰ에서도 개념과 이론의 설명까지 고려한다면 학습량이 너무 많다는 것도 조사되었다. 이는 중등과정 화학내용체계의 재정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 개발에 몇몇 전문가뿐만 아니라 각 급 학교의 교사들이 함께 참여해서 교과내용이나 학습지도 경험 등을 충분히 토의하여 학생들의 지적 발달 수준에 맞는 내용을 일관성 있고 계획적으로 편찬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 나무이미지를 이용한 유리조형 연구

        한미라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삶의 터전은 본래 자연이다. 인간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의 질서 속에서 미적 체험을 경험하게 되었고 그 경험을 토대로 예술이라는 형식을 빌어서 자연을 삶의 일부분으로 조형화 해왔다. 본 연구자의 작업은 모든 예술의 모태가 되어온 자연 중에서도 나무를 소재로 하였다. 그 이유는 색채와 형태의 다양성에서 보여지는 나무의 조형적 아름다움과 자연의 일부분인 인간의 삶을 담아내는 친근감이 정신적, 시각적 두 측면을 만족시키기에 충분한 소재이기 때문이다. 또한 나무는 무한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강함과 부드러움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고 질서와 균형, 직선과 곡선의 반복적인 형태로 조화된 조형미를 고루 갖추고 있다. 나무뿌리에서 시작된 곡선은 줄기에서 직선의 형태로 변화되고 가지로 연결이 되면서 뿌리에서 보여주었던 곡선의 이미지들이 반복되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나무의 구조와 구성요소들의 조형적 특징을 나무와 관련된 문헌과 사진자료, 본 연구자의 관찰을 통한 드로잉을 통하여 파악하였고, 그것으로부터 얻어지는 이미지를 새로운 시각으로 재구성하여 표현하였다. 나무의 부분적인 요소에 해당하는 잎, 줄기, 가지, 열매 등의 나무 형상을 시간에 따라 변화해 가는 나무의 색채와 형태를 응용하여 표현하였으며. 나무의 세부적인 요소들을 왜곡, 과장, 해체, 단순화시킴으로서 나무의 생장형태 표현을 주관적으로 시도하였다. 이 표현방식은 대비를 통해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고 보다 친숙하게 의미를 전달하고자 한 의도이다. 본 연구자는 이 연구를 통해서 나무라는 대상물의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주관에 의해 재구성함으로써 새롭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때문에 작업을 표현하는데 있어서도 본인의 주관적인 상상이라는 감정을 이입시켜 나무의 이미지를 응용한 여러 가지 표현을 시도하였다. Nature is the original base for human life. Human beings consistently had aesthetic experiences in continuously-changing natural order and, on this basis, they had formed nature into a part of their life in an artistic style. This study selected a tree as a material among natural things which have been the matrix for all kinds of art. That is because a tree is a good material to meet mental and visual requirements with familiarity with human life as a part of nature and with its formative beauty in diverse colors and shapes. Moreover, a tree has infinite life force, contains both strongness and softness, and shows harmonious formative beauty in a repetitive pattern of straight and curved lines and of order and balance. A curved line that begins at roots changes into a straight line at the trunk; then, an image of a curved line seen at roots appears again at branches, and so on. This study examined structures of a tree and formative features of its constituents through tree-related literatures and pictures and drawings with direct observations, and expressed reconstruction of an obtained image from a new perspective. Such parts as leaves, trunk, branches, and fruits were expressed by adapting its colors and shapes that change over time, and made a subjective expression of its growth pattern by distorting, exaggerating, disjointing, and simplifying its details. Such an expression method was to enhance a visual effect through contrast and to deliver a meaning in a more familiar way. This study discovered that it was possible to make new and diverse expressions by reconstructing a tree in a subjective way rather than simply representing it. For this reason, it made an attempt to make several expressions by adapting an image of a tree through subjective imagination.

      • 학업정서의 기하학적 모형 구성

        한미라 전북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Academic emotion affects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learners, leading to their efforts, learning participation and avoidance. Positiv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learning process is related to such effort, self-regulation and engrossment. Understanding the dimensional structure of academic emotions have helped to shap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The earnest study featuring dimensional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academic emotions in Korea is rare. Research on academic emotions is not yet active, and systematic study of the dimensional structure of the academic emotions can also be seen as a first step.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was reported as better suited than the two-dimensional for multi-dimensional structure of the academic emotions in some studies. Two-dimensional circular model(circumplex model) or three-dimensional spherical model(spheroplex model) can be constructed based on a dimensional structure of emotions. The models are configured as pictures for visually clear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ividual emotions. The circular and spherical model of emotions are array of individual emotions as a two- or three-dimensional structure based on polarity and similarity. Emotion vocabularies in a circular model was arranged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angle that corresponds to the individual emotions over the same circumference. At this time, the vocabularies with opposite meaning wer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ircumference above, depending on the polarity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s. And emotions with similar meanings were arranged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depending on the similarity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s. Spherical model is obtained by distribution of the individual emotions on a spherical surface in a similar manner to the circular model. Circular model of academic emotion(circumplex model) and spherical model(spheroplex model) is obtained by placing the individual emotions using the polar coordinates system. To configure this model, an understanding of the mathematical concepts is needed. Domestic and abroad in the fields of social sciences, mathematical concepts are rarely applied exactly to the study of emotions model. This study aims to config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ocabularies representing the emotions as a geometrical model. For this, the study was performed in three different directions. First, a mathematical analysis tool for analytic comparing the various emotions material was develop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emotions geometrically in the [study 1]. In circular or spherical model of the academic emotions, emotion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imilarity on the same circumference or spherical surface. Positions of the emotions is determined by the relative position among them, and relative positions of all the emotions can be expressed by angles. Angles representing the position of the academic emotions were calculated using the coordinate values of each emotions from a multi- dimensional analysis. Angle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definition of trigonometric function in the two-dimensional polar coordinate system or the three-dimensional spherical coordinate system. The analysis tool for emotions developed in this study allows you to compare different data analysis to un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vocabularies to geometrical construction. You can use this tool to compare the data analysis of existing emotion studies, and emotions research of new materials also can be easily analyzed. The analysis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in real analysis. This tool can be easily applied to a number of other categories in addition to emotions vocabularies. And if you have a high school level of mathematical understanding, you can take advantage of these tools fully. Second, this study analyzes emotion data from 11 previous studies presented in domestic and abroad to configure two-dimensional circular model and three-dimensional spherical model of the emotions in the [study 2]. To this end, the analysis tool developed in the [study 1] was applied. For the model configuration we calculated the angle indicating the position of emotion using coordinate values obtained by a multi-dimensional analysis. In this study, a two-dimensional circular model was composed of 'valence' and 'activation' dimensions. Three-dimensional spherical model was configured by adding a 'controllability' in 'valence' and 'activation' dimensions. In this process, I was able to confirm that it is significant to extend two-dimensional circular model to three-dimensional spherical model. Third, a three-dimensional spherical model of academic emotions(spheroplex model) was configured empirically and an ideal model was proposed in the [study 3]. Survey data for the empirical model configur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Depending on the survey, two experimental models were compos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model configured in the [study 2]. The first model is configured with direct measurement of the three-dimensional values for individual emotions. The second model was constructed by measuring the extent to which learners actually experience the emotions. The model based on the dimension measurements showed a distribution heavily biased towards one direction, but the model based on emotional experience measurements displayed a even distribution. An ideal model of three-dimensional spherical model of academic emotions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models of [study 2] and [study 3]. In the ideal model, emotion vocabularies were arranged uniformly in a three-dimensional spherical surface. The key issues related to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of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key words : academic emotion, mathematical analysis tool, dimensional structure of academic emotion, geometric model, circumplex model, spheroplex model

      • 夜間都市의 景觀照明 活性化 方案 硏究

        한미라 漢陽大學校 環境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야간의 도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다양화, 고급화되면서 이용 시간대의 증가와 라이프 스타일이 변화함에 따라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의 쾌적성과 진흥성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현재, 경관조명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경관조명이란 야간에 그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 도로를 운행하거나 걸어가는 사람, 도시의 한 부분을 바라보는 사람들에게 도시를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고, 도시를 밝게 볼 수 있도록 하며 도로, 광장, 공원 등에 빛을 이용하여 아름다운 도시를 조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988년 이후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한 경관조명은 중앙정부의 관심 또한 매우 높은편이며, 서울시에서 2000년에 “서울시 야간경관 기본계획 연구”라는 성과물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야간도시환경의 개선측면에서 야간경관을 위한 조명을 활성화 시켜, 야간환경의 질적인 향상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며, 향후 국제적인 행사에 대한 대비와 관광산업의 증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1999년 “한국관광공사 시장조사부”에서 “외래객의 실태조사”를 하였는데, 여행객들의 여행목적에서 1순위가 도시구경이며, 사적지 방문, 자연명승 및 풍경관람등이 각 각 2.3순위로 조사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도시의 구경이 관광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듯이, 이에 우리나라도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경관조명을 활성화 시켜야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경관조명의 활성화에 따른 접근방법은 첫째, 경관조명의 의무 또는 권장이다. 신축되어지는 대형 건축물은 건축심의시 야간조명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조형물에 있어서도 야간의 경관을 위한 조명설치를 권장하도록 한다. 둘째, 경관조명 시상 확대이다. 1999년부터 경관조명의 시상은 현재 서울에서만 시행되어 오고 있다. 시상의 범위를 전국적으로 확대시켜 경관조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도록 한다. 셋째, 심야전기 할인 및 감면이다. 경관조명의 특성상 일몰 후 점등 되어지므로 심야 전기요금의 할인혜택을 준다. 넷째, 경관조명 인센티브 제도이다. 시설물 설치의 의사와 능력은 있으나 당장 유동성이 부족하여 사업을 할 수 없는 사업자에게 자금을 융자하여 준다. 다섯째, 경관조명 조례이다. 서울시는 도시계획법 개정안에 따라 경관지구를 운영하기 위한 경관조례 재정을 현재 준비하고 있다. 이에 야간경관 관리 차원에서 공공시설 및 민간건축물에 대한 경관조명을 위한 조례 항목을 세분화하여 관리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여섯째, 전문가양성을 들 수 있는데 현재, 국내에서는 조명 전문인을 양성하는 곳이 학교, 학원 단 한곳도 없다. 다만 사단법인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에서 조명디자이너를 양성하는 6개월과정이 있을 뿐이다. 아름다운 경관조명을 계획하기 위하여서는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전문가들이 많은 활동을 하여 전체적으로 조화있고 균형있는 야간도시의 창출에 참여하도록 한다. 끝으로 도시계획법의 지구단위계획 개정이 필요하다. 2000. 7월 도시계획법 개정안을 기준으로 살펴본다면 도시계획법 제 43조 지구단위계획 제1항의 6호 경관계획 항목에 신축 건축물의 야간경관을 위한 권장사항을 추가시키고, 도시계획법 시행규칙 제9조 도시계획법 제43조 제1항 제8호의 6.에너지 및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에 관한 계획에 에너지 재활용을 위한 경관조명 설치(심야유휴전력 활용)내용을 추가시켜 경관조명의 활성화에 따른 근거자료로 이용한다. 이렇듯 경관조명의 활성화는 정서적.심리적인 측면과 방향성.상징성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들과 외국 방문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그리고 야간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경관조명의 효과는 안전하고 밝고 깨끗한 도시를 지향하는 쾌적성과 도시의 시간, 공간을 확대하는 활동성 그리고, 도시의 상업과 산업, 나아가 도시전체를 발전, 진흥시키는 수단으로서 이용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야간환경의 개선은 현재를 살고 있는 우리들의 중요한 과제이기도 한것이다.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韓美羅 大田大學校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 5학년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정의하고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칠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M=3.08)이 통제집단(M=2.23)보다 평균 0.85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t=-2.26, p<.001). 이는 자기성장 집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 5학년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M=3.25)이 통제집단(M=2.27)보다 평균 0.98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t=-7.45, p<.01)하다. 이는 자기성장 집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 5학년 결손가정 아동의 일반적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M=3.12)이 통제집단(M=1.96)보다 평균 1.16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t=-9.85, p<.001). 이는 자기성장 집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 5학년 결손가정 아동의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M=3.26)이 통제집단(M=2.03)보다 평균 1.23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t=-4.83, p<.01). 이는 자기성장 집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 5학년 결손가정 아동의 가정적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M=2.28)이 통제집단(M=2.01)보다 평균 0.67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t=-5.53, p<.01). 이는 자기성장 집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4, 5학년 결손가정 아동의 학교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결손가정 아동들에게 자아존중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권미숙(2002)의 연구와 일치하고, 아동이 자기 자신을 보다 현실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그대로를 용납하고 수용함으로써 자기성장에 도움을 주었다고 보고한 연구(안순자, 1997; 오경준, 2000; 김영순, 2002; 정선자, 2002; 조영숙, 2004; 이영선, 2005; 정은주, 2005, 이영훈, 2009)들과 일치한다. 또한 자기성장 집단프로그램의 실시로 부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전승배(2002), 박노숙(2003), 이광희(2003), 이석주(2007), 이영훈( 2009)의 선행연구와 일치한다. 여섯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초등학교 4, 5학년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련된 행동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스스로 자기문제를 인식하면서 긍정적으로 자기지각 및 자기수용이 가능해지며 타인을 이해하고, 올바른 의사표현을 통해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기탐색과 타인이해를 위한 자신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가져오며,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라는 인식을 갖게 해주고 각 회기의 마무리 부분에서 서로의 느낌을 공유하면서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자신의 입장뿐 아니라 타인의 입장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어 대인관계의 민감성과 개방성이 발달된다(정선자, 2002; 김봉희, 2005; 이영훈, 2009)고 한 선행연구와 일치한다.

      • 일회성 웃음요법이 노인요양병원 업무종사자의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미라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pare a basis to apply one time laughter therapy in clinical circumstances as an intervention for reducing job stress and improve job involvement of geriatric hospital workers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one time laughter therapy on their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s,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Method :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to validate the effect of one time laughter therapy. As an experimental intervention, a clinical laughter therapist applied one time laughter therapy comprising 4 steps such as ‘opening mind’, ‘opening expression’, ‘opening body’, and ‘self change’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60 minut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80 staffs of 2 geriatric hospitals located in I city, including 40 persons in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Consent was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after explaining sufficiently study purpose,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measurement, serum cortisol level measurement, and a questionnaire on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an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2 times each,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procedure.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durability of the laughter therapy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once more from the experimental group 2 weeks after the procedure.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19.0.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diastolic blood pressure (t=0.980, p=.330) and pulse rate among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s of geriatric hospital workers, the systolic blood pressure (t=-2.338, p=.022) and the serum cortisol level (t=-2.343, p=.022) were reduc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job stress (t=-0.228, p=.821) of geriatric hospital workers after application of one time laughter therap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the job involvement (t=1.748, p=.084) of geriatric hospital workers after application of one time laughter therap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th,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ystolic blood pressure (F=0.721, p=.489) and pulse rate (F=1.010, p=.369) by measurement times in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laughter therapy was applied,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F=6.113, p=.003) and the serum cortisol level (F=12.607,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measurement times. Fifth, the job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laughter therapy was applied (F=3.791, p=.027)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measurement times. Sixth, the job invol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laughter therapy was applied (F=7.905, p=.00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measurement times. Conclusion : A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one time laughter therapy was effective to reduce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s by reducing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serum cortisol level of geriatric hospital workers and it had durable effect b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diastolic blood pressure, serum cortisol level, job stress, and job involvement by measurement times.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the one time laughter therapy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job stress and improve job involvement of geriatric hospital workers. 목적 : 본 연구는 일회성 웃음요법이 노인요양병원 업무종사자의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과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웃음요법이 노인요양병원 업무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와 직무몰입 향상을 위한 중재로써 임상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 본 연구는 일회성 웃음요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실험처지로 웃음임상치료사가 60분 동안 실험군에게 ‘마음열기’, ‘표정열기’, ‘몸열기’, ‘자기변화’ 4단계로 구성된 일회성 웃음요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J도 I시 소재의 두 개 노인요양병원 업무종사자로 실험군과 대조군 각 40명씩 총 80명이었다.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 혈압 및 맥박 측정, 혈액채취를 통한 혈중 코티졸 농도 측정,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 설문조사에 대한 충분한 설명 후 동의를 구하였고, 실험처치 전?후 각 2회에 걸쳐 자료수집을 하였다. 또한 웃음요법의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군에게는 실험처지 2주 후에 자료수집을 1회 더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회성 웃음요법 적용 후 노인요양병원 업무종사자의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 중 이완기혈압(t=0.980, p=.330)과 맥박수(t=0.456, p=.650)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축기혈압(t=-2.338, p=.022)과 혈중 코티졸 농도(t=-2.343, p=.022)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일회성 웃음요법 적용 후 노인요양병원 업무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t=-0.228, p=.821)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일회성 웃음요법 적용 후 노인요양병원 업무종사자의 직무몰입(t=1.748, p=.084)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일회성 웃음요법을 적용 받은 실험군은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에서 수축기혈압(F=0.721, p=.489)과 맥박수(F=1.010, p=.369)의 측정시기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이완기혈압(F=6.113, p=.003)과 혈중 코티졸 농도(F=12.607, p<.001)는 측정시기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일회성 웃음요법을 적용 받은 실험군의 직무스트레스(F=3.791, p=.027)는 측정시기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일회성 웃음요법을 적용 받은 실험군의 직무몰입(F=7.905, p=.002)은 측정시기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일회성 웃음요법은 노인요양병원 업무종사자의 수축기혈압과 혈중 코티졸 농도를 감소시켜 생리적 스트레스 반응 감소에 효과가 있었고, 효과의 지속성에서 이완기혈압, 혈중 코티졸 농도,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이 측정시기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지속적인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일회성 웃음요법은 노인요양병원 업무종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와 직무몰입 향상에 효과가 있는 간호중재임이 확인되었다.

      • 국화과 3종(선복화, 감국, 홍화)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한미라 대구한의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Dried Compositae flowers have been used for edible and treatment of antifebrile, detoxification, headache, pain relief, headache, diuretic, anti- fungi, anti-inflammatory and sedation in traditional medicine. Inulae flos is dried flower of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Chrysanthemi flos is dried flower of Chrysanthemum indicum and Carthami flos is dried flower of Carthamus tinctorium. In the present study, its evaluate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mpositae 3 species extracted with water, hot water and ethanol for development of drug, valuable foods and cosmetics materials 1. The extract yield of Inulae flos hot water extract(IHW) was 12.50%, Chrysanthemi flos ethanol extract(CE) was 35.01% and Carthami flos ethanol extract(CAE) was 30.33%, respectively. 2. The soluble protein of Carthami flos hot water extract(CAHW) and CAE were 386.44ug/g and 283.93ug/g, respectively. The Inulae flos ethanol extract(IE) was 169.21ug/g and Chrysanthemi flos hot water extract(CHW) was 132.98ug/g. 3. The content of reducing sugar were Carthami flos>Chrysanthemi flos> Inulae flos, and the CAE and CAHW were 121.54mg/g and 101.27mg/g, respectively. 4. The contents of flavonoid compounds were IE 79.39mg/g>CAE 62.21mg/g>CAHW 42.70mg/g, respectively. 5. The polyphenol compound contents were CAE134.71mg/g>CAHW 123.96mg/g>CHW 121.29mg/g>IE 87.26mg/g, respectively. The phenolic compound of Carthami flos was higher than Chrysanthemi flos and Inulae flos. 6.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Inulae flos and Carthami flos were over 77% and 50% at the concentration 100ug/mL. IC50 value of IHW(38.21ug/mL) had lower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ascorbic acid(38.27ug/mL), and the IC50 of IE was 40.48ug/mL. 7. The SOD-like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s were 7.34∼24.08%, hot water extracts were 3.44∼85.20%, and ethanol extracts were 1.55∼90.82%. The IHW and IE showed the 85.20% and 90.82% at 2,000 ug/mL. Especially SOD-like activities were about 3.6∼4.2 times greater in the Inulae flos than the Chrysanthemi flos and Carthami flos. IC50 of IHW and IE were 734.94ug/mL and 644.30ug/mL, respectively. 8. The IC50 value of nitrite scavenging activity showed CHW 157.24ug/mL, CAE 168.76ug/mL, and CE 182.49ug/mL at the pH 1.2 condition. 9. The CAE(94.49%) had higher nitrite scavenging activity than that of ascorbic acid(87.36%) at 2,000ug/mL in the pH 3.0. The IC50 value of CHW and IHW of pH 3.0 condition were 696.04ug/mL and 746.17ug/mL, respectively. 10.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n the pH 6.0 condition, IHW was 21.34%, IE was 19.81% and CE 15.24%, respectively. 11.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of CHW showed the highest value of 63.59% at 2,000ug/mL and the followed the IHW 42.01%. 12. The ultraviolet blocking effect between 280nm∼490nm showed Carthami flos>Inulae flos>Chrysanthemi flos. The Chrysanthemi flos hot extract(CHW), absorption of UV-C and UV-B region were 2.373 and 2.323.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some of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Inulae flos, Chrysanthemi flos and Carthami flos. This specimen could be considered as ingredien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hot water extract of Inulae flos(IHW) have very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Especiall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showed higher than Chrysanthemi flos and Carthami flos at pH 6.0. The Chrysanthemi flos showed the higher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t the pH 1.2. And ultraviolet blocking effect was the stronger than other extracts. The Carthami flos had higher soluble protein, reducing sugar and polyphenol compounds. 건조된 국화과(Compositae) 꽃은 한방에서 해열, 해독, 진통, 두통, 이뇨, 항진균, 항염증, 진정작용 등의 약리작용으로 오래전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선복화(旋覆花, Inulae flos)는 금불초(Inula britannica var japonica)의 꽃봉오리를 건조한 것이며, 감국(甘菊, Chrysanthemi flos)은 감국(Chrysanthemum indicum)의 건조된 꽃봉오리이다. 그리고 홍화(紅花, Carthami flos)는 잇꽃(Carthamus tinctorium)의 꽃을 건조한 것으로 한약재로 활용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선복화, 감국 그리고 홍화를 한약재료로 판매되고 있는 건조된 꽃을 물을 용매로 25℃의 저온과 80℃에서 추출하였으며, 60℃에서 80%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에 대한 유용성분의 함량과 효능을 측정하여 약품,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1. 세 종류의 국화과 식물을 세 가지 조건으로 추출하여 동결 건조한 고형분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 선복화는 열수 추출물(IHW)이 12.50%로 가장 많은 고형분이 추출되었으며, 감국은 에탄올 추출물(CE)에서 35.01%, 그리고 홍화에서도 에탄올 추출물인 CAE에서 30.33%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2. 국화과 3종의 9가지 추출물에 함유된 수용성 단백질은 홍화 열수 추출물(CAW)과 에탄올 추출물(CAE)이 각각 386.44ug/g과 283.93ug/g으로 가장 많은 수용성 단백질을 함유하였으며, 선복화는 에탄올 추출물(IE)에서 169.21ug/g, 감국은 열수 추출물인 CHW가 132.98ug/mg을 함유하였다. 3. 환원당은 추출시료 및 방법에 따라 함량의 차이는 있었으나 홍화>감국>선복화의 순으로 홍화의 CAE(121.54mg/g)와 CAHW(101.27mg/g)에서 가장 많은 환원당을 함유하였다. 4.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IE 79.39mg/g>CAE 62.21mg/g>CAHW 42.70 mg/g을 함유하였으며, 국화과 3종 모두 에탄올 추출물>열수 추출물>물 추출물의 순으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이 높았다. 5.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CAE134.71mg/g>CAHW 123.96mg/g>CHW 121.29mg/g>IE가 87.26 mg/g의 순으로 홍화와 감국이 선복화보다 좀 더 많은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6. 각 추출물을 100∼2,000ug/mL의 농도에서 전자공여효과를 측정한 결과, 선복화는 100ug/mL에서 77%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홍화에서도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IC50은 IHW에서 38.21 ug/mL으로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38.27ug/mL)보다 낮은 농도에서 50%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IE에서도 40.48ug/mL를 나타내었다. 7. SOD 유사활성능은 물 추출물에서 7.34∼24.08%였으며, 열수 추출물 3.44∼85.20%, 그리고 에탄올 추출물은 1.55∼90.82%로 IHW과 IE는 2,000ug/mL에서 각각 85.20%와 90.82%로 감국, 홍화와 비교하여 3.6∼4.2배 높았다. 8. 상이한 pH 조건에서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측정한 결과, pH 1.2의 2,000ug/mL에서 IW와 CAW는 대조군인 ascorbic acid(95.21%)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감국과 홍화 추출물이 대조군보다 높은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IC50은 CHW 157.24ug/mL>CAE 168.76ug/mL>CE 182.49ug/mL의 순으로 나타났다. 9. pH 3.0의 2,000ug/mL에서 CAE는 94.49%로 ascorbic acid(87.36%)보다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율을 보였으며, IC50은 CHW 696.04ug/mL>IHW 746.17ug/mL>IE841.72ug/mL>IW 854.23 ug/mL의 순으로 나타났다. 10. pH 6.0의 조건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2,000 ug/mL에서 IHW 21.34%>IE 19.81%>CE 15.24 %>IW15.15%의 순으로 나타났다. 11. 피부의 색소 침착과 노화의 촉진 및 식품의 갈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인 tyrosinase의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인 ascorbic acid와 비교하여 매우 낮았으나, 2,000ug/mL에서 CHW에서 63.59%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IHW 42.01%,IW 27.90%의 저해율을 보였다. 12. 국화과 3종의 9가지 추출물에 대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측정한 결과 감국>선복화>홍화의 순으로 감국의 열수 추출물인 CHW는 UV-C와 VU-B 영역에서 각각 2.373과 2.323으로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선복화는 에탄올 추출물인 IE에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열수 추출물인 IHW는 전자공여효과와 SOD 유사활성능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pH 1.2와 3.0의 농도에서도 아질산염 소거효과가 높았다. 특히 pH 6.0은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보다 낮았으나 감국과 홍화보다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우수한 한약자원으로 판단된다. 감국은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이 비교적 높고, pH 1.2에서 아질산염 소거효과가 매우 높아 체내 위장의 산성조건에서도 발암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육류나 가공제품의 부원료나 식품의 항산화제, 색소제, 향미제로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감국은 tyrosinase 저해효과가 우수하며, 인체에 유해한 중파장대의 UV-B 영역의 자외선 차단 효과가 높아 미백 및 자외선 차단 화장품으로 개발 가능성을 충분히 지닌 것으로 사료된다. 홍화는 수용성 단백질과 환원당, 폴리페놀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며, 아질산염 소거효과가 우수하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