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갑상선 자가항체와 인지기능 저하의 연관성

        한동균,전진숙,최영식,김호찬,오병훈,Han, Dong Kyun,Cheon, Jin Sook,Choi, Young Sik,Kim, Ho Chan,Oh, Byoung Ho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6 정신신체의학 Vol.24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면역 갑상선장애 환자에서 인지결함의 발생 빈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며, 특히 갑상선 자가항체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여성 자가면역 갑상선장애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구조적 면담을 통해서 인구학적 정보를 얻었으며,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와 한국판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를 사용해서 인지기능을 평가하였고, 한국판 Depression Rating Scale(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를 사용해서 우울증을 평가하였다. 결 과 1) MMSE-K 총점 24점 이하는 7.69%, MoCA-K 총점 22점 이하는 10.77%였다. 인지기능 저하의 빈도는 antimicrosomal 항체 양성군(N=38, 58.46%)과 음성군(N=27)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Antimicrosomal 항체 양성군과 음성군의 변인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음성군보다 양성군에서 antithyroglobulin 항체 수치, antimicrosomal 항체 수치, TSH 농도는 유의하게 높았고, free T4는 유의하게 낮았다(각각 p<0.05). 3) 자가면역 갑상선장애 환자의 인지기능과 여러 변인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MMSE-K 검사와 MoCA-K 검사의 총점은 연령, 결혼상태, antithyroglobulin 항체 수치, K-HDRS 총점과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각각 p<0.05). 4) 회귀분석 결과, 연령, 교육수준, 갑상선 자가항체, 갑상선기능, 우울증은 자가면역 갑상선장애 환자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자가면역 갑상선장애 환자의 인지기능과 갑상선 자가항체의 연관성을 지지할 수 없었다.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know the frequency of cognitive dysfunction among patients with autoimmune thyroid disorders, and to reveal influencing factors on it, especially to clarify association with autoimmune thyroid antibodies. Methods : From sixty-five female patients with autoimmune thyroid disorders, demographic data were obtained by structured interview. Their cognitive funtions were measured using the MMSE-K and the MoCA-K tests. Depression was evaluated by the K-HDRS. Results : 1) Among patients with autoimmune thyroid disorders, 7.69% of them were below 24 on the MMSE-K, while 10.77% were below 22 on the MoCA-K. The frequency of cognitive defic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aving positivity to antimicrosomal antibodies or not. 2) The antimicrosomal antibody-positive pati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antithyroglobulin antibody titers, antimicrosomal antibody titers, and TSH concentration, while had significantly lower free T4 levels(p<0.05, respectively). 3) The total scores of the MMSE-K and the MoCA-K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marital status, antithyroglobulin antibody titers and K-HDRS(p<0.05, respectively). 4)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autoimmune thyroid antibodies, thyroid function and depression did not influence on cognitive function of patients with autoimmune thyroid disorders. Conclusions : Our results could not support that cognitive function of patients with autoimmune thyroid disorders had correlation with autoimmune thyroid antibodies.

      • KCI등재

        내러티브 기법을 활용한 컴퓨터그래픽 제작 방안 연구 : 예술가의 정체성과 창의적 자기표현을 중심으로

        한동균(Han Dong K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6

        본 연구는 내러티브 기법을 활용한 컴퓨터그래픽 제작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현대인들에게 컴퓨터는 하드웨어적인 기기와는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이에 시각디자인 역시 컴퓨터그래픽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컴퓨터그래픽은 디자이너의 의미전달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디자인의 목적과 의미를 비롯하여 정보전달의 기능적 요소와 더불어 예술적 감성까지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컴퓨터그래픽 제작은 디자이너의 아이디어가 창의적으로 구안되고 시각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기법을 컴퓨터그래픽 디자인 제작에 접목시키는데 있다. 내러티브 기법은 컴퓨터그래픽 제작에 있어서 아이디어와 감성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기술적 능력향상 뿐만 아니라 예술가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창의적 자기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omputer graphic production method using the narrative technique. For modern people, computers are inseparable from hardware devices. Accordingly, visual design is also taught in computer graphic classes. Computer graphics begin with the meaning conveyed by a designer. So, the design must include the purpose and meaning as well as the functional element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artistic sensibility. Therefore, in computer graphic production, the designer’s ideas must be creatively designed and visualized. In this study, the narrative technique is applied to computer graphic design production. The narrative technique not only improves technical skills in expressing ideas and sensations using computer graphic, but also enables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an artist and creative self-expression.

      • KCI등재

        한국공포영화의 시대별 괴물캐릭터의 특성 및 의미 분석

        한동균(Han Dong K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3

        본 연구는 한국공포영화의 시대별 괴물캐릭터의 특성과 의미를 분석하여 앞으로 공포영화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괴물캐릭터가 반영하는 파토스적 의미에서 한국공포영화를 어떻게 재해석할 수 있는가를 제언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공포영화의 흐름을 크게 1980년대와 1990년대를 중심으로 그 이전과 이후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물을 도출하였다. 첫째, 1950년대에서 1970년대에 등장하는 한국공포영화 속 괴물캐릭터는 주로 전통적인 민담이나 저널 등을 전통과 한(恨)이라는 정서와 결합하여 표상된다. 당시 괴물캐릭터는 유교사상의 가부장제와 위계질서를 중시하는 계급사회 하에 희생된 여성이 원귀가 되어 괴물로 등장하는데 이는 사회비판적 서사를 영화 수사학으로 상징화한 것이다. 둘째, 1980년대에서 19990년대의 괴물캐릭터는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시대적 변화와 맞물려 서양의 귀신이 등장한다. 당시의 공포영화는 사회적 불안감을 기물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투사한 방식이었다. 셋째, 2000년대 이후는 사회 문제에 대한 불안감과 공포를 괴물캐릭터로 대변하였다. 이를 통해 관객과 공감하려는 영화의 로고스와 에토스, 그리고 관객의 파토스가 접목하는 지점이 되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른 괴물캐릭터는 처음에는 여름에 잠시 더위를 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제작이 되었지만 각 시대마다 사회문제에 대한 불안감을 괴물캐릭터로 상징화하면서 영화관객을 설득하는 깊이가 더 깊어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공포영화는 현 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을 사회심리학적인 방향과 영화 수사학적 접근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한다면 한국공포영화가 더욱 더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 진단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monster characters in the horror films of Korea, suggesting the direction of horror films in the future, and suggests how to reinterpret Korean horror movies in film, particularly the pathos and meaning that the monster character reflect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classifies and analyzes Korean horror movies before and after the 1980s and 1990s. The monster characters in Korean horror movies that appeared in the 1950s and 1970s are mainly expressed by combining traditional folk tales and legends with the emotion of tradition and Han ( ). At that time, the monster characters appeared as monsters for victimized women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of the Confucian ideology and the hierarchical order, symbolizing a social critical narrative as film rhetoric. In the 1980s and 1990s, the monster characters appeared as western ghosts in line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when freedom of expression was guaranteed. The horror movie at the time was a way of projecting social anxiety through the character of a monster. After the 2000s, anxiety and fear about social problems were expressed as monster characters. From this, the logos and ethos were developed to try to empathize with the audience and the audience’s pathos. The character of the monster,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was initially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cooling the heat temporarily in the summer, bu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rhetoric was deepened by symbolizing anxiety about social problems in each age with the monster character. Therefore, Korean horror movies can be developed more if horror movies focus on anxiety and fear about the current problems of society, taking a social psychological direction and a rhetorical approach to movies.

      • KCI등재

        초등학교 지도학습을 위한 교재 개발 및 적용 가능성 모색

        한동균(Han, Dong-K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지도학습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 그림지도 교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그림지도 학습 내용을 살펴보고 이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그림지도 교재 개발의 필요성과 체제적 접근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 Dick, Carey & Carey(2009)의 체제적 교수설계 모형에 의해 그림지도 교재를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피드백을 통해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였다. 체제적 교수설계는 교수의 여러 구성요소를 고려하여 요소별 유기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해주며, 학습자와 상황의 요구를 반영한 지속적인 교재 수정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수업 실현과 함께 향후 교재의 효율적 활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특히 지도의 주요 요소별 학습이 필요한 그림지도 학습은 체제적 교수설계를 통해 절차적 연계성을 유지하며 활동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은 스토리가 내재된 자율학습용 교재를 통해 그림지도를 학습함으로써,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우리 고장에 대한 장소감과 지리적 상상력을 기를 수 있다. This study has the objective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pictorial map teaching material for effective instruction of map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erform this objective, the study has investigated the content of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pictorial learning and pointed out the its limitations and problems. And, based on the result, the necessity and the systematic approach for development of the pictorial map teaching material were searched for. Specifically, the pictorial map teaching material was designed by way of the model of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of Dick, Carey & Carey(2009) and was applied to the sites and problems were correct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feedbacks.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enables the element-specific organic interaction by considering the various components of teaching and enables realization of the learner-centered learning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 afterwards through continuous correction of teaching material which reflects the demands of the learners and the situation. Especially, the pictorial mapping-based learning which need instruction’s component-specific lessons maintains the procedural connectivity and obtain activity objectives through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And, the students can rea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sense of space and geographical imagination about our home land by learning the pictorial map through self-learning type of teaching material which contains stories.

      • KCI등재

        AI 시대, 사회적 공감 교육의 필요성과 방안

        한동균 ( Han Dong Ky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2

        본 연구에서는 AI 시대 사회적 공감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 AI를 활용한 구체적인 사회적 공감 교육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미래 사회에는 AI가 발달함에 따라 창의성과 전략, 감성이 필요한 직업만이 살아남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당분간 AI가 지니기 힘든 감성은 AI와 차별화되는 인간의 고유한 능력이 될 것이다. 따라서 미래 사회의 주역인 학생들에게 AI와 차별화될 수 있는 인간성으로서 감성과 관련된 정서적 능력을 키워줄 필요가 있다. 특히 AI 감성 로봇과 가상공간의 발달은 사람 간의 감정적 소통과 관계 형성을 회피하게 하여 아이들의 공감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인간 본연의 특성으로서 공감과 소통 능력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인간의 능력으로 부각될 수 있다. 미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생들이 갖춰야 할 시민적 자질로 공감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특히 사회적 공감은 개인적 공감을 확장하여 사회문화적 맥락과 거시적 관점에서 당사자를 더욱 폭넓게 이해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사회적 공감 능력은 AI 등장으로 인해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진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I 시대 사회적 공감 교육은 첫째, AI와 차별화되는 인간성으로 감성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둘째, AI 등장으로 인해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진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공감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책임감과 시민적 참여를 증진시켜 사회정의에 이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AI를 교육적 도구로써 활용하는 AI 기반 사회적 공감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선행연구의 사회적 공감 학습 모델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단계별 사회적 공감 교육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특히 학생들이 다양한 AI 기반 시뮬레이션과 가상현실 체험해본다면 더욱 효과적인 공감 능력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향후 AI가 더욱 발달함에 따라 AI를 활용한 사회적 공감 교육의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meaning of and the need for social empathy education in the AI era and seek specific AI-based social empathy education plan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only the jobs requiring creativity, strategies and sensitivities would survive in a future society due to the advancement in AI. This is why there is a need to improve a sensitivity-related emotional ability of students, which is a human nature differentiated from AI, as students are leaders of future society.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AI emotional robot and virtual space can weaken empathy abilities of children by making them avoid emotional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Empathy ability is a civic attribute that students, as members of future society, must have. In particular, expanding personal empathy, social empathy is an ability to understand others more broadly from a socio-cultural context and macro perspective. This social empathy ability can be helpful in understanding more various and complicated social issues caused by the emergence of AI. Therefore, the expected contributions of social empathy education in the AI ara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mpathy education can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as a human nature differentiated from AI. Second, social empathy education can be helpful in understanding more various and complicated social issues caused by the emergence of AI. Third, social empathy can have positive effect on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by increasing responsibility for social issues and civic participation.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study sought social empathy education plans that use AI as an educational tool and devised specific phased social empathy education contents using social empathy learning models of the previous studies. As AI is expected to develop more in future, there will be a need to keep discussing AI-based social empathy education plans.

      • KCI등재

        초등 사회과에서 위치 학습의 적용 방안 모색

        한동균(Han Dong Kyun):문종국(Moon Jong G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최근 초등 사회과에서 강조되고 있는 위치 학습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위치 학습의 동향을 파악하고 새로 개정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위치 학습의 적용 방안을 구안하고자하였다. 향후 적용될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사회과 교과역량의 함양과 과정 중심의 평가를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에서 위치 학습의 방안을 탐색해 보고,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라 사회과 교과역량을 함양하고 수업과 연계된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위치 학습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수업과 연계된 과정 중심의 평가를 위해서는 수업 설계 시부터 해당 수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사회과 교과역량을 중심으로 수업과 평가를 동시에 설계하고 이와 관련된 수행과제를 부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채점 기준표가 제작되어 학생 성장과 발달을 위한 피드백과 교사의 수업 개선에 활용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 사회과 수업에서 위치 학습에 관한 교수·학습 자료와 평가 자료를 구안하여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향후 적용될 교육과정에 의거한 위치 학습의 실제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보다 많은 위치 학습에 관한 현장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s to seek an application plan of location learning, which is emphasized recentl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trend of location learn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examined and an application plan of location learning was devised, based on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at will be applied in future, emphasizes social studies curriculum competency improvement and process-based assessment. In this study, therefore, a location learning pla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was explored for social studies curriculum competency improvement and process-based assessment with classe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process-based assessment with classes, class and assessment should be designe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competency that the class aims at, and relevant performance tasks should be assigned. Moreover, a scoring rubric for objective assessment should be produced and applied to feedback for student growth and development and teacher’s class improvement. In view of thi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garding location learn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assessment materials were devis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n empirical study on location learning that is based on the curriculum to be applied in future and it is considered that on the basis of this study, more field researches on location learning have to be conducted.

      • KCI등재

        스키마 이론에 근거한 사회과 지리 학습의 재해석

        한동균 ( Dong Kyun Ha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2 No.1

        Most of all people understand and solve various problems of daily lives, based on their previous knowledge. Therefore, the Schema, an cognitive system organized with previous knowledge becomes an important structure frame through which an individual interprets social phenomena.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student’s schemas are the most fundamental basis as well the origin of learning in which learning activities are generated. This is also the most basic issue of forming and developing of student’s knowledge in subject-matter education. In conclusion, the aim of subject-matter education may be to forster an ability to accumulate and use the schema as a structure of knowledge for a meaningful learnings of students. Thus, a study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chema as the student’s knowledge constructs, seems to be important in terms of subject-matter education. However, few studies about this theme in subject-matter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and discussions of learning processes for students have been insufficiently carried out. Hence, this study attempted to reinterpret the social studies geography learning through a schema theory from a view of theory of knowledge.

      • KCI등재

        인구의 다양성 지표에 근거한 세계도시의 선정과 계층화

        한동균(Han, Dong-Ky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09 글로벌교육연구 Vol.1 No.1

        현대 사회는 국가 간 상호교류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성의 시대에 글로벌화 된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거시적 차원보다 각 나라에 위치한 도시 수준의 미시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학교교육에서 체계화된 세계도시와 관련된 학습을 위해서는 세계도시 선정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최근 다양성이 확대되는 글로벌 시대에 맞추어 인구의 다양성 지표에 근거하여 세계도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객관적 지표화가 가능한 각 도시별 외국인 거주비율에 초점을 맞춰 이를 근거로 산출한 공식에 의해 세계도시를 선정하였다. 그 결과 다른 지표에 의한 세계도시 선정과는 다소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인구 다양성에 의한 세계도시의 선정은 해당 도시의 과거, 현재, 미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배경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경제적 측면에만 치우쳤던 세계도시의 연구와 주로 사회, 경제 측면에서 접근했던 이주민에 관한 연구에서 벗어나 한사회의 역동성을 엿볼 수 있는 인구 구성원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세계도시 연구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21st century is being became an era of diversity according to increase interaction among the countries. This age is needed a microanalysis for understanding this trend of global world. In special, it is necessary to select global city for global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This study is aimed for finding the direction for the global education which is related to global city.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observed the proper way to choose and classify the global cities. Most of the 'global city' researchers show the tendency their studies were obsessed with economic measurement and criteria. However, it is more suitable method to extract from the criteria diversity presented in order to analyze the global cities more accurately. Therefore, this is tried to select and to analyze the global city based on the urban population index. For all that this method can not reflect every parts of globalization sufficiently; this research has a meaning to propose one index of the global education method.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 상호문화이해를 위한 사회과 수업방안 탐색: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중심으로

        한동균(Han, Dong Kyu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 상호문화이해를 위한 사회과 수업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다문화 시대 상호문화주의적 접근과 상호문화이해를 위한 시민적 자질로 공감 시민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문화적 차이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상호문화주의에 근거한 만남과 대화가 필요하며, 다른 사람과의 원활한 소통과 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타인의 입장이 되어보는 공감능력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상호문화이해를 위한 사회과 수업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초등 사회과교육과정에서 상호문화이해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문화 간 차이의 인정과 존중을 넘어, 공감을 통한 상호문화 간의 만남과 대화를 보다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활용하여 상호문화이해를 위한 사회과수업을 구안하였다. 분석한 교육과정을 근거로 상호문화이해를 통한 편견과 차별의 해소를 수업주제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의 공감기반 수업모형의 절차에 따라 첫 번째 공감적 이해 단계로 편견과 차별로 인한 문제 인식, 두 번째 공감적 탐구 및 표현 단계로 편견과 차별의 원인 탐구하기, 세 번째 공감의 내면화 단계로 사회적 소수자 입장에 서서 나의 삶과 관련짓기, 네 번째 공감적 실천 단계로 시민적 참여와 실천을 위한 마음 다지기로 사회과수업을 구안하였다. 이러한 수업의 실천 과정에서는 무엇보다 학생들에게 타인의 관점을 실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학습 방법이 가장 유용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seek social studies instruction plans for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 the multicultural era. Based on prior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empathetic citizens as civic qualities for intercultural approach and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 the multicultural era. In order to resolve social conflicts cause by cultural differences, interculturalism-based meeting and conversation are required, and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empathy to put oneself in others’ shoes is essential. Based on these discussions, social studies instruction plans for intercultural understanding were studied. Prior to this, the contents related to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instruction plans of this study are to stress intercultural meeting and conversation beyond recognition and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that the current curriculum seeks. Accordingly, a social studies instruction for intercultural understanding was devised using an empathy-based learning model verified by the previous studies. On the basis of the curriculum analyzed, the resolution of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rough intercultural understanding was selected as an instructional topic. This social studies instruction consists of four stages; first, recognizing problems caused by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s the stage of empathic understanding, second, exploring reasons for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s the stage of empathic exploration and expression, third, relating the position of the social minority with my life at the stage of empathy internalization, and fourth, bracing myself for civic participation and practice as the stage of empathic practice. It is thought tha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tudents to experience perspectives of others actually will be most useful in the practice process of this instruction.

      • KCI등재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 비교 분석의 함의: 서울시 초등학교 3학년 지역화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동균(Han, Dong K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3

        본 연구에서는 3학년 지역화 교과서를 비교 분석해봄으로써, 현장에서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하고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그리고 교과서 분석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구체적인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포커스 그룹을 대상으로 한 서면 조사 및 심층 면담을 함께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지역화 교과서를 실제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지역의 실정과 교육 주체의 요구에 따라 교과서 보완형 또는 대체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지역화 교과서가 지역학습의 중심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화의 공간적 범위는 탄력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에게 친숙한 다른 고장의 소재를 활용할 수 있을 때 지역화의 본래 의미에도 부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중스케일적 접근을 통해 우리 고장을 다른 고장과의 관계 속에서 생각해 보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화 교과서 구성의 다양성과 일관성의 조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틀은 현행 교과서와 비슷하게 유지하되, 우리 고장의 특성을 담아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으로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공동체와의 연계를 통해 교과서의 질적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 지역교육청은 지역의 다양한 민관단체와의 협력체제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지역화 교육을 위한 전문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집필자 간의 소통과 대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필요가 있다. 교사는 지역화 관련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이를 운영함으로써 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ain implications for how localiza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understood and practiced at the sit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ird-year localization textbooks. To this end, localized textbooks under the same regional education office were first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written investig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ocus groups were conducted together to examine specific facts difficult to understand in textbook 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actually use localized textbooks. Textbook supplements or alternatives can be considered according to local circumstances and needs of the educational body. Second, the spatial scope of localization needs to be applied flexibly. It also needs to meet the original meaning of localization when students can utilize other local materials that are familiar to them. Third, it is necessary to harmonize the diversity and consistency of the composition of localized textbooks. To this end, the basic framework needs to be kept similar to that of current textbooks. In the meantime, it should be newly constructed in various ways to capture characteristics of our local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quality of textbooks through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Regional education office needs to support the cooperation system with various public-private organizations in the region so that teachers can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as teachers by reorganizing and operating localization-relate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