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근거한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안전교육 내용 분석

        한남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safety education presented in teachers’ instructions of the 3-5 year-old Nuri-curriculum and w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recognize. The contents of the safety education in teachers’ instructions of the 3-5 year-old Nuri-curriculum were analyzed according to life theme, type of activity and region of interest. First, most of the contents of the safety education are occupied by life safety, dealing with different contents dependent on age. Second, the scope of the safety education which the experts recognize is wider than that in teachers’ instructions of the 3-5 year-old Nuri-curriculum. Third, the safety education is conducted as conversation activity in the case group and mathematical activity in the region of interest. Fourth, 62.98% of the total safety education is conducted in life theme such as health and safety, appliances and transportation. Throughout this study, we provided a basis of program development for planning and deploying early childhood safety education more systematically. 본 연구는 학교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근거하여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안전교육의 내용과 유아교육 전문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아안전교육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안전교육의 내용을 생활주제, 활동유형 및 흥미영역별로 그 분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안전교육 대부분의 내용은 생활안전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다루고 있는 안전교육의 내용도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건강과 안전, 생활도구, 교통기관 생활주제에서 전체 안전교육 활동의 62.89%가 다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안전교육이 이루어지는 대소집단 활동은 이야기 나누기, 흥미영역은 수조작 놀이 영역에서 대부분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전문가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아안전교육의 내용보다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안전교육 내용의 범주가 적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유아안전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전개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어린이집 사전실습에 참여한 영유아보육과 학생들의 생각 변화 탐색

        한남주,이경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幼兒 敎育學論集 Vol.19 No.1

        In this paper, we focus on changes in thinking of infant car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daycare center pre-practice and intend to provide the basis for effective prior educ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practice for them. 16 sophomores in two-year child care college participated in the pre-practice weekly during 11 weeks. Reflective journal writing was required after weekly pre-practice and furthermore, small group discussion was conducted during the pre-practice. We u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nalyze journal of 16 books and the recording of discussion. The result shows that student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re-practice but they thought it was difficult in parallel with the class and did not recognize their role fully before the pre-practice. During the pre-practice, they applied the knowledge, understood the content of observation and learned by watching guidance teachers. Meanwhile, they was thinking about how to teach infants, the propriety of guidance teachers' method and what lead to change in a positive direction of infant behavior. After the pre-practice, students revealed a multitude of thoughts about practice direction to understand infants of various age and the desired age in charge during the practice. A variety of pre-practicum experience should be provided for infant care students to obt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daycare center field. 본 연구는 어린이집 사전실습에 참여한 영유아보육과 학생들의 생각 변화를 탐색하고, 보육 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실습과 관련한 보다 효율적인 직전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2년제 영유아보육과 2학년 16명으로 11주간 주1회씩 사전실습에 참여하였다. 매주 사전실습을 마친 뒤 반성적 저널쓰기를 하였고, 사전실습 기간 중 소그룹으로 진행 중인 사전실습에 대한 토의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 동안 수집된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저널 16권과 녹음된 토의내용을 전사한 자료로,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사전실습 초기에 학생들은 사전실습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있었다. 그러나 수업과 병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였고 사전실습 기간 중 자신의 역할에 대하여 혼란스러움을 느끼고 있었다. 사전실습 중 학생들은 알고 있는 지식을 적용하고, 지도교사를 보며 배우고, 관찰한 내용을 이해하였다. 그러나 영유아를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지도교사의 지도 방법은 맞는 것인지, 영유아의 행동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된 것은 무슨 이유인지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사전실습 후, 학생들은 여러 연령을 이해하기 위한 실습의 방향, 실습에서 담당하고 싶은 연령은 몇 세인지에 대해 여러 가지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어린이집 현장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사전실습의 경험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생태유아교육의 이해와 실천과정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

        한남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0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principles to support the teachers who practic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o so,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as applied to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llowing analysis of its conflicts and significanc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eachers considered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limited and found it hard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eco-early childhood teacher. It also highlighted difficulties arising from poor support, and a lack of confidence in managing the program. On the positive side, however, repetitive reflective thinking allowed the teachers to begin grasping the concept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n independent program, and to start understanding teachers' role within it. This means that the future support for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must emphasize its significance as a new paradigm, and that program planning is vital-such programs can support teachers by allowing them to participate and come, through reflective thinking, to realize the significance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교사가 생태유아교육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과정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실시하여 교사가 갖고 있는 갈등과 생태유아교육의 의미 발견의 경험을 분석한 다음, 생태유아교육을 실시하는 교사 지원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분석한 결과 교사는 생태유아교육을 몇 개의 제한된 프로그램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생태유아교육 교사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보였다.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교사는 스스로 자신 없어 하는 프로그램의 운영과 부족한 지원 때문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반성적 사고를 반복 실시하면서 교사는 하나의 독립된 교육과정으로 생태유아교육을 이해하고, 생태유아교사 역할의 의미를 찾기 시작하였다. 앞으로 실시될 생태유아교육 교사 지원프로그램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태유아교육의 의미를 강조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가 실제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생태교육의 의미를 찾아보는 반성적 사고의 기회가 포함된 교사 지원 프로그램의 계획도 필요 할 것이다.

      • 凍結明太肉의 貯藏中에 일어나는 理化學的變化(第1報) : 明太肉에 對한 아미노酸, 有機酸 및 糖類의 貯藏效果 Preservative Effects of Some Amino Acid, Organic Acid and Sugars on Alaska-Pollack Fillet

        韓南珠,金文基,權泰鳳,吳成基 慶熙大學校 1980 論文集 Vol.10 No.-

        The effects of sugar (D-sorbitol, D-xylose), organic acid (Na-citrate) and amino acid (monosodium glutamat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ozen "Alaska-pollack" fillet containing 500mg% of sucrose at 15℃ were studied by the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myofibrillar Mg^2+ -ATPase activity, trimethylamine-N, total protein, pH and textural variations with the lapse of time.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t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125-500mg%). 1. The mor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additives, were observed the more higher myofibrillar Mg^2+ - ATPase activity and pH value. In contrast, however, trimethylamine-N content was de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increase. 2. All the "Kamaboko" groups containing additives at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maintained almost similar elasticity. On the other hand, they were not only easily crumbled but also markedly decreased hard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with the lapse of time. 3. The D-sorbitol showed inferior textural characteristics to other additives, and D-xylose gave heavy color during the "Kamaboko" processing. 4. D-sorbitol groups increased cohesiveness and gumminess, respectively, with the concentration Increase. On the other hand, hardness was decreased in the sodium citrate groups.

      • 凍結明太肉의 貯藏中에 일어나는 理化學的變化 (第2報) : 明太肉에 對한 核酸類의 貯藏效果 Preservative Effects of Some Nucleotides on Alaska-Pollack Fillet

        韓南珠,權泰鳳,吳成基 경희대학교 부설 식량자원개발연구소 1978 硏究論文集 Vol.1 No.-

        The effects of nucleotides (Na-GMP, Na-IMP, Na-UMP, 5-50 ㎎%)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rozen Alaska-pollack fillet containing 500㎎% of sucrose at 15℃ were studied by the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myofibrillar Mg^(2+) - ATPase activity, trimethyl amine-N, total protein, pH and textural variations with the lapse of time.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D-sorbitol, D-xylose, sodium citrate and monosodium glutamate at different contration levels (125 ㎎% - 500 ㎎%) 1. The mor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additives, were observed the more higher myofibrillar Mg^(2+) - ATPase activity In contrast, however, trimethylamine-N content was de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increase 2. All the "Kamaboko" groups containing at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maintained almost similar elasticity On the other hand, they were not only easily crumbled but also markedly decreased hard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with the lapse of time 3. The Na-UMP groups showed inferior textural characteristics to other additives, but Na-IMP groups were superior 4. The Na-IMP groups increased hard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However, the Na-GMP groups increased hardness and gumminess with the concentration increase On the other hand, hardness was decreased in Na-UMP groups 5. Nucleotides showed superior protective effects of myofibrillar protein in frozen Alaska-poliack fillet over D-sorbitol, D-xylose, sodium citrate and monosodium glutamate And it appears that nucleotides would be promising additives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a variety of fish products

      • Pharmac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ells Isolated from Fetal Rat Calvaria

        한남,정동균,모리 마사카,Han, Nam-Soo,Cheong, Dong-Kyun,Mori, Masakazu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90 대한약리학잡지 Vol.26 No.2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TGF-{\beta})$는 많은 세포의 증식, 분화 및 여러가지 세포기능에 대해 다양한 조절기능을 갖고 있는 multifunctional polypeptide로 알려져 있다. $TGF-{\beta}$는 골기질에 상당량 존재하며 골조직 대사에 대해 광범위한 영향을 나타낸다. 여러가지 연구결과에 의해 기질과 연관된 $TGF-{\beta}$는 골세포 자체의 산물로 여겨지고 있으나 골조직세포군중 어느종류의 세포가 $TGF-{\beta}$를 형성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TGF-{\beta}$를 형성하는 골조직세포를 규명하고 $TGF-{\beta}$가 서로 다른 세포들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필요한 특정골조직세포군을 얻기 위하여 백서태자두개관을 연속효소처리하여 수집한 골조직세포군의 생화학적 특성규명을 시행하였다. 효소 처리후 초기에 유리되는 세포는 섬유아세포의 특성을 보이며 후기에 유리되는 세포는 acid 및 alkaline phosphatase 활성과 부갑상선호르몬, calcitonin, prostaglandin $E_{2}$에 대한 c-AMP의 반응 및 교원 단백질합성등을 통해 볼때 조골세포유사세포로 보여진다. 골조직과 두개관세포 추출물의 Polyacrylamlde gel과 immunoblot analysis에 의해 골조직내에 $TGF-{\beta}$의 존재와 골세포에 의한 $TGF-{\beta}$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두개관 세포 추출물의 분석에서 모든 세포군에서 $TGF-{\beta}$가 합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외부에서 $TGF-{\beta}$를 가한 경우 무혈청 배지에서 골조직 증식에 대해 두가지 양상의 반응을 보였다. 조골세포 유사세포에서는 촉진하는 반응을 보였으나 섬유아세포군에서는 억제반응을 나타냈다. 반면에 교원 및 비교원 단백질 합성에 있어서는 모든 두개관세포군이 촉진반응을 보였다. 단백질 합성증가는 교원단백에 특이성이라기 보다는 일반적인 증가로 보여진다. 또한 단백질합성증가에 대한 $TGF-{\beta}$의 영향은 세포증식과의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국 골세포에 의한 $TGF-{\beta}$의 생성과 여러 세포군에 대한 서로 다른 작용으로 보아 $TGF-{\beta}$는 autocrine과 paracrine 양상으로 세포기능을 조절함으로써 골조직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TGF-{\beta})$ is a multifunctional polypeptide with diverse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other functions in many cell types. $TGF-{\beta}$ is highly abundant in bone matrix and induces divergent responses in many aspects of bone cell metabolism . Several lines of investigation indicate that matrix-associated $TGF-{\beta}$ is the products of bone cells themselves. However, exact bone cell type re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TGF-{\beta}$ is still in controversy,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ellular origin of matrix-associated $TGF-{\beta}$ and to assess how different bone cells respond to $TGF-{\beta}$. As a prerequisite for this, 5 bone cell populations of distinct phenotype were isolated from fetal calvaria with sequential enzyme digestion protoco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Calvarial cell populations released in early stage showed fibroblastic features whereas populations relesed later was enriched with osteoblast-like cell as judged by their acid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cAMP responsiveness to parathyroid hormone, calcitonin and prostaglandin $E_2$ and collagen synthesis rate. By polyacylamide gel and immunoblot analysis of bone and calvarial cell extracts, presence of $TGF-{\beta}$ in bone tissues and production of $TGF-{\beta}$ by bone cells were confirmed again. Subsequent analysis of calvarial cell extracts prepared as individual population revealed that all calvarial cell populations synthesize $TGF-{\beta}$. Exogenously added $TGF-{\beta}$ induced biphasic response upon bone cell proliferation under serum-free condition. In osteoblastic cell populations, it was stimulatory whereas inhibitory in fibroblastic cell populations. In contrast, collagen and noncollagen protein synthesis of all calvarial cell populations were stimulated by $TGF-{\beta}$. Enhancement of protein synthesis was found to be more general rather than specific for collagen synthesis. In addition, effects of $TGF-{\beta}$ on protein synthesis were independent to its effects on cell proliferation. In summary, production of $TGF-{\beta}$ by bone cells and differential actions on various cell populations observ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GF-{\beta}$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bone metabolism by modulating the specific cellular functions in autocrine and paracrine fashion.

      • 백서태자두개관에서 분리한 세포의 약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에 관한연구

        한남수(Nam-Soo Han),정동균(Dong-Kyun Cheong),모리 마사카(Masakazu,Mori) 대한약리학회 1990 대한약리학잡지 Vol.26 No.2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TGF-β)는 많은 세포의 증식, 분화 및 여러가지 세포기능에 대해 다양한 조절기능을 갖고 있는 multifunctional polypeptide로 알려져 있다. TGF-β는 골기질에 상당량 존재하며 골조직 대사에 대해 광범위한 영향을 나타낸다. 여러가지 연구결과에 의해 기질과 연관된 TGF-β는 골세포 자체의 산물로 여겨지고 있으나 골조직세포군중 어느종류의 세포가 TGF-β를 형성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TGF-β를 형성하는 골조직세포를 규명하고 TGF-β가 서로 다른 세포들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필요한 특정골조직세포군을 얻기 위하여 백서태자두개관을 연속효소처리하여 수집한 골조직세포군의 생화학적 특성규명을 시행하였다. 효소 처리후 초기에 유리되는 세포는 섬유아세포의 특성을 보이며 후기에 유리되는 세포는 acid 및 alkaline phosphatase 활성과 부갑상선호르몬, calcitonin, prostaglandin E<sub>2</sub>에 대한 c-AMP의 반응 및 교원 단백질합성등을 통해 볼때 조골세포유사세포로 보여진다. 골조직과 두개관세포 추출물의 Polyacrylamlde gel과 immunoblot analysis에 의해 골조직내에 TGF-β의 존재와 골세포에 의한 TGF-β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두개관 세포 추출물의 분석에서 모든 세포군에서 TGF-β가 합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외부에서 TGF-β를 가한 경우 무혈청 배지에서 골조직 증식에 대해 두가지 양상의 반응을 보였다. 조골세포 유사세포에서는 촉진하는 반응을 보였으나 섬유아세포군에서는 억제반응을 나타냈다. 반면에 교원 및 비교원 단백질 합성에 있어서는 모든 두개관세포군이 촉진반응을 보였다. 단백질 합성증가는 교원단백에 특이성이라기 보다는 일반적인 증가로 보여진다. 또한 단백질합성증가에 대한 TGF-β의 영향은 세포증식과의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국 골세포에 의한 TGF-β의 생성과 여러 세포군에 대한 서로 다른 작용으로 보아 TGF-β는 autocrine과 paracrine 양상으로 세포기능을 조절함으로써 골조직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TGF-β) is a multifunctional polypeptide with diverse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other functions in many cell types. TGF-β is highly abundant in bone matrix and induces divergent responses in many aspects of bone cell metabolism . Several lines of investigation indicate that matrix-associated TGF-β is the products of bone cells themselves. However, exact bone cell type re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TGF-β is still in controversy,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ellular origin of matrix-associated TGF-β and to assess how different bone cells respond to TGF-β. As a prerequisite for this, 5 bone cell populations of distinct phenotype were isolated from fetal calvaria with sequential enzyme digestion protoco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Calvarial cell populations released in early stage showed fibroblastic features whereas populations relesed later was enriched with osteoblast-like cell as judged by their acid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cAMP responsiveness to parathyroid hormone, calcitonin and prostaglandin E<sub>2</sub> and collagen synthesis rate. By polyacylamide gel and immunoblot analysis of bone and calvarial cell extracts, presence of TGF-β in bone tissues and production of TGF-β by bone cells were confirmed again. Subsequent analysis of calvarial cell extracts prepared as individual population revealed that all calvarial cell populations synthesize TGF-β. Exogenously added TGF-β induced biphasic response upon bone cell proliferation under serum-free condition. In osteoblastic cell populations, it was stimulatory whereas inhibitory in fibroblastic cell populations. In contrast, collagen and noncollagen protein synthesis of all calvarial cell populations were stimulated by TGF-β. Enhancement of protein synthesis was found to be more general rather than specific for collagen synthesis. In addition, effects of TGF-β on protein synthesis were independent to its effects on cell proliferation. In summary, production of TGF-β by bone cells and differential actions on various cell populations observ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GF-β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bone metabolism by modulating the specific cellular functions in autocrine and paracrine fashion.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경험과 보육실습에 대한 원장의 생각

        이경하,한남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4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 of childcare trainees operated in the situation of COVID-19 was confirmed, and the ideas of the daycare center manager toward non-face-to-face childcare practice was analyzed to examine ways to improve childcare practice through the parallel between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practice. Methods A childcare practice diary of 30 third-year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4-year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a reflective self-evaluation of childcare trainees, a survey on childcare practice patterns, and a survey on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s was conducted. In addition,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20 directors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Results The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 of childcare trainees in the COVID-19 situation was analyzed by understanding the practice daycare center, daily routine guidance, writing childcare practice-related documents, and teacher feedback. It was analyzed that for effective childcare practice, childcare trainees are requesting support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ity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different childcare practices by each institution in advance and for support for quick adaptation. The directors of the daycare center generally had negative thoughts about non-face-to-face childcare practices.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childcare practices according to age was perceived positively. Conclusions Considering the analysis that non-face-to-face practice is possible, a plan to improve childcare practice found in the COVID-19 situation was suggested in terms of fulfilling the role as a childcare trainee and supporting the effective operation of childcare practice. In fulfilling the role as a childcare trainee,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and content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ity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o operate childcare practice so that daily life, play, and activities including daily life and activities can be provided. In terms of support for effective childcare practice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orientation, sufficient feedback from supervisors, and education and content related to document preparation related to childcare practice. Therefore, if contents that can supplement face-to-face practice are produced as contents, and non-face-to-face practice and face-to-face practice are carried out concurrently, it is expected to be a more effective childcare practice.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운영되었던 보육실습생의 보육실습 경험을 확인하고, 비대면 보육실습에 대한 어린이집원장의 생각을 분석하여 보육실습 내실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방법 경북지역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30명의 보육실습일지, 보육실습생의 반성적 자기평가서, 보육실습형태 조사및 보육실습경험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경기도 지역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20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내용을분석하였다. 결과 코로나19 상황에서 보육실습생의 보육실습 경험은 실습어린이집 이해, 하루일과 지도, 보육실습관련 문서작성, 지도교사 피드백으로 분석되었다. 효과적인 보육실습을 위하여 보육실습생들은 영유아의 개별성 이해를 위한 지원, 실습기관의 다양성 이해를위한 지원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린이집원장은 비대면 보육실습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었으나, 연령에 따른 보육실제에 대한 보육실습생의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 콘텐츠 제작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분석되었다. 결론 비대면실습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된 내용을 고려하여 코로나19 상황에서 찾은 보육실습 내실화 방안을 보육실습생으로서 보육교사 직무수행 측면과 효과적인 보육실습 운영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보육실습생으로서 보육교사 직무수행 시 영유아의 개별성이해를 높이기 위한 경험과 교육용 콘텐츠 제공, 하루일과 지도 시 일상생활, 놀이 및 활동이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보육실습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효과적인 보육실습 운영에서는 실습 오리엔테이션 제공, 지도교사의 충분한 피드백 제공, 보육실습관련문서작성 대면교육 또는 교육용콘텐츠 제공 등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대면실습을 보완할 수 있는 비대면 교육용 콘텐츠를제작하여 이를 활용한 비대면실습과 대면실습이 병행하여 이루어진다면 보다 효과적인 보육실습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갈등 고찰 - 장애유아통합교육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교사를 중심으로 -

        곽현,한남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3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upportive program for pre-child educators by analyzing conflicts and the needs of pre-childhood educators to solve conflicts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programs. For this study, I interviewed twice, analyzed drawings of pre-childhood educators representing the special need children and reflective journals of 70 pre-childhood educators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es. The results showed pre-childhood educators had positive attitudes but were afraid of educat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en they become childhood educators. Successful actual training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e-childhood educators, but unsuccessful actual training in the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pre-child educators. They felt anxiety from conflicts originating from which they didn’t have enough knowledge and skills to teach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felt burdened with the inclus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well as ordinary children. They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ough they worried about not giving enough love for ordinary children. The pre-childhood educators needed more subjects to obtain knowledge about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wanted to have more practice to acquire skills to educate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classes using video which show teach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y thought it was important to have self-confidences to develop good attitudes though they didn’t have special needs related with attitudes. 본 연구는 장애유아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가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갈등과 갈등해결을 위해 예비유아교사가 원하는 요구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 마련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아통합교육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70여명의 유아교육과 예비유아교사가 작성한 반성적 저널과 장애유아 표상그림을 분석하고, 2회의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대체적으로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으나 실제로 자신이 교사가 되어 장애유아를 지도하게 될 것에는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비유아교사가 장애유아통합교육 지식과 관련하여 갖고 있는 갈등은 장애유아를 지도하기에 충분한 지식을 갖지 못한 것에 대한 불안으로 분석되었고, 기술과 관련된 갈등은 장애유아를 실제로 지도해보지 못한 것에서 오는 불안감, 일반유아와 장애유아를 한 반에서 지도해야 하는데서 오는 부담으로 분석되었다. 태도와 관련된 갈등으로 장애유아와 일반유아를 동일하게 사랑해주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존재하였으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갖고 있었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지식․기술과 관련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애유아통합교육과 관련된 더 많은 교과목 구성, 장애유아를 지도해 볼 수 있는 실습 기회제공, 장애유아를 지도하는 장면이 포함된 동영상 활용수업을 요구하였다. 태도와 관련된 예비유아교사의 특별한 요구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예비교사 스스로 노력하여 자신감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예비영유아교사가 제작한 아동권리존중 캠페인 UCC에 나타난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이경하,한남주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a campaign UCC for respect of children’s rights as a way of educating children’s rights for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meaning of UCC production activities and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in their results. 33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produced UCC (User Created Contents) for the campaign of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And then, the contents and errors of the children’s rights shown in the production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 children’s rights. As a result, they expressed the right to development the most. Next, the right to live, the right to protection, and the right to participate were presented in order. the right to participate had the lowest level of awareness among the four rights. Also the UCC production process can give an opportunity was provided to correct the misinterpretation. 본 연구는 예비영유아교사를 위한 아동권리교육의 방법으로 아동권리존중 캠페인 UCC를 제작하도록 하고, UCC제작활동의 교육적 의미와 그 결과물에 나타난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아교육과 예비영유아교사 33명을 대상으로 아동권리존중 캠페인을 위한 UCC를 제작하고, 제작물에 나타난 아동권리의 내용과 오류를 분석하여 이들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4가지 아동 권리 가운데 발달권을 가장 많이 표현하였으며 생존권, 보호권, 참여권 순으로 제시되었다. 4가지 아동 권리 가운데 참여권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권리존중 캠페인 UCC를 제작하는 과정은 예비영유아교사의 아동권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을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