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려시대 화엄종<SUP>華嚴宗</SUP>과 용수사<SUP>龍壽寺</SUP>

        한기문(韓基汶)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4

        고려전기 화엄종은 의천이 종파를 통합하려는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의천 사후 오히려 분파되었다. 의천의 화엄학 문도들 중 한 갈래는 계응을 중심으로 태백산으로 퇴거 각화사를 창건하고 법해용문을 형성하여 화엄교단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법해용문의 확장 방법으로 문도 차원에서 용두산 용수사를 개창한다. 문도 확심이 명종의 명을 받아 사원재정을 확정하고 이를 공증하는 일면에서 「용수사개창비」를 건립하였다. 탁본첩으로 전해 오는 개창비문은 18세기 초 유자가 전문을 판독한 『용산지龍山志』 고적조 최선비문과 대교하여 보완하였다. 이에 따르면 개창된 용수사의 구조는 인근 의상계 부석사와 차이가 확인된다. 부석사는 보처불과 영탑이 없는 일승사상을 강조한 전통이 원융국사가 주석한 시기까지 이어졌다. 개창한 용수사는 관음보살상과 청석탑이 조성된 구조였다. 주지한 확심廓心의 『원종문류집해』 권중의 내용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용수사의 종풍은 대체로 의천이 원효를 중시한 화엄사상을 계승한다. 13세기 중반 최우집권기에도 용수사의 종풍이 지속되었음은 용수사 비구 현규玄揆가 주장이 되어 『대방광불화엄경소』를 출판한데서 알 수 있다. 이 화엄경소는 의천 화엄사상의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의천이 비판한 균여계열의 사상을 이은 체원의 저술을 14세기 각화사 주지 성지性之가 교감하는 활동을 볼 때 태백산계열의 법해용문의 사상 경향이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Hwaeomjong in early Goryeo Euicheon did Sects-Integrating movement, After his death the sect divided. Gyeoeung-based branch among the pupils of Euicheon’s Hwaeom Ideas builds Gwakhwasa in Taebek Mt.. They developed Hwaeom Association through the founding of Beophaeyongmun. To do this the students establish Yongsusa in Yongdu Mt.. On Myeongjong’s decree Euicheon’s disciple Hwaksim insured the temple’s finance and made 「Yongsusagechangbi」 to secure this. This rubbed-copy epitaph I completed with Confucianist’s comprehended Choiseonbimun of 『Yongsanji』-Gojeokjo in early 18C.. On head-monk Hwaksim 『Weonjongmunryujibhe』 Yongsusa’s ethos largely inherits Weonhyo’s Hwaeom thinking that Euicheon emphasized. On Hyeongyu’s pressed 『Debanggwangbulhwaeumgyeongso』 the ethos was kept also in Choi U’s reign in the middle of 13C.. This book implicates enough Euicheon’s Hwaeom Ideology. On Gwakhwasa head-monk Seongji’s correcting Chewon’s writings that succeeded Gyunyeo-line opinion which Euicheon criticized, the thought flow of Taebeksan-faction Beobhweyongmun was changed.

      • KCI등재

        바람직한 초등 영재교사의 자질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기순(韓起順),이현주(李賢珠)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바람직한 초등 영재교사의 자질이 무엇인지 를 탐색적으로 밝히고, 이를 토대로 하여 초등학교 영재교사가 각각의 자질을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현장에서 얼마나 실천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단계로 구성되었는데, 첫 번째 단계에서는 11명의 초등영재교사가 개념도 도출을 위한 초점집단으로 참여하여 바람직한 초등 영재교사의 자질에 대한 진술문을 산출, 종합, 분류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자료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단계는 진술문을 기초로 작성된 설문 조사 단계로 초등학교 영재교사 193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람직한 초등 영재교사에 대한 총 40개의 구체적인 진술문이 산출되었으며 이들 진술문에 대하여 비유사성 평정 자료를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2차원 개념도 제작에 적합한 stress 값 .291이 도출되었다. 이를 개념도 분석을 한 결과 초등학교 영재교사들이 인식하는 바람직한 영재교사의 자질은 9개의 범주로서 각 범주명은 ‘학문적 전문성’ ‘수업에서의 개방성ㆍ융통성’ ‘유능한 교수ㆍ학습능력’ ‘자료활용 및 개발 능력’ ‘이해와 관용의 자세’ ‘인내심ㆍ성실성’ ‘지원적ㆍ수용적 자세’ ‘의사소통기술 및 영재판별능력’ ‘상황기반전문성’ 범주로 구분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영재교사들은 바람직한 영재교사의 자질에서 ‘이해와 관용의 자세’, ‘인내심ㆍ성실성’, ‘지원적ㆍ수용적 자세’, ‘유능한 교수ㆍ학습능력’, ‘상황기반 전문성’, ‘의사소통기술 및 영재판별능력’, ‘학문적 전문성’, ‘수업에서의 개방성ㆍ융통성’, ‘자료활용 및 개발 능력’ 순으로 중요도를 인식하였으며, 중요도와 실행수준 간에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elementary gifted teachers’ perception of the desirable qualities by concept-mapping and find out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describing the desirable qualities and their own level of practice. For this, 11 teachers solicted, gathered and analyzed statements, and then did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n addition 193 elementary gifted teachers rated the importance of each describing qualities of gif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own level of practic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40 statements were solicted and as a result of concept mapping the desirable qualities of gif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ategorized as ‘academic professionalism’, ‘opennessㆍflexible in teaching’, ‘competent teachingㆍlearning ability’, ‘capacity of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attitude of understanding and tolerance’, ‘patienceㆍsincerity’, ‘supportive and accommodative attitude’, ‘communication skills and ability to identify the gifted’, ‘context-based professionalism’ by 9 categor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ractice levels across all 9 categories. Implications of the study related to gifted education pract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동방학지』 200집 기념 대담 <동방학, 국학, 동아시아론: 동방학을 다시 기록하다> - 백영서, 도현철, 한기형

        김성보,백영서,도현철,한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0 No.-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이 간행하는 종합 인문 학술지 『동방학지』가 200집 발간을 기념하게 되었다. 전쟁의 상흔이 채 가시지 않은 1954년도에 첫 1집이 나온 이래 온갖 풍상을 겪으면서도 한 번도 중단되지 않고 68년을 이어온 결과이다. 일제강점기 조선학의 전통이 없었다면, 분단과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동방학연구소를 창립하여 인문학의 밭을 일구어낸 선학의 선견지명이 없었다면, 그리고 글 한 편 한 편을 소중히 여기는 편집진과 필자들의 인문 정신이 아니었다 영글 수 없는 수확이다. 창업보다 수성이 어렵다고 한다. 수많은 학술지가 쏟아져 나오고 논문 편 수를 연구자 평가의 기준으로 삼는 학문 시장 속에서 과연 『동방학지』는 무엇에 의미를 부여하며 어디로 항해를 떠나야 할까? 국학연구원은 그 답을 찾기 위해 <동방학, 국학, 동아시아론: 동방학을 다시 기록하다>라는 제목의 대담을 마련하였다. ‘동방학’은 창립 당시의 연구소 이름이자 학술지 이름이다. ‘국학’은 이 연구소가 1977년도에 기구 확장을 하면서 붙인 새 이름이다. 그리고 ‘동아시아’는 국학연구원이 “21세기 실학으로서의 사회인문학”을 탐구하면서 화두로 삼았던 공간 개념이다. 이 세 단어는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있다. 그 연관성을 살피다 보면 한국인들의 전통적인 공간 감각과 정체성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근대 국민국가의 세계 속에서 계승·전환하는지, 그리고 다시 국가의 경계를 넘어 어떻게 동아시아로 인식과 정체성이 확대되어 왔는지 파악할 수 있겠다. 대담의 주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제 1부에는 한국발 동방학 연구의 연원과 지향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제 2부에는 활기찼던 동아시아 담론이 남긴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면서 그 논의가 어떻게 다시 새롭게 생명력을 얻을 수 있을지 진단한다. 제 1부에서 도현철은 주로 동방학연구소 창립 이래 국학연구원의 역사를 짚어보면서 동방학에 담겨진 의미를 짚어준다. ‘동방’은 중국의 동쪽인 한반도를 가리키면서 동시에 서방과 대비되는 중층적 개념이라는 지적이 흥미롭다. 백영서는 평소 지론대로 ‘동방’을 고정된 지리적 개념이 아닌 실천적 과제에 따라 계속 재규정되는 개념이라면서 ‘동방’의 의미를 더욱 풍성히 해준다. 한기형은 대동, 동양, 동아시아 등 동방과 유사한 용어들을 비교해주면서 오늘날 동아시아 담론이 오랜 한국의 전통과 현대적 전환 속에 나온 것임을 확인해준다. 대담은 학문 제도 속에서 국학과 동아시아학이 어떤 긴장 관계에 있었는지로 논의가 확대된다. 제 2부에서 백영서는 동아시아 담론이 단지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시작되어 일제강점기와 냉전기에 복류하다가 1990년대 탈냉전기에 지상으로 다시 ‘귀환’한 것으로 파악하면서, 이제 다시 글로컬한 차원에서 이 담론이 재구성될 필요성을 제시한다. 한기형은 한국의 동아시아 담론이 국경을 넘는 공감을 얻지 못해왔음을 뼈아프게 지적하면서 그 한계의 극복이 중요함을 지적한다. 동아시아 연구의 향후 진로에 대해서 도현철은 역사 연구가 동아시아를 넘어 유라시아적인 관점으로 확장되고 있는 예를 들면서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학문 연구의 문제의식과 연구내용이 계속 변화할 것임을 진단해준다. 이 외에도 다양하고 풍성한 논의가 대담 내내 이어진다. 200집이 나오기까지 『동방학지』에 실린 많은 글에는 하 ...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