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흰색의 공포: 이쉬마엘의 모호한 반인종주의와 『모비딕』의 동시대성

        한광택(Kwangtaek Han) 한국아메리카학회 2020 美國學論集 Vol.52 No.2

        By focusing on how Herman Melville narrativizes Ishmael’s sense of the veiled secrets of Moby Dick‘s whiteness, this essay sheds new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his ambiguous antiracism. Unlike existing readings of Ishmael as an anti-racist, I argue, he is depicted as a racist in the scene of his encounter with Queequeg, where his implicit racism is predicated on the contemporary notion of white superiority. Then, in the chapter “The Whiteness of the Whale” Ishmael delves into the profound significance of the peculiar whiteness of Moby Dick, only to acknowledge its profound inscrutablity. However the chapter’s theme is not inscrutability but hermeneutic indecisiveness that brings about all vain efforts to comprehend the true meaning of whiteness but gradually leads Ishmael to antiracism. However, Ishmael, though realizing the ideology of white color and people, keeps his antiracism ambiguous, which is how he relates himself to his contemporary American racist history. It is such paradoxical contemporariness that Meville intends to represent by means of Ishmael’s ambiguous antiracism in “The Whiteness of the Whale.”

      • KCI등재

        멜빌의 인식론과 존재론 : 『모비딕』과 『피에르』

        한광택(Kwangtaek Han) 한국비평이론학회 2015 비평과이론 Vol.20 No.2

        본 논문은 허먼 멜빌의 인식론적이며 존재론적인 사유와 재현이 그가 각각 리바이어던과 크라켄으로 칭한 『모비딕』과 『피에르』에서 드러나는 방식을 연구함으로서 실재와 환영의 형이상학적이며 실존적인 문제에 대한 멜빌의 통찰을 고찰한다. 그동안 『피에르』를 『모비딕』보다 훨씬 괴물적인 작품으로 창작하였던 멜빌의 의도는 온전하게 평가받지 못해왔는데, 이는 『피에르』의 주제와 인물들이 논란을 일으킬 정도로 비도덕적인 까닭에 비평적, 상업적으로 실패하였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실재와 환영의 연관된 문제들을 천착함에 있어서 환영이 실존의 필요조건임을 포착하는 『피에르』가 실재는 환영의 등가물임을 보여주는 『모비딕』보다 훨씬 전복적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특히, 근대 인식론과 존재론에서 개념화한 자립적인 주체와 실증적인 현실이라는 허위적인 개념들을 폭로함으로써 ??피에르??는 주체와 현실의 본질적 이율배반에 대한 동시대인들의 무지를 비판하는데, 이는 왜 『피에르』가 멜빌의 크라켄인지를 입증한다. This essay examines Herman Melville’s insight into the metaphysical and existential question of substance and shadow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his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thought and representation in his Moby-Dick and Pierre, respectively called Leviathan and Kraken. Melville’s original intent to compose Pierre as a much more monstrous work than Moby-Dick has been misconstrued due to the former’s critical and commercial failure resulting from its scandalously immoral theme and characters. In delving into the interlocking questions of substance and shadow, however, Pierre which captures shadow as the necessary condition of existential life turns out to be indeed more subversive than Moby-Dick which reveals shadow as an equivalent of substance. In particular, by disclosing the false notions of autonomous subject and positive reality conceptualized by modern epistemology and ontology, Pierre critiques the contemporary unawareness of essential antinomy of both subject and reality, which evidences why Pierre is Melville’s Kraken.

      • KCI등재

        팬데믹과 얼굴

        한광택(Kwangtaek Han)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2

        본고의 목적은 코로나19 펜데믹 상황에서 이탈리아의 철학자인 조르지오 아감벤이 야기한 일련의 논쟁에서 드러난 아감벤의 정치철학의 맹점과 한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아감벤은 팬데믹 상황이 야기한 정부주도의 방역정책에 대한 비판에 있어서 그를 유명하게 만든 정치철학의 핵심 개념들을 그대로 적용하여 학계에 큰파장을 일으키고 논란을 야기하였다. 그는 정부주도의 강력한 봉쇄조치와 방역지침에 대해 국가적인 위기 상황일 때 국가권력이 초법적으로 적용하였던 예외상태가민주국가에서조차 상례화되는 비정상적인 정치현실에서 개별 인간주권이 주체로부터 벗겨져나가는 현상에 불과하다고 비판하였다. 아감벤의 정치철학의 문제점은 그가 특정한 정치철학적 사건의 역사적 개별성이 아닌 인간과 정치 개념의 추상적보편성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역사적 사건의 정치철학적 의미를 추상화를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 현상이 조건화되고 맥락화되는다양한 요인들과 원인들을 무시하며 고전적인 정치학에서 통용되었던 지배와 피지배와 억압자와 피억압자라는 이원적인 대칭구도를 벗어나지 못한다. 그는 국가권력의 정치적 기획이나 의도가 아닌 심급에서 작동하는 다양하고 복합한 문제들을 인식하지도 설명하지도 못한다. 특히, 그의 얼굴 개념은 정치 그 자체라는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에 기반한 것으로 그의 인본주의와 환원주의의 맹점과 한계를 여실히 방증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lind spots and limits of Giorgio Agamben’s political philosophy, which were recognized in a series of debates caused by himself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e controversy was brought about by the core concepts of Agamben’s political philosophy. He criticized the government-led containment measures and quarantine guidelines as deriving individual citizens of their right of freedom. The problem underlying his concepts is that he only focuses on the abstract conceptual universality of humanity and politics, ignoring their historical conditions and contexts. Moreover, he employs the politico-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particular historical events as a tool for philosophical abstraction. He also disregards the various factors and causes by which the COVID-19 pandemic is conditioned and contextualized, failing to overcome the dichotomy of domination and oppression. As a consequence, he cannot recognize or explain the various and complex problems with regard to the working of state power.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face is predicated upon the universal and abstract concept of politics itself, which proves the blind spots and limits of Agamben’s humanism and reductionism.

      • KCI등재

        동감과 교육에 관한 소설로 나를 보내지 마 가르치기

        한광택(Kwangtaek Han)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16 영미문학교육 Vol.20 No.3

        This essay introduces practical pedagogical ways in which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can be read and taught as a novel on empathy and education, rather than a scientific novel on clones. In my previous teaching experiences in English literature courses, I provided students with a new way of understanding Never Let Me Go by helping them close read the implicit purposes and effects of the narrative strategy of its narrator who is a clone, as well as the striking homology between the educational system that justifies the sacrifice of cloned bodies and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in Korea in terms of their ideological functions. By focusing on the profound significance of the narration of the novel and the affinity between its fictional setting and the present reality, students also came to learn the author’s intent to disclose the prevalent oblivion to the complicated role and operation of empathy and education. Teaching Never Let Me Go as a novel on these issues, I conclude, can lead students to gain critical insights into their ideological and subversive possibilities.

      • Fuzzy ART를 이용한 실시간 침입탐지

        한광택(Kwangtaek Han),김형천(Hyoungchun Kim),고재영(Jaeyoung Koh),이철원(Cheolw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Ⅰ

        침입 탐지 시스템의 초점이 호스트와 운영체제 탐지에서 네트워크 탐지로 옮겨가고 있고 단순한 오용탐지 기법에서 이를 개선한 지능적인 비정상 행위 탐지 기법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 중에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트래픽 특성을 이용하여 비표준 포트의 사용이나 표준 포트에 대한 비표준 방법에 의한 침입을 탐지하고자 하는 노력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패턴 매칭이 가능하고, 적응력이 뛰어난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들에 대한 트래픽을 수집, 특성에 따라 분석 · 클러스터링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향상된 침입 탐지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 신경과학, 인문학의 위기와 미래

        한광택(Kwangtaek Han) 한국비평이론학회 2019 비평과이론 Vol.24 No.1

        본고의 목적은 포스트휴머니즘, 신경과학, 인문학이 맺고 있는 삼각관계의 미래적 의미를 면밀하게 고찰함으로써 앞으로 점차 심각해질 인문학의 위기에 맞서는 대응을 준비하는 데 이론적, 실천적 도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서 신경과학의 중요성을 커지고 있지만 신경과학의 최신 연구결과들은 인간주체와 세계에 관한 이해를 새롭게 정립함으로써 인문학과 신경과학의 마찰과 대립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신경과학과 인문학이 포스트휴머니즘 관련 담론에서 충돌하는 양상을 고찰하고 그 영향이 우리의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와 통찰에 어떤 파급효과를 미칠지에 대한 전망과 함께 인문학이 신경과학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신경과학과 인문학이 어떤 상보적인 관계를 정립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suggest a new epistemological and practical way that helps respond to the increasing crisis of humanities by examining the triangular relations among posthumanism, neuroscience, and humanities. In this era of posthumanism, the importance of neuroscience is increasingly highlighted, causing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between humanities and the recent findings of neuroscience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human subjectivity and the world. Hence, I will offer a critical analysis of how neuroscience and humanities have collided in the discourse of posthumanism, as well as a way to harmonize humanities with neuroscience by suggesting how their impact will collectively have a profound effect on our understanding and insights about humans and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u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mutually constitutive relationship between neuroscience and humanities.

      • KCI등재

        에드거 앨런 포의 신경과학과 문학

        한광택(Kwangtaek Han) 한국아메리카학회 2019 美國學論集 Vol.51 No.2

        By focusing on the way in which Edgar Allan Poe recognizes and represents some particular neuroscientific facts of human mind and agency, this essay examines what we can call Poe’s neuroscience in terms of his insight into neuroscientific posthumanism. In “Ligeia” Poe depicts how the brain perceives and cognizes facial features, voice, and the act of reading in its own signifying process. In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Poe’s narrator shows his sharp attention to the emotive mechanism and its functions. In “The Man of the Crowd” Poe captures the instances of the pattern recognition and subsequent abstract categorization of the brain, while in “William Wilson” he describes the case of fictional identification and its substantiation also taking place in the brain. All these examples indicate how Poe foreshadows the current neuroscientific notions of posthumanism, in which he focuses on representing how his characters fail to follow the rules of human and social evolution. This is, I argue in this essay, what is central to Poe’s posthumanism.

      • KCI등재후보

        노년의 존재론: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키케로와 렘브란트

        한광택(Han Kwangtaek)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9 횡단인문학 Vol.3 No.1

        본고의 목적은 인간과 인간성의 조건과 의미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부합하는 노년의 의미를 정립하는데 있어서 키케로와 렘브란트의 노년에 대한 통찰을 통해 진정한 노년의 존재론적 의미를 이해하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키케로가 자신의 노년론에서 개념화한 노년의 의미와 렘브란트가 자신의 자화상 연작을 통해 재현한노년의 철학적 의미를 함께 분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비인간화의 현실화로 특징되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에 새로운 존재론적 문제로서의 노년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할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understand the ontological significance of aging by way of the collective insight of Cicero and Rembrandt into senility so as to redefine the meaning of aging in the era of post-humanism, when the conditions and meanings of humans and humanity are undergoing dramatic changes. This essay thus provides a critical review of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aging, which Cicero conceptualizes in his essay on senility and Rembrandt represents in a series of his self-portraits in order to provide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of aging as a new existential problem in the era of post-humanism in which dehumanization substantially becomes a reality.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멜랑콜리아

        한광택 ( Han Kwangtaek ) 한국비교문학회 2021 比較文學 Vol.- No.84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확산과 그 끝을 알 수 없는 지속은 인류로 하여금 공동체구성원들의 상실에 대한 애도를 강제로 경험하게 만들었으며 그 상관물인 우울증의 종결 시점을 가늠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프로이트의 이론적인 구분에 따르면 주체가 그치지 않는 애도의 본질은 병리적인 멜랑콜리아이다. 그런데, 프로이트가 개념화한 멜랑콜리아는 상실한 대상과의 동일시에 기반한 애착관계를 끝내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코로나바이러스시대 이후에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정동으로서의 멜랑콜리아를 설명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본고에서는 프로이트의 멜랑콜리아 개념과 프로이트 이후의 이론가들이 전유한 다양한 멜랑콜라아 개념들을 검토하고 절충하여 코로나바이러스 시대의 애도와 우울 및 포스트코로나바이러스 시대의 멜랑콜리아의 심리적 기제와 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존재의 모순과 역설을 드러내는 정동으로서의 포스트코로나 멜랑콜리아의 구조와 기능을 고찰하고 각각에 내재하는 딜레마를 정확하게 재현하는 문학적 서사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본 고의 목적이다. The global spread of COVID-19 forced us to undergo a lasting mourning for the inscrutable loss and made it difficult to anticipate when to discontinue both mourning and its necessary correlative, depression. Sigmund Freud suggests that the nature of constant mourning expressed by a mourning subject is in effect a pathological melancholia. However, Freud’s notion of melancholia can not fully explain the social, affective nature of melancholia that would emerge in the post-COVID-19 era due to its limited focus on a pathological state of mind predicated on narcissistic identification with a lost object. By considering how diverse thinkers have reinterpret the significance of melancholia in a more sophisticated way, I examine the multifaceted psychological mechanism of melancholia in the post-COVID19 era as well as mourning and depression germane 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Pandemic. The aim of this essay is thu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melancholia in the post-COVID-19 era that reveals the contradiction and paradox of humanity in the Pandemic and the role of literary narrative to represent their respective inherent dilemma precis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