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화를 활용한 사회과에서의 다문화 수업 방안

        한관종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6 사회과교육연구 Vol.13 No.3

        The Use of Cinema for the teaching of multiculture in Social Studies Han, Kwan-Jong ≫사회과는 ‘바람직한 인간의 행동은 어떠해야 하며, 바람직한 인간이 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를 고민하고 그 고민의 결과를 실천에 옮기려고 노력하는 교과이다. 이 논문은 바로 이런 고민 해결의 한 부분을 영화를 통한 수업을 통해 달성할 수 있을 것이란 가능성을 탐색해본 것이다. 영화는 인간의 다양한 삶을 보여줌으로써 다문화에 대한 탐구를 돕는다. 영화는 설명적이고 요약적인 교과서보다 인간의 삶과 행복, 슬픔에 대해 정서적이고 심미적인 관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흥미롭고 재미있어 한다. 뿐만 아니라 영화는 인간의 자유나 평등, 정의, 인권 등을 삶과 연결시켜 다양한 관점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이는 다문화 교육의 목표가 타문화에 대한 지식적인 측면보다도 정의적인 측면을 더 강조한다는 맥락에서 볼 때 그 도입의 타당성이 더욱 부각된다. 교사는 다문화 이해라는 교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영화를 선정하고, 이를 학생들이 감상하도록 하고, 감상 후 토론과 탐구 등의 과정을 통해 반성적인 고찰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서 학생들의 다문화 이해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다. 영화와 사회과의 결합은 학생 스스로의 흥미와 자기 신뢰에 대한 존중, 연출가(교사)와 관객(학습자)의 수평적 역할에 대한 이해 등을 촉진시켜 줄 것이다.영화를 통한 다문화 수업은 학생의 흥미와 요구, 학습 목표와 내용을 반영한 작품 선택 단계, 영화의 중심 내용이나 목표를 잘 파악하기 위한 탐구 단계, 감상 및 반성 단계로 진행되는 영화를 통한 다문화 이해의 과정을 종합하여 구성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 현장에서 사회과에서의 영상 매체(영화) 활용 수업의 실제적인 활용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함으로써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교실 현장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는 교사의 일방적 전달 방식인 강의식 수업 풍토를 개선하는 데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 출제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관종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7 사회과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 교육학 영역의 중등학교 사회과(일반사회)교사 임용시험 문제의 출제경향과 내용의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과 교육학 임용시험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우수한 사회과 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임용시험 문제의 질적 발전을 꾀하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2003년에서 2007학년도까지 5개년도의 중등 사회과(일반사회) 임용시험 출제 문제 중 사회과 교과 교육학 영역 문제 모두를 출제 내용, 내용 영역과 요소, 목표, 난이도, 배점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교과 교육학’ 영역의 시험문제 출제 비중이 ‘교과 내용학’ 분야에 비해 너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제 문제를 사회과 교과 교육학의 목표 수준면에서 분석한 결과, ‘지식’ 과 ‘기능’측면에만 치중하여 출제되었다. 셋째, 배점 면에서는 영역별 배점 분포가 해마다 고르지 못하고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난이도와 배점간의 불일치 현상이 있었다. 이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첫째, 임용시험의 문제는 출제 원칙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사회과교육 전문가 집단의 공개적이고 전문적인 논의를 통해 유능한 교사를 선발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교육과정 영역을 선별하고 이를 준거로 하여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의 출제 원칙이 합리적으로 수립되어야 한다.둘째, 사회과 교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 범위와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 문제 출제에 반영하여 임용시험 문제의 타당성을 높여야 한다.셋째,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은 일선 중등학교에서 ‘사회과 교육’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인재를 뽑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사회과 교사 임용시험 문제는 사회과 교육과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일선 중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을 적극 반영하여야 한다. The analysis of the recruitment examin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and reformation: In the field of the subject matter of social studies in secondary school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영상 프로그램 제시방식이 사회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관종 한국사회과교육학회 1999 시민교육연구 Vol.30 No.1

        이 연구는 영상 매체를 활용한 사회과 수업에 있어 프로그램의 세 개 유형의 화면 제시방식(ST 단독 출연으로 이루어지는 방식, 실제 화면을 삽입하는 방식, 조작적 화면을 제시하는 방식)에 따라 학습 효과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중학교 2학년 남학생 2개 반 101명을 대상으로 세 유형의 사회과 관련 영상 프로그램을 실험에 투입하였다. 한편 프로그램의 주제와 관련해서는 재생력 평가와 인지력 평가 등 2개의 실험용 측정 도구가 활용되었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 프로그램의 제시 방식에 따라 학습 정보의 재생과 인지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업 수준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정보의 인지에 대한 시각적 제시 방식들의 효과는 오직 단기에서, 학습자가 프로그램을 시청한 직후에만 나타났다. 또한 수업 후 장기 사후 검사(장기 효과)에서 사실적 제시방식은 재생력 평가에 있어서는 별다른 효과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조작적 제시 방식에서는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학업 수준이 높은 학생은 학업 수준이 낮은 학생보다 장기 재생력 평가에서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장기 인지력 평가에서는 높은 성취를 보였다. 결국 이 실험 연구의 결과는 사회과 교육 관련 영상 프로그램의 포맷 결정 및 연구에 하나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learning effects in social studies according to the 3 methods of AV program display-only ST performer, insertion of realistic pictures, schematic pictures of the utility of AV instructional media. The population for the study is 101 2nd graders in the secondary school on whom the 3 methods of AV programs were input. In order to get the results of this study, 2 experimental tools -retention and cognitive ability test- were used related to program subj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there to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thods of AV program display was identified on the retention and cognitive ability. Second, the effects of the methods of visual display was identified as the short-term also the retention test as the long-term effect. Those effects however were not identified in the methods of realistic display, but in the methods of schematic display. And the students with high-level learning achievement have not shown a significant effect in the long-term retention, but shown in the long-term cognition. Finally, this study can result in a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format and research of AV program in social studies.

      • KCI등재

        사회과에서의 영상매체 활용 수업모형 개발

        한관종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999 사회과교육 Vol.- No.32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강조되고 있는 최근의 사회과 교수-학습방법에 하나의 중요한 교수 매체로 부각되고 있는 영상 매체 활용 수업 모형의 하나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수업의 교수 이론적 배경과 수업 전략의 탐색을 통해 영상 매체 활용 수업 모형과 실제 사회과 수업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영상 매체 활용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수업 모형은 Gagne의 교수 학습 과정과 Keller의 동기 이론에 바탕을 둔 영상 매체활용 수업 모형에 문제 해결 수업의 교수 이론을 결합한 것으로 수업 문제 설정-수업 과제 분석-구체적 수업 목표 진술-수업 조건-교수 학습 활동 및 전략의 단계로 구성된다. 한편, 영상 매체를 활용한 구체적인 수업 과정은 시청 전 학습(주의 집중-성취 목표 제시)-시청 전 학습(동기 유발)-시청 후 학습(학습 안내 및 활동-정리)의 단계로 구성된다. 이 연구는 사회과 수업 현장에서의 교수 방법의 풍부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사회과에서의 영상 매체 활용 수업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도 의미를 지닌다. 그뿐만 아니라 이 연구의 결과로써 이 수업 모형은 사회과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데도 하나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learning model for the utility of audio-visual instructional media in social studies, which is emerged as main instructional media to emphasize learner-oriented learning in social studies. This was developed as the learning model for the utility of audio-visual instructional media to be applied to social studies comparable to the instructional theory and instructional strategy. This model is based on Gagne's learning theory and Keller's ARCS theory. It is also connected with the theory of problem-solving learning, which was composed of five stages of instructional procedure: ⅰ) selection of learning problems ⅱ) analysis of learning tasks ⅲ) defining concrete performance objectives ⅳ) defining learning conditions ⅴ) determining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process involved in the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of the utility of audio-visual instructional media consists of the learning hierarchy as listed below: ⅰ) pre-watching & listening learning(gaining attention, informing the learner of the objective) ⅱ) watching & listening learning(motivation) ⅲ) post-watching & listening learning (providing learning guidance and activity, finish) This study is contributed to enhancement of instructional method, and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is an attempt to develop the learning model. for the utility of audio-visual instructional media for the social studies. In addition, as a results of this study, the learning model for the utility of audio-visual instructional media in social studies also provides a framework to be able to improv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in social studies.

      • KCI등재

        사회과학 방법론으로서의 연결망 분석기법 적용의 의의와 연구과제 -의미의 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중심으로-

        한관종 ( Han Kwanjong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3 사회과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유망한 방법론으로 대두하고 있는 연결망 분석 기법을 방법론의 시각을 중심으로 소개하되 사회문화 분야 연구에의 접목 가능성이 특히 높은 의미의 연결망 분석의 적용 의의와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결망 분석은 철학적으로 볼 때 실체론이나 환원론과 대비되는 관계론에 입각한 방법론으로, 속성변수가 아닌 관계적 자료를 그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특히, 의미의 연결망 분석은 관계의 ‘형태’에 주목하는 기존의 연결망 분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관계의 형태 속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내용’까지도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구조를 찾는 유력한 방법론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이런 의미의 연결망 분석은 특히 텍스트 분석의 한 방법으로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회문화 교과 연구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유용성을 갖는다. 첫째, 기존의 내용 분석에서 주로 행해졌던 개념 자체의 독립성에 근거한 분석을 넘어서 개념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기존의 내용 분석이 갖는 주관적 해석의 한계를 극복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다양한 연결망 지표 분석은 물론 집락 분석, 판별 분석과 같은 다른 통계적 분석 방법과 결합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앞으로 사회문화 연구 방법론으로서 의미의 연결망 분석이 가진 장점을 십분 활용하여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의미의 연결망 분석뿐만 아니라 연결망 분석 자체를 가지고 사회문화 교과와 연관되는 주제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성이 있으며, 나아가 연결망 분석 자체로 분석을 끝내기 보다는 다른 통계적 방법들과 같이 사용함으로써 보다 분석의 폭을 넓힐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의미의 연결망 분석 그 자체는 어떤 새로운 ‘숨은 구조’의 발견에 불과하고, 그 발견에서 시작하여 의미를 해석하는 것은 연구자 본인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인식하여 연결망 분석 결과를 이론 틀에 맞춰 해석하려는 적극적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In this article, network analysis is introduced by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 Theoretically it is under theory of relation and methodologically it deals with relational data. Especially, 'semantic network analysis' which deals with not only forms of relation but also contents of relation is deeply discussed with examples because it's more useful for socio-cultural text studies: 1) traditional content analysis can analyze only substantial and independent words, but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deal relations of words, 2)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overcome researcher's valuing problem because its data is gathered through mechanically, 3) semantic network analysis can analyze with other statistical method such as cluster analysis or discriminant analysis. For further studies and development, 1) area of research had better be enlarged, 2) usual network analysis is also a good methodology to study socio-cultural themes such as juvenile problem, 3) other statistical method can be used together, 4) semantic network needs more theoretical discussion.

      • KCI등재

        한반도 주변 주요국 교과서의 한국 관련 지명 왜곡과 오류 실태

        손용택,한관종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6 사회과교육 Vol.45 No.4

        The fallacy and distortion with regard to a geographical name involved in Korea of textbooks in major countri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ohn Yong-Taek(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n Kwan-Jong(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o make clear the falsity and the complementaries through the systematic analysis on the basic materials which contain the contents related to Korea, this research is meant to contribute to conveying remarkable cultural images of Korea.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unveil the realities about the fallacy of some geographical names, shown in the geographical textbooks of the four strong nations(Japan, China, Russia, U.S.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ir keynotes describing modern korean society are referred to as rather positive. However, it is partly shown that in the case of the materials in foreign authorized textbooks they fall short of credibility, don't reflect the recent trend on account of quoting out-dated statistics or are quoted even from unclear source. To correct these errors, the steps should be not just taken that more reliable statistics, involving photographs, maps, are distributed for other countries to perceive the current realities about Korea, but the task should be done that experts who are concerned with the process of official approval at an authorized textbook can be invit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Korea. In conclusion, the most fundamental solution to an textbook problem should be that a scholar of Koreanology or expert who comprehends Korea clearly are brought up or trained steadily.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외국의 교과서, 교과서 집필시 참고가 되는 각종 기초 자료와 백과사전 등의 체계적 분석을 통해 그 내용의 실과 허, 그리고 보완점을 밝혀냄으로써 우리나라의 국가적 이미지의 홍보와 좋은 문화적 이미지를 전달하려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글은 우리나라 주변 네 강국들의 지리 교과서에 보이는 지명 오류를 중심으로 그 표기 실태가 어떠한지를 살피고자 하였다.분석 결과 1960년대 이후의 현대 한국 사회에 대한 기술에서는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긍정적 기조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교과서에 기재된 자료의 경우는 동해의 일본해 표기 문제 이외에도 한국을 알려주는 자료가 대표성이 떨어지거나 오래전 통계자료의 인용으로 최근의 경향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나, 출처가 분명치 않은 자료나 잘못된 수치를 인용하는 경우도 나타났다.이러한 오류들을 시정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한국의 현재 상황을 바르게 알릴 수 있는 통계자료, 사진, 지도 등의 제작, 배포가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교과과정 작업에 직접 참여하거나 교과서를 집필하는 저자, 그리고 검인정 과정에 관여하는 전문가 그룹을 선별 초청하여 한국에 대한 이들의 이해를 향상시켜 놓는 작업이 중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