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효사상(孝思想)과 효문화(孝文化) : 조선시대(朝鮮時代) 『소학(小學)』의 효사상(孝思想)

        한관일 ( Kwan Il Ha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0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15 No.-

        이 논문은 조선의 사대부 지배계층이 성리학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소학』의 효 사상이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구명해 보려고 했다. 『소학』에서 제시한 교육이념은 성현과 군자에 있으며, 교육목적은 수기에 두고 있다. 『소학』에서 수기의 덕목으로는 친, 의, 별, 서 그리고 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소학』에서의 교육목적은 인간을 명분에 따라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런 명분론은 조선 사회의 가족관계와 인관관계의 규범이었다. 『소학』에서는 이런 인관관계를 부자간의 효로 질서화 했으며 군신, 부부, 장유 그리고 붕우간의 질서를 효의 연장으로 인식하였다. 효란 부모에 대한 정신적 순종과 물질적 봉양으로 구성된다. 효를 생활규범으로 삼은 결과 가족 간의 가부장적 질서가 유지 될 수 있었다. 이런 가부장적 질서의 근간은 군주와 신하, 양반과 상민, 상전과 노비, 지주와 전호 간의 불평한 인간관계를 질서화 하였고, 봉전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근간이 되었다. 그러나 효의 본질은 자기희생에 있으며, 개인인격의 완성이며, 공동 운명체라는 것을 자각하는 사랑의 발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회적으로는 『소학』의 오륜에 내재한 효 사상이 혼탁한 현대사회의 사회질서를 바로 세우는데 근간이 되는 사상적 가치가 있다. 개인적으로는『소학』의 오륜에 내재된 효 사상이 소외와 같은 현상으로 인하여 인간성이 상실되어가는 사회를 치유할 수 있는 도덕교육의 근간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look into the matters of how Cho-Sun society`s ruling Sa-Dae-Bu could accommodate Seong-Ri-Hak through 『So-hak』, how much influence 『So-Hak』exerted Cho-Sun society and how much meaningful it is now. Taking these points consideration let`s inquire into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So-hak』 could have been educated, I`d also like to analyze the way its train had been made, what contents 『So-hak』 have, and take a close look at what teach of the pedagogic theory 『So-hak』presents. With these analyses making, I am going to find out what impacts 『So-hak』education brought on Cho-Sun society and what significance it has on the education historically. 『So-hak』 was a rudimentary book, it has so essentials that we can hardly understand the politics and society, education, ethic and moral in Cho-Sun society. In this sense, it can be called a textbook with which Yi-dynasty or ruling class taught their subjects and the populace. In this thesis, in the Cho-Sun society solved their down-to-earth problem though Sam-Gang-O-Ryun, and one of 『So-hak』`s self-cultivation action programs are as follows: Chin(association); Yi(justice): Byul(distinction); Seo(order); Sin(reliability). In 『So-hak』, however, the philosophical piety thought was not just a contributes to order -that is- the filial duty, between father and son, also was. Therefore, Such relationship as between king and his servants, the husband and wife. The older and younger, friends, was prolonged to the concept of the filial obligation. Gong-Kyung is the attitude of obedience and material decation. In parallel, socially prolonged Gong-kyung directly built up the chains of other relations such as between the order and younger, the higher and the lower, like wise the filial duty as being living-code could be the direct lever that contributes to social order, which is rather precarious as one see in the unequal relationship like; between the nobility and the lower; master and servant; landlord and laborer. In other word, Social order was realized not by legal enforcements and controls but by the influences of dutiful responsibility.

      • 청소년(靑少年)과 민족정신(民族精神) : 한국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계획과 효교육

        한관일 ( Kwan Il Ha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1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18 No.-

        한국은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조선 말기까지 정치와 교육은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한말에는 일본의 식민통치하에 교육은 민족을 말살하는 교육정책 이였다. 한국 상고시대 한웅천황이 B. C. 3898년에 한국(桓國)을 건국하여 홍익인간의 근간인 효 사상을 정치와 교육이념으로 삼았다. 한국(桓國)은 세계 최초로 사슴 발자국에서 암시를 받아서 만든 녹도문자를 창제 하였다. 이 독창적이고 홍익인간의 정신과 녹도문자가 이어져 뿌리 문화가 되었다. 우리의 선조의 독창적인 전통문화의 근간이 삼국통일 이후 중국문화가 수입되면서 서서히 쇠퇴된 오늘의 한국교육은 정권만 바뀌면 흔들이고 많은 문제가 제기 되고 있다. 한국의 현재 학교교육은 보수와 진보간의 시각 차이로 학교붕괴라는 위기에 직면하여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개혁의 처방과 그 정답은 무엇 일까? 이에 대한 해답도 여러 가지로 답변을 할 수 있겠지만 결론은 우리 고유의 홍익인간과 효 교육사상 이다. 한국 고유의 정신문화인 홍익인간의 정신에 내재한 효 사상을 민족교육의 주체로 삼아서 정착시키고 실행해야 한다. 우리 고유의 효는 자식이 부모와 조상에게 애(愛)와 경(敬)을 다하여 섬기는 것이다. 이는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부모와 자식 사이에 이루어지는 관계 중에서 하늘이 가장 중요하게 맺어주신 것이기 때문에 천륜이라고도 한다. 이런 점에서 효의 본질은 자기희생에 있으며, 공동 운명체라는 것을 지각하는 사랑의 발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고유의 효행교육은 가정, 사회 그리고 국가의 기틀을 확립하는 윤리와 도덕의 근간이라고 본다. 그래서 조선조 제왕들은 『소학』과 『삼강행실도』를 학교의 필수교재로 하여 사대부, 서민 그리고 여자들에게 가르치고 효를 윤리와 도덕의 기본 가령으로 삼았다. 그러나 한말에 와서 외래사상과 종교의 영향으로 전통사상과 문화가 시련을 겪게 되었다. 일제의 침략과 남북의 분단은 한국 고유의 한사상과 효 교육문화를 계승하지 못하는 현실에 낳게 되었다. 한국교육이 일보 진보하고 거듭나려면 서양의 철학과 문화 바탕을 둔 윤리와 도덕을 가르치지 말고, 한국 고유문화에 뿌리가 되는 효사상과 효 문화를 기저로 한 윤리와 도덕을 가르쳐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육개혁은 우리 선조들이 창조한 뿌리문화인 효 사상과 효 교육을 가정과 학교교육에서 회복시켜서 정착시키는 것이 선진 미래의 한국을 세계적인 국가로 발전시키는 교육개혁이라고 본다. 현재 교육의 틀 속에서 효행교육을 부활하여 가르쳐 미래의 우리 주역인 청소년들에게 물려주는 것이 세계 속의 한국을 우뚝 세우는 길이라고 본다. This thesis is composed five parts as follow: Ⅰ. Preface, Ⅱ. The root of korean education, Ⅲ. The little history filial piety education of inherent in korea. Ⅳ. Why, How come well the inherent of the filial piety culture in home and school education Ⅴ. Why, How succeed to inherent of filial piety teaching and culture. The result of this thesis are as follow; (1) The root of Korean education succeed to create political entity of the human civilization in early ancient period. Since the beginning, One of major elements of the instructions was the maintaining filial piety to obeying the parents. (2) The Korea lose one`s traditional education of inherent the filial piety education culture. The Koreans have inherent traditional thought through oral tradition from Emperor Hanin. The deverlopment of Han thought and korea`s traditional culture of filial piety education was introduced to Chin and transformed to Korea. (3) The home and school education in Korea succeed to Hongikingan and inherent filial piety thought. However, the intrusion of foreign culture causes the confusion of the identity of Korean thought and culture. this is reason that the ancient history of Korean need to be study with national policy to reestablished Korean ancient history manipulated by Japan while recovering the Korean thought and filial piety teaching culture. The matter of educational reform reestablished the inherent Hongikingan thought and filial piety teaching culture for prepare for the crisis in Korean.

      • 소학(小學)의 오륜사상과 효(孝)교육

        韓寬一 ( Han Kwan-il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021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8 No.-

        조선 초기 성리학의 기본서인 「소학」은 조선의 사대부(士大夫) 계층에서부터 서민(庶民)에 이르기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친 윤리 교과서이다. 조선 초기의 인간관계의 윤리는 성리학의 명분론을 토대로 질서로 한 것이 아니라, 부자간의 효와 군신, 부부, 장유 그리고 붕우 간의 질서를 종합적으로 인식한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부모를 공경하고 섬기는 효(孝)를 생활화하여 가족의 가부장적인 질서, 군주와 신하, 양반과 상민, 상전과 노비 그리고 지주와 전호 간의 불평등한 관계를 정당화하는 측면도 있었다. 이론 점에서 급변하는 사회에서 오륜 사상을 모두 수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오륜 사상에 기본인 부자간의 효 사상은 시대가 변하더라도 부자자애(父子慈愛)의 이념은 인간성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믿음과 친(親), 의(義), 별(別), 서(序) 그리고 신(信)의 덕목을 통해서 인간의 선한 성품을 기르려고 했던 효 윤리는 오늘날 무질서한 가족윤리와 사회윤리로 재음미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오늘날 황금만능주의 사상과 도덕적 무질서로 인하여 가족 간의 질서와 사회적 질서가 무너지고 황폐화하는 인간관계를 치유하는 길은 선조들이 무려 준 친, 의, 별, 서 그리고 신의 윤리 덕목에 내재한 효행 덕목을 재해석하여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학교 교육 현장에 근간으로 삼아야 한다. The ‘So-Hak’ was a rudimentary book. It has so essentials that we can hardly understand the politics and society, education, ethic and moral in Cho-Sun society. In this sense, it can be called a textbook with which Yi-dyansty or ruling class taught their subjects and populace.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look into the matters of how Yi-dynasty’s ruling Sa-Do-Bu(the gentry) could accommodate Seong-Ri-Hak through So-hak, how much influences ‘So-hak’ exerted Yi-dynasty soceity, and how much meaningful it is now. In ‘So-gak’, what view of life and education it represents? First, the ideal man in ‘So-hak’ is to become a Gun-Ja(a man of noble character) or Sa(learned man). Su-Gi-Chi-In(修己治人) is a educational ideology for the formation of such a character. ‘So-hak’ education aims is a Su-Gi(self-cultivation),which includes four elements - Yib-Kyoe(立敎), Mying-Ryun(明倫), scriptures and biography of a man great; Kyung-Sin(敬身), behaviors. Above all, ‘So-hak’s of ultimate goal is to be a Seong-hyun or Gun-Ja; hence ‘So-hak’ is a book for self- cultivation. The ‘So-hak’’s course of curriculum also varys with the age; therefore all morl formalities - Syae-So(灑掃), eung-Dea(應對), 진퇴(進退) and moral obligation; Ae-Chin(愛親), Kyung-Jang(敬長), Chin-Woo(親友) and Gu-Yong (九容), Gu-Durk(九德), Yeuk-Hang(六行), Yeuk-Ye(六藝) - should be read and tought for the acquisition of In- Ryun(humanitarian morality). ‘So-hak’’s educational principle lay in ‘Su-Gi and Duk-Mok presented in ’So-hak’ was a key to question of how to solve social problems through ethics and moral rather than through law enforcement. In this connection, emphasis on ‘So-hak’ was put to character built-up education prior to knowledge-accumlative one. From these points of view, I expect the more profound study of ‘So-hak’’s programs to be made to reanalyze to Duk-Mok as more pertinent and relavant ones, and to execute those Duk-Mors.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 : 사학(史學) ; 송기식의 『유교유신론』에 관한 연구

        한관일 ( Kwan Il Ha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송기식(宋基植, 1878~1949)은 민족적 위기의식이 고조되는 19세기 후반에 태어나서 일제 강점기 하에서 주로 활동한 신유학자, 교육자 그리고 독립운동가 이다. 그는 독립운동가로 구국의 선봉에 섰으며, 국권 회복의 길이 인재양성에 있음을 급선무임을 깨닫고 평생 육영사업과 교육자로서 진력하였다. 그가 1921년 44세에 저술한 『유교유신론』은 전통적 성리학의 퇴폐를 개혁하여 새로운 유교개혁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송기식이 『유교유신론』에서 주장하는 교육이념은 성인(聖人)이다. 성인이 되기 위한 교육목적은 유교진리의 바뀌지 않는 불역(不易)인 도체(道體)와 바뀌는 변역(變易)인 시중(時中)으로 간주하였다. 그는 교육목적인 도체시중을 실현하기 위해 여러 경전에서 도체에 17항목 시중에 9개 항목을 발췌하여 교육의 목표로 삼았다. 교육목표의 내용을 보면 성인(聖人)은 위로는 상제(上帝)의 진의(眞意)를 대표하시고 아래로는 인류에게 지극히 옳고 밝은 도리를 가르치시니 그 불변의 도체를 체득하시어 변역의 시중을 활용하신다. 그는 도체(道體) 시중(時中)의 핵이 되는 성을 실행하는 방법을 경(敬)이라 했다. 그는 성(性)과 경(敬)을 실행하는 문제를 종교성과 철학성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는 유교의 본래 모습은 종교성과 철학성의 온전한 결합이라고 간주 했으며 오늘날 유교가 왜곡되고 퇴폐한 이유는 후세에 유교가 철학성에 치우치게 되었다고 지적하였다. 송기식은 유교의 본래 모습을 유교의 종교성에서 찾고 있다. 그래서 송기식은 전국의 유림회를 교회로 재조직하여 유교개혁사상을 가르치고자 하였다. 송기식의 유교개혁사상은 근대 한국 유학사상과 근대 사회와 학교의 도덕교육에 기여한 바가 많으며 현대 학교교육에도 필요한 한국사상의 본원을 불어넣는 교육이 된다고 본다. The purpouse of this is to examine the aspect influence on confucian reform and education theory by Song Ki-Shik. This study is based mainly the documentary materials include Song Ki-Shik complate collection and theory of confucian revitalization. Song Ki-Shik is born in the traditional confucian home by Andong area. Song Ki-Shik`s 『Confucian Revitalization Theory』 based on Chu-Hsi`s Neo-confucianism distinguishes itself on not rejecting but revitalizing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Song Ki-Shik`s 『Confucian Revitalization Theory』 established a realistic stance in confucian reform thoughts, since by preserving the orthodox confucian as the basis of confusion reform. In particular, Song Ki-Shik`s practice method are reorganizing the local confucian groups in religious bodies and keeping the orthodox confucian theory of self-cultivation(敬) at the core of confucian faith. In conclusion Song Ki-Shik`s confucian revitalization movements resulted in failure because this theory was unsuitale to the spirit of the times. But I think this theory are offering a good answer to the questions of moral education which have to be rediscussed, today.

      • 제3부 한국인의 효문화 : 한국 개화기 성리학자들의 효교육 연구

        한관일 ( Kwan Il Han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3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1 No.-

        한국 개화기는 내적으로는 근대화를 모색하는 시기인 동시에 외적으로는 서구 열강들의 식민지 개척에 도전을 받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서양의 선진 문물과 문화를 수요하기 위해 문호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국력이 미약하여 외세 침략을 당하는 암울한 시기이도 하다. 이 시기 민족 지도자들은 외세의 침략을 막기 위하여 독립군을 모집하여 적과 맞서 싸웠으며 장기적으로는 민족 근대학교를 설립하여 청소년들에게 독립정신과 애국심을 함양하는 교육을 시켜서 애국자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한국 개화기 성리학자인 박문호, 박재형 그리고 김재형도 독립운동에 앞장을 섰다. 또한 그들은 청소년들에게 효와 애국심을 함양하기 위한 도덕교과서를 저술하여 개량서당, 서원, 향교, 그리고 민족 지도자들이 세운 근대 민족학교의 교재로 삼았다. 이들이 저술한 『여소학』, 『해동소학』, 그리고 『대동소학』은 우리 선조들이 남긴 문집에서 효와 애국심을 함양하는데 정수가 되는 어록을 발취하여 편찬하였다. 이 저서들의 덕목들을 선현들의 국수가 되는 어록이므로 현대사회에 적합한 내용으로 재해석하여 가르치고 생활화하여 도덕교육의 근간으로 삼아 한국인의 긍지를 청소년들에게 심어 주는 계기를 마련해야 하겠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focussed on filial piety education of Sung-Ri scholars for the age enlightenment in Korea. The study is based mainly the documentary materials include confucian of complete collection. This thesis is composed five parts follow; 1. Preface, 2, The filial piety of 『woman`s So-hak』, 3. The filial piety of 『Hae Dong So-hak』, 4. The filial piety of 『Dae Dong SO-hak』, 5. Conclusion. In conclusion, Bak, mun-ho`s 『woman`s So-hak』, Bak, jae-hyung`s『Hae Dong So-hak』, Kim, jae-hyung 『Dae Dong So-hak』 wrote for the education theory of the national essence preservation to realized for restor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I expect the more profound study confucian`s 『So-hak』 programs to be made to reanalyze the Duk-Mok as more pertinent and relevant ones, and to execute those Duk-Mok.

      • 朝鮮前期 『小學』의 敎育史的 意義

        韓寬一 청주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3 교육과학연구 Vol.7 No.1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look into the matters of how Yi-dynasty's ruling Sa-Dae-Bu(the gentry) could accomadate the neo-confucianism through 'So-hak', how much influences 'So-hak' exerted Yi-dynasty society, and how much meaningful it is now. Taking these points into consideration, let's inquire in to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So-hak could have been educate. 1'd also like to analyze the way its frame had been made, what contents So-hak have, and take a close look at what features of the pedagogic theory So-hak presents. With these analyses making as the ground work, I am going to find out what impacts So-hak education brought on Cho-Sun society, and what significiance it has on the education on historically. 'Se-hak' was a rudimentary book. It has so essentials that we an hardly understand the politics and society , education, and ethic and moral in Cho-sun society. In this sense, it can called a textbook with which dynasty or rulingclass taught their subjects and the populace. Then , what functions So-hak played and what signiticance if bears pedagogically now. First, So-hak was adopted as the foundation of politics and education ; and was determined to be major principle of social edification. In addition, it was set down as a pivotal role in cultivating men of talent and in maintains social morals and customs-it was not only a book for self-cultivation but also was a means for rooting Seong-Ri-Hak in Cho-Sun society, thus gave an impetus to social development. Second, So-hak educational principle lay in Su-ki and Duk-mok presented in So-hak was a key to question of how to solve social problems through ethics and morals rather than through law enforcement. In this connection, emphasis on So-hak was put to character built-up education prior to knowledge-accumolative one. Form these points of view,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o-hak stands from due reflection on reality, and the strife for future improvement. In this society we live, the concept of omnipotent materilism prevails as never before. As a retsult, the school education reflecting this phenomenon has a tendency to stress too much on superficial knowledge, grades, and competition. To take the So-hak's moral programs are worth trying to be interpretated. I expect the more profound study of so-hak's programs to be made to realyze the Duk-moks as more pertinent and relavant ones, and to execute those Duk-m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