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가족 친족관계의 양계화 경향: 세대관계를 중심으로

        한경혜(Gyounghae Han),윤성은(Sung-eun Yoon) 한국인구학회 2004 한국인구학 Vol.27 No.2

        본 연구는 친족관계의 전반적 현황과 양계화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친족관계 영역에서 변화하는 한국가족의 현주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의 성인남녀 1755명을 대상으로, 본인 및 배우자 부모와의 동거여부, 거주근접성, 접촉빈도를 비교함으로써 세대관계의 구조적 차원에서 양계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양계화 정도의 구체적 내용 파악을 위하여 가족의 협력 네트워크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즉 경제적, 도구적, 정서적 지원 영역에서 도움을 주고받는 대상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가족의 지원망 구성 및 활용에 있어 친족이 차지하는 비중 및 양계성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가족의 세대관계의 구조적 특성은 양계화된 모습과 부계적인 모습이 혼재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의 협력네트워크 활용의 측면에서, 한국가족은 부계친족 및 모계친족과의 상호작용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대칭적 양계화라기보다는 비대칭적 성격의 양계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부계중심적으로 규범화된 친족유대의 경향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동시에 실제적 필요에 의한 아내의 친족망 활용정도가 높아진데서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사회의 빠른 변화에도 불구하고 가족영역에서의 변화가 상당히 느리게 진행되고 있음을 반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e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of Korean families.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status between the elderly parent and the adult children(i.e.,parent vs parent-in-law) on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Inter-generational exchange in Korea has been based on strong patriarchal normative expectation until very recently. However, with recent societal changes in Korea, it is argued that the nature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and normative expectations have been changing to a direction towards bilateral one. However, there is little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issue. This study is a modest step to fill that gap in the area of aging and family studies in Korea. Data were gathered from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of 1755 adult children who were married and had at least one surviving parent and also at-least one surviving parent-in-law.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the SPSS WIN program. Residence arrangement, geographical proximity and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respondents and their elderly parents and parents-in-law, and social support network of famili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by the relationship status. Results show that the bilateral and patrilineal patterns coexisted in inter-generational pattern in Korean families, depending on the area of exchange. Research and policy implication of these results are presented.

      • KCI등재

        대중매체에서의 신노년 담론 분석

        한경혜(Gyounghae Han),윤성은(Sung-eun Yoon)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스테레오타입을 전달하는 기존 노년 담론의 대안으로써 제시되고 있는, 신노년 담론이 대중매체를 통해 어떻게 구성되고 유포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표적인 대중매체의 하나인 신문매체의 기사들을 분석하여, 새롭게 부각되는 노년층의 문화가 어떠한 테마를 중심으로 소개되고 있으며, 이러한 테마들이 모여서 구성하는 신노년 담론의 특징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신문매체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이며, 1997년부터 2006년까지 최근 10년 동안 발행된 신문 중에서, '노인' 또는 '노년'을 주제로 한 신문기사 1725건을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신문매체들은 신노년층 노인들의 모습을 건강과 젊음을 유지하고, 자원봉사나 유급노동, 학습 등으로 끊임없이 활동하면서 자립성을 유지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모습으로 그리고 있으며, 신노인과 구노인의 대립항적인 담론구성 방식을 통해 신노년층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령화시대에 바람직한 삶의 모습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신노년 담론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들과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recent discourse on aging appeared in Korean newspapers. For this purpose, 1,725 articles on 'aging' or 'elderly' appeared on three major Korean newspapers during 1997- 2006 are analyzed. It is shown that there is a recent surge of articles portraying the positive images of aging in Korean newspaper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oductive, successful aging and active life style of the elderly. This trend is a welcomed change from the negative images of elderly as dependent burden of society. However, it seems that over emphasis on positive aging and 'New Elderly' might have created another stereotype about the elderly and unintentionally marginalize the certain group of the elderly. By focusing on individual responsibility, it also overlooked the constraints imposed by social structure on disadvantaged elderly group, such as women, elderly in low socio-economic strata.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trends are discussed.

      • KCI등재

        도시노인의 사회적 교류, 신체활동과 일상적 행복감의 관련성 개인특성의 맥락효과를 고려하여

        한경혜(Han, Gyounghae),최희진(Choi, Heeji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이 매일 느끼는 일상적 행복감(daily happiness)이 일주일 동안 변동하는지, 매일의 사회적 교류와 신체활동이 개인 내 일상적 행복감의 변동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탐색한다. 다음으로, 노인의 성별, 연령, 학력, 건강에 따라 사회적 교류 및 신체활동과 일상적 행복감 사이의 관련성이 달라지는지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일상적 행복감의 수준과 변동이 전반적 행복감(global happiness) 수준과 어떻게 관계되는지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일주일 동안 수집한 생활일지(daily diary) 자료(n=175명x7일 =1225응답)와 동일 기간 동안 활동량계로 수집한 신체활동 자료(n=16명x7일=112응답)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위계적 선형모형(HLM)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의 일상적 행복감 수준은 일주일 동안 변동하고 노인의 젠더와 건강에 따라 일상적 행복감의 수준과 변동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자녀와 대화한 날과 친구와 만난 날 노인의 일상적 행복감이 더 높아졌고, 형제자매와의 만남은 일상적 행복감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건강상태와의 상호작용항을 투입 결과, 건강하지 않은 노인은 건강한 노인에 비해 형제자매와 만난 날 일상적 행복감이 더 큰 폭으로 높아지는 것이 발견되었다. 셋째, 많이 걸은 날은 일상적 행복감 수준이 높았으며, 저강도 활동시간이 긴 날은 일상적 행복감의 수준이 낮아졌다. 넷째, 일상적 행복감 수준과 전반적 행복감 수준 사이에는 긍정적 관계가 관찰되었으나, 일상적 행복감의 변동 정도는 전반적 행복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sought to capture day-to-day fluctuation of the daily happiness among Korean urban older adults and to examine whether the within person fluctuation of daily happiness is explained by the social and physical activities the older adults experience each day. We also examined whether the within person association between daily social, physical activities and the daily happiness varie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i.e.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and health). In addition, we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and fluctuation of daily happiness and the level of global happiness. The data was collected by multi-method approach, which includes general survey, daily diary method and collection of physical activity data through the activity monitors. In total, 175 urban older adults participated for seven days of daily diary survey. The data about the number of steps and the time spent on sedentary activities, light intensity physical activities and moderate to vigorous intensity physical activities were also collected during the same period from 16 sub-samples using activity monitors.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below. First, the level of happiness of older adults fluctuated during a week, and the patterns of fluctuation varied by the gender and the health. Second, socializing with their children and friends elevated their levels of happiness. Also the impact of contacts with siblings on the level of daily happiness was greater for the unhealthy group compare to the healthy group. Third, older adults were happier on the days when they walked more, but the level of daily happiness decreased on the days when they spent longer time for low intensity physical activities. Lastly, the higher level of daily happiness were related to the higher level of global happiness, but the degree of fluctuation of daily happiness was not related to the level of global happines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라이프코스 관점에서 본 은퇴경험의 남녀차이

        한경혜(Han Gyounghae) 한국사회학회 2008 韓國社會學 Vol.42 No.3

        본 연구는 기존의 은퇴연구의 이론적 시각이 스트레스 이론에 편향되어 왔으며, 젠더가 가지는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라이프코스 관점에서 한국남녀의 은퇴과정 및 은퇴 후 경험에 있어서의 남녀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생애사건의 맥락과 시간성을 강조하는 라이프코스 관점은 은퇴과정의 복합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지적된다. 그러나 라이프코스 관점을 적용한 국내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어렵다. 직업세계가 남녀에게 상이한 조건과 경험을 구성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직업역할로부터의 퇴장도 성별화된 과정일 것임에도 불구하고, 은퇴경험에 있어서 남녀차이를 탐색한 실증연구가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은퇴연구가 가지는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라이프코스 관점에 기초한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은퇴 후 경험하는 생활변화를 예측하는 요인들은 무엇이고 이들 요인들은 젠더와 상호작용하는가를 탐색하려 하였다. 은퇴 후 경험하는 생활상의 변화를 종속변수로 하고, 젠더, 은퇴 전 직업특성, 은퇴의 시간적 특성, 은퇴시기와 가족주기와의 관련성 특성, 그리고 현재의 자원을 독립변수로 하는 모델을 구성하였다.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만 50세 이상의 남녀 은퇴자 503명(남성 397명, 여성106명)으로부터 은퇴과정 및 은퇴후 생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결과, 젠더에 따라 은퇴경험이 매우 차이가 나며, 전체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에게 어려운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 은퇴자 집단 중에서도 어떠한 직업생활로부터의 은퇴인지에 따라 은퇴경험이 상이하여, 이들 집단 내 다양한 층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라이프코스 관점을 동해 은퇴자의 개인적 특성에서부터 직업생활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환경, 젠더이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층위의 맥락을 고려하여, 은퇴과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Guided by life course perspective, this study aims 1)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before-retirement job characteristics, temporal characteristics of retirement, current resources and retirement adjustment of retired men and women 2) and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se associations. Logistic models were estimated using data gathered from 503 retirees(male: 397, female: 106) residing in Seoul area. Results indicate that gender differences exist in various aspects of retirement experiences. It seems that adjustment to life after retirement is harder for men than for women in general. However, results also show that some level of heterogeneity exists in retirement experiences for both men and women retirees group, pointing to the needs of further study to examine the within group differences among men and women.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 노년가족학 연구의 최근 10년 연구경향과 향후 과제

        한경혜(Han Gyounghae),차승은(Cha Seung Eun),민주홍(Min Joohong)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3

        This study reviews advances in research made during the last decade in studies of aging families in Korea. Specifically, we provide a critical review of the theoretical directions and empirical findings of 87 research articles focused on aging famili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between 2008 and 2017. Topics and issues covered include: (a) diversity in family structures and households, (b) intergenerational relations, (c) intimate relations, and (d) family problems in later life. We found that while research applying theories and employing advanced methodologies has increased, embracing more diverse theories and ensuring nationally representative panel data from multi-reporters within families will enhance future research in aging and families. The authors conclude that more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re needed in the field of family studies and gerontology in Korea.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2008년 3호~2017년 4호) 한국노년학회지에 실린 가족분야 논문을 분석하여 한국 노년가족학 연구의 주요 경향과 성과 및 제한점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총 87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노년기 가족연구에 활용된 주요 이론 및 방법론에 대한 고찰과 주요주제별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주제별 고찰은 노년기 거주유형과 노인가구, 세대관계, 노년기 부부관계, 그리고 노년기 가족문제의 4개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종합하면, 지난 10년간 노년학의 가족분야 연구는 이론과 방법론 적용에서 진보를 이루어 왔으나, 향후 보다 다양한 이론의 적용이나 다수의 가족원으로부터 수집된 대규모 종단자료의 확보와 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급격한 인구고령화와 광범위한 가족변화를 겪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노인과 가족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실천적 가족노년학 연구가 확장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도시지역 연소노인들의 사회참여와 동기 요인간의 관련성

        한경혜(Gyounghae Han),김주현(Joohyun Kim),박경숙(Keongsuk Park),Hiroko Akiyama, 이재인(Jaein Lee)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4

        이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0ㆍ60대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사회참여와 관련된 다양한 동기 측면들을 살펴보고, 동기 요인과 사회참여 정도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광주, 청주, 전주의 4개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0ㆍ60대 남녀 1,713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회참여 정도는 11가지의 조직화된 활동에 대한 참여 여부를 통해 파악하였고, 사회참여와 관련된 동기는 자기지향 동기와 관계지향 동기, 그리고 사회지향 동기의 세 가지 동기 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동기수준을 살펴본 결과, 세 가지 동기 요인 중 자기지향 동기와 관계지향 동기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50ㆍ60대의 연소노인들이 자신의 삶을 향상시키고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자 하는 바램이 큼을 시사한다. 둘째, 동기 요인과 사회참여 정도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관계지향 동기와 사회지향 동기가 높을수록 사회참여의 정도가 높았지만, 자기지향 동기는 사회참여 정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사회참여의 정도나 유형, 그리고 동기 수준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상이한 양상을 보였지만, 동기 요인과 사회참여 정도간의 관련성에서는 젠더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50ㆍ60대의 연소노인들이 타인과 활발하게 상호작용하고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동기에서 사회참여활동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노년기 사회참여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사회참여 활동들을 통해 즐거움을 얻고 스스로의 삶의 향상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related to social participation of Korean young-old adults residing in urban area with a focus on the effects of various motiv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motivations of social participation. Self-oriented motivation, network-oriented motivation, and society-oriented motivation were considered as motivations of social participation. The study subjects were 836 men and 877 women aged 50-69.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n 2009.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s and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using the SAS program.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etwork-oriented motivation and society-oriented motivation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2) Although men and women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 patterns of social participation, gender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motivations. These findings imply that network-oriented motivation and society-oriented motivation are important for facilitating the social participation of Korean young elderly. Further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도시지역 50, 60대 예비노인의 문화자본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경혜(Gyounghae Han),김주현(Joohyun Kim),박경련(Kyung Ryun Park)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1

        이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예비노인을 대상으로 문화자본 관련 요인을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상속문화자본과 교육수준, 그리고 사회관계망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4개 도시 지역(서울, 광주, 청주, 전주)에 거주하는 50ㆍ60대 남녀 1,71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문화자본은 문화ㆍ예술활동에 대한 친숙도, 활동, 정보, 관심의 네 영역을 통해 측정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문화자본 수준은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화자본 수준에서 항목 간 차이를 보여, 문화ㆍ예술활동에 대한 '관심'이 '정보'나 '활동', '친숙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이 성장기에 부모로부터 획득한 상속문화자본 수준과 비교해볼 때, 현재의 문화자본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자본의 관련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상속문화자본과 교육수준, 그리고 사회관계망 모두 현재의 문화자본 수준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고, 성별과 취업상태의 사회인구학적 특성도 문화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기 후반기의 문화자본이 어린 시절 부모로부터 상속된 문화자본과 개인의 인적자본, 그리고 현재의 사회자본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자본과 개인의 상황 특성이라는 생애과정상의 다양한 시간적 축에 걸쳐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결과물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ultural capital and related factors of pre-elderly people residing in urban areas.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 effects of inherited cultural capital from their parents, educational achievement, and social networks on the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Four dimensions of cultural capital were assessed.: familiarity, activity, information, and interest to cultural activ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1713 people, residing in four cities(Seoul, Gwangju, Jeonju, and Chungju), aged from 50 to 69 in 200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Main results were the following: The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of pre-elderly was relatively low in general, yet there exist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pecific dimensions of cultural capital. The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of respon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of inherited cultural capital from parents. Inherited cultural capital,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 size of formal network were all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urrent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acquired cultural capital. These findings imply that cultural capital is a life-long outcome affected by various situations over the life course.

      • KCI등재

        경험표집법을 통해 살펴본 도시노인의 일상생활 경험

        한경혜(Gyounghae Han),손정연(Jeongyeon Son) 한국노년학회 2009 한국노년학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경험표집법을 이용하여 도시노인들의 일상생활 경험을 활동의 공간과 대인맥락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이러한 일상의 맥락들이 노인들의 순간 정서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특히 노인의 일상생활의 구성과 그 과정에서 느끼는 정서적 경험은 노인이 처한 사회구조적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개인의 삶을 구성하는 중요한 맥락 중 하나인 젠더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남성 76명, 여성 72명의 도시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의 외적, 내적 경험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경험표집법을 사용하여 참여자들이 평소에 어디서, 누구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매 순간마다 어떠한 긍정적,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한, 각 개인이 반복적으로 작성한 응답수를 분석의 단위로 하여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증, t 검증, 그리고 분산분석 및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의 일상생활의 활동 공간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공간은 집이고, 일상의 시간을 가장 많이 공유하는 사람은 배우자였다. (2)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부정적 정서경험 수준이 높았다. (3) 활동의 공간 및 대인맥락과 정서경험 수준 간 관련성이 젠더에 따라 상이하였다. 이러한 주요 결과에 기초하여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정서경험의 의미와 이와 관련되는 일상의 맥락에서의 젠더차이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veryday emotional experience of urban elderly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place/location of activity and companionship on the daily emotional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148 urban elderly (men=76, women=72) in Seoul,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ESM). The unit of analysis was the self-report and in total 5,530 self-reports were provid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e data analyse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χ² verification, and ANOV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in Korea spend a quite substantial portion of their time at home, and they spend the largest share of their time in company with their spouse. Second, women report higher intensity of stress and irritation than men in terms of overall emotional experience. Third, the effect of activity location and companionship on emotional experience turned out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Emotional experience of daily lives and overall quality of life are shown to be inter-rela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a significant implication that situational contexts of experience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aily emotional experience of the contemporary Korean elderly.

      • KCI등재

        일ㆍ가족 상호작용에서의 성별 차이

        한경혜(Gyounghae Han),김진희(Jinhee Kim)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3

        이 연구는 일과 가족의 상호성에 대한 체계적 실증연구의 필요성과 기존의 국내연구들이 가지는 제한점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일ㆍ가족 상호성에 있어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일ㆍ가족 영역간의 상호성은 두 영역간의 전이 개념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6개 광역시ㆍ도에 거주하는 30-50대 취업남녀 1,236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일ㆍ가족 영역간의 부정적 전이와 긍정적 전이의 정도에 있어서의 남녀차이를 탐색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일ㆍ가족 영역간의 상호성의 양상에 있어서 남녀간 몇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이 관찰되었다. 첫째, 남녀 모두 가족에서 일로의 긍정적 전이가 일에서 가족으로의 긍정적 전이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전이는 일에서 가족으로 전이되는 정도가 가족에서 일로의 부정적 전이에 비해 높았다. 둘째, 가족에서 일로의 긍정적 전이를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정도로 보고한 반면, 가족에서 일로의 부정적 전이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남녀 모두에게 있어 직업영역은 가족으로부터의 부정적 전이에는 제한적인 반면 긍정적 전이에는 허용적인 경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영역간 경계의 투과성에 있어 가족영역과 직업영역간의 차이도 관찰되었는데, 긍정적 전이에 있어서는 직업영역이 더 허용적인 반면, 부정적 전이에 있어서는 가족영역이 더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 결과가 한국사회에서의 취업여성과 남성의 일ㆍ가족 의무와 규범에 대해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work-family interface using the concept of work and family spillover.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s in the overall level of work to family negative/positive spillover. However, there is an apparent gender difference in the level of family to work spillover. Men report higher level of positive family to work spillover compared to women, but lower level of negative family to work spillover. This suggests that men expect their family to be supportive, and to have good effect on the work life more than women do. Women report high permeability of work boundary receiving the negative spillover from family, reflecting the normative expectation that women should give priority to family responsibility over their work. Both men and women report moderate level of work to family negative/positive spillover, high level of family to work positive spillover, and low level of family to work negative spillover. This indicates that the permeability of family boundaries appears to be moderate in general, yet the work boundaries receive the spillover from family sel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