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혈압 환자의 건강생활실천 및 약물복용이행과 혈압조절과의 관계

        한경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conducted to provide a basic data to the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program for the hypertension management and health promotion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their healthy lifestyle practice,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The research subjects are 317 random samplings from the adult hypertensive patients who are diagnosed as hypertensive at a healthcare institution located in Cheonbuk province and taking antihypertensive drug. The study instruments were collected that health lifestyle practice(Park, 1995), medication adherence(Morisky, Green, & Levine, 1986), as a self-questionnaire and blood pressure taking and data collected from October 7 to October 30, 2008.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WIN 12.0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x²-test, t-test, ANOVA & Sheffe test.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was tested b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KR-20 value. Major study result is as follows. : 1) The level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healthy lifestyle practice is 3.03±.52 (out of full 4) and in the score between the contentment regular eating is the highest with 3.38±.70 while self-regulation is the lowest with 2.56±.74. 2) The level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who perform medication adherence well is 59.6%. 3) The level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blood pressure control are 49.2% for the hypertension controlled group and 50.8% for the hypertension uncontrolled group. 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y lifestyle practice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5)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blood pressure level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and their healthy lifestyle practice and medication adherence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y lifestyle practice level depending on their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employment status, and whether or not there being family members with cardiovascular disease(p<.05).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dication adherence depending on educational level (p<.05), but blood pressure control does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 result of this study about the hypertensive patients’ healthy lifestyle practice,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shows that the patients’ self-regulation of the healthy lifestyle practice level is very low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are not performed well. Therefore the strategy to promote their healthy lifestyle practice shall include an intervention to promote self-regulation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ctive and efficient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is necessary to induce a change in their behavior for a professional health management for the patients who cannot control blood pressure well. 본 연구는 고혈압 환자의 건강생활실천, 약물복용이행과 혈압조절 정도를 파악하여 고혈압환자들의 혈압관리와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북도에 위치한 J시 소재 보건의료기관에서 고혈압 진단을 받고 항고혈압제를 복용하는 성인 고혈압환자 317명을 임의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건강증진생활양식(박인숙, 1995), 약물복용이행(Morisky, Green, & Levine, 1986)으로 이루어진 자기기입식 설문지와 혈압측정을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08년 10월 7일부터 2008년 10월 30일까지였다. 자료 수집은 2008년 10월 7일부터 2008년 10월 30일까지였으며 자가기입식 설문지와 혈압측정을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317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²-test, t-test, ANOVA &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계수와 KR-20 값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혈압 환자의 건강생활 실천정도는 3.03±.52점(4점 만점)이었으며, 건강생활실천 하위영역별 점수는 규칙적 식사 영역(3.38±.70점)이 가장 높았으며, 자아조절 영역(2.56±.74점)이 가장 낮았다. 2) 고혈압 환자의 약물복용이행율은 59.6%였다. 3) 고혈압 환자의 혈압조절 정도는 고혈압 조절군이 49.2%였으며, 고혈압 비조절군이 50.8%로 나타났다. 4) 고혈압 환자의 건강생활실천, 약물복용과 혈압조절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5) 고혈압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생활실천, 약물복용이행, 혈압조절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건강생활 실천정도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정도, 직업유무, 가족 중 심혈관질환자에 따라, 약물복용이행은 교육정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혈압조절은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본 연구에서 고혈압환자의 건강생활실천, 약물복용이행과 혈압조절에 관한 실태를 확인한 결과, 고혈압 환자들은 건강생활실천의 자아조절 정도가 매우 낮았으며, 약물복용이행과 혈압조절이 잘 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혈압환자들의 건강생활실천을 증진시키는 전략에는 자아조절을 증진시키는 중재와 약물복용이행을 증진시키는 중재를 포함하여야 하며, 혈압조절이 잘 안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건강관리를 위해 행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및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리라고 사료된다.

      • 한국산 현삼속(Scrophularia)의 분자계통 및 생태학적 연구

        한경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genus Scrophularia based upon molecular phylogenetic data and morphology. An ecological analysis of Scrophularia takesimensis which is endangered and endemic to Is. Ulleung in Korea was also carried out.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five species and three varieties, belonging to Scrophularia (Scrophulariaceae), in Korea, were re-examined based on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Scrophularia takesimensis, a Korean endemic species, has to be separated from S. grayana as different species due to its unique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non-winged stems, thickened leaves and glabrous surfaces of leaves, even though they share a lot of other features. We surveyed that S. grayana is only distributed in Sokcho, Korea which is along the East Sea from far-eastern Russia. Although some morphologies of four taxa, S. cephalantha, S. koraiensis var. velutina, S. kakudensis var. microphylla, and S. kakudensis are appears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ir ITS DNA sequence data showed they are the same as that of S. kakudensis, suggesting that it might be better to be merged with the later species. The taxonomic position of S. koraiensis, that is endermic to Korea has been ambiguous, but ITS DNA sequence data in this study revealed that this species was distinct from S. kakudensis. Based on above data, we conclude that the genus Scrophularia in Korea consists of only five species. We also analyzed the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and ordination of S. takesimensis population, in Ulleung Island. The S. takesimensis population was phytophysiologically classified into Aster spathulifolius for. Oharai subcommunity, Vitis amurensis subcommunity and S. takesimensis typical subcommunity. The S. takesimensis population was located between the height of 1m and 6m, in Ulleung Island, Korea.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changeable potassium, changeable calcium, changeable magnesium and changeable sodium concentration,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9.1~19.1 %, 0.19~0.52 %, 87.1~196.7 mg/kg, 2.0~2.8 me/100 g, 5.4~5.9 me/100 g, 5.9~8.8 me/100 g, 4.4~4.8 me/100 g, 20.3~26.7 me/100 g, and 6.8~8.0, respectively. The Vitis amurensis subcommunity was mainly located in high soil nitrogen, organic matter and CEC (Cation Exchange Capacity) in comparison with Aster spathulifolius for. Oharai subcommunity.

      • 論語 ‘存在’ 범주 언어형식의 의미자질 및 도출 기제 연구 : 有, 在, 於, 于를 중심으로

        한경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論語' "存在" 범주에 해당하는 ‘有’, ‘在’, ‘於’, ‘于’ 언어형식의 의미자질을 밝히고 그 도출 기제를 究明하는 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論語' ‘存在’ 범주에 해당하는 ‘有’, ‘在’, ‘於’, ‘于’의 예문을 모두 추출하여 이를 목록화하고 완전귀납법의 방식으로 동사, 전치사 등 품사별로 분류, 귀납, 분석하여 이들의 의미구조상의 변별적 차이를 밝혀냈고, '論語' ‘存在’ 범주 언어형식의 도출 기제를 밝혀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본 연구에 적용되는 의미분석 이론과 격문법 이론 그리고 기능주의 이론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存在’ 범주 중의 ‘有’, ‘在’, ‘於’, ‘于’는 기본적으로 ‘존재’와 ‘소유’라는 의미를 공유하고 있다. 그리고 ‘존재’는 논리적으로 ‘존재론적 존재’, ‘사건적 존재’, ‘처소적 존재’, ‘유형론적 존재’ 등 네 가지로 다시 분류할 수 있고, ‘소유’는 ‘양도성 소유’와 ‘비양도성 소유’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2장에서는 '漢語大詞典'과 '全功能漢語常用字字典' 중 ‘有’, ‘在’, ‘於’, ‘于’의 의미항목을 위의 여섯 가지 분류(‘존재론적 존재’, ‘사건적 존재’, ‘처소적 존재’, ‘유형론적 존재’, ‘양도성 소유’와 ‘비양도성 소유’)에 따라 정리하여 이들의 의미적 변별자질을 분석하였다. 또 이런 의미 차이는 그 단어의 ‘形’, ‘音’, ‘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기에 ‘有’, ‘在’, ‘於’, ‘于’를 ‘形’, ‘音’, ‘義’ 순서로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동사 ‘有’, ‘在’, ‘於’의 의미자질 및 의미역 분석을 통하여 이들이 각 구성소와 결합하면서 나타나는 의미자질 및 의미구조 차이 그리고 동사 ‘有’, ‘在’, ‘於’의 통사적 특징과 相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첫째, ‘S+X°’, ‘X°+O’, ‘X°+PrP’ 등의 유형에 따라 ‘有’, ‘在’, ‘於’의 의미자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Adv+X°’, ‘X°+Comp’의 유형과 ‘相’적 특징에 따라 ‘有’, ‘在’, ‘於’의 의미역을 분석하였다. ‘Adv+X°’의 유형 중 ‘m계 부정사’와 ‘p계 부정사’와의 결합여부를 통하여 ‘有’, ‘在’, ‘於’의 ‘시간성’과 ‘시간의 공간화’적 특징을 구명(究明)하였다. 4장에서는 전치사 ‘在’, ‘於’, ‘于’의 의미자질 및 의미역 분석을 통하여 이들 의미구조상의 차이를 찾아냄으로써 전치사 ‘在’, ‘於’, ‘于’의 변별자질을 찾아냈다. 先秦時期 ‘于’는 이미 ‘於’에 의해 代替가 상당히 이루어져 있었고 ‘於’ 역시 이 시기 현대중국어의 ‘在’ 의미 외에 ‘向’, ‘被’, ‘給’, ‘從’, ‘比’, ‘同’, ‘到’ 등 의미도 갖고 있었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즉 상고중국어 시기 복합적인 의미와 기능을 담당하던 전치사 ‘于’는 ‘於’에 의해 代替되었고, ‘於’ 역시 ‘在’, ‘向’, ‘被’, ‘給’, ‘從’, ‘比’, ‘同’, ‘到’ 등 여러 전치사로 세분화되었음을 밝혔다. 5장에서는 4장의 분석을 토대로 전치사 ‘在’, ‘於’, ‘于’의 언어형식 도출 기제를 분석하였다. ‘于’에서 ‘於’로 ‘於’에서 ‘在’로의 변천을 통하여 ‘於+NP’에서 ‘在+NP’로의 통사적 변천의 방향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통사적 변천의 방향은 술어의 뒤에서 술어의 앞으로 前移하였고, 前移의 원인은 ‘술어 뒤 Ø+L의 생성’, ‘PP의 의미’, ‘PP의 代替’, ‘VP의 특징’, ‘유형학적 원칙’ 등에 있었다. 본 연구는 의미론적 관점에서 '論語' ‘存在’ 범주 ‘有’, ‘在’, ‘於’, ‘于’ 언어형식의 의미자질 및 도출 기제를 연구하여 그 변별자질을 찾고 원리를 일반화하였다.

      • 하천부지 미불용지에 대한 손실보상제도 연구

        한경숙 경원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ot for a compensation in arrears is the lot which was incorporated into public utilities conducted previously without being paid compensation, special case excluded form prior compensation. If such lot which was excluded from compensation after it had been incorporated into previous public utilities, and then have been incorporated into a new public works, the compensation is estimated by the standard applied to the use condition at the time it was incorporated into former public works. But, in case the previous use condition is unknowable, the land category and the use condition of neighboring lot at the time it was incorporated into previous public utilities is referred for estimation. But currently, there is no objective standard for the judgment of use condition. As the administration documents of the lots in arrears for compensation were recorded a long time ago (previous public utilities), competent authorities are not capable of finding for proof, and finding them is even more difficult if administrative districts have been changed or separated. It's also difficult to decode the data of aerial measurement, which needs to be decoded by experts. Accordingly, in case the use condition of the lot for a compensation in arrears at the time of its incorporation is unknowable, and the main contractor, the person responsible for its poof, won't be able to prove it, the compensation should be paid in accordance with the land category under article 25(1) in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Land Compensation Law. Meanwhile, there are a great deal of speculator & brokers who technically purchase or auctioning at dirt-cheap price only the lots in arrears for compensation and ask the agencies managing the lots for public works or the main contractors for compensation the price of which they fixed to the use condition of the lots at the time of its incorporation Following are the summarized plans to solve such problems. First, the compensation regulation for riverbed in arrears for compensation should be prepared. As the evaluation system for the lots which hasn't been compensated for its incorporation into public works under the Land Compensation Law being restricted, its selling price isn't formed or reduced at considerable sum against its original purpose which is the payment of resonable compensation for the land owners who actually suffer losses from the restriction of their right of properties , but in reality, there isn't clear regulation for resonable compensation except for the lots unpaid in its compensation, and so the system is used for evil purpose violating its original aim. Besides, there is compensation regulation for ‘roads’ in「Land Compensation Law」, but not for riverbed, and so clear compensation regulation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right to purchase provincial riverbed should be accept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lots unpaid in its compensation. The compensation for national riverbed or provincial 1class riverbed were paid by their owners' demand under 「special law」considering national financial stage, and for the lots incorporated into provincial riverbed were the same with national riverbed in restriction extend, and for roads, they were the subject to compensation at the time of the project enforcement irrespective of their types whether they are national roads, city roads, county roads, as long as they were designated as road areas, and for the lots which was unpaid its compensation have been purchase or paid for rental fee, which means it's unjustified if the right to purchase the lots designated as provincial class 2 riverbed wouldn't be accepted. Third, main contractors are reliable for the proof of the lots haven't been paid for compensation. The administration document of the lots in arrears for compensation are often not kept in the administrative institutes due to a long pass of time, or difficulty to find them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institutes. Accordingly, general people won't be able to find the related documents and prove. Besides, as the aerial photograph needs to be decoded by the experts, the main contractors are rather responsible for the poof of the lots in arrears for compensation. Fourth, a balanced administrative criterion is necessary. The criteria for land compensation should be applied the same at the time of that for compensation evaluation and that for imposition of transfer tax. That is, if official land price for sample land is applied for compensation, while actual transaction price is applied for imposition of transfer tax, popular complaint would arise against double standard.* It's often the cases that the lots in arrears for compensation are estimated based on riverbed and property tax is estimated based on paddy field. In this case, the land owners are doing their compulsory tax paying based on paddy field and riverbed is based when they are facing to get compensation. Such double standard inflicts losses on the land owners which is infringement against article 11 in the equal right and article 23 in the regulation under right of properties. Accordingly. the equity of land compensation law and taxation system is necessary. Fifth, the application of the expected interest rate should be rationalized. In case of estimation of integrated rent by integration for the lots in arrears for compensation, the expected interest rate that will be applied needs to be estimated based on the rate, on which the traits of the district or lands are reflected, and in case if estimation is impossible, feasible rate is supposed to be applied which is fixed as regulation. Though there are many problems in application of expected interest rate by directly connecting with interest rate from normal transaction in real estate due to the gap in profitability, stability, liquidity caused by the trait of real estate, it's advisable to apply the expected interest rate following the land use & use conditi 미불용지는 종전에 시행된 공익사업의 부지로써 보상금이 지급되지 않은 토지를 말하며 사전보상 원칙의 예외가 되는 특별한 경우라 할 수 있다. 미불용지란 종전의 공익사업에 편입된 토지가 보상 누락된 상태에서 이후 새로이 다른 공익사업에 편입된 경우에, 현재의 이용상황이 아닌 종전 공익사업에 편입될 당시의 이용상황을 기준으로 한다. 다만, 그 종전의 이용상황을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종전 공익사업에 편입될 당시의 지목과 인근토지의 이용상황을 참작하여 평가한다. 그러나 현행은 이용상황 판단에 대한 객관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미불용지의 관련 행정서류는 오래 전의 것(종전 공익사업)이기 때문에 관할 행정기관에서 찾아 입증하기 어렵고, 행정구역이 변경되거나 분리되면 더욱 보관서류를 찾기 어렵다. 항측자료 또한 일반인이 판독하기 어렵고, 전문가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미불용지 보상 시 과거의 편입당시 이용상황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 입증 책임은 사업시행자에게 있고 이를 입증하지 못할 경우 토지보상법 시행규칙 제25조제1항 단서규정에 의거 그 지목대로 보상함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한편 미불용지만을 전문적으로 매수 또는 경락의 방법으로 현황대로 헐값에 취득하여, 공익사업부지 관리청 또는 사업시행자에게 그 미불용지를 종전 편입 당시의 이용상황대로 평가한 보상금 지급을 요구하는 투기자 및 브로커들이 많이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천부지 미불용지에 대한 보상규정을 마련해야한다. 토지보상법상의 미불용지의 평가제도가 공익사업의 부지로 편입· 제한됨으로 인하여 거래가격이 아예 형성되지 못하거나 상당히 감가되어 당초 토지소유자에게 적정한 보상을 하기위해 마련된 것이기는 하나, 실질적으로 재산권 행사의 제약에 의하여 손실을 입은 토지소유자에 대하여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고 미불용지에 대한 평가방법만이 규정되어 있어 제도의 취지와는 다르게 악용되고 있다. 더불어 「토지보상법」에 ‘도로’에 대한 보상규정은 있으나 하천에 대하여는 보상규정이 없으므로 명확한 보상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미불용지 발생 방지를 위한 지방급 하천에 매수청구권을 인정해야 한다. 국가의 재정형편을 감안하여 국가하천 및 지방1급 하천에 한하여 「특별조치법」에 의해 소유자의 청구를 받아 보상하여 왔으나, 지방급 하천구역에 편입된 토지의 경우 그 제한의 형태가 국가하천의 경우와 다르지 아니하며, 도로의 경우 국도와 시도· 군도 등 도로의 종류를 구분하지 아니하고, 도로 구역으로 지정된 경우라면 사업시행시 보상을 하고, 미보상시 미불용지로 매수보상하거나 사용료를 지급하여 오고 있으므로, 하천의 경우 지방2급 하천으로 지정된 토지에 대하여 매수청구권을 인정하지 아니함은 타당성이 없는 것이다. 세번째 미불용지 입증책임은 사업시행자에게 있다. 미불용지의 행정관련 서류는 오랜 기간이 경과된 것이어서 행정기관에 보관되지 아니한 경우도 있고, 행정기관의 분리로 찾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일반인이 관련 서류를 찾아 입증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항공사진 판독 또한 전문가의 지식이 필요한 부문이므로 미불용지의 입증책임은 오히려 사업시행자에게 있다. 네번째 형평성 있는 행정 잣대가 필요하다. 토지보상금에 있어 평가 시의 기준과 양도세 부과 시의 기준이 같아야 할 것이다. 즉 보상금 평가 시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낮게 평가하고, 양도세를 부과할 때는 실질거래가를 기준으로 높게 평가하는 것은 이원적 잣대에 따른 민원의 제기만을 낳을 뿐이다. 하천 미불용지의 경우 감정평가는 하천으로 평가하고 재산세는 답으로 하는 괴리되는 행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토지소유자는 평상시 국민의 의무로 세금을 답으로 납부하고 보상 받을 때는 하천으로 보상받아야만 한다. 토지소유자로서는 2중의 행정잣대로 손해를 보는바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11조 평등권과 제23조 재산권의 보장 규정에도 위배되는 것이다. 따라서 토지보상법과 조세제도의 형평성이 요구된다. 다섯번째 기대이율의 적용을 합리화하여야 한다. 미불용지 보상평가 시 적산법에 의한 적산임대료를 구하는 경우에 적용할 기대이율은 당해 지역 및 대상 토지의 특성을 반영하는 이율로 정하되 산정이 사실상 곤란한 경우에는 실현가능한 이율로 정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부동산의 특성으로 인한 수익성, 안전성, 환금성에서 차이가 있어 정상적인 부동산 이윤율과 직접적으로 연관하여 적용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존재 하지만 한국감정평가협회의 토지용도 및 이용 상황에 따른 기대이율을 근간으로 적용하여 인근 동종 유사의 임대사례를 징수해 그 구체적인 임대수익률을 검증한 후 소송 감정보고서에 기대이율 산정에 따른 구체적인 적용근거와 합리적인 설명을 명시함이 타당하다. 여섯번째 국가차원의 부동산 경영대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미불용지가 발생하는 것은 지방

      • 가정의 문식 환경과 쓰기 태도와의 상관 관계에 관한 연구

        한경숙 고려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가정 문식 환경과 쓰기 태도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어려서부터 조성되어 비교적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가정의 문식 환경이 학습자의 긍정적인 쓰기 태도 형성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가정의 문식 환경과 쓰기 태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가정의 문식 환경과 쓰기 태도는 학습자의 형제ㆍ자매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가정의 문식 환경과 쓰기 태도와의 관계 3-1 가정의 문식 환경과 쓰기 태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가정의 문식 환경과 쓰기에 대한 흥미 및 동기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가정의 문식 환경과 쓰기에 대한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4 가정의 문식 환경과 쓰기에 대한 학습 태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5 쓰기 태도와 가족의 읽기 및 쓰기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6 쓰기 태도와 문식과 관련된 물리적 환경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7 쓰기 태도와 가족 간의 대화 및 활동을 통한 상호작용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4. 대학수학능력 시험과 유사한 모의고사의 언어 영역 성적과 가정의 문식 환경, 쓰기 태도와의 관계는 각각 어떠한가? 이 같은 문제들을 연구하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D고등학교의 1학년 학생 450명이었으나, 이 중 설문에 불응하였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학생들 40명을 제외한, 모두 410명의 학생들이 응답한 것들만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학생들이 속한 가정의 문식 환경과 그들의 쓰기에 대한 태도를 조사할 수 있는 각각의 질문지를 만들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렇게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문제들에 대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들의 가정의 문식 환경은 보통 이상의 풍부한 문식 환경을 갖추고 있음에 반해, 학습자의 쓰기에 대한 태도는 보통 정도의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쓰기가 문식성의 영역 가운데 가장 고차원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쓰기 태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쓰기에 적합한 가정 환경이 조성되고 쓰기 활동에 대한 충분한 연습이 있어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문식성의 영역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정의 문식 환경이 풍부한 것에 비례해서 쓰기 태도 또한 긍정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가정의 문식 환경 수준에 못 미치는 것은 쓰기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이 그만큼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여학생들의 가정 환경이 남학생들의 가정 환경보다 문식성 수준이 더 높고 여학생들의 쓰기 태도가 남학생들의 쓰기 태도보다 더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쓰기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이유를 추론해 보면, 일반적으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읽기나 쓰기, 대화 등의 문식 활동에 더 관심을 보이며, 남학생들보다 문식성이 일찍 발달하는 특성과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곧 여학생의 문식성 수준이 남학생보다 높다고도 볼 수 있는 점이기도 하다. 셋째, 학습자의 형제ㆍ자매 수에 따른 가정의 문식 환경을 비교한 결과, 형제ㆍ자매의 수와 가정의 문식 환경은 별다른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형제ㆍ자매 수에 따른 쓰기 태도 역시 별다른 상관 관계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풍부한 가정 문식 환경은 가족의 수가 아니라 가족 간의 상호작용 여부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가정의 문식 환경과 쓰기 태도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이며, 그 각각의 하위 영역들과의 관계 또한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가정의 문식 환경이 풍부한 가정에서 자란 학습자들이 긍정적인 쓰기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모의고사의 언어 영역 시험 점수와 가정의 문식 환경, 쓰기 태도와의 관계를 각각 연구한 결과, 언어 영역 점수와 가정의 문식 환경과의 관계, 그리고 언어 영역 점수와 쓰기 태도와의 관계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아님을 알 수 있다. 특히 언어 영역 점수와 쓰기 태도는 매우 낮은 상관 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대학수학능력 시험을 대변하는 모의고사를 통해서 분석한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언어 영역 문제가 문식성의 전 영역을 고루 반영하지 않았음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언어 영역의 시험 점수는 쓰기 태도와 상관 관계가 매우 낮았는데, 이는 언어 영역의 시험 문항이 문식성의 영역인 쓰기를 거의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식성의 전 영역이 고루 포함된 보다 다양한 종류의 언어 영역의 문항 출제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learners'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is relevant closely to their formation of positive writing attitude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writing attitude. Here are several objectives to investigate for this study. 1. Does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writing attitude have difference between female students and male students? 2. Does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writing attitude hav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brothers and sisters? 3. The correlation between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writing attitude 3-1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their writing attitude? 3-2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their motivation and interest in writing? 3-3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their self-efficacy in writing? 3-4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their learning attitude toward writing? 3-5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writing attitude and their family members' attitude toward reading and writing? 3-6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writing attitude and their physical environment related to literacy? 3-7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writing attitude and the conversation and activities with their family? 4. How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language part of a trial examination for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and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writing attitude respective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established 410 students of D high school 1st grade in Suwon-si, Gyeounggi-do. The method of research is to use a questionnaire to examine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writing attitude. And the responses of the questionnaires a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rogram, SP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First, the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of female students are bett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n the part of the attitude toward reading and writing of family members and physical environment related to literacy, which are the subordinate part of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female student are better than male students by a narrow margin. And in the part of the interaction through conversation and activities at home, female students are superior to male students. It is supposed that the tendency of female students who usually enjoy conversation is the principal reason of these results. And the interest and motivation about writing, self-efficacy about writing, learning attitude about writing of female students, which are the subordinate part of writing attitude, are better than those of male students by a narrow margin.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writing attitude of female students is bett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Putting all results together, it is supposed that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is relevant to personality that female students generally are more concerned about both literacy of reading and writing and conversation than male students, and literacy of female students is growing up earli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Second, the number of brothers and sisters has no relation with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writing attitude. it signifies that the number of brothers and sisters has no effect on the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the formation of positive writing attitude. Third,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has significant relation with writing attitude. And the attitude toward reading and writing of family members and physical environment related to literacy and the interaction through conversation and activities at home, which are the subordinate part of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these have significant relation with those, the interest and motivation about writing, self-efficacy about writing and learning attitude about writing, which are the subordinate part of writing attitude respectively. Therefore, the learner growing up in the rich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has positive writing attitude. Forth, the results of language part of a trial examination for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have no relation with literacy environment at home and writing attitude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language part of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can't evaluate accurately synthetical language ability including all parts of litera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