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농기간 지하침투수에 의한 미사질양토 논의 화학성분 손실량

        한강완,조재영,손재권 한국환경농학회 1998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7 No.3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일대 0.5㏊의 논에서 1997년 5월부터 9월까지 시험포장에 30, 50, 70, 90㎝ 간격으로 매설한 Ceramic porous cup에 침토된 침투수의 시기별 함량변화와 침투수에 의한 비료성분의 침투손실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침투수의 pH는 6.64∼7.90, EC는 324∼647μS/㎝의 범위로 6월 중순경에 가장 높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전질소, 암모니아태질소 및 질산태질소의 함량은 각각 0.58∼14.59㎎/L, 0.05∼4.25㎎/L 그리고 0.15∼7.71㎎/L의 범위로 기비후 이앙초기에 함량이 가장 높았다가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였다. 전인산은 0.009∼0.077㎎/L, 가용성인산은 0∼0.029㎎/L의 범위로 지표면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양이온성분은 Ca^(++) 0.88∼4.78㎎/L, Mg^(++) 0.22∼1.04㎎/L, Na^+ 0.17∼0.98㎎/L 그리고 K^+ 0.84∼3.19㎎/L의 범위로 모두 이앙초기에 높게 나타났다. 음이온성분의 경우 SO₄^(2-)는 3.92∼18.72㎎/L의 범위로 시료 채취깊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l^-는 9.03∼19.97㎎/L의 범위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동안 0.5ha의 논에서 지하로 이동한 총침투수량은 483.3㎜로 조사되었다. 전질소, 암모니아태질소 및 질산태질소의 침투손실량은 각각 20.34㎏/㏊, 3.54㎏/㏊, 10.44㎏/㏊로 나타났으며, 질산태질소가 암모니아태질소보다 약 3배 정도 더 높게 나타났다. 전인산은 0.16㎏/㏊, 가용성인산은 0.028㎏/㏊로 나타났으며, 침투수를 통하여 시비된 요소비료의 9.35%에 해당하는 질소가 손실되었으며 인산의 경우 시비된 비료성분중 0.59%가 손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양이온성분은 Ca^(++) 10.24㎏/㏊, Mg^(++) 2.84㎏/㏊, Na^+ 2.84㎏/㏊ 그리고 K^+ 7.22㎏/㏊로 나타났으며, Ca^(++)$gt;K^+$gt;Na^+=Mg^(++)의 순이었다. 음이온성분은 SO₄^(2-) 50.04㎏/㏊, Cl^- 62.20㎏/㏊로 나타나 Cl^- 이온이 SO₄^(2-) 이온보다 더 지하로의 이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 and losses of chemical fertilizer by infiltration water from 0.5ha of paddy field in Chinan area of Chonbuk province during the rice cultivation were investigated. The infiltration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in a ceramic porous cup which was a buried at the 30, 50, 70, 90㎝ of soil depth. pH of infiltration water ranged 6.64∼7.90 and EC showed 324∼647μS/㎝. The content of total-N, NH₄-N and NO₃-N were 0.58∼14.59, 0.05∼4.25, and 0.15∼7.71㎎/L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otal-P and ortho-P were 0.009∼0.077㎎/L and 0∼0.029㎎/L. The content of Ca^(++), Mg^(++), Na^+ and K^+ showed 0.88∼4.78, 0.22∼1.04, 0.17∼0.98, and 0.84∼3.19㎎/L. These all at the first transplanting are higher than that of other periods. The content of SO₄^(2-) showed 3.92∼18.72㎎/L and decreased with a soil depth. However Cl^- of infiltration water ranged 9.03∼19.97㎎/L and no difference with a soil depth. When infiltrated 2,416.5㎥ of an infiltration water from 0.5ha of paddy field during the rice cultivation, losses of chemical components were 20.34㎏/㏊ of total-N, 3.54㎏/㏊ of NH₄-N, 10.44㎏/㏊ of NO₃-N, 0.16㎏/㏊ of total-P and 0.028㎏/㏊ of ortho-P. Also Ca^(++), Mg^(++), Na^+, K^+, SO₄^(2-) and Cl^- were lost 10.24, 2.84, 2.84, 7.22, 50.04 and 62.20㎏/㏊ respectively. There were lost by infiltration water 9.35% of nitrogen, 0.59% of phosphorous and 22.79% of potassium in applied chemical fertilizer.

      • KCI등재

        논 관개수중 영양물질의 함량변화와 천연공급량

        한강완,김성조,조재영,전재철 한국환경농학회 199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6 No.4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일대 1.0㏊의 논을 대상으로 벼농사 재배기간중 공급되는 관개수중에 함유된 영양물질과 오염물질의 함량 및 총 관개유량 측정을 통하여 논에 부하되는 영양물질과 중금속의 유입량을 시기별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개용수의 pH는 6.45∼8.34의 범위였으며, 전기전도도는 관개초기에만 110μS/㎝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그밖에는 90μS/㎝ 수준을 유지하였다. 전질소, 암모니아태질소 및 질산태질소의 함량은 각각 3.09∼12.46, 0.17∼1.34, 2.70∼10.72㎎/L 수준이었으며, 전인산의 함량은 -.09∼0.22㎎/L, orthophosphate는 검출되지 않았다. Ca^(++)는 0.89∼5.12, Mg^(++)는 1.12∼2.76, Na^+는 1.74∼4.52, K^+는 1.34∼4.18㎎/L의 범위였으며 시기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Cl^-와 SO₄^(2-)는 각각 1.3∼24.9, 3.5∼20.3㎎/L의 범위로 이앙초기에 높았다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중금속오염물질중 Cu와 Z만이 각각 0.001∼0.009, 0.007∼0.091로 나타났을 뿐 Pb, Cd, Cr, Ni는 검출되지 않았다. 벼재배기간동안 1.0㏊의 논에 4,250㎥의 관개수를 공급하였을 때 영양물질의 천연공급량은 전질소 29.68㎏/1.0㏊, 암모니아태질소 1.80㎏/1.0㏊, 질산태질소 24.57㎏/1.0㏊, 전인산 0.51㎏/1.0㏊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양이온으로 Ca^(++), Mg^(++), Na^+, K^+는 각각 9.42, 7.09, 13.34, 9.08㎏/1.0㏊의 수준으로 공급되었으며 Na^+$gt;Ca^(++)$gt;K^+$gt;Mg^(++)의 순서였다. 음이온으로 Cl^-와 SO₄^(2-)는 각각 40.27, 41.38㎏/1.0㏊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6가지 중금속중 Cu와 Zn만이 관개수를 통하여 각각 0.17㎏/1.0㏊, 0.133㎏/1.0㏊ 정도 논토양에 부하되었을 뿐 Pb, Cd, Cr, Ni은 검출되지 않았다. C㏊nges of nutrient material and heavy metals of irrigation water and natural supplies by irrigation water into 1.0㏊ of paddy field during the rice cultivation was investigated pH of irrigation water ranged 6.45∼8.34 and electrical conductivity showed 110μS/㎝ in the first irrigation period and commonly showed 90μS/㎝. The content of T-N, NH4-N and NO₃-N were 3.09∼12.36, 0.17∼1.34 and 2.70∼10.72㎎/L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P was 0.09∼0.22㎎/L and ortho-P was not detected. The content of Ca^(++), Mg^(++), Na^+ and K^+ showed 0.89∼5.12, 1.12∼2.76, 1.74∼4.52 and 1.34∼4.18㎎/L regardless of irrigation season respectively. Only Cu and Zn of heavy metals were detected 0.001∼0.009 and 0.007∼0.091㎎/L, but Pb, Cd, Cr and Ni were not detected When supplied 4,250㎥ of an irrigation water into 1.0㏊ of paddy field, natural supplies of nutrient materials were 29.67㎏ of T-N, 1.80㎏ of NH₄-N, 24.57㎏ of NO3-N and 0.51㎏ of T-P. Also Ca^(++). Mg^(++), Na^+, K^+, Cl^- and SO₄^(2-) were supplied 9.42, 7.09, 13.34, 9.08, 40.27 and 41.38㎏ respectively. Only Cu and Zn of heavy metals were supplied 0.017㎏ of Cu and 0.133㎏ of Zn, Pb, Cd, Cr and Ni were not supplied

      • KCI등재

        논 관개수에 함유된 토사 중 영양물질의 함량변화와 천연공급량

        한강완,김성조,조재영,전재철 한국환경농학회 199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6 No.4

        벼 재배기간동안 1.0㏊의 논토양으로 유입되는 관개수의 총유량을 측정하고 관개수중 총부유물질의 함량을 토사의 함량으로 나타내었다. 본 조사기간동안 4,250㎥의 관개수중에 함유된 토사를 통한 영양물질과 중금속의 시기적 변화와 논토양으로 유입량은 다음과 같다. 총부유물질의 함량은 52.9∼125.6㎎/L의 범위였으며 유기물 함량은 1.89∼2.33%의 범위로 관개시기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질소 함량은 623.5∼1775.2㎎/㎏, 질산태질소 10.2∼72.1㎎/㎏ 그리고 암모니아태질소 22.9∼75.8㎎/㎏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전인산 함량은 186.7∼375.7㎎/㎏ 그리고 가용성인산은 12.4∼38.9㎎/㎏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치환성 양이온중 대표적인 칼슘의 함량은 435.3∼737.5㎎/㎏, 마그네슘 127.3∼204.2㎎/㎏, 칼륨 105.6∼232.9㎎/㎏, 나트륨 36.6∼94.9㎎/㎏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칼슘$gt;마그네슘$gt;칼륨$gt;나트륨의 순이었다. 전중금속함량은 평균 Pb 13.4, Cd 0.6, Ni 8.2, Cu 12.1, Zn 29.8 그리고 Cr 19.7㎎/㎏ 이었으며 Zn$gt;Cr$gt;Pb$gt;Cu$gt;Ni$gt;Cd의 순으로 나타났다. 벼재배기간동안 4,250㎥의 관개수중에 함유된 토사의 양은 346.03㎏이었으며 토사중에 함유되어 논토양으로 유입되는 유기물량은 7.11㎏이었다. 각각의 영양물질 유입량은 전질소 0.50㎏, 질산태질소 0.01㎏, 암모니아태질소 0.02㎏, 전인산 0.08㎏, 가용성인산 약 0.01㎏이었다. 양이온의 유입량은 칼슘 0.21㎏, 마그네슘 0.06㎏, 칼륨 0.06㎏, 나트륨 0.02㎏이었으며 칼슘$gt;마그네슘=칼륨$gt;나트륨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토사를 통하여 논토양으로 유입되는 중금속의 부하량은 극히 작은 수준이었다. Changes of nutrient material and natural supplies by sediment of irrigation water into 1.0ha of paddy field during the rice cultivation were investigated. TSS of the sediment contained irrigation water ranged 52.9∼125.6㎎/L and content of organic matter showed 1.89∼2.33%. Content of T-N, NH₄-N and NO₃-N were 623.5∼1775.2, 22.9∼75.8 and 10.2∼72.1㎎/㎏ respectively. Content of T-P and ortho-P were 186.7∼375.7 and 12.4∼38.9㎎/㎏ respectively. The content of exchangeable canons, Ca^(++), Mg^(++), Na^+ and K^+ were 435.3∼737.5, 127.3∼204.2, 36.6∼94.9 and 105.6∼232.9㎎/㎏ respectively. Total content of heavy metals were 13.4 of Pb, 0.6 of Cd, 8.2 of Ni, 12.1 of Cu, 29.8 of Zn and 19.7㎎/㎏ of Cr. During the period of rice cultivation, when supplied 4,250㎥ of an irrigation water into 1.0ha of paddy field, natural supplied 346.01㎏ of sediment, 7.11㎏ of organic matter, 0.50㎏ of T-N, 0.02㎏ of NH₄-N, 0.01㎏ of NO₃-N, 0.08㎏ of T-P and 0.01㎏ of Ortho-P. Also exchangeable Ca^(++), Mg^(++), Na^+ and K^+ were supplied 0.21, 0.06, 0.02 and 0.06㎏ respectively. Loaded of the total heavy metal showed natural background level.

      • SCIEKCI등재

        논에서 강우에 의한 질소와 인산의 유출특성

        한강완,조재영,최진규,손재권 한국농화학회 2000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3 No.4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unoff pattern of nutrients by rainfall from the paddy field located at the southwest of Korea. Effective rainfalls were 17.0 and 21.2 ㎜ for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 respectively. The first runoff in paddy field was 6.3-33.7 ㎜ (average=12.9 ㎜) and 5.9-12.5 ㎜ (9.2 ㎜) for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 respectively. And runoff ratio was 0.59-1.36 and 0.57-0.86 for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 respectively. During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 the outflow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precipitation. Pattern of precipitation-runoff differed between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 as affected by precipitation intensity, hydrological condition, and cropping. There existed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runoff loading of N and P and precipitation. During the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 runoff loadings of N and 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ase of total suspended solids.

      • KCI등재

        전북 진안지역 강우의 화확성분 조성 및 천연공급량

        한강완,조재영,손재권 한국환경농학회 1998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7 No.4

        공업단지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확산작용에 의해 농업지대에 내리는 강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7년 5월 1일부터 1998년 4월 30일까지 비오염지로 예상되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수도작 농업지대에 내리는 강우중 화학성분의 함량변화와 천연공급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우pH는 6.44∼7.24, EC는 14.23∼30.67μS/㎝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전질소의 함량은 1.43∼10.14㎎/L, 암모니아태질소는 0.57∼4.39㎎/L, 질산태질소는 0.18∼1.69㎎/L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전인산은 0.015∼0.087㎎/L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가용성인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부유물질은 3.6∼15.3㎎/L, Ca^(++)는 0.37∼1.66㎎/L, Mg^(++)는 0.17∼0.52㎎/L, Na^+는 0.22∼0.87㎎/L 그리고 K^+는 0.17∼0.58㎎/L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조사대상 중금속중 중금속중 Cd, Pb, Ni, Cr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Zn의 경우 0.009∼0.98㎎/L, Cu의 경우 불검출∼0.019㎎/L의 범위를 나타내었는데 그 함량이 아주 낮은 수준이었다. 음이온성분 가운데 Cl^-는 1.02∼7.24㎎/L, SO₄^(2-)는 3.73∼14.47㎎/L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각종 화학성분의 천연공급량은 전질소 39.48㎏/㏊/yr, 암모니아태질소 21.82㎏/㏊/yr, 질산태질소 6.90㎏/㏊/yr, 전인산 0.68㎏/㏊/yr로 공급되었다. 양이온성분의 공급량은 각각 Ca^(++) 4.46㎏/㏊/yr, Mg^(++) 5.00㎏/㏊/yr, Na^+ 7.26㎏/㏊/yr, K^+ 5.46㎏/㏊/yr로 나타났다. 중금속물질 가운데 Pb, Cd, Ni와 Cr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Cu와 Zn의 공급량은 각각 0.024㎏/㏊/yr, 0.44㎏/㏊/yr로 나타났다. 음이온성분중 Cl^-는 31.16㎏/㏊/yr, SO₄^(2-) 98.76㎏/㏊/yr로 나타났다.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and natural supplies by precipitation at agricultural zone in Chinan area of Chonbuk province from May 1, 1997 to April 30, 1998 were investigated. pH of precipitation ranged 6.44∼7.24 and EC showed 14.23∼30.67μS/㎝. The total∼N, NH4-N and NO3-N were 1.43∼10.14, 0.57∼4.39, and 0.18∼1.69㎎/L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otal-P showed 0.015∼0.087㎎/L but ortho-P was not detected. The content of suspended solid, Ca^(++), Mg^(++), Na^+ and K^+ showed 3.6∼15.3, 0.37∼1.66, 0.17∼0.52, 0.22∼0.87, and 0.17∼0.58㎎/L. The content of SO42- and Cl- showed 3.73∼14.47㎎/L and 1.02∼7.24㎎/L respectively. Only Cu and Zn of heavy metals were detected 0∼0.019㎎/L, and 0.009∼0.098㎎/L, but Cd, Cu, Ni and Cr were not detected. Natural supplies of chemical components were 39.48㎏/ha/yr of total-N, 21.82㎏/ha/yr of NH₄-N, 6.90㎏/ha/yr of NO₃-N and 0.68㎏/ha/yr of total-P. Also Ca^(++), Mg^(++), Na^+ , K^+, SO₄^(2-) and Cl^- were supplied 14.46, 5.00, 7.26, 5.46, 98.76 and 31.16㎏/ha/yr respectively. Only of heavy metals were supplied 0.024㎏/ha/yr of Cu and 0.044㎏/㏊/yr of Zn.

      • KCI등재

        Peat 에 의한 중금속 Cd , Cu , Zn 의 흡착

        한강완,최현옥 한국환경농학회 1992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1 No.3

        埋藏量이 풍부한 peat를 重金屬 吸着劑로서의 利用 可能性을 確認하기 위한 實驗을 행한 結果 다음과 같았다. Peat의 粒子가 적을수록 重金屬 吸着이 效果的이었으며 同一 濃度溶液에서 重金屬 吸着量은 Cu^(2+) > Cd^(2+) > Zn^(2+)順 이었다. Peat는 pH 4∼5사이에서 重金屬의 最大吸着이 일어났다. 重金屬 濃度가 增加할수록 重金屬의 吸着量의 增加되었으나 吸着率은 減少되었다. Peat에 의한 重金屬 이온흡착은 Freundlich 吸着等溫式에 잘 適用되므로 效果的인 吸着劑로 생각되며 peat에 PEI(polyethyleneimine)를 處理하면 重金屬의 吸着量이 增加하여 效果的이었다. 重金屬 吸着後 peat의 處理方法은 熱量이 풍부하여 燃料源으로 使用後 容量을 줄일 수 있어서 經濟的인 處理方法으로 생각된다. Heavy metal adsorption on peat was studied to examine the utilization of abundant natural resouces as pollution control. The smaller the peat particle size, the more the heavy metals studied were adsorbed. Adsorption of heavy metals on peat was greater in single metal solutions than in mixed solutions, and the order of adsorption amount on peat was Cu > Cd > Zn. The most effective pH range of the adsorption of Cd, Zn, and Cu was between 4 and 6. With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the amount of adsorption on peat was increased, but the adsorption ratio was decreased. The adsorption of heavy metals on peat was fitted to the Freundlich isotherm and peat was appeared to be an effective adsorbent of the heavy metals. The treatment of polyethyleneimine(PEI) on the peat surface effectively increased adsorption capacity of the heavy metals. Because of its higher energy content, the heavy metal adsorbed peat could be utilized as a energy source. After burning the peat, the reduced peat volume could be save the expenses for waste disposal.

      • KCI등재

        벼에 있어서 bensulfuron - methyl 의 흡수 이행에 미치는 무기영양분과 혼합제초제의 영향

        한강완,전재철 한국환경농학회 199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3 No.1

        벼에 있어서 bensulfuron-methyl의 흡수 이행에 미치는 무기영양성분 및 혼합제초제의 영향을 수경 액상에서 ^(14)C-除草劑로 조사하였다. 뿌리에 의한 ^(14)C-bensulfuron-methyl의 吸收는 處理濃度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지만, 농도 증가가 줄기로의 移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4)C-bensulfuron-methyl의 總吸收量은 吸收 12시간 및 48시간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에, 줄기로의 移行은 吸收時間이 길수록 증가되었다. ^(14)C-bensulfuron-methyl의 吸收 移行은 混合除草劑 butachlor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지만, quinclorac이 高濃度로 혼합될 때 ^(14)C-bensulfuron-methyl의 흡수 이행이 감소되었다. 무기성분의 缺乏 및 過量供給은 ^(14)C-bensulfuron-methyl의 흡수를 沮害하였다. ^(14)C-bensulfuron-methyl의 흡수 이행은 窒素의 결핍 및 黃이 과량 공급될 때 가장 심하게 감소되고 지연되었다.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of bensulfuron-methyl {methyl 2[[[[[(4,6-dimethoxy-2-pyrimidinyl) amino]carbonyl]amino]sulfonyl]methyl]benzoate} in rice (Oryza sativa L.) as affected by mineral nutrients and mixed herbicides were determined using the ^(14)C-labeled herbicide in culture solution. Absorption of ^(14)C-bensulfuron-methyl by the root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bensulfuron-methyl. However, increase in the application concentration did not affect movement of the ^(14)C to the shoo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tal amount of ^(14)C-bensulfuron-methyl taken up between absorption periods of 12 and 48 hours, whereas ^(14)C-bensulfuron-methyl translocated to the shoot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bsorption period. When bensulfuron-methyl mixtures were applied, butachlor [N-(butoxymethyl)-2-chloro-N-(2',6'-diethylphenyl)acetamide] did not affect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of ^(14)C-bensulfuron-methyl. However, quinclorac (3,7-dichloro-8-quinoline carboxylic acid) mixed at a high concentration resulted in decrease in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of ^(14)C-bensulfuron-methyl. Nutritional disorder such as deficient or excess supply of mineral nutrients caused to inhibit absorption of ^(14)C-bensulfuron-methyl. The greatest decrease and delay of ^(14)C-bensulfuron-methyl absorption and/or translocation occurred in N-deficient and S-excess supply conditions.

      • KCI등재

        무의 재배기간중 질산태질소의 함량변화에 따른 질산환원효소의 활성

        한강완,조재영,조성민 한국환경농학회 1996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5 No.3

        무의 재배시 사용되는 질소비료의 형태, 시비량, 제초제농도가 무의 부위별 질산태질소의 함량, 질산 환원효소 활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산태 질소비료가 암모니아태 질소비료 보다 무의 생육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질산태질소의 함량의 경우 무의 엽병과 엽에서는 파종후 25일경에, 뿌리에서는 32일∼39일 사이에서 높게 나타났다. 2. 또한 무의 부위별 질산태질소 함량은 엽병, 뿌리, 그리고 엽의 순서로, 질산환원효소 활성은 엽병, 엽, 그리고 뿌리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제초제 Alachlor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에서의 질산태질소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질산환원효소 활성도 같은 경향이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itrogen fertilizer forms, fertilizer and herbicide application rates on growth of radish. The nitrate content and nitrate reductase activity of radish were analyzed along with the growing stage. Nitrate nitrogen was more efficient than ammonium nitrogen for radish. With increasing the fertilizer application rate, accumulated of nitrate content was increased. The amount of nitrate nitrogen was highest at 25days after seeding in petioles, and 32~39days after seeding in root. Nitrate content was decreased as sampling date was delayed, whereas the content increased in the root at early growing stage and then decreased. The nitrate cotent increased in the order of petioles, roots, and leaf blades and nitrate reductase activity increased petioles, leaf blades, and roots. The higher nitrogen fertilizer and herbicide application increased nitrate nitrogen accumulation in radish as compaired with control treatment and nitrate reductase activity showed similar trend.

      • KCI등재

        전북 진안지역 강우의 화학성분 조성 및 천연공급량

        한강완,조재영,손재권,Han, Kang-Wan,Cho, Jae-Young,Son, Jae-Gwon 한국환경농학회 1998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7 No.4

        공업단지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이 확산작용에 의해 농업지대에 내리는 강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7년 5월 1일부터 1998년 4월 30일까지 비오염지로 예상되는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수도작 농업지대에 내리는 강우중 화학성분의 함량변화와 천연공급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우pH는 $6.44{\sim}7.24$, EC는 $14.23{\sim}30.67{\mu}S/cm$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전질소의 함량은 $1.43{\sim}10.14㎎/L$, 암모니아태질소는 $0.57{\sim}4.39㎎/L$, 질산태질소는 $0.18{\sim}1.69㎎/L$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전인산은 $0.015{\sim}0.087㎎/L$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가용성인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부유물질은 $3.6{\sim}15.3㎎/L$, $Ca^{++}$는 $0.37{\sim}1.66㎎/L$, $Mg^{++}$는 $0.17{\sim}0.52㎎/L$, $Na^+$는 $0.015{\sim}0.087㎎/L$ 그리고 $K^+$ 는 $0.17{\sim}0.58㎎/L$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조사대상 중금속중 중금속중 Cd, Pb, Ni, Cr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Zn의 경우 $0.009{\sim}0.098㎎/L$, Cu의 경우 불검출${\sim}0.019㎎/L$의 범위를 나타내었는데 그 함량이 아주 낮은 수준이었다. 음이온성분 가운데 $Cl^-$는 $1.02{\sim}7.24㎎/L$, $SO_4^{2-}$는 $3.73{\sim}14.47㎎/L$, 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각종 화학성분의 천연공급량은 전질소 39.48㎏/㏊/yr, 암모니아태질소 21.82㎏/㏊/yr, 질산태질소 6.90㎏/㏊/yr, 전인산 0.68㎏/㏊/yr로 공급되었다. 양이온성분의 공급량은 각각 $Ca^{++}$ 4.46㎏/㏊/yr, $Mg^{++}$ 5.00㎏/㏊/yr, $Na^+$ 7.26㎏/㏊/yr, $K^+$ 5.46㎏/㏊/yr로 나타났다. 중금속물질 가운데 Pb, Cd, Ni와 Cr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Cu와 Zn의 공급량은 각각 0.024㎏/㏊/yr, 0.44㎏/㏊/yr로 나타났다. 음이온성분중 $Cl^-$는 31.16㎏/㏊/yr, $SO_4^{2-}$ 98.76㎏/㏊/yr로 나타났다.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and natural supplies by precipitation at agricultural zone in Chinan area of Chonbuk province from May 1, 1997 to April 30, 1998 were investigated. pH of precipitation ranged $6.44{\sim}7.24$ and EC showed $14.23{\sim}30.67{\mu}S/cm$. The $total{\sim}N$, NH4-N and NO3-N were $1.43{\sim}10.14$, $0.57{\sim}4.39$, and $0.18{\sim}1.69㎎/L$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otal-P showed $0.015{\sim}0.087㎎/L$ but ortho-P was not detected. The content of suspended solid, $Ca^{++}$, $Mg^{++}$, $Na^+$ and $K^+$ showed $3.6{\sim}15.3$, $0.37{\sim}1.66$, $0.17{\sim}0.52$, $0.22{\sim}0.87$, and $0.17{\sim}0.58㎎/L$. The content of SO42- and Cl- showed $3.37{\sim}014.47㎎/L$ and $1.02{\sim}7.24㎎/L$ respectively. Only Cu and Zn of heavy metals were detected $0{\sim}0.019㎎/L$ and $0.009{\sim}0.098㎎/L$ but Cd, Cu, Ni and Cr were not detected. Natural supplies of chemical components were 39.48㎏/ha/yr of total-N, 21.82㎏/ha/yr of $NH_4-N$, 6.90㎏/ha/yr of $NO_3-N$ and 0.68㎏/ha/yr of total-P. Also $Ca^{++}$, $Mg^{++}$, $Na^+$, $K^+$, $SO_4^{2-}$ and $Cl^-$ were supplied 14.46, 5.00, 7.26, 5.46, 98.76 and 31.16㎏/ha/yr respectively. Only of heavy metals were supplied 0.024㎏/ha/yr of Cu and 0.044㎏/㏊/yr of Z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